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828Y1 -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 Google Patents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828Y1
KR200424828Y1 KR2020060014716U KR20060014716U KR200424828Y1 KR 200424828 Y1 KR200424828 Y1 KR 200424828Y1 KR 2020060014716 U KR2020060014716 U KR 2020060014716U KR 20060014716 U KR20060014716 U KR 20060014716U KR 200424828 Y1 KR200424828 Y1 KR 200424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oor
screen
fire
shutter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식
Original Assignee
(주)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영 filed Critical (주)협영
Priority to KR2020060014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8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Abstract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건물 화재시 화염과 연기 및 가스가 건물 전체로 퍼져가는 것을 막아주면서 대피 중인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문이 일체로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방화셔터의 경우에는 화염을 견딜 수 있게 두꺼운 철제 재질로 되어 있어, 공간활용도가 안 좋으며 별도의 고정식 피난용 방화문을 시공해야 했는데, 상기 피난용 방화문을 열기 위해서는 대피 중에 잠시 멈추어 열어야 함으로 대피할 때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대피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 스크린방화셔터인 경우에는 피난문이 제대로 스크린셔터에 밀착 고정되어 닫혀지지 않아 차연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방화스크린과 피난문을 일체화하여 따로 피난문을 시공할 필요가 없고, 대피 중인 사람들이 달리는 속도 그대로 방화셔터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스크린셔터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폐부와 자석에 의해 피난문이 사람들이 대피하고 나서 상기 스크린셔터에 밀착 고정됨으로 인해 연기와 화염이 반대편으로 노출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셔터본체, 개폐부, T-BAR부, 자석부, 금속막대부

Description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FIRE AND SMOKE PREVENTION SCREEN SHUTTER INCLUDING FUNCTION FIXING EVACUATION DOOR}
도 1은 종래의 방화셔터.
도 2는 본 고안은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은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은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의 T-BAR바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린셔터본체 20 : 로울러덮개
30 : 가이드부 100 : 피난문
110 : 금속판 200 : T-BAR부
210 : 금속막대부 220 : 자석부
230 : 개폐부 221 : 와이어
222 : 자석 231 : 경첩
232 : 복원스프링 233 : 개폐바
본 고안은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부와 개폐부가 포함된 T-BAR바를 이용하여 피난문을 밀착, 고정함으로써 차연 기능을 높여 주며, 방화스크린에 피난문을 일체화함으로써 따로 피난문을 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피난문을 통해 대피 중인 사람들이 속도를 멈추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수 있어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대피가능한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에 관한 것이다.
방화방연셔터란 말 그대로 연기를 차단시키며 화염을 견딜 수 있는 셔터로서, 건물에 화재가 발생 시 건물 내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시간을 벌어주며 화염이 건물 전체로 퍼져 나가 옮겨 붙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화염에 대해 일정 시간 이상 견디도록 만들어진 셔터입니다
종래에는 방화셔터나 방연셔터를 각각 따로 구비하는 것이 비일비재하였는데, 이로 인해 비용추가가 발생하였다.
건물에 방연셔터만 구비할 경우,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위쪽으로 떠오르게 되므로 천정을 타고 번져나가게 되는데, 도 1(a)에서처럼 천정 중간에 제연경계벽이라는 벽을 설치함으로서 유독가스를 잠시 동안 잡아두어 연기와 유독가스가 번져나가는 속도를 줄여 줄 수 있다. 그러나 방연셔터만으로는 연기를 잠시 동안 막을 수 있지만, 건물 전체로 화염이 번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없어 화재 발생시 그리 실용성이 없다.
또한, 화재시 차단되는 것은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이다.
상기 방화셔터는 장시간 고열에 견뎌야 하기 때문에 두꺼운 철재 등으로 되어 있고 평소에는 벽체나 천정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어 눈에 뜨이지 않는다.
상기 방화셔터는 연기센서나 열센서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이 신호를 화재 감지 연동제어기에 보내 연동제어기가 최종적으로 닫힘 명령을 내렸을 때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데 화재 감지 뒤 연동제어기가 내부의 사람들이 모두 대피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을 준 뒤에나 굳게 닫히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상기 방화셔터가 너무 일찍 닫힐 경우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예가 바로 지난 대구지하철 참사에서도 방화셔터가 너무 일찍 닫히는 바람에 내부에 있던 사람들이 빠져나오지 못해 피해가 커지기도 했다.
이 같은 사태를 대비하여 도 1(b)와 같이 피난문을 방화셔터의 측면에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건설교통부에 고시한 방화셔터 설치 기준을 보면 '설치위치는 피난상 유효한 갑종방화문으로부터 3m 이내 설치되어야 한다.' 라고 규정되어 있다. 즉, 3m 이내 탈출할 수 있는 통로가 있어야 하지만, 비용 발생이 추가가 되어 대부분 건축주가 이로 지키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도 1(c)와 같이 방화셔터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갑종방화문과 방화셔터의 힌지결합부의 정밀도가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밀도가 떨어져 도어처짐현상 등으로 인해 대피 중일 때 방화문이 제대로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람들에게 커다란 위험요소를 주고 있으며, 대피 중인 사람들이 방화셔터 앞에 멈추어서 열고 가야 하는 단점이 생긴다.
또한, 도 1(b)와 도 1(c)는 대피중인 사람들이 갑종방화문을 제대로 닫지 않을 시 개방된 갑종방화문으로 연기와 화염이 들어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도 1(d)와 같이 피난문 일체형으로 제조된 것이 시중에 나와 있지만, 대피가 끝난 후에 피난문이 방화셔터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여 연기가 반대편 쪽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 기존의 차연 기능의 기준치보다 휠씬 미달될 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로 유독가스와 연기가 퍼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철제로 만든 방화셔터일 경우에는 바로 반대편 상황이 보이지 않으므로 대피 중인 사람들이 반대편 상황이 어떠한지 몰라 막연한 불안감을 가질 수 있으며, 실제로 잘못된 길로 들어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제 재질은 시간에 지남에 의해 불로 의해 변형이 일어나 제대로 닫혀지지 않아 화염이나 연기 등이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상기 T-BAR부에 포함된 개폐부와 자석부로 인해 피난문이 스크린셔터본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반대편으로 화염 유입을 방지해 주고 차연 효과 를 높여주며 스크린과 피난문이 일체로 되어 있어 스크린셔터본체가 닫히더라도 대피 중인 사람들이 피난문을 통해 달리는 속도 그대로 방화셔터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대피가 가능하며, 재질이 가벼운 반투명재질로 공간효율도 좋으며 반대편 상황이 쉽게 파악되어 대피 효율을 높인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기센서나 열센서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이 신호를 화재 감지 연동제어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닫힘 명령을 내려져 피난문이 형성된 스크린셔터본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며, 스크린셔터본체의 승강활동을 하게끔 해주는 로울러 및 스크린셔터본체의 승강활동을 가이드 해 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은 사각형상으로 상단부 외의 부위는 절개되고 하단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가진 금속재질의 금속판이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스크린셔터본체는 피난문을 제외한 상기 스크린셔터본체의 하단부위에 결합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금속막대부; 상기 금속막대부 일측면의 끝단부위와 개폐바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경첩과 상기 금속막대부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소정 부위에 각기 연결되어 상기 피난문이 개방된 후 닫아질 때, 탄성으로 개폐바를 닫아지게 해 주는 2개의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상기 금속막대부의 타측면과 결합하며, 상기 피난문이 닫아질 때 상기 피난문 금속판에 접하여 피난문 금속판을 고정시켜 주는 자석과 상기 개폐바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피 난문이 닫아질 때, 피난문의 금속판이 물리적 충격을 주어 상기 복원스프링에 탄성을 발생하게 해주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자석부;로 이루어진 T-BAR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의 경첩은 금속막대부에 나사결합하는 일측과 결합되는 타측의 결합 기울기가 타측 하단부를 기준으로 75 ∼ 88°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의 개념은 초기에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열감지기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감지가 된다. 감지가 되는 동시에 건물 내에 있는 방재실에 자동으로 보고가 되어 방재실에서는 소방소 등에 신고를 하게 된다. 상기 열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된 후에는 연동제어기에 신호가 가게되어 자동폐쇄기가 작동되어 스크린셔터본체(10)가 내려오기 시작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는 스크린셔터본체(10)가 통로나 복도 등을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차연기능만 되겠끔하여 종래의 방연셔터 수준만 내려와 차연기능만 되겠끔하며, 완전히 통로나 복도를 차단하지 않음으 로 의해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복도나 통로를 통해 바로 대피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스크린셔터본체(10)가 내려올 때는 상기 스크린셔터본체(10)의 승강활동을 하게끔 로울러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로울러는 로울러덮개(20)에 수납되어 있으며 평상시의 스크린셔터본체는 로울러에 의해 감겨있어 벽체나 천정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어 눈에 뜨이지 않는다. 화재 발생시 로울러에 의해 풀려난 스크린셔터본체(10)는 가이드부(30)를 따라 내려오게 된다.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는 1차적으로 방연셔터의 기능만 하다가 화재가 확산되어 건물 전체로 퍼져나가려고 한다면, 다시 자동폐쇄기에 신호가 전달되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는 완전히 통로가 차단되어 화염과 연기 및 유독가스가 상기 스크린셔터본체(10) 반대편으로 가지 못하게 되며, 반대편으로 대피를 하지 못한 사람들은 스크린셔터본체(10)에 형성된 피난문(100)을 통해 대피를 하면 된다.
즉, 간단하게 정리하면,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는 1차적으로는 방연셔터로서의 기능을 하여, 매연과 유독가스로부터 대피하는 사람들을 보호하며, 화재가 더욱더 번질시에는 2차적으로 완전히 통로나 복도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건물로 화재가 퍼져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2차적으로 완전히 통로나 복도를 차단할 시에는 스크린셔터본체(10)와 일체화된 피난문(100)을 통해 대피할 수 있다.
도 3은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관상으로는 크게 스크린셔터본체(10)와 상기 스크린셔터본체(10)에 포함된 피난문(100) 및 스크린셔터본체(10)의 하단부에 결합된 금속막대부(210)의 일측에 결합하는 개폐부(230)와 타측에 결합하는 자석부(220)가 일체로 결합한 T-BAR부로 나누어진다.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는 반투명재질의 스크린 형태로서, 스크린셔터본체(10)가 화재 발생시 로울러덮개(20)에 수납되어 작동되는 로울러에 의해 승강활동을 하여 내려오게 되고, 이때 승강활동을 가이드해 주는 가이드부(30)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는 스크린셔터본체(10)에 피난문(100)이 일체화되어 있다.
이때는 통로와 복도를 차단함으로써 연기와 화염이 차단된 반대편 상황으로 나가지 못하지만, 대피 중인 사람들은 스크린셔터본체(10)에 일체화된 피난문(100)을 통해 대피할 수 있으며, 반투명 재질로 반대편 상황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피난문(100)은 사각형상으로 상기 스크린셔터본체(10)의 소정의 부위에 상단부만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소정의 크기의 금속 재질 금속판(11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피난문(100)은 스크린셔터본체(10)의 상단부만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피 중인 사람들이 달려오던 속도 그대로 피난문(100)을 밀고 통과할 수 있어 사람들이 스크린방화방연셔터에 멈추어 문을 열거나 걷어올리지 않아도 됨으로 대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셔터본체(10)에는 T-BAR부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T-BAR부의 금속막대부(210)는 피난문(100) 부위를 제외한 스크린셔터본체(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금속막대부(210)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소정의 부위에 결합하는 2개의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개폐바(233)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첩(231)에 인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230)가 있으며, 타측에는 피난문(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해주는 자석(222)이 포함된 자석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금속막대부(210)는 스크린셔터본체가 지면으로 내려옴으로써 지면에 밀착되어 화재발생시 화염 및 연기가 반대쪽으로 못 가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경첩(231)은 금속막대부(210)에 나사결합하는 일측과 결합되는 타측 결합 기울기가 타측 하단면을 기준으로 약 75 ∼ 88°로 기울어져 있다.
상기 스크린셔터본체(10)가 통로나 복도를 차단시킬 때 하단부에 금속 재질 금속판(110)이 결합된 피난문(100)은 상기 T-BAR바의 자석부(220)에 포함된 자석(222)에 의해 금속판이 자석부(220)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사람들이 대피 중이지 않을 때는 자석(222)에 의해 피난문(100)의 금속판(110)이 고정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가 피난문(100)을 통해 반대쪽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 대피 중인 사용자가 상기 방화방연셔터를 통과하려고 피난문(100)을 밀치게 되며, 상단부만 스크린셔터본체에 연결되어 있어 밀려 올라가게 되며, T-BAR바의 자석부(220)에서는 피난문(100)의 금속판(110)이 떨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개폐부(230)를 피난문(100)이 밀게 되어 개폐부(230)에 포함된 경 첩(231)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바(233)가 개폐가 된다.
상기 경첩(231)은 타측의 기울기가 타측 하단부를 기준으로 약 75 ∼ 88°로 기울어져 있어서, 대피 중인 사람들이 피난문(100)을 밀 때 개폐부(230)는 기울어져 있는 각도에 따라 약간 올라가는 형태로 개폐가 된다. 이렇게 상기 경첩(231)의 타측 기울기가 기울어져 있는 이유는 대피가 끝나거나 대피하는 사람이 없을 때 경첩(231)이 헐거워져 개폐부(230)가 자동으로 열리는 경우를 방지되어 피난문(100)이 계속 스크린셔터본체(10)에 밀착, 고정을 시켜줌으로써 연기나 유독가스가 반대편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며, 사람들이 피난문(100)을 밀 때만 개폐부(230)의 개폐바(233)가 개폐되도록 해준다.
상기 개폐부(230)가 개폐되어 대피 중인 사용자가 피난문(100)을 통과하게 되며, 중량에 의해 다시 피난문(100)은 자석부(220) 쪽으로 되돌아 오는데 이때, 피난문(100)은 자석(222)에 의해 다시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230)는 피난문(100)이 닫아질 때 상기 피난문(100)이 T-BAR바의 자석부(220)에 연결된 와이어를 건드려 물리적 충격을 줌으로써 복원스프링(232)이 탄력이 발생하여 상기 피난문(100)이 자석부(220)에 밀착 고정될 때 자동으로 닫게 해준다.
이렇듯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는 대피 중인 사용자가 피난문(100)을 밀어 줌으로써 자동으로 경첩에서 개폐부(230)가 개폐가 되고, 상기 T-BAR바에 포함된 복원스프링(232)의 탄력을 받아 개방된 개폐부(230)를 피난문(100)이 와이어를 건드리면서 자석부(220)에 밀착 고정되고 와이어에 의해 개폐부가 닫힘으로써 사용자가 대피중에 피난문(100)을 닫는 등의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되며, 자동으 로 연기와 화염 및 유독 가스를 반대편으로 보내는 것을 막아준다.
도 4는 피난문을 일체로 포함하는 스크린방화방연셔터의 T-BAR바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T-BAR바(200)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금속막대부(210)와 개폐부(230) 및 자석부(220)로 나누어진다.
우선, 피난문을 중심으로 스크린셔텨본체의 좌우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금속막대부(210)의 일측에는 피난문이 개방될 때 금속막대부(210)의 일측과 개폐바(233)에 나사결합된 경첩(231)에 의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해 주고 상기 금속막대부(210)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소정의 부위에 결합하는 2개의 복원스프링(232)을 포함하는 개폐부(230)가 있으며, 금속 막대부(210)의 타측에는 자석(222)이 포함되어 피난문의 하단부에 있는 금속판(110)이 상기 자석(222)에 밀착 고정되겠끔 해 주고 상기 피난문이 닫아질 때 피난문의 금속판(110)이 물리적 충격을 주어 복원스프링(232)에 탄성을 발생하게 해 주는 와이어(221)로 이루어진 자석부(220)가 있다.
상기 T-BAR바(20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자면,
우선 도 4(a)에서처럼, 피난문을 중심으로 피난문 금속판(110) 좌우에 T-BAR바(200)가 각각 설치된다. 스크린셔터본체와 결합하는 T-BAR바(200) 부위는 금속막대부(210)로서, 상기 금속막대부(210)는 통로 및 복도의 바닥에 밀착되어 연기와 화염이 스크린방화방연셔터의 반대편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금속막대부(210)의 타측에는 피난문의 금속판(110)이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자석(222)이 포함되어 피난문 금속판(110)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230) 역시 닫혀져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도 4(b)에서처럼 금속판(110)이 포함된 피난문이 대피 중인 사람들에 의해 밀려난 상태일 때는 피난문이 앞쪽으로 밀려나며, 그 힘에 의해 자동으로 자석부(220)에 포함된 자석(222)에서 피난문의 금속판(110)이 떨어지게 되며, 금속막대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230)에서도 피난문이 밀려나는 힘으로 복원스프링(232)이 포함된 경첩(231)에 의해 개방되면서 열리게 된다.
또한, 경첩(231)의 타측이 일측과 결합할 때의 타측 결합기울기가 타측 하단부를 기준으로 75 ∼ 88°로 기울어져 있어 개페부(230)가 약간 올라가는 형태로 개폐되어 사용자가 밀어야만 개폐가 되는 형태이다.
상기 개폐부(230)에는 소정의 부위에 자석부(220)와 연결된 와이어(221)가 있으며, 상기 와이어(221)는 나중에 개방이 된 상태의 개폐부(230)와 팽팽하게 연결이 되어 피난문(100)이 자석부(220)에 밀착 고정되기 전에 와이어(221)를 건드려 물리적 충격으로 주어 땡겨짐으로서 자동으로 복원스프링(232)에 탄성이 발생하여 개폐부(230)가 원래 상태인 닫아진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이 일일이 피난문(100)이 닫혀 있는지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로 인해 피난문은 자석부(220)와 개폐부(230)로 인해 자동으로 스크린셔터본체와 밀착고정된 상태로 됨으로 연기 및 화염을 반대쪽으로 보내지 않아 화재가 건물 전체로 퍼져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어 당해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를 제공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들이 대피 중일 때나 대피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 개폐부와 자석부가 포함된 T-BAR바를 이용하여 피난문이 개방되었다 닫혀질 때 피난문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연기와 유독 가스 및 화재가 피난문을 통해 반대편 쪽으로 퍼지지 않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과 피난문이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스크린셔터본체가 닫혀 차단되더라도 용이하게 사람들이 대피가능하며, 피난문을 통해 대피 중인 사람들이 달리는 속도를 줄이거나 피난문을 열기 위해 멈추지 않고 밀면서 바로 통과할 수 있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대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방화방연셔터는 자석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 확실히 되기 때문에 대피 중인 사람들이 일일이 문이 닫혔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자체가 철재보다 화염이 강하고 가벼운 반투명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주에는 무거운 철재 재질에 비해 비용절감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을 수 있으며, 대피 중인 사용자에게는 반투명 재질로 인해 반대편의 상황을 바로바로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는 해 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연기센서나 열센서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이 신호를 화재 감지 연동제어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닫힘 명령을 내려져 피난문이 형성된 스크린셔터본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며, 스크린셔터본체의 승강활동을 하게끔 해주는 로울러 및 스크린셔터본체의 승강활동을 가이드 해 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한 스크린방화방연셔터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은 사각형상으로 상단부 외의 부위는 절개되고 하단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가진 금속재질의 금속판이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스크린셔터본체는
    피난문을 제외한 상기 스크린셔터본체의 하단부위에 결합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금속막대부;
    상기 금속막대부 일측면의 끝단부위와 개폐바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경첩과 상기 금속막대부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소정 부위에 각기 연결되어 상기 피난문이 개방된 후 닫아질 때, 탄성으로 개폐바를 닫아지게 해 주는 2개의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 및
    상기 금속막대부의 타측면과 결합하며, 상기 피난문이 닫아질 때 상기 피난문 금속판에 접하여 피난문 금속판을 고정시켜 주는 자석과 상기 개폐바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피난문이 닫아질 때, 피난문의 금속판이 물리적 충격을 주어 상기 복원스프링에 탄성을 발생하게 해주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자석부;로 이루어진 T-BAR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문 잠금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 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경첩은
    금속막대부에 나사결합하는 일측과 결합되는 타측의 결합 기울기가 타측 하단부를 기준으로 75 ∼ 88°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문 잠금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KR2020060014716U 2006-06-01 2006-06-01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KR200424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16U KR200424828Y1 (ko) 2006-06-01 2006-06-01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16U KR200424828Y1 (ko) 2006-06-01 2006-06-01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328A Division KR100769703B1 (ko) 2006-06-01 2006-06-01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828Y1 true KR200424828Y1 (ko) 2006-08-25

Family

ID=4177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716U KR200424828Y1 (ko) 2006-06-01 2006-06-01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8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67B1 (ko) 2007-06-21 2008-01-03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100962490B1 (ko) * 2008-03-18 2010-06-14 주식회사 휴네코 방화 스크린 셔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67B1 (ko) 2007-06-21 2008-01-03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100962490B1 (ko) * 2008-03-18 2010-06-14 주식회사 휴네코 방화 스크린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5290B1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EP2849855B1 (en) Smoke or fire barrier
US8986088B2 (en) Negative-pressure smoke-guiding fireproof building structure
KR101773172B1 (ko) 방화셔터 제어시스템
KR200424828Y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KR102008096B1 (ko)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2078663B1 (ko) 계단실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0769703B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CN211173798U (zh) 一种建筑防火安全门
CN208294381U (zh) 一种单开隔烟防火门
KR102082224B1 (ko)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20210041760A (ko) 자동 방화문 장치
KR101826906B1 (ko) 방화용 통풍형 개폐장치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CN111608715B (zh) 一种含电磁锁解的防爆泄压与蓄能复位风门及控制方法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CN210422387U (zh) 遇火自动关闭自动锁紧防火推拉窗
KR102579497B1 (ko)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CN111075323B (zh) 一种基于泛在电力物联网的智能防火门
JPS6032317Y2 (ja) 常時閉鎖型避難くぐり戸付防火ドア
JP2009281130A (ja) 避難用両袖扉の同時連動シャッター閉鎖装置
KR200149744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완충구조
CN213627319U (zh) 一种双扇带玻璃木质防火门
KR102447038B1 (ko) 방화성능이 향상된 방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