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874A - 창호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874A
KR20070076874A KR1020060006312A KR20060006312A KR20070076874A KR 20070076874 A KR20070076874 A KR 20070076874A KR 1020060006312 A KR1020060006312 A KR 1020060006312A KR 20060006312 A KR20060006312 A KR 20060006312A KR 20070076874 A KR20070076874 A KR 20070076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window
opening
control
ventila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신석신
김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0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6874A/ko
Publication of KR2007007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36Chuck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chuck with respect to th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2Jaws, accessories or adjustm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기구와 제어부품수용부를 갖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환기창과; 상기 제어부품수용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환기창을 개폐 구동 시키는 환기창구동유닛과; 상기 제어부품수용부에 마련되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사용이 안전하고 편리하며, 전기 에너지 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창호 시공 전이나 시공 후에 언제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형 창호나 여닫이 및 미닫이 방식 등의 다양한 창호에 적용할 수 있는 창호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창호, 환기, 환기창, 제어, 필터

Description

창호용 환기장치{A ventilator for wind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창호용 환기장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에어필터 설치 영역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의 구동모터 설치 영역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단면도로서 환기창 개폐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10 및 도 11은 종래 창호용 환기장치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창호 10 : 본체프레임
22 : 환기구 23 : 제어부품수용부
31 : 필터프레임 33 : 필터
40 : 환기창 43 : 회동가이드
50 : 환기창구동유닛 51 : 구동모터
53 : 배터리 55 : 회동캠
60 : 제어유닛
본 발명은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창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이나 오피스 건물 등에는 실외와 실내를 차단하는 창호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창호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창호 설치영역이 비교적 저층의 경우에는 타인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 및 방범의 우려로 창호를 개방하기가 여의치 않으며, 비교적 고층의 경우에는 재실자의 부주의에 의한 추락 우려 및 강한 풍속과 풍압에 의해 창호를 개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저층과 고층이 아니더라도 창호를 개방하는 경우,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창호를 개방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창호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창호를 개방하지 않고도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창호용 환기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종래 창호용 환기장치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종래 창호용 환기장치(101)는 미국특허 US6,558,247호에 개시된 창호용 환기장치로서, 환기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의 배면(실외를 향하는 측)에는 다공상의 공기유입공(121)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커버(120)가 결합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정면(실내를 향하는 측)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하는 환기창(130)이 마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면커버(120) 내측 전영역에는 필터(미도시)가 수용되어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창호용 환기장치(101)는 하우징(110)의 둘레영역이 도시않은 창호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설치개구(미도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환기창(130)을 수동 조작으로 개방함으로써, 실내공기가 환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호용 환기장치(101)는 환기창(130)을 수동조작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수동 개폐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가정용 AC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환기창을 개방 및 차단하는 자동 개폐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미도시)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자동 개폐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는 비교적 전압이 높은 AC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누전이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전기 에너지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자동 개폐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는 창호 시공전에 옥내 배선공사를 미리 시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미 시 공된 창호에는 창호용 환기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자동 개폐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는 배선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 고정식 창호에는 설치가 가능하지만, 여닫이 방식의 창호나 미닫이 방식의 창호에는 배선 처리가 매우 어려워 사실상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안전하고 편리하며, 전기 에너지 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창호 시공 전이나 시공 후에 언제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형 창호나 여닫이 및 미닫이 방식 등의 다양한 창호에 적용할 수 있는 창호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환기구와 제어부품수용부를 갖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환기창과; 상기 제어부품수용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환기창을 개폐 구동 시키는 환기창구동유닛과; 상기 제어부품수용부에 마련되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창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편심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편심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환기창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환기창에는 상기 회동캠의 자유단부가 회동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공을 갖는 회동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의 환기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각 환기공에는 각각의 에어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의 환기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들에는 적어도 한 쌍씩의 환기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일체형 에어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환기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틀형상의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환기창의 개폐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또는 미리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오염도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와 미리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환기창의 개폐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창호용 환기장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1)는 환기구(22)와 제어부품수용부(23)를 갖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의 환기구(22)에 설치되는 에어필터(30)와, 본체프레임(10)의 환기구(22)를 개폐하는 환기창(40)과, 환기창(40)을 개폐구동 시키는 환기창구동유닛(50)과, 환기창구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0)은 공기가 출입하는 환기구(22)와 제어유닛(60)이 설치되기 위한 제어부품수용부(23)를 형성하는 정면프레임(11) 및 배면프레임(13)과, 정면프레임(11)과 배면프레임(13)의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7)을 가지고 있다.
정면프레임(11)과 배면프레임(13)은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을 향하면서 상호 소정의 이격공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도록 양측이 측면프레임(17)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정면프레임(11)과 배면프레임(13)의 상호 대응하는 일측 길이구간 판면에는 다수의 환기공(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출입하는 환기구(22)를 형성하고 있으며, 정면프레임(11)과 배면프레임(13)의 타측 일부 영역은 제어유닛(60)을 수용하는 제어부품수용부(23)로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품수용부(23) 에는 제어유닛(60)이 설치된 제어박스(28)가 수용된다.
그리고, 정면프레임(11)의 제어부품수용부(23)에 대응하는 판면에는 실내측으로 향해 부품출입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품출입개구(24)는 제어부개폐커버(25)에 의해 개폐된다. 이 제어부개폐커버(25)의 판면에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신부(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창(25a)과 수신창(25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부개폐커버(25)는 실내에서 재실자의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실내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미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프레임(11)의 환기구(22) 상부영역에는 환기창(40)이 개폐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기창회동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환기구(22) 하부영역에는 환기창(40)이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가 실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패킹(26)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다.
한편, 배면프레임(13)의 실외측에는 다수의 공기출입공(15a)을 갖는 실외그릴커버(15)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다. 이 실외그릴커버(15)는 외부에서 확인시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미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 측면프레임(17)에는 정면프레임(11)과 배면프레임(13)의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17a)와, 창호(3)에 결합되기 위한 창호결합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프레임(10)은 창호(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설치개구(5)에 기밀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정면프레임(11)과 배면프레임(13)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창호유리(7)를 기밀하게 파지하는 창그립부(27)가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용 환기장치(1)가 창 호(3) 상부영역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였기 때문에, 창그립부(27)가 본체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창호용 환기장치(1)가 창호(3)의 하부영역에 설치될 때는 본체프레임(10)의 상부에 창그립부(27)가 형성되며, 창호용 환기장치(1)가 창호(3)의 중간 부분에 설치될 때는 창그립부(27)가 본체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창그립부(27)와 창호유리(7)는 패킹에 의해 기밀된다.
에어필터(30)는 도 4a에 확대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환기공(22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틀형상의 필터프레임(31)과, 각 필터프레임(31)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33)로 구성된다. 이 에어필터(30)는 각 환기공(22a)에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창호용 환기장치(1)의 규격이 변경되어도 에어필터(30)의 규격 변화 없이 호환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창호용 환기장치(1)의 규격 변경시 환기공(22a)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환기공(22a)의 수를 증감시켜서 규격변경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필터프레임(3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수의 약 한 쌍 정도가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환기공들에는 적어도 한 쌍씩의 환기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일체형 에어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환기창(40)은 정면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환기구(22) 영역을 덮는 환기구(22) 폐쇄위치와, 환기구(22)를 개방하는 위치간을 회동한다. 이를 위 해서 환기창(40)의 상부에는 정면프레임(11)의 환기창회동결합부(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부(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부품수용부(23)에 인접하는 환기창(40)의 내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후술할 회동캠(55)의 자유단부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공(43a)을 갖는 회동가이드(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기창(40)의 하부에는 정면프레임(11) 하부의 기밀패킹(26)에 밀착되는 기밀단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밀패킹(26)과 기밀단부(45)는 환기창(40)이 회동될 때 기밀단부(45)가 기밀패킹(26)에 기밀하게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기창(40) 역시, 적어도 실내측을 향하는 판면이 재실자의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실내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미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창구동유닛(50)은 도 5에 확대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구동축(51a)을 가지고 제어부품수용부(23)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3)와, 구동모터(51)의 편심구동축(51a)에 결합되어 환기창(40)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하는 회동캠(55)으로 구성된다.
구동모터(51)는 정역회전 가능한 DC모터로 마련되며 배터리(53)로부터의 DC전원 공급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배터리(53)는 일반적이 소형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형태의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회동캠(55)은 일측이 구동모터(51)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자유단부가 환기창 (40)에 형성된 회동가이드(43)의 안내장공(43a)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회동캠(55)은 구동모터(51)의 정역회전에 따라 그 자유단부가 회동가이드(43)의 안내장공(43a)에 대해 상대 이동함으로써, 환기창(40)을 개폐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환기창(40)의 개폐동작 오류와 환기창(40)의 개폐동작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환기창구동유닛(50)에 의한 환기창(40)의 개폐회동 방법은 구동모터(51)와 회동캠(55) 구조 외에도 DC전원 공급에 의해 구동하는 소형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61)와, 환기창(40)의 개폐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63)와, 수신부(61)와 리미트스위치(63)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 및/또는 미리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환기창구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5)와, 창호용 환기장치(1)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7)를 포함한다.
수신부(61)는 실내에 설치된 공기오염도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신호 또는 재실자가 조작하는 리모콘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운전조작신호 등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65)로 전달한다. 이 수신부(61)는 전술한 제어부개폐커버(25)의 판면에 형성된 수신창(25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기오염도 감지센서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CO2 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실내 온도를 감지 하는 온도센서 등의 다양한 종류의 감지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으로부터 전달되는 운전조작신호는 전원 ON(온)/OFF(오프)신호일 수 있으며, 환기창구동유닛(50)의 구동 시작 또는 종료를 명령하는 신호 등의 다양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또한, 각 감지센서나 리모콘과 수신부(61) 간의 제어신호 전달은 적외선통신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리미트스위치(63)는 환기창(4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환기창(40)의 개폐 상태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65)로 전달한다. 이 리미트스위치(63)는 환기창(4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센서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65)에 미리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은 전술한 공기오염도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센싱신호와 미리 입력된 실내 쾌적 조건 데이터를 비교하고, 리미트스위치(63)로부터 전달되는 환기창(40)의 개폐상태를 파악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환기창구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환기창구동유닛(50)을 구동시키는 제어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제어프로그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65)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신호 및/또는 제어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53)로부터의 전원이 구동모터(51)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함으로써, 환기창구동유닛(50)에 의한 환기창(40)의 개폐구동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65)는 소정의 연산이 가능한 CPU 및 전술한 제어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67)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마련되어 전술한 제어부개폐커버 (25)의 판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창(2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표시부(67)에는 창호용 환기장치(1)의 운전상태 및 실내 공기오염도 및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닛(60)을 구성하는 수신부(61) 및 리미트스위치(63), 제어부(65) 및 표시부(67) 등의 제어부품은 일련의 회로기판 상의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어 전술한 배터리(5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구동될 수 있으며, 이들은 배터리(53)와 함께 전술한 제어박스(28) 내에 설치된다. 또한, 제어유닛(60) 사용자가 직접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부개폐커버(25)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스위치(미도시) 및 운전조작스위치(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개폐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3)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설치개구(5)에 기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환기창(40)을 개폐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데, 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온(ON)되어 있고 환기창(4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제어유닛(60)의 수신부(61)로 전달되면, 제어부(65)는 수신부(61)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와 리미트스위치(63)로부터 전달되는 환기창(40) 개폐위치 신호 및/또는 제어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환기창(40)을 개방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환기창구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환기창(40)의 개방이 필요하면 제어부(65)는 배터리(53)의 전원이 구 동모터(51)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여 구동모터(5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구동모터(51)의 편심구동축(51a)에 결합된 회동캠(55)이 개방 회동하면서 환기창(40)을 개방한다.
또는, 환기창(40)이 폐쇄상태로 유지되어야 할 때, 제어부(65)는 배터리(53)의 전원이 구동모터(5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동모터(51)가 구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환기창(40)이 패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전원이 온(ON)되어 있고 환기창(4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제어유닛(60)의 수신부(61)로 전달되면, 제어부(65)는 수신부(61)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와 리미트스위치(63)로부터 전달되는 환기창(40) 개폐위치 제어신호 및/또는 제어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환기창(40)을 폐쇄시키거나 개방상태로 유지되도록 환기창구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환기창(40)의 폐쇄가 필요하면 제어부(65)는 배터리(53)의 전원이 구동모터(51)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여 구동모터(5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구동모터(51)의 편심구동축(51a)에 결합된 회동캠(55)이 폐쇄 회동하면서 환기창(40)을 폐쇄한다.
또는, 환기창(40)이 개방상태로 유지되어야 할 때, 제어부(65)는 배터리(53)의 전원이 구동모터(5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동모터(51)가 구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환기창(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개폐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환기창구동유닛이 구동되고 이를 에어유닛에서 구동 제어함으로써, 환기창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실내 환기를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저전압의 배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누전이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 소비를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는 별도의 전기배선 시공없이, 창호 시공전이나 이미 시공된 창호에 설치개구만을 형성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가 현격하게 절감된다.
또한, 전원공급용 배선이 없기 때문에, 고정식 창호는 물론, 여닫이 방식의 창호나 미닫이 방식의 창호 등 다양한 창호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이 안전하고 편리하며, 전기 에너지 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창호 시공 전이나 시공 후에 언제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형 창호나 여닫이 및 미닫이 방식 등의 다양한 창호에 적용할 수 있는 창호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8)

  1. 창호에 설치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환기구와 제어부품수용부를 갖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환기창과;
    상기 제어부품수용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환기창을 개폐 구동 시키는 환기창구동유닛과;
    상기 제어부품수용부에 마련되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창은 상기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편심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편심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환기창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창에는 상기 회동캠의 자유단부가 회동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공을 갖는 회동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의 환기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각 환기공에는 각각의 에어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의 환기공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들에는 적어도 한 쌍씩의 환기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일체형 에어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환기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틀형상의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정화용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환기창의 개폐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수신부와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및/또는 미리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오염도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와 미리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환기창의 개폐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환기창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창호용 환기장치.
KR1020060006312A 2006-01-20 2006-01-20 창호용 환기장치 KR20070076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12A KR20070076874A (ko) 2006-01-20 2006-01-20 창호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12A KR20070076874A (ko) 2006-01-20 2006-01-20 창호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874A true KR20070076874A (ko) 2007-07-25

Family

ID=3850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312A KR20070076874A (ko) 2006-01-20 2006-01-20 창호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68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287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창유리의 투명/불투명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KR20170022288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창호 제어시스템
KR20200060812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충전식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287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창유리의 투명/불투명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KR20170022288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창호 제어시스템
KR20200060812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충전식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368Y1 (ko)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JP6692412B2 (ja) 自動/手動切替構造が備えられたリフティング装置及びそれを含むスマート建具
KR100706328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KR100738227B1 (ko) 이산화탄소농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실내자동환기장치
KR102061020B1 (ko) 시스템루버 구동 장치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JP2003293672A (ja) 電動窓カバー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69494Y1 (ko) 창틀 설치형 환풍장치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KR100783632B1 (ko) 창호용 자동 환기시스템
KR20070076874A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1835347B1 (ko) 미세먼지 방지용 환기장치
KR20190065658A (ko)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20180121801A (ko) 창문 개폐 장치
KR20210020806A (ko) 일체형 차세대 창문 시스템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20160008279A (ko) 방범 기능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 순환형 환풍장치
CN111058716A (zh) 一种可根据有害气体浓度自动开合的窗户
KR101961935B1 (ko) 능동형 자연 환기 장치
KR100424970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JP2005256395A (ja) 窓開閉装置、開閉窓および開閉窓の改装方法
KR102154175B1 (ko) 에어콘용 실외기의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101948524B1 (ko) 미닫이형 창호 조립체의 개폐장치
KR200326206Y1 (ko) 환풍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29

Effective date: 2008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