KR100982937B1 -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 Google Patents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37B1
KR100982937B1 KR1020090136093A KR20090136093A KR100982937B1 KR 100982937 B1 KR100982937 B1 KR 100982937B1 KR 1020090136093 A KR1020090136093 A KR 1020090136093A KR 20090136093 A KR20090136093 A KR 20090136093A KR 100982937 B1 KR100982937 B1 KR 10098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window
moving
opening
rai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오
이정재
황정제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디자인
(주)아진산전
(주)자드미디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디자인, (주)아진산전, (주)자드미디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디자인
Priority to KR102009013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 설치하는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열장의 전면의 투시창이 전후,좌우측 방향으로 이중으로 중첩되게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투시창과;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1투시창의 일측면과 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투시창과;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좌우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전진시킨 후,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열장, 투시창, 개폐

Description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 Showcase with opening and closing device }
본 발명은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 설치하는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열장의 전면의 투시창이 전후,좌우측 방향으로 이중으로 중첩되게 자동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립 및 사립 박물관 또는 기념관 및 전시관등에 진열되어 전시되는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및 희귀성(稀貴性)이 있는 주요물건 등의 전시품 또는 시대에 관계없이 고가의 예술품 등은 유해광선, 온도, 습도 등 기타 자연적인 내적 요인과 취급 및 보관 등의 부주의에 따른 외적요인 등에 만전을 기하여 철저하게 유지 관리돼야만 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상기한 진귀(珍貴)한 유물 등을 전시 보관하는 진열수단은 보온 단열성, 불연성(不燃性), 내구성(耐久性), 내후성(耐朽性), 밀폐성(密閉性), 내습성(耐濕性) 등의 비교적 까다로운 조건들이 만족돼야만 상기 귀중한 유형문화재 및 전시품 또는 예술품 등을 안전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화재 또는 전시품 및 예술품 등이 전시(展示)를 위한 진 열작업시 각별한 취급상의 주의가 요구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여 효율적인 진열작업이 이루어져 진열시 취급 부주의 및 보관상에 의한 훼손 발생률을 극소화시켜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진열장이 요구된다.
이러한 진열장은 전시물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시물을 보호하기 위해,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판인 투시창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건물에 붙박이식으로 설치된 대형 전시케이스의 경우, 전시물의 출입이나 내부의 보수관리의 편의 등을 위해,투시창을 개폐식 문으로 함으로써, 진열장 본체의 앞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 많다.
또한,진열장 본체의 개구부에 여러개의 문을 동일 평면상으로 병렬설치하고 있는 것이 많고,이 경우 문은 진열장본체의 바로 앞측으로 끌어냄으로써 다른 문과의 간섭을 회피하고,그리고 나서,케이스본체의 폭방향(좌우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진열수단들은 상술한 몇가지 주요 조건들을 갖추어 상기 귀중한 물품 등을 보관 전시하고는 있으나, 한정된 진열장의 내부공간 및 진열장소의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함은 물론 진열에 따른 취급상의 어려움과 취급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상기 귀중한 문화재 및 전시, 예술품 등이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각종 진열장들은 기계장치에 의하더라도 투시창 개폐시 좌우이동은 인위적인 방법으로 작동되는 수동식이므로 사용의 불편함과 번거로움 및 안전 성이 저하됨은 물론 전시할 물품이 비교적 부피가 있는 대형인 경우 투시창의 개방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아 반입 및 진열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8533호에는 전자동 및 수동전환 개폐장치를 갖춘 진열장이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8533호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의 작동과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몸체부(200)의 전방에 전면투시창(250)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전면투시창(250) 전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진된 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진열장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열장의 경우에는 진열장이 대형인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즉, 진열장이 대형이 되면 전면투시창(250)의 크기도 그만큼 커져야 하는데, 대형 전면투시창(250) 전체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전면투시창(25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투시창을 다수개로 분할하고, 이러한 다수개의 투시창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중첩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진열장이 대형이더라도 투시창의 개폐가 안전하고, 또한 투시창의 개폐시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투시창과;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1투시창의 일측면과 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투시창과;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좌우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전진시킨 후,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1투시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전후이 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제2투시창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을 전진시킨 후,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다.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구부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 및 상기 제2투시창의 후면과 접하는 제1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2투시창을 전후방향을 이동시키는 제2전후이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 및 제2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상기 제1가스켓과 이격되도록 전진시키고, 상기 제1투시창을 상기 제2투시창보다 더 전진시킨 후에,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다.
상기 제1투시창의 일측면과 상기 제2투시창의 일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가스켓이 배치되어 있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을 상기 제1투시창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이 상기 제2가스켓과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을 전진시키며,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다.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된 제2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에 결합된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1투시창의 전진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상호 일직선이 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2레일에서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몸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에 결합된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1투시창 및 제2투시창의 전진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상호 일직선이 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2레일에서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스크류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몸체는 상기 제1스크류축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스크류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스크류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몸체는 상기 제1스크류축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이동몸체는 상기 제2스크류축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2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제3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투시창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된 제3레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시창지지부는 상기 제3레 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가스켓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1투시창의 타측면 또는 상기 제2투시창의 타측면에는, 투시창측면보호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투시창측면보호부재는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의 좌우방향 이동시 상기 본체프레임과의 접촉에 따른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에 따르면, 투시창을 다수개로 분할하고, 이러한 다수개의 투시창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전후방향으로 중첩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진열장이 대형이더라도 투시창의 개폐가 안전하고, 또한 투시창의 개폐시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이 닫힌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이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진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2투시창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 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부에 도시된 제1상부전후이동부재 및 제1상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제1하부전후이동부재 및 제1하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상부에 도시된 제2상부전후이동부재 및 제2상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제2하부전후이동부재 및 제2하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며, 도 14는 도 2의 C-C선을 취하여 본 좌우이동부재 및 제2상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은, 본체프레임(10)과,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과, 제1지지프레임(30,35)과, 제2지지프레임(40,45)과, 전후이동부재(50,55,60,65)와, 좌우이동부재(70)와,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진열장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서, 전방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진열품 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투시창(21)은 유리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개구부(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한다.
상기 제2투시창(22)은 유리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개구부(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1투시창(21)의 일측면과 접하며,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개구부(11) 둘레에 장착되는 상기 제1투시창(21)의 후면 및 상기 제2투시창(22)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개구부(11)를 밀폐시키는 제1가스켓(15)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 사이에는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가스켓(2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같이, 상기 제2가스켓(26)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1투시창(21)의 타측면 및/또는 상기 제2투시창(22)의 타측면에는 투시창측면보호부재(2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측면보호부재(25)는 상기 제1투시창(21) 및/또는 제2투시창(22)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본체프레임(10)과 접촉하여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투시창측면보호부재(25)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30,35)은 상기 제1투시창(21)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투시창(21)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상부지지프레임(30)과, 상기 제1투시창(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하부지지프레임(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40,45)은 상기 제2투시창(22)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2투시창(22)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상부지지프레임(40)과, 상기 제2투시 창(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하부지지프레임(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이동부재(50,55,60,65)는 상기 제1투시창(21) 및/또는 제2투시창(2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제1전후이동부재(50,55)와 제2전후이동부재(60,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50,55)는 상기 제1투시창(2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과 연결되는 상기 제1상부전후이동부재(50)와, 상기 제1하부지지프레임(35)과 연결되는 제1하부전후이동부재(5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60,65)는 상기 제2투시창(2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40)과 연결되는 상기 제2상부전후이동부재(60)와,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5)과 연결되는 제2하부전후이동부재(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부전후이동부재(50), 제1하부전후이동부재(55), 제2상부전후이동부재(60) 및 제2하부전후이동부재(65)는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이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씩 장착되어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70)는 상기 제1투시창(21) 및/또는 제2투시창(22)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70)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투시창(22)이 안정 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70)는 총 4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의 상부에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0,55,60,65) 및 좌우이동부재(7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재(50,55,60,65)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21) 및/또는 제2투시창(22)을 전진시킨 후, 상기 좌우이동부재(70)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21) 또는 제2투시창(2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11)를 개방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은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과 제1하부지지프레임(35)에 의해 지지된다.
도 9에는 도 8의 상부에 도시된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과 제1상부전후이동부재(50)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전후이동부재(5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장착된 제1상부구동부(51)와, 상기 제1상부구동부(5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상부스크류축(53)과, 상기 제1상부스크류축(53)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상부이동몸체(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부이동몸체(52)는 상기 제1상부스크류축(53)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상부스크류축(53)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상부구동부(51)와 제1상부이동몸체(52)는 상기 제1상부스크류축(53)에 의하지 않고, 벨트 또는 랙기어방식 등으로 통해 상기 제1상부이동몸체(52)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상부스크류축(53)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부구동부(51)는 모터와 기어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상부스크류축(53)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은, 상기 제1상부이동몸체(52)에 결합되어 상기 제1상부이동몸체(52)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상부지지몸체(31)와, 상기 제1상부지지몸체(31)에 결합된 제1상부레일(32)과, 상기 제1상부레일(32)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지지몸체(31)에 결합되어 상기 제1투시창(21)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상부투시창지지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부레일(32)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길이가 상기 제1투시창(21)의 좌우길이보다는 작다.
상기 제1상부투시창지지부(33)는 상기 제1상부지지몸체(31)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은 '∩'형상의 제3상부레일(3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상부레일(34)과 상기 제1상부레일(3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레일(32)과 평행하게 상기 제1상부레일(32)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지지몸체(31)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투시창지지부(33)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제3상부레일(34)에 삽입 배치되는 상부롤러(33a)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1상부투시창지지부(33)는 상기 상부롤러(33a)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21)과 함께 상기 제3상부레일(34)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는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상기 제1하부지지프레임(35)과 제1하부전후이동부재(55)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전후이동부재(55)는,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장착된 제1하부구동부(56)와, 상기 제1하부구동부(56)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하부스크류축(58)과, 상기 제1하부스크류축(58)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하부이동몸체(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이동몸체(57)는 상기 제1하부스크류축(58)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하부스크류축(58)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하부구동부(56)와 제1하부이동몸체(57)는 상기 제1하부스크류축(58)에 의하지 않고, 벨트 또는 랙기어방식 등으로 통해 상기 제1하부이동몸체(57)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하부스크류축(58)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부구동부(56)는 모터와 기어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하부스크류축(58)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지지프레임(35)은, 상기 제1하부이동몸체(57)에 결합되 어 상기 제1하부이동몸체(57)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하부지지몸체(36)와, 상기 제1하부지지몸체(36)에 결합된 제1하부레일(37)과, 상기 제1하부레일(37)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부지지몸체(36)에 결합되어 상기 제1투시창(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하부투시창지지부(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레일(37)은 단면이 'L'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길이가 상기 제2투시창(22)의 좌우길이보다는 작다.
상기 제1하부투시창지지부(38)는 상기 제1하부지지몸체(36)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하부지지프레임(35)은 'L'자 형상의 제3하부레일(3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하부레일(39)과 상기 제1하부레일(37)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하부레일(37)과 평행하게 상기 제1하부레일(37)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지지몸체(36)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레일(37) 및 제3하부레일(39)에는 각각 하부롤러(37a,39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부투시창지지부(38)는 상기 제3하부레일(39)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롤러(39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투시창(21)과 함께 상기 제3하부레일(39) 및 하부롤러(39a)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하부레일(37)과 제3하부레일(39)은 각각 상기 제1상부레일(32)과 제3상부레일(34)의 수직 아래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스크류축(53)과 제1하부스크류축(58)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과 제1하부지지프레임(35)의 전후방향 이동거리가 동일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투시창(21)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제1투시창(21)의 상부와 하부의 전후이동거리가 달라져 상기 제1투시창(2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투시창(22)은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40)과 제2하부지지프레임(45)에 의해 지지된다.
도 12에는 도 11의 상부에 도시된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40)과 제2상부전후이동부재(60)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전후이동부재(6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장착된 제2상부구동부(61)와, 상기 제2상부구동부(6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상부스크류축(63)과, 상기 제2상부스크류축(63)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상부이동몸체(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상부이동몸체(62)는 상기 제2상부스크류축(63)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2상부스크류축(63)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상부구동부(61)와 제2상부이동몸체(62)는 상기 제2상부스크류축(63)에 의하지 않고, 벨트 또는 랙기어방식 등으로 통해 상기 제2상부이동몸체(62)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2상부스크류축(63)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상부구동부(61)는 모터와 기어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상부스크류축(63)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40)은, 상기 제2상부이동몸체(62)에 결합되어 상기 제2상부이동몸체(62)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상부지지몸체(41)와, 상기 제2상부지지몸체(41)에 고정 결합된 제2상부레일(42)과, 상기 제2상부레일(42)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투시창(22)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상부레일(42)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길이가 상기 제2투시창(22)의 좌우길이보다는 작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제2상부레일(42)에 삽입 배치되는 상부롤러(43a)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는 상기 상부롤러(43a)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22)과 함께 상기 제2상부레일(42)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투시창(2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상부전후이동부재(60)없이 상기 제1상부전후이동부재(50)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40)의 상기 제2상부지지몸체(41)는 본체프레임(10)에 고정결합된다.
도 13에는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5)과 제2하부전후이동부재(65)가 나타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부전후이동부재(65)는, 상기 본체프레 임(10)에 장착된 제2하부구동부(66)와, 상기 제2하부구동부(66)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하부스크류축(68)과, 상기 제2하부스크류축(68)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하부이동몸체(6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부이동몸체(67)는 상기 제2하부스크류축(68)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2하부스크류축(68)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하부구동부(66)와 제2하부이동몸체(67)는 상기 제2하부스크류축(68)에 의하지 않고, 벨트 또는 랙기어방식 등으로 통해 상기 제2하부이동몸체(67)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2하부스크류축(68)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부구동부(66)는 모터와 기어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부스크류축(68)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5)은, 상기 제2하부이동몸체(67)에 결합되어 상기 제2하부이동몸체(67)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하부지지몸체(46)와, 상기 제2하부지지몸체(46)에 결합된 제2하부레일(47)과, 상기 제2하부레일(47)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투시창(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하부투시창지지부(4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부레일(47)은 단면이 'L'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길이가 상기 제2투시창(22)의 좌우길이보다는 작다.
상기 제2하부레일(47)에는 하부롤러(47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하부투시창지지부(48)는 상기 제2하부레일(47)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롤러(47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투시창(22)과 함께 상기 제2하부레일(47) 및 하부롤러(47a)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투시창(2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전후이동부재는 제2하부전후이동부재(65)없이 상기 제1하부전후이동부재(55)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부지지프레임(45)의 상기 제2하부지지몸체(46)는 본체프레임(1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2하부레일(47)은 상기 제2상부레일(42)의 수직 아래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스크류축(63)과 제2하부스크류축(68)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지지프레임(40)과 제2하부지지프레임(45)의 전후방향 이동거리가 동일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투시창(22)의 전후방향 이동시 상기 제2투시창(22)의 상부와 하부의 전후이동거리가 달라져 상기 제2투시창(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7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및 기어열로 구성된 제3구동부(71)와, 상기 제3구동부(71)에 연결된 구동축(72)과, 상기 구동축(72)에 결합된 피니언기어(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의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74)와 맞물리는 랙기어(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70)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22)은 상기 제1레일(32,37) 및/또는 제2레일(42,47)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좌우이동부재(70)는 상기 제1레일(32,37) 및/또는 제2레일(42,47)에 장착되어, 상기 제1상부지지프레임(30) 및/또는 제2상부지지프레임(4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에 의해 상기 개구부(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은 제2가스켓(26)에 의해 상호 밀폐되어 있고,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은 상기 본체프레임(10)과 상기 제1가스켓(15)에 의해 밀폐된다.
이로 인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부는 외부와 철저히 차단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11)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의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0,55,60,65)와 좌우이동부재(70)를 제어하게 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70)를 이용하여 상기 제2투시창(22)을 상기 제1투시창(21)의 반대편 즉 좌측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제1투시창(21)의 일측면과 상기 제2투시창(22)의 일측면 사이에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을 상호 이격시키지 않을 경우, 후술하 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및/또는 제2투시창(22)이 전진할 때,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 의 전진길이 차이로 인해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가스켓(26)이 밀려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투시창(22)을 좌측으로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스켓(26)은 상기 제1투시창(2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투시창(22)과 이격되게 된다.
상기 제2투시창(22)의 좌측방향 이동은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70)의 제3구동부(71)에 의해 상기 구동축(72)이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피니언기어(7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의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74)와 맞물리는 랙기어(44)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피니언기어(7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상부투시창지지부(43)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투시창(22)은 상기 제2상부레일(42) 및 제2하부레일(47)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투시창(22)이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미도시된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22)이 약간 좌측으로 이동하였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70)를 더 이상 구동시키지 않는다.
만일, 상기 제2투시창(22)이 좌측으로 더 이동하여 타측면이 상기 본체프레임(10)에 부딪힐 경우, 상기 제2투시창(22)의 타측면에는 상기 투시창측면보호부 재(25)가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제2투시창(22)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이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제2투시창(22)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제2투시창(22)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가스켓(15)이 좌측으로 밀릴 수도 있으나, 상기 제2투시창(22)은 약 5mm정도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50,55) 및 제2전후이동부재(60,65)를 이용하여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을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지지프레임(30,35) 및 제2지지프레임(40,45) 모두 전진하게 된다.
상기 제1투시창(21)은 상기 제2투시창(22)보다 더 많이 전진하여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제2레일(42,47)과 제1레일(32,37)이 좌우방향으로 상호 일직선을 이루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이 전진함으로써,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은 상기 제1가스켓(15)과 이격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투시창(21) 및 제2투시창(22)의 전진은, 상기 스크류축(53,58,63,6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52,57,62,67) 및 지지몸체(31,36,41,46)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투시창(21,22)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투시창(21,22)지지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상기 제1투시 창(21) 및 제2투시창(22)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50,55)는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60,65)보다 더 많이 구동되어 상기 제1투시창(21)이 상기 제2투시창(22)보다 더 많이 전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60,65)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투시창(22) 및 제2지지프레임(40,45)만 전진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제2투시창(22)은 그대로 있고 상기 제1투시창(21)만이 전진하기 때문에, 상기 제2투시창(22)은 상기 제1가스켓(15)과 접하고 있고 상기 제2투시창(22)은 상기 제1가스켓(15)과 이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레일(32,37) 및/또는 제2레일(42,47)과 함께 전진 이동한 상기 좌우이동부재(70)를 이용하여, 상기 제2투시창(22)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11)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투시창(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스켓(15)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가스켓(15)의 방해없이 우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2투시창(22)은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기 제2레일(42,47)에서 상기 제1레일(32,37)로 이동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투시창(22)이 우측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게 되면, 별도로 장착된 센서가 상기 제2투시창(22)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으로써, 상 기 제어부가 상기 좌우이동부재(7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개구부(11)는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제어패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전후이동부재(50,55,60,65)와 좌우이동부재(70)를 제어하여, 상기 제1투시창(21)과 제2투시창(22)이 상기 개구부(11)를 폐쇄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투시창(21,22)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장착이고, 분할된 다수개의 투시창(21,22)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전후방향으로 중첩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진열장이 대형이더라도 투시창(21,22)의 개폐가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시창(21,22)이 2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에서는 2개의 투시창(21,22) 중 한쪽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2개의 투시창(21,22) 중 나머지 한쪽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투시창(21)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투시창(21)의 수동개폐는, 도 4에 도시된 상태까지 위에서 설명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투시창(21)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투시창(21)을 직접 좌우방향으로 밀어 개 방한다.
이때, 수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투시창(21)은 상기 제3레일(34,39)을 벗어나면 다른 것이 지지하여 주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투시창(21)는 좌우폭의 1/2 이상을 이동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3레일(34,39) 및 제2지지프레임(40,45) 사이에는 별도의 미도시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원발명에 의해 대형 진열장에서도 투시창(21,22)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진열장의 좌우방향 모두의 개구부(11)를 개방할 수 있어, 진열장 내부에 진열품의 정리 및 배열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투시창(21,22)의 개폐시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의 작동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이 닫힌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이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진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2투시창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열장의 제1투시창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부에 도시된 제1상부전후이동부재 및 제1상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0은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제1하부전후이동부재 및 제1하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1은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부에 도시된 제2상부전후이동부재 및 제2상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3은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제2하부전후이동부재 및 제2하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14는 도 2의 C-C선을 취하여 본 좌우이동부재 및 제2상부지지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프레임, 11 : 개구부, 15 : 제1가스켓, 21 : 제1투시창, 22 : 제2투시창, 25 : 투시창측면보호부재, 26 : 제2가스켓, 30 : 제1상부지지프레임, 31 : 제1상부지지몸체, 32 : 제1상부레일, 33 : 제1상부투시창지지부, 33a : 상부롤러, 34 : 제3상부레일, 35 : 제1하부지지프레임, 36 : 제1하부지지몸체, 37 : 제1하부레일, 38 : 제1하부투시창지지부, 39 : 제3하부레일, 37a, 39a : 하부롤러, 40 : 제2상부지지프레임, 41 : 제2상부지지몸체, 42 : 제2상부레일, 43 : 제2상부투시창지지부, 43a : 상부롤러, 44 : 랙기어, 45 : 제2하부지지프레임, 46 : 제2하부지지몸체, 47 : 제2하부레일, 47a : 하부롤러, 48 : 제2하부투시창지지부, 50 : 제1상부전후이동부재, 51 : 제1상부구동부, 52 : 제1상부이동몸체, 53 : 제1상부스크류축, 55 : 제1하부전후이동부재, 56 : 제1하부구동부, 57 : 제1하부이동몸체, 58 : 제1하부스크류축, 60 : 제2상부전후이동부재, 61 : 제2상부구동부, 62 : 제2상부이동몸체, 63 : 제2상부스크류축, 65 : 제2하부전후이동부재, 66 : 제2하부구동부, 67 : 제2하부이동몸체, 68 : 제2하부스크류축, 70 : 좌우이동부재, 71 : 제3구동 부, 72 : 구동축, 74 : 피니언기어,

Claims (11)

  1.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투시창과;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일측면이 상기 제1투시창의 일측면과 접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투시창과;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 및 좌우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시창의 일측면과 상기 제2투시창의 일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가스켓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을 상기 제1투시창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이 상기 제2가스켓과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후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을 전진시키며,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1투시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전후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제2투시창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을 상기 제1투시창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이 상기 제2가스켓과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투시창을 전진시키며,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구부 둘레에 장착되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 및 상기 제2투시창의 후면과 접하는 제1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2투시창을 전후방향을 이동시키는 제2전후이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을 상기 제1투시창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이 상기 제2가스켓과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 및 제2전후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투시창과 제2투시창이 상기 제1가스켓과 이격되도록 전진시키고, 상기 제1투시창을 상기 제2투시창보다 더 전진시킨 후에,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1투시창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투시창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된 제2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에 결합된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1투시창의 전진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상호 일직선이 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2레일에서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제2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지지몸체와;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된 제1레일과; 상기 제1레일보다 전방 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투시창을 지지하는 제1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이동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몸체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지지몸체와; 상기 제2지지몸체에 결합된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투시창을 지지하는 제2투시창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의한 상기 제1투시창 및 제2투시창의 전진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상호 일직선이 되어,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투시창이 상기 제2레일에서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스크류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몸체는 상기 제1스크류축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스크류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후이동부재는 상기 제2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스크류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몸체는 상기 제1스크류축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1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이동몸체는 상기 제2스크류축을 감싸고 있어 상기 제2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제3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시창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에 결합된 제3레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시창지지부는 상기 제3레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켓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인 상기 제1투시창의 타측면 또는 상기 제2투시창의 타측면에는, 투시창측면보호부재가 장착되되,
    상기 투시창측면보호부재는 상기 제1투시창 또는 제2투시창의 좌우방향 이동시 상기 본체프레임과의 접촉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KR1020090136093A 2009-12-31 2009-12-31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KR10098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93A KR100982937B1 (ko) 2009-12-31 2009-12-31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093A KR100982937B1 (ko) 2009-12-31 2009-12-31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937B1 true KR100982937B1 (ko) 2010-09-17

Family

ID=4301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093A KR100982937B1 (ko) 2009-12-31 2009-12-31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782A (zh) * 2012-11-07 2014-05-21 王陈梓 吐纳式门窗关闭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455A (ja) 1998-09-28 2000-04-11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KR20000008288U (ko) * 1998-10-14 2000-05-15 허용만 벽부형 진열장의 유리문 개폐장치
KR100290573B1 (ko) * 1998-12-05 2001-06-01 최종학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KR200259580Y1 (ko) * 2001-10-16 2002-01-09 유재홍 진열장의 복수 유리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455A (ja) 1998-09-28 2000-04-11 Kokuyo Co Ltd 展示ケース
KR20000008288U (ko) * 1998-10-14 2000-05-15 허용만 벽부형 진열장의 유리문 개폐장치
KR100290573B1 (ko) * 1998-12-05 2001-06-01 최종학 투시창 자동개폐 시스템을 갖춘 진열장
KR200259580Y1 (ko) * 2001-10-16 2002-01-09 유재홍 진열장의 복수 유리문 자동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782A (zh) * 2012-11-07 2014-05-21 王陈梓 吐纳式门窗关闭器
CN103806782B (zh) * 2012-11-07 2016-01-13 王陈梓 吐纳式门窗关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8467A1 (en) Wine cabinet
US8303050B2 (en) Device for displaying objects
US9700154B2 (en) Showcase with two step complex opening
US6802576B2 (en) Protected display case
KR100982937B1 (ko) 개폐장치가 장착된 진열장
KR20200132258A (ko) 화재로부터 안전성을 개선한 쇼케이스
KR101148781B1 (ko) 진열장의 전동슬라이딩 개폐장치
EP3272252B1 (en) Bell-type museum showcase, having pantograph lifting mechanisms
EP3292798B1 (en) Museum showcase having drawers with a motorised actuation system
KR10101126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JP2001128816A (ja) シャッタ付き展示装置
KR10106955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CN210018674U (zh) 一种具有自动防盗报警功能的展示柜
CN210278065U (zh) 一种消火栓箱
US11253084B2 (en) Museum showcase with a rack and pinion drive system for a sliding door
CN110206470A (zh) 抗爆防火卷帘门
JPH11318651A (ja) 昇降式展示ケース
KR100489699B1 (ko) 문화재 전시용 5면 독립형 진열장
KR100469993B1 (ko)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
CN217137359U (zh) 一种展览用展览柜
CN210930547U (zh) 一种带有旋转平台的展柜
JP2000093266A (ja) 鎧戸付き展示ケ―ス
KR20200068289A (ko) 수평 개폐식 진열장
CA2593262A1 (en) Security show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