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11B1 - 터널 비상문 - Google Patents

터널 비상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11B1
KR101016211B1 KR1020100079837A KR20100079837A KR101016211B1 KR 101016211 B1 KR101016211 B1 KR 101016211B1 KR 1020100079837 A KR1020100079837 A KR 1020100079837A KR 20100079837 A KR20100079837 A KR 20100079837A KR 101016211 B1 KR101016211 B1 KR 101016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rminal
power generation
generation moto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102010007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05Y2400/614Batteries charg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6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 비상문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도어(10)의 상부면에 호차(20)가 장착되고, 호차(20)의 바퀴(25)가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 수평 프레임(31)의 양 단부에 풀리(P1, P2)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풀리(P1, P2)에 타이밍 벨트(TB)가 장착되고, 풀리(P1, P2) 사이의 타이밍 벨트(TB)에 호차(20)가 브라켓(23)에 의해 결합되고, 호차(23)가 와이어(W)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와 연결되고, 밸런스 웨이트(BW)가 문틀(30)의 수직 프레임(32)의 중공부(33)에서 승하강될 수 있으며,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 일단에 리미트 스위치(40)가 장착되고, 풀리(P1)가 컨트롤 박스(50)의 전동 샤프트(S1)의 일단에 장착되고, 전동 샤프트(S1)의 타단에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웜기어(51)가 장착되고, 상기 웜기어(51)가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 배치된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 일단에 장착된 웜(52)과 연동되고,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5) 타단에 전자 브레이크(60)가 장착되며, 컨트롤 박스(50)에 타이머(70)가 내장되고, 발전 모터(55)에서 생성된 전기가 콘덴서(C3, C4, C5, C6)를 통해 리튬 전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널 비상문{TUNNEL EMERGENCY-ESCAPE DOOR}
본 발명은 터널의 피난통로에 설치되는 터널 비상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도어가 문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문틀의 상부 수평 프레임 양 단부에 풀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풀리에 타이밍 벨트가 장착되고, 타이밍 벨트에 슬라이드 도어의 호차가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고, 호차가 와이어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되고, 밸런스 웨이트가 문틀의 수직 프레임의 중공부에서 승하강될 수 있으며, 타이밍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어느 한 풀리의 회전이 전동 샤프트, 웜과 웜기어를 통해 발전모터의 구동축으로 전달되고, 발전 모터의 구동축 타단에 전자 브레이크가 장착되며, 컨트롤 박스에 타이머가 내장되고, 발전 모터에서 생성된 전기가 콘덴서를 통해 리튬 전지로 공급되어 리튬 전지가 충전되는 터널 비상문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116456(2005년 12월 13일, 공개)에 "자동폐쇄 안전문"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자동폐쇄 안전문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는 이동문; 상기 이동문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문; 상기 이동 및 고정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이동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이동문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이동로울러; 상기 이동문 상단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자동폐쇄부; 상기 고정문 상단타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구동부; 상기 이동문의 이동에 의한 구동력이 상기 구동부 및 자동폐쇄부에 전달되도록 연결되며 양단부가 분리된 체인; 상기 체인의 분리된 일측끝단과 타측끝단이 장착되며, 상기 이동문의 상단에 부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문의 개방시 상기 체인이 구동되며, 구동되는 상기 체인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축적되는 탄성회복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문이 자동으로 폐쇄되고, 상기 자동폐쇄부에 의해 상기 이동문이 개방되어 있는 시간과 상기 이동문의 폐쇄속도가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자동폐쇄 안전문는 태엽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이동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되어 있으나, 외부전원의 공급없이 정속 폐쇄구동모터와 개방시간설정모터가 어떻게 작동될 수 있는가에 대한 설명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가 문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문틀의 상부 수평 프레임 양 단부에 풀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풀리에 타이밍 벨트가 장착되고, 타이밍 벨트에 슬라이드 도어의 호차가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고, 호차가 와이어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되고, 밸런스 웨이트가 문틀의 수직 프레임의 중공부에서 승하강될 수 있으며, 타이밍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어느 한 풀리의 회전이 전동 샤프트, 웜과 웜기어를 통해 발전모터의 구동축으로 전달되고, 발전 모터의 구동축 타단에 전자 브레이크가 장착되며, 컨트롤 박스에 타이머가 내장되고, 발전 모터에서 생성된 전기가 콘덴서를 통해 리튬 전지로 공급됨으로써, 외부 전원없이도 사용할 수 있으며, 피난자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폭을 자유롭게 조절되며(임의 지점에 슬라이드 도어가 정지됨), 슬라이드 도어가 개방된 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닫을 수 있어 문의 개방시간 설정이 자유롭고, 피난자가 강제로 닫을 수 있는 터널 비상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면에 호차가 장착되고, 슬라이드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호차의 바퀴가 문틀의 상부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 수평 프레임의 양 단부에 풀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풀리에 타이밍 벨트가 장착되고, 풀리 사이의 타이밍 벨트에 호차가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고, 호차가 와이어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되고, 밸런스 웨이트가 문틀의 수직 프레임의 중공부에서 승하강될 수 있으며, 문틀의 상부 수평 프레임 일단에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되어, 리미트 스위치가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고, 풀리가 컨트롤 박스의 전동 샤프트의 일단에 장착되고, 전동 샤프트의 타단에 컨트롤 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웜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웜기어가 컨트롤 박스의 내부에 배치된 발전 모터의 구동축 일단에 장착된 웜과 연동되고, 발전 모터의 구동축 타단에 전자 브레이크가 장착되며, 컨트롤 박스에 타이머가 내장되고, 발전 모터에서 생성된 전기가 콘덴서를 통해 리튬 전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리미트 스위치가 노말 오프 상태이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서 턴온되어, 리미트 스위치의 T3 단자와 T4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발전 모터에서 생성된 전기가 발전 모터의 A1 단자에서 제 2 릴레이를 통해 콘덴서에 충전되고,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어, 발전 모터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충전되어 있는 리튬 전지의 T9 단자에서 전기가 제 2 릴레이 및 접속된 리미트 스위치의 T3 단자와 T4 단자를 통해 제 1 릴레이로 공급되고, 제 1 릴레이에서 타이머로 전기가 공급되어, 타이머가 작동되고, 타이머가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전기가 전자 브레이크의 T5 단자로 공급되어, 전자 브레이크의 록킹이 해제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의 자중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가 하강하게 되면서 슬라이드 도어가 닫히게 되고, 슬라이드 도어가 닫히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되어, 리튬 전지의 방전이 중단되고,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가 제 3 릴레이를 통해 리튬 전지의 T9 단자로 공급되어, 리튬 전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상기 문틀의 상부 수평 프레임 일단에 장착되는 근접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외부 전원없이도 사용할 수 있으며, 피난자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폭을 자유롭게 조절되며(임의 지점에 슬라이드 도어가 정지됨), 슬라이드 도어가 개방된 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닫을 수 있어 문의 개방시간 설정이 자유롭고, 피난자가 강제로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 비상문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문틀의 상부 수평 프레임 일단에 리미트 스위치와 근접 스위치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컨트롤 박스의 내부에 배치된 발전모터의 구동축이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컨트롤 박스의 내부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슬라이드 도어(10)의 상부면에 호차(20)가 장착되고, 슬라이드 도어(1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호차(20)의 바퀴(25 ; 도 2 참조)가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 수평 프레임(31)의 양 단부에 풀리(P1, P2)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풀리(P1, P2)에 타이밍 벨트(TB)가 장착되고, 풀리(P1, P2) 사이의 타이밍 벨트(TB)에 호차(20)가 브라켓(23)에 의해 결합되고, 호차(20)가 와이어(W)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와 연결되고, 밸런스 웨이트(BW)가 문틀(30)의 수직 프레임(32)의 중공부(33)에서 승하강될 수 있으며,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 일단에 리미트 스위치(40 ; 도 3 참조)가 장착되어, 리미트 스위치(40)가 슬라이딩 도어(10)의 개폐를 감지하고, 풀리(P1)가 컨트롤 박스(50)의 전동 샤프트(S1 ; 도 4 참조)의 일단에 장착되고, 전동 샤프트(S1)의 타단에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웜기어(51)가 장착되고, 상기 웜기어(51)가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 배치된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 일단에 장착된 웜(52)과 연동되고,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 타단에 전자 브레이크(60)가 장착되며, 컨트롤 박스(50)에 타이머(70 ; 도 5 참조)가 내장되고, 발전 모터(55)에서 생성된 전기가 콘덴서(C3, C4, C5, C6 ; 도 5 참조)를 통해 리튬 전지(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40)는 노말 오프 상태이며,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는 시점에서 턴온되어, 리미트 스위치(40)의 T3 단자와 T4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는 동안 발전 모터(55)에서 생성된 전기가 발전 모터(55)의 A1 단자에서 제 2 릴레이(RL2)를 통해 콘덴서(C3, C4, C5, C6)에 충전되고, 슬라이딩 도어(10)의 개방이 완료되어, 발전 모터(55)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충전되어 있는 리튬 전지의 T9 단자에서 전기가 제 2 릴레이 및 접속된 리미트 스위치(40)의 T3 단자와 T4 단자를 통해 제 1 릴레이(RL1)로 공급되고, 제 1 릴레이(RL1)에서 타이머(50)로 전기가 공급되어, 타이머(50)가 작동되고, 타이머(50)가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전기가 전자 브레이크(60)의 T5 단자로 공급되어, 전자 브레이크(60)의 록킹이 해제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BW)의 자중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가 하강하게 되면서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되고,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40)가 오프되어, 리튬 전지의 방전이 중단되고, 콘덴서(C3, C4, C5, C6)에 충전된 전기가 제 3 릴레이(RL3)를 통해 리튬 전지의 T9 단자로 공급되어, 리튬 전지가 충전된다.
상기 제 1 릴레이(RL1)는 리미트 스위치(40)의 T4 단자에서 1번 단자와 8번 단자로 전원이 공급되면, 타이머가 작동되고, 타이머가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3번 단자와 4번 단자가 연결되어, 전자 브레이크의 록킹이 해제된다.
제 3 릴레이 스위치(RL3)는 8번 단자로 전기가 공급되는 동안 2번 단자와 3번 단자가 오프되어, 콘덴서의 전기가 리튬 전지로 공급되지 않지만, 8번 단자로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2번 단자와 3번 단자가 연결되어, 콘덴서의 전기가 리튬 전지로 공급된다.
상기 콘덴서는 소위 "울트라캐패시터" 또는 "전기이중층 캐패시터"로 일컬어지며, 배터리 대비 20배 이상의 출력밀도를 가지고 있어, 주로 "급속 충방전"을 요구하는 곳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리튬 전지는 일반적 조건에서의 자가방전율이 년간 2%미만이므로 장기간 저장 후에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풀리(P1, P2) 및 타이밍 벨트(TB)는 스프라켓과 체인(스테인레스 소재)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브레이크(60)는 이미 공지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전자 브레이크(60)는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 내장되어, 슬라이딩 도어(10)를 개방할 때는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 회전을 구속하지 않지만, 역방향으로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이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고, 전기가 공급되면, 역방향 회전 록킹이 해제되어,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 일단에 장착되는 근접 스위치(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근접 스위치(80)는 발전 모터(55)의 구동축이 매끄럽게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여, 슬라이드 도어가 빠르게 닫혀 슬라이드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피난자가 슬라이드 도어(10)를 화살표(70) 방향으로 열면, 호차(20)에 연결된 와이어(W)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가 상승하게 되고, 개방된 슬라이드 도어(10)의 구속이 해제되면, 밸런스 웨이트(BW)의 자중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가 하강하게 되면서 슬라이드 도어(10)가 화살표(70) 반대방향으로 닫히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도어(10)가 화살표(70) 방향으로 개방될 때, 호차(20)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TB)에 의해 풀리(P1)가 회전하게 되고, 풀리(P1)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S1)의 웜기어(51)과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에 장착된 웜(52)이 연동되고, 웜(52)이 장착된 구동축(56)의 회전에 의해 발전 모터(55)에 전기가 생성되고, 발전 모터(55)의 전기가 콘덴서를 통해 리튬 전지로 공급되어, 리튬 전지가 충전된다. 이때,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이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전자 브레이크(60)가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이 회전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10)가 개방되어 어느 한 지점에 정지되면, 전자 브레이크(60)가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BW)의 무게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10)가 화살표(70) 방향으로 개방되는 시점에서,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는 시점에서 턴온되어, 리미트 스위치(40)의 T3 단자와 T4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는 동안 발전 모터(55)에서 생성된 전기가 발전 모터(55)의 A1 단자에서 제 2 릴레이(RL2)를 통해 콘덴서(C3, C4, C5, C6)에 충전되고, 슬라이딩 도어(10)의 개방이 완료되어, 발전 모터(55)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충전되어 있는 리튬 전지의 T9 단자에서 전기가 제 2 릴레이 및 접속된 리미트 스위치(40)의 T3 단자와 T4 단자를 통해 제 1 릴레이(RL1)로 공급되고, 제 1 릴레이(RL1)에서 타이머(50)로 전기가 공급되어, 타이머(50)가 작동되고, 타이머(50)가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전기가 전자 브레이크(60)의 T5 단자로 공급되어, 전자 브레이크(60)의 록킹이 해제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BW)의 자중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가 하강하게 되면서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되고,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40)가 오프되어, 리튬 전지의 방전이 중단되고, 콘덴서(C3, C4, C5, C6)에 충전된 전기가 제 3 릴레이(RL3)를 통해 리튬 전지의 T9 단자로 공급되어, 리튬 전지가 충전된다.
또한, 피난자가 임의로 슬라이드 도어(10)를 강제로 닫게 되면, 브레이크의 록킹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비상문은 외부 전원없이도 사용할 수 있으며, 피난자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의 개방폭을 자유롭게 조절되며(임의 지점에 슬라이드 도어가 정지됨), 슬라이드 도어가 개방된 후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닫을 수 있어 문의 개방시간 설정이 자유롭고, 피난자가 강제로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슬라이드 도어 20 : 호차
30 : 문틀 P1, P2 : 풀리
TB : 타이밍 벨트 W : 와이어
BW : 밸랜스 웨이트 40 : 리미트 스위치
50 : 컨트롤 박스 55 : 발전 모터
60 : 전자 브레이크 70 : 타이머

Claims (3)

  1. 슬라이드 도어(10)의 상부면에 호차(20)가 장착되고, 슬라이드 도어(1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호차(20)의 바퀴(25)가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 수평 프레임(31)의 양 단부에 풀리(P1, P2)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2개의 풀리(P1, P2)에 타이밍 벨트(TB)가 장착되고, 풀리(P1, P2) 사이의 타이밍 벨트(TB)에 호차(20)가 브라켓(23)에 의해 결합되고, 호차(20)가 와이어(W)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와 연결되고, 밸런스 웨이트(BW)가 문틀(30)의 수직 프레임(32)의 중공부(33)에서 승하강될 수 있으며,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 일단에 리미트 스위치(40)가 장착되어, 리미트 스위치(40)가 슬라이딩 도어(10)의 개폐를 감지하고, 풀리(P1)가 컨트롤 박스(50)의 전동 샤프트(S1)의 일단에 장착되고, 전동 샤프트(S1)의 타단에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웜기어(51)가 장착되고, 상기 웜기어(51)가 컨트롤 박스(50)의 내부에 배치된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 일단에 장착된 웜(52)과 연동되고, 발전 모터(55)의 구동축(56) 타단에 전자 브레이크(60)가 장착되며, 컨트롤 박스(50)에 타이머(70)가 내장되고, 발전 모터(55)에서 생성된 전기가 콘덴서(C3, C4, C5, C6)를 통해 리튬 전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비상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40)는 노말 오프 상태이며,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는 시점에서 턴온되어, 리미트 스위치(40)의 T3 단자와 T4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는 동안 발전 모터(55)에서 생성된 전기가 발전 모터(55)의 A1 단자에서 제 2 릴레이(RL2)를 통해 콘덴서(C3, C4, C5, C6)에 충전되고, 슬라이딩 도어(10)의 개방이 완료되어, 발전 모터(55)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충전되어 있는 리튬 전지의 T9 단자에서 전기가 제 2 릴레이 및 접속된 리미트 스위치(40)의 T3 단자와 T4 단자를 통해 제 1 릴레이(RL1)로 공급되고, 제 1 릴레이(RL1)에서 타이머(50)로 전기가 공급되어, 타이머(50)가 작동되고, 타이머(50)가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전기가 전자 브레이크(60)의 T5 단자로 공급되어, 전자 브레이크(60)의 록킹이 해제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BW)의 자중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W)가 하강하게 되면서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되고, 슬라이드 도어(10)가 닫히게 되면, 리미트 스위치(40)가 오프되어, 리튬 전지의 방전이 중단되고, 콘덴서(C3, C4, C5, C6)에 충전된 전기가 제 3 릴레이(RL3)를 통해 리튬 전지의 T9 단자로 공급되어, 리튬 전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비상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30)의 상부 수평 프레임(31) 일단에 장착되는 근접 스위치(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비상문.
KR1020100079837A 2010-08-18 2010-08-18 터널 비상문 KR101016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37A KR101016211B1 (ko) 2010-08-18 2010-08-18 터널 비상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37A KR101016211B1 (ko) 2010-08-18 2010-08-18 터널 비상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211B1 true KR101016211B1 (ko) 2011-02-25

Family

ID=4377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837A KR101016211B1 (ko) 2010-08-18 2010-08-18 터널 비상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51A1 (ko) * 2015-05-18 2016-11-24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20160135648A (ko) * 2015-05-18 2016-11-28 김성만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2028928B1 (ko) * 2018-07-11 2019-10-07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IT201900022146A1 (it) * 2019-11-26 2021-05-26 Novoferm Schievano S R L Porta scorrevole con meccanismo di auto-chiusura munita di dispositivo di sicurezza auto-alimentato e relativo metodo di azionamento
WO2022002646A1 (en) * 2020-06-30 2022-01-06 Assa Abloy Ab Arrangement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access member, access member, frame, access member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756A (ja) * 1994-03-09 1995-09-26 Kurogane Kosakusho:Kk 自閉扉体における一時停止装置
KR20010042555A (ko) * 1999-02-10 2001-05-25 안도 카즈야키 자폐식 미닫이용 조속장치
JP2005336744A (ja) * 2004-05-25 2005-12-08 Kongo Sangyo Kk 防火戸
KR20100034648A (ko) * 2008-09-24 2010-04-01 김영미 자동문 개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756A (ja) * 1994-03-09 1995-09-26 Kurogane Kosakusho:Kk 自閉扉体における一時停止装置
KR20010042555A (ko) * 1999-02-10 2001-05-25 안도 카즈야키 자폐식 미닫이용 조속장치
JP2005336744A (ja) * 2004-05-25 2005-12-08 Kongo Sangyo Kk 防火戸
KR20100034648A (ko) * 2008-09-24 2010-04-01 김영미 자동문 개폐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51A1 (ko) * 2015-05-18 2016-11-24 김성만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20160135648A (ko) * 2015-05-18 2016-11-28 김성만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1703119B1 (ko) * 2015-05-18 2017-02-06 김성만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2028928B1 (ko) * 2018-07-11 2019-10-07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IT201900022146A1 (it) * 2019-11-26 2021-05-26 Novoferm Schievano S R L Porta scorrevole con meccanismo di auto-chiusura munita di dispositivo di sicurezza auto-alimentato e relativo metodo di azionamento
WO2022002646A1 (en) * 2020-06-30 2022-01-06 Assa Abloy Ab Arrangement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access member, access member, frame, access member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211B1 (ko) 터널 비상문
US9217284B2 (en) Anti-drop transmission device for a service door with a flexible curtain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CN210029684U (zh) 一种齿轮齿条式电梯门机装置
US20190360266A1 (en) Gate With An Emergency Opening Device
JP2010007456A (ja) 自動ドア装置の戸挟み回避装置
KR100835989B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0538412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JP4476740B2 (ja) ブレーキ装置付き開閉装置
CN112412284A (zh) 一种快速收放的卷帘门
US3763594A (en) Doors with electro-mechanical operating means
US4977704A (en) Machine shed sliding door operator
CN113682929B (zh) 一种适用于电梯的开门保持系统
CN210049799U (zh) 一种卷帘门
JP3844689B2 (ja) 自動ドア
JP2016060405A (ja) ホーム用可動柵
CN217935352U (zh) 一种卷帘门升降器电机
CN109368465A (zh) 电梯轿厢与层门间隙的防护机构
CN210289580U (zh) 一种抗风压涡轮快速卷帘门
CN212927650U (zh) 一种前后并列式卷帘门
KR20240055444A (ko) 측면권취형 슬라이딩 도어장치
CN213269713U (zh) 一种叠式特级防火卷帘
CN111005662B (zh) 一种可快速转换成防辐射门的人防门
ZA201101487B (en) Roller door
CN212176993U (zh) 隐藏式特级防火卷帘导轨传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