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26B1 - 방음도어 - Google Patents

방음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426B1
KR101505426B1 KR1020130074371A KR20130074371A KR101505426B1 KR 101505426 B1 KR101505426 B1 KR 101505426B1 KR 1020130074371 A KR1020130074371 A KR 1020130074371A KR 20130074371 A KR20130074371 A KR 20130074371A KR 101505426 B1 KR101505426 B1 KR 10150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door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331A (ko
Inventor
박진형
임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4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방음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는, 도어본체의 개폐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유닛; 제1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제1 이동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 회전유닛에 결합되며, 회전유닛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유닛; 및 제2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도어본체 개폐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음방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음도어{SOUNDPROOF DOOR}
본 발명은, 방음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본체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실내로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 등에 사용되는 도어본체는 일측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고정수단에 의해 도어본체를 프레임에 고정하게 되며, 이 회전 가능한 고정수단은 상하측에 힌지축을 구비하여 고정하는 결합과 경첩에 의한 결합 등이 있다.
여기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출입문의 경우, 출입문과 프레임 또는 출입문과 바닥사이에 소음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특수선 및 여객선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소음 규제 강화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의 선실과 복도와의 방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편, 출입문 중 방음 성능을 크게 저해할 수 있는 부분은 출입문과, 출입문 하부의 바닥 사이에 형성된 틈새부분이다.
따라서, 출입문과 바닥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대해 방음 장치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출입문과 바닥 사이의 틈새에 방음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 방음 장치가 바닥에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하므로, 출입문 개폐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공개번호 : 제10-2003-0071232호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본체 개폐시 소음방지유닛이 상하로 이동되어 도어본체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소음방지유닛에 의해 실내로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본체의 개폐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2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도어본체 개폐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음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방음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측이 도어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유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에 형성되는 직선형기어이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은 도어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타측은 탄성을 갖는 가로부재탄성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회전체 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에 형성된 직선형기어이빨에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원형기어이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는 나사골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 또는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 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회전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연장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장부 및 상기 하부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은 도어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유닛은 방음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본체 개폐시 소음방지유닛이 상하로 이동되어 도어본체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소음방지유닛에 의해 실내로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도어본체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도어본체의 폐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제1 이동유닛과, 회전유닛과, 제2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제1 이동유닛과, 회전유닛과, 제2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제1 이동유닛과, 회전유닛닛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에서 본 부분절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100)는 방음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도어본체(700)에 적용가능하며, 특히, 선박에서 사용되는 도어본체(700)에도 적용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는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하는 방향임을 밝혀 둔다. 즉,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좌우 또는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도어본체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도어본체의 폐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제1 이동유닛과, 회전유닛과, 제2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제1 이동유닛과, 회전유닛과, 제2 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에서 제1 이동유닛과, 회전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에서 본 부분절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100)는, 도어본체(700)의 개폐에 따라 제1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유닛(200)과, 제1 이동유닛(200)에 결합되며, 제1 이동유닛(20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300)과, 회전유닛(300)에 결합되며, 회전유닛(3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유닛(400)과, 제2 이동유닛(400)에 결합되며, 도어본체(700) 개폐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음방지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100)는 다양한 선박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및 특수 작업선 등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100)는 도어본체(700)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본체(700) 하부에 결합된 소음방지유닛(500)이 상부로 이동하여 도어본체(700)와 바닥(800) 사이에 틈새(900)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소음방지유닛(500)과 바닥(800)과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본체(700)를 폐쇄하게 되면, 소음방지유닛(500)이 하부로 이동하여 도어본체(700)와 바닥(800) 사이에 형성된 틈새(900)를 제거하므로, 도어본체(7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소음이 도어본체(7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동유닛(200)은 도어본체(700)의 개폐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다양한 방향일 수 있으며,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우 방향에 해당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이동유닛(200)은 도어본체(700)의 개폐에 따라 도어본체(700)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동유닛(200)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부재(210)와, 직선형기어이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의 측면으로부터 유출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동유닛(200)은 회전유닛(300, 도 5 참조)에 결합되며, 제1 이동유닛(20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이동유닛(200)에 결합된 회전유닛(300)이 제1 이동유닛(200)의 좌우 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210)는 제1 방향, 즉, 도어본체(700)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방향의 부재일 수 있으며,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 개방시, 도어본체(700)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본체(700)의 측면을 통해 돌출된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의 폐쇄시 벽면에 접촉되며, 벽면과 접촉 후 벽면으로부터 가압되어 가로부재(210)의 일측이 도어본체(7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가로부재(210)의 타측은 탄성을 갖는 가로부재탄성부(211)에 결합되는데, 도어본체(700) 폐쇄시에는 벽면에 의해 가압된 가로부재(210)가 도어본체(700) 내부로 유입되면서 가로부재(210)의 타측에 결합된 가로부재탄성부(211)를 압축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본체(700)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본체(700)의 측면을 통해 벽면과 접촉된 가로부재(210)의 일측이 벽면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므로, 가로부재(210)의 일측에 제공되던 벽면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다.
이 때, 가로부재(210)의 타측에 결합된 가로부재탄성부(211)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의 측면을 통해 유출되므로, 가로부재(210)의 일측이 도어본체(700)의 측면을 통해 다시 외부로 돌출된다.
즉, 도어본체(700)의 개방시에는 가로부재(210)의 타측에 결합된 가로부재탄성부(211)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가로부재(210)가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의 측면을 통해 유출되어 도어본체(700)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도어본체(700)의 폐쇄시에는 가로부재(210)의 일측이 벽면에 접촉되어 가압되므로, 가로부재(210)는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가로부재(210)는 도어본체(7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어본체(7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경우, 도어본체(700) 내부에 가로부재(21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개도면일 수도 있고, 또는, 도어본체(700) 외부의 일면에 가로부재(21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일 수도 있다.
한편, 가로부재탄성부(211)는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어 가로부재(21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유닛(300)은 회전부(310)와 원형기어이빨(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310)는 회전체 단면 형상, 즉, 원형 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며, 회전부(310)의 둘레에는 원형기어이빨(3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부재(210)의 직선형기어이빨(220)이 회전부(310)의 둘레에 형성된 원형기어이빨(320)에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즉, 가로부재(210)에는 직선형기어이빨(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유닛(300)의 둘레에 형성된 원형기어이빨(320)에 맞물려, 제1 이동유닛(200)의 제1 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회전유닛(300)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제1 이동유닛(200)은 랙(Rack)으로 마련될 수 있고, 회전유닛(300)은 피니언(Pinion)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유닛(300)은 상부연장부(330)와 하부연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연장부(330)와 하부연장부(340)는 회전부(310)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회전유닛(300)은 제1 이동유닛(200)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베어링(600) 등을 통해 지지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3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330)에 베어링(600)이 결합되고, 회전부(310)의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340)에도 베어링(6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연장부(330)에 결합된 베어링(600)과 하부연장부(340)에 결합된 베어링(600)은 도어본체(700)에 고정된다. 즉, 베어링(600)은 도어본체(700)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회전부(310)는 상부연장부(330)와 하부연장부(340)에 각각 결합된 베어링(600)을 통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유닛(300)에는 제2 이동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부(310)는 중공(311)이 형성된 환형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부(310)의 중공(311)의 내주면에는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동유닛(40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부재로 마련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이동유닛(400)은 회전부(310)의 중공(3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인 길이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이동유닛(400)의 외주면에는 회전부(310)의 중공(3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에 대응되는, 나사산(410) 또는 나사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310)의 중공(311) 내주면에 나사골(312)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2 이동유닛(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10)이 형성되며, 회전부(310) 중공(311) 내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2 이동유닛(400)의 외주면에는 나사골(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이동유닛(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10) 또는 나사골(미도시)이 회전부(310)의 중공(31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에 결합하며, 회전유닛(300)이 회전하게 되면, 제2 이동유닛(400)은 회전부(310)의 중공(31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이동유닛(400)은 회전유닛(3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이동유닛(400)의 하측에는 소음방지유닛(50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전술한 작동과정을 통해 제2 이동유닛(4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이동유닛(400)의 하측에 결합된 소음방지유닛(500) 역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소음방지유닛(500)은 방음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을 재질로 사용하여 패킹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유닛(40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방음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소음방지유닛(500) 역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본체(700)와 바닥(800) 사이에 형성된 틈새(900)를 메우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본체(700)와 바닥(800) 사이에 형성된 틈새(90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이동유닛(40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이동유닛(400)의 하측에 결합된 소음방지유닛(500) 역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본체(700)와 바닥(800) 사이에 틈새(900)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소음방지유닛(500)과 바닥(800)과의 마찰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100)에 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본체(700)가 개방되는 경우, 가로부재(210)의 타측에 결합된 가로부재탄성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가로부재(21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가로부재(210)의 일측은 도어본체(70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돌출된다.
그리고, 회전부(310)에 형성된 원형기어이빨(320)이 가로부재(210)에 형성된 직선형기어이빨(220)에 맞물려 있으므로, 가로부재(2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부(310)는 이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310)의 중공(311)의 내주면에는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이동유닛(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10) 또는 나사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이동유닛(400)이 회전부(310)의 중공(311)에 삽입되어, 회전유닛(300)의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이 제2 이동유닛(400)의 나사산(410) 또는 나사골(미도시)에 결합되므로, 회전유닛(300)이 회전하게 되면, 제2 이동유닛(400)은 회전유닛(300)의 나사골(312) 또는 나사산(미도시)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이동유닛(40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이동유닛(400)의 하부에 결합된 소음방지유닛(500) 역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소음방지유닛(500)이 바닥(800)에 맞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본체(700)는 소음방지유닛(500)이 바닥(800)에 맞닿는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로 인한 움직임의 방해 없이 용이하게 개방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 가로부재(210)의 일측이 벽면에 접촉되어 벽면으로부터 가압되므로, 가로부재(21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가로부재(2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유닛(300)은 도 1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유닛(300)에 결합된 제2 이동유닛(400)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이동유닛(4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이동유닛(400)의 하부에 결합된 소음방지유닛(500) 역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소음방지유닛(500)이 바닥(800)에 맞닿아 도어본체(700)와 바닥(800) 사이에 형성된 틈새(900)를 메우게 된다.
여기서, 소음방지유닛(500)은 방음이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소음방지유닛(500)에 의해 실내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만, 소음방지유닛(5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반드시 바닥(800)에 맞닿을 필요는 없으며, 실내의 소음기준 및 도어본체(700) 개폐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소음방지유닛(500)이 바닥(8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도어(100)는 방음을 위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으므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며, 방음구조를 통해 도어본체(700)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본체(700) 폐쇄시 방음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방음도어 200 : 제1 이동유닛
210 : 가로부재 211 : 가로부재탄성부
220 : 직선형기어이빨 300 : 회전유닛
310 : 회전부 311 : 중공
312 : 나사골 320 : 원형기어이빨
330 : 상부연장부 340 : 하부연장부
400 : 제2 이동유닛 410 : 나사골
500 : 소음방지유닛 600 : 베어링
700 : 도어본체 800 : 바닥
900 : 틈새

Claims (8)

  1. 도어본체의 개폐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이동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되, 둘레 전체에 기어이빨이 형성되는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되 직선상으로 움직이는 제2 이동유닛; 및
    상기 제2 이동유닛에 결합되며, 도어본체 개폐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음방지유닛을 포함하는 방음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측이 도어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유출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에 형성되는 직선형기어이빨을 포함하는 방음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은 도어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타측은 탄성을 갖는 가로부재탄성부에 결합되는 방음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회전체 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가로부재에 형성된 직선형기어이빨에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원형기어이빨을 포함하는 방음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는 나사골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 또는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 또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방음도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회전부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연장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음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장부 및 상기 하부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은 도어본체에 고정되는 방음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유닛은 방음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마련되는 방음도어.
KR1020130074371A 2013-06-27 2013-06-27 방음도어 KR10150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71A KR101505426B1 (ko) 2013-06-27 2013-06-27 방음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71A KR101505426B1 (ko) 2013-06-27 2013-06-27 방음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31A KR20150001331A (ko) 2015-01-06
KR101505426B1 true KR101505426B1 (ko) 2015-03-25

Family

ID=5247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371A KR101505426B1 (ko) 2013-06-27 2013-06-27 방음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734A (ko) 2017-12-12 2019-06-20 최옥숙 방음 보온형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5991B4 (de) * 2015-05-08 2019-07-11 Hans Dockendorff GmbH Strahlenschutztür mit Schwellenmechanismus
KR101875459B1 (ko) * 2017-02-09 2018-07-06 이모백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의 고정장치
CN110965914B (zh) * 2020-01-15 2021-06-08 南京幸庄科技创新产业园管理有限公司 一种便于紧急逃生的隔音窗
KR102461149B1 (ko) * 2021-09-15 2022-11-01 이주성 도어 방한 방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424A (ko) * 2003-12-12 2005-06-21 이동명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0684662B1 (ko) 2006-10-18 2007-02-22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가변성 틈새 매꿈이 가능한 아파트의 철재 현관문
KR20090113750A (ko) * 2008-04-28 2009-11-02 강판규 문틈 차단장치
KR101023229B1 (ko) *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소음차단기능이 있는 건축물 문의 스톱퍼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424A (ko) * 2003-12-12 2005-06-21 이동명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0684662B1 (ko) 2006-10-18 2007-02-22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가변성 틈새 매꿈이 가능한 아파트의 철재 현관문
KR20090113750A (ko) * 2008-04-28 2009-11-02 강판규 문틈 차단장치
KR101023229B1 (ko) * 2010-07-30 2011-03-18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소음차단기능이 있는 건축물 문의 스톱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734A (ko) 2017-12-12 2019-06-20 최옥숙 방음 보온형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31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426B1 (ko) 방음도어
US20150074941A1 (en) Door hinge device
CN102275675B (zh) 锁定盖件容器
KR100839209B1 (ko) 체인 스토퍼의 도그 개폐장치
KR101239326B1 (ko) 얼음 저장고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와 얼음 냉온수기
US20150121766A1 (en) Safety door
KR20140045863A (ko) 냉장고용 서랍 어셈블리
KR20140055106A (ko) 방음도어
KR20110102836A (ko) 폐쇄장치
JP6383275B2 (ja) 排水栓装置
KR20080114010A (ko) 차량용 접이식 모니터
JP2016065595A (ja) モータ駆動弁
JP2009137510A (ja) 化粧室ユニット
JP2005232803A (ja) 開閉蓋
JP2011213444A (ja) エレベータの敷居溝清掃装置
KR101916534B1 (ko) 도어 체커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 힌지
US20140217845A1 (en) Device to prevent foreign objects from entering screw holes of brushless motor of ceiling fan
JP2010265056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KR101372221B1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용 와이어 타입 캐리어
KR20140055105A (ko) 방음도어
JP4819192B2 (ja) サブロック装置及び引違いサッシ
JP6217177B2 (ja) 防水扉装置
CN211342134U (zh) 一种适用于中间填料门的球形门锁
JP2015089997A (ja) 扉ユニット
KR200476095Y1 (ko) 밸브개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