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648A -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648A
KR20160135648A KR1020160049236A KR20160049236A KR20160135648A KR 20160135648 A KR20160135648 A KR 20160135648A KR 1020160049236 A KR1020160049236 A KR 1020160049236A KR 20160049236 A KR20160049236 A KR 20160049236A KR 20160135648 A KR20160135648 A KR 20160135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indow
sliding
hous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119B1 (ko
Inventor
김주안
김성만
김효은
Original Assignee
김성만
김효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김효은 filed Critical 김성만
Priority to PCT/KR2016/0052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86451A1/ko
Publication of KR2016013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하기 위하여 벨트 및 대차로 구성된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도입하여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부, 상부, 좌측 및 우측의 일부 또는 모두에 장착부를 갖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미닫이 창문과, 상기 장착부에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노출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벨트 및, 상기 창문이 결합되고 상기 벨트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노출면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SLIDING FLAT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하기 위하여 벨트 및 대차로 구성된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도입하여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은 창틀에 구비된 레일과, 이 레일을 따라 움직이며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창문에 구비된 롤러를 통하여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은 방풍성 확보를 통한 열손실 차단 기능을 위하여 창틀과 창문의 레일 인접 부위에 다양한 모헤어를 도입하여 해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롤러가 구비된 창문 하부는 롤러 구동 공간 확보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이격 틈새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 틈새를 통하여 외기의 침입이 이루어지므로 이중창의 설치나, 진공층을 구비한 단열 유리를 사용하여도 원하는 만큼 방풍 특성 내지 기밀성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특허등록 제10-0901994호(등록일자 2009년06월03일)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에서는 창문 또는 출입문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틀의 레일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를 제시하여 레일 은폐구조를 통하여 기존 창틀 레일에 끼는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불결함과 청소 필요성 및 불편성을 해결하고, 또 특유의 방풍구조를 통한 기밀성 및 단열 특성을 얻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출원인은 이후 특허등록 제10-1055326호(등록일자 2011년08월02일)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특허등록 제10-1118264호(등록일자 2012년02월13일) [학교용 출입문구조], 특허등록 제10-1216681호(등록일자 2012년12월21일)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등 다수의 개량 특허를 획득하고, 제품 출시를 통하여 그 기술적인 우월성을 시장에서 차츰 인정받아 가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 기반한 제품은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이 완벽하게 제거 내지 차폐된 것이 아니어서 필연적으로 이물질이 누적되고, 나아가 이물질이 침입하는 레일홈이 좁아 이물질이 누적될 경우 단순이 미관 및 청결성의 문제가 아니라 창문 슬라이딩 이동 특성이 저해되거나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단가 경쟁력이 약하고 대량 생산성이 취약하여 시장 진입 및 확대가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빠른 시장 저변 확대가 가능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이고, 보다 완벽한 밀폐구조를 제공하여 방풍성 내지 기밀성을 확보하며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완벽하게 레일홈을 제거한 제품의 출시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 및 대차로 구성된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도입하고 이 대차에 결합된 창문이 창틀을 따라 움직이는 구조를 채택하여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함에 따라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차에 구비된 누름부재를 통해 벨트와 창틀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밀폐성 및 방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고유의 벨트 결합 구조를 제공하여 벨트의 안정적인 수용을 도모하고, 이에 벨트가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안내돌기 및 수용홈부의 구성을 통해 대차의 이동에 있어서 직진성을 확보하고, 공간부 내에 삽입된 결합고정부의 구성을 통해 이동수단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감 저하 및 고장 발생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하부, 상부, 좌측 및 우측의 일부 또는 모두에 장착부를 갖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미닫이 창문과, 상기 장착부에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노출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벨트 및, 상기 창문이 결합되고 상기 벨트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노출면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대차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벨트를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개구부 및, 개구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배치된 안내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홈은 상기 안내돌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부와, 수용홈부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내 공간부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정부에는 상기 대차의 이동성을 부가하는 이동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함에 따라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대차의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벨트와 창틀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밀폐성 및 방풍성을 높이고, 이에 단열 효과를 획기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대차의 이동에 의해 벨트가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창틀, 창문 및 슬라이딩 벨트모듈 간의 안정적인 결합과 더불어 슬라이딩 벨트모듈의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한다.
나아가 직진성이 확보된 대차의 구비를 통해 미닫이 창문의 구동 안정성을 제공하고, 대차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을 하우징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저해하거나 또는 노출된 이동수단에 외력이 작용하여 이동수단의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도(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도면(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정단면 사시도(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단면도(제3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미닫이 창호 시스템의 주종인 레일(창틀)과 롤러(창문)를 이용한 슬라이딩 구조에서 완전히 탈피하기 위하여 벨트 및 대차로 구성된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도입하여 방풍 기능의 완벽을 기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레일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창틀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S))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중력이 작용하는 방향 기준)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를 나누고,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의 용이한 구분을 위해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은 (S1, S2, S3)로, 또한 핵심 구성인 슬라이딩 벨트모듈(V)은 (V1, V2, V3)으로 표기하나, 첨부된 도면의 도면참조부호에서는 동일하게 S, V로 표시하기로 한다. 또한 제2 및 제3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경우에도 구분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도면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단면도, 도 3은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1)은 크게 창틀(F), 창문(W) 및 슬라이딩 벨트모듈(V, V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및 타 도면)은 집합건물, 즉 아파트(APT) 거실의 창문을 도시한 것이나, 본 시스템(S1)은 다양한 미닫이 창문을 비롯하여, 출입문 등 다양한 미닫이 창호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F)은 하부, 상부, 좌측 및 우측의 일부 또는 모두에 장착부(F1)를 갖는 구성으로, 이 장착부(F1)에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이 구비된다.
도 2(및 타 도면)에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이 창틀(F)의 하부 장착부(F1)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은 필요에 따라 창틀(F)의 상부를 비롯한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하좌우 모두에 장착부(F1)를 구성하여 도입될 수 있다.
또 창틀(F)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창틀(F)을 따라 움직이는 창문(W)이 곡선형으로 슬라이딩 되는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W)은 창틀(F)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미닫이 창문(W)으로, 창틀(F)에 장착된 창문(W)은 약 1/2~2/3 정도를 차지하는 고정형 창문(W2)과, 슬라이딩 벨트모듈(V1)과 연계되어 움직이는 이동형 창문(W1)으로 구성된다.
또한 장착부(F1)는 방풍, 그리고 노출된 레일의 차폐를 필요로 하는 창틀(F) 하부에 도입되는데, 이 장착부(F1)에는 보다 완벽한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필요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조립성까지 제공하도록 하우징(100)에 구성요소가 내장된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이 설치된다.
이는 실제로 기존 창호 시스템에서 외기가 많이 유입되고 이동형 창문(W)의 하중 지탱과 슬라이딩 이동 원활성 보장을 위한 구조물(롤러 등)이 도입되는 부분이 창틀(F) 하부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은 장착부(F1)에 결합된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노출면(110)에 형성된 안착홈(120)에 안착되는 벨트(200) 및, 창문(W)이 결합되고 벨트(200)를 따라 안내되어 노출면(110)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앞서 잠깐 언급했듯, 하우징(100)은 구성요소를 내장하는 구성으로, 특히 대차(3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00)이 하우징(100) 내에 내장되기 때문에 이동수단(4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감 저하 및 고장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새하지 않는다.
또한 도 2 및 도 3이 창틀(F)의 하부 장착부(F1)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1)인 점을 감안할 때, 하우징(100)의 노출면(110)은 상부에 구비되는 것임은 자연스럽게 유추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상부 노출면(110)에는 안착홈(120)이 형성되는데, 안착홈(120)은 벨트(200)의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본 시스템(S1)은 창틀(F)로부터 돌출된 구성이 없고, 창틀(F)과 대차(300) 간의 틈이 없는 구조, 즉 외기가 벨트(200), 특히 대차(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파고들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고, 또 벨트(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줄이고 차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여, 보다 완벽한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필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대차(300)는 노출면(110)을 따라 이동하되, 내부에 중공부(340)를 구비하여 벨트(200)를 수용하고 이에 벨트(200)를 따라 안내되어 노출면(110)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1)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300)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벨트(200)를 가압하는 누름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우측 원 영역 내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10)는 대차(300)의 어느 한 위치에 구비되는데, 보다 명확하게 일단은 대차(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대차(300)와 인접한 벨트(200) 접촉한다.
여기에서 '대차(300)와 인접한'이라는 표현은 대차(300)의 이동에 의해 대차(300)와 인접한 벨트(200)가 대차(300)의 중공부(340) 내부로 수용되기 직전 안착홈(120)에서 이탈하여 유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정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누름부재(310)의 도입을 통해 벨트(200)와 안착홈(120)(또는 노출면(110))간의 유격에 의해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피요성 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도 3 우측 원 영역과 도 3 상부 도시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벨트(200)의 관통 경로 확보를 위해 누름부재(310)는 내부에 통로부(3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통로부(311)는 대차(300) 내부 중공부(340)에 벨트(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누름부재(310)는 하우징(100)의 안착홈(120)과 대차(300)의 중공부(340)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벨트(2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에 결합된 처짐방지판(31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처짐방지판(3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10)의 밑면과 동일한 정도로 노출되어 편평한 면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하우징(100)이 노출면(110) 위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1)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안착홈(120)에는 삽입부(121)가 구비되고, 벨트(200)는 삽입부(121)에 삽입되는 돌기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좌측 상부 원 영역에서는 이러한 삽입부(121) 및 돌기부(21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1)는 하우징(100)의 안착홈(120)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돌기부(210)는 벨트(200) 하면(도 3 기준)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벨트(200)가 안착부(F2)에 안착될 때 안착홈(120)에 삽입된다.
아울러 돌기부(210)는 벨트(200) 하면에 연속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후술하는 벨트(200) 풀리 구조를 취하기 위해서는 벨트(200)가 변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인해 본 시스템(S1)은 대차(300)의 이동 안정성을 갖는데, 대차(300)의 이동 시 벨트(200)가 안착홈(12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벨트(200)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거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벨트(200) 자체 또는 벨트(200) 하부 돌기부(210)에는 자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부의 구비는 벨트(200) 또는 돌기부(210)에 자성체를 매립하거나 또는 미세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하우징(100) 또는 창틀(F)에 자석 또는 자성체를 배열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부의 구비를 통해 벨트(200)와 하우징(100)(또는 창틀(F))간의 밀착상태가 유지되어 평활도가 개선되고, 추가로 상기한 방풍성, 기밀성, 단열성, 청결성, 청소 불피요성이 부가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1)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개구부(130) 및, 개구부(13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배치된 안내돌기(140)를 포함하여, 안착홈(120)은 안내돌기(140) 상에 배치된다. 또한 대차(300)는 안내돌기(14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320)와, 수용홈부(320)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개구부(13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 공간부(150)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아울러 결합고정부(330)에는 대차(300)의 이동성을 부가하는 이동수단(4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시스템(S1)은 안내돌기(140)와 수용홈부(320)의 구성을 통해 대차(300)의 이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안내돌기(140)는 대차(300)의 이동을 가이드 하여 대차(300)의 이동 시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1)은 하우징(100) 내 공간부(150)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부(330)와 이에 결합된 이동수단(400)의 구성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4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미감 저하 및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동수단(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고정홈(160)에 고정된 레일부재(410), 이 레일부재(410) 외면에 결합되고 대차(300)의 결합고정부(330)에 결합된 슬라이딩부재(420) 및 레일부재(410)와 슬라이딩부재(420)에 개재된 베어링부재(430)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동수단(400)은 대차(300)의 하부(도 3 기준)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대차(300)의 하부 일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시도, 도 5는 다양한 도면들, 도 6은 정단면도, 도 7은 측단면도, 도 8은 정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A]는 결합사시도, [B]는 분해사시도) 및 도 5([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A]는 [C]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W), 특히 이동형 창문(W)의 좌측에는 창문(W) 개방 시 창틀(F) 좌측 프레임과 충돌시의 완충을 위한 완충패드(W1b)(도 5 [A] 참조)가 구비되어 있고, 이동형 창문(W) 우측에는 창문(W) 폐쇄 시 방풍성(또는 기밀성) 및 방음성을 위하여 결합돌기(W1a)(도 4 [B] 및 도 5 [A]의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가 구비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는 창틀(F) 우측 프레임의 결합홈(F3)(도 5 [A]의 우측 일점쇄선 원 내 참조))에 결합되어 중첩부를 구성한다.
도 4 및 도 6(도 2 [B]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S2)의 핵심을 이루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은 벨트(10)와, 벨트풀리(30A,30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벨트(10)는 두 벨트풀리(30A,30B) 사이에서 유사 무한궤도를 형성하는데, '유사' 무한궤도라는 지칭은 벨트(200) 자체에 의하여 무한궤도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완벽한 제품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 특성상 상기한 대차(50) 또는 텐션조절체(20), 또는 이들 모두, 그리고 기타 기능성 구성요소를 더 개재할 필요성이 있고, 이들과 벨트(10)가 연결된 상태가 무한궤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선택한 용어이다.
나아가 '무한궤도'라는 용어도 사전적인 엄밀한 의미의 것이 아닌 것이, 창문(W)의 이동은 두 벨트풀리(30A,30B) 사이에서 벨트(10)가 완벽히 한 바퀴 또는 그 이상을 선회하는 것이 아니라 창문(W)의 개폐에 따라 창틀(F)의 좌우 거리를 최대한도로 하여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한궤도' 또는 '유사 무한궤도'라는 다소 과장된 기술에 의하여 본 발명이 불명료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벨트(10)는 두 벨트풀리(30A,30B)와 접하는 부분에서 양단 변곡부(10r)를 형성하고, 창문(W)과 이어진 연결부는 대차(50)를 통하여 구현되어 대차(50)의 양단 결합부(51)(도 8의 우측 상부 일점쇄선 원 내 확대도 참조)가 기능하게 된다(이 결합부에는 벨트(10)의 상부 안내부의 양 단부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된다).
또 슬라이딩 벨트모듈(V2)에서 벨트(10)는 변곡부(10r)를 기점으로 상부 안내부(11)와 하부 안내부(13)를 구성한다.
나아가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은 벨트(10)와 벨트풀리가 내장된 하우징(40)의 도입을 통하여 각종 부품이 내장된 하우징(40) 자체를 창틀(F) 장착부(F1)에 설치하여 생산성, 시공 편리성, 그리고 유지ㅇ보수 편리성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생산성, 조립 편리성, 시공 편리성, 그리고 유지ㅇ보수 편리성의 완벽화를 위하여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의 연결부에는 창문(W)이 결합되는 대차(50)를 도입하고, 이 대차(50)에 창문(W1)이 안치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원활한 개폐 슬라이딩 동작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8, 특히 도 5 [C]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에 대한 도 7 및 그 하부의 슬라이딩 벨트모듈(V2) 중심의 요부 확대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창틀(F)의 하부 장착부(F1)에는 하우징(4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된 피안착부(47)가 결합되는 안착부(F2)가 구비되어 있는데, 하향 절곡된 피안착부(47)를 감싸 기밀성 내지 방풍성에 일조하고자 안착부(F2)는 내측면 돌출 제1돌기(F2a)와, 제1돌기(F2a)와 이격되어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향 돌출 제2돌기(F2b)로 구성되어, 이 두 돌기(F2a)(F2b) 사이의 공간에 하우징(40)의 상부 양측 피안착부(47)가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프레임의 안착부(F2)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부(F1)에 수용된 하우징(40)은 안착부(F2) 바로 내측에 벨트(10), 특히 상부 안내부(11) 양측이 삽입되는 제1수용부(41)(도 5 하부의 슬라이딩 벨트모듈(V2) 중심의 요부 단면 1차 확대도와, 이 1차 확대도에 대한 상부 좌측 2차 확대도에서 확인 가능)가 구비되어 외기가 벨트(10), 특히 상부 안내부(11)와 하우징(40) 사이의 틈새를 파고들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고, 또 벨트(10)의 상부 안내부(11)와 하우징(40) 사이의 틈새를 줄이고 차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40)의 내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고, 이에 따라 진정하게 외부에서 관찰시 보이는 레일홈이 완벽하게 차폐된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의 하우징(40)은 벨트(10) 상부 안내부(11)를 위한 양 제1수용부(41) 사이의 공간에 제2 및 제3 수용부(43)(45)가 구비된다.
이 제2 및 제3 수용부(43)(45)는 하우징(40)의 양 제1수용부(41) 사이에 안착되는 창문(W1) 안착ㅇ지지용 대차(50) 및 벨트(10)를 위한 공간으로, 우선 제2수용부(43)는 본질적으로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의 하우징(40)에 수용된 벨트풀리(30A,30B) 사이를 움직이는 대차(5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한 메인롤러(R1)를 위한 레일을 구성하며, 제3수용부(45)는 벨트(10)의 상부 안내부(11) 저면에 배열되어 벨트(10)의 상부 안내부를 지지하는 처짐방지 롤러(R2)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단면이 포켓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3수용부(45) 및 이에 설치되는 처짐방지 롤러(R2)는 제2수용부(43) 및 메인롤러(R1)의 양측에 배열되어 균형된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도 7의 우측 최상부 일점쇄선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상기 처짐방지 롤러(R2)는 처짐방지 받침체(Rm)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체(Rm)는 아세탈과 같이 미끄럼 특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이 블록 타입이 아닌 브러쉬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처짐방지 롤러나 처짐방지 받침체와 같은 처짐방지 부재는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변형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처짐방지 받침체(Rm) 및 이를 위한 벨트모듈(V2)의 하우징(40)의 제3수용부(45m)는 메인롤러(R1)의 양측에 각각 1쌍씩 배열되어 보다 균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도 4 [B], 도 6,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10), 텐션조절체(20), 벨트풀리(30A,30B)가 내장되고, 상부에 대차(50)가 안착된 후, 창틀(F)의 장착부(F1)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은 하우징(40) 내측 양단에 장착되는 축핀(미지시됨)을 통하여 설치된 벨트풀리(30A,30B)에 벨트(10)를 걸어 설치함에 있어, 하우징(40)의 정면커버(40C)를 개방한 상태에서 벨트(10)의 상부 안내부(11)의 양단부(11t)를 대차(50)의 양단 결합부(51)에 결합 고정하고(예: 볼트 체결 방법 이용 가능), 벨트(200)의 하부 안내부(13)의 양 단부(13t)는 텐션조절체(20)의 체결부(23A)(너트부재(23)와 상호 연결되어 있다)(예: 볼트 체결 방법 이용 가능)에 고정한다.
이후 텐션조절체(20)를 구성하는 볼트부재(21)가 양측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예: 일 측은 왼나사, 타 측은 오른나사)되어 구성된 제1 및 제2 나사부(21A)(21B)를 돌리면(예: 중앙에 나사산이 없는 민자 연결부를 다각형 등으로 구성하고,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양 너트부재(23)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안내부(13)를 비롯한 전체 벨트(10)의 텐션이 긴장 또는 이완된다.
이어서 하우징(40)의 정면커버(40C)를 닫고, 도 4 [B]의 분해 사시도와 같이, 슬라이딩 벨트모듈(V2)을 창틀(F)의 장착부(F1)에 설치한 후, 통상의 슬라이딩 창문의 창틀 고정 시와 같이 창틀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돌출 레일에 창틀의 레일홈을 먼저 끼우고, 창문(W1)의 하부 프레임을 대차(50) 상부 양단에 구비된 스토퍼(53a,53b)(도 4 및 도 8 참조) 사이에 위치시킨 후 스토퍼(53a,53b)와 창문(W1) 하부 프레임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기타 암수 결합 방식의 스냅 후크 이용 가능) 고정한다.
이 때 창문(W1)의 하부 프레임의 삽입하돌기(W1c)는 도 8 하부의 슬라이딩 벨트모듈(V2) 중심의 요부 단면 1차 확대도에 대한 상부 좌측 2차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차(50)의 창문 안착부(55)에 위치하므로 역시 기밀성 및 방풍성에 완벽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9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 슬라이딩 벨트모듈(V3)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S3)이 도시되어 있는 바, 기본적으로 도 8의 우측 하부 요부 확대 측단면도와 유사한 도면에 해당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우선 조립성 개선을 위하여 좌측 상부 일점쇄선 원 내 부분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모듈(V3)의 벨트(10)를 대차(50)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설치공(10H)을 가져, 설치공 둘레의 중첩부(10h)가 대차(50)의 장착슬릿(50s)에 끼워져 있다(좌측 하부상부 일점쇄선 원 내 추가 부분 확대도 참고).
또 이 벨트(10)의 설치공(10H) 내측에 위치한 대차(50)는 방풍부재(ws)가 도입되어 있어 창틀(F) 외기가 내부로 침습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벨트(10)의 상하 안내부(11,13)는 창틀(F)에 형성된 상하 설치부(11r,13r)에 구비된 윤활부재(r1,r2)에 의하여 지지되어 원활한 활주가 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부재(r1,r2)는 아세탈, 테플론 소재 등의 윤활특성을 갖는 부재를 활용할 수 있고, 기타 금속 소재도 활용할 수 있으며, 소음특성, 마찰특성, 윤활성, 4계절의 온도편차 등의 고려나 쿠션 기능을 고려하여 속이 꽉 찬 환봉형 부재 또는 속이 빈 튜브형 부재, 그리고 합성수지나 금속 소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ㅇ채용할 수 있다.
또 원형 단면을 갖는 윤활부재(r1,r2)를 설치부(11r,13r)에 억지 끼움 식으로 결합하고 윤활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부는 윤활부재의 외주면을 55~75% 정도 감싸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변형예의 벨트모듈(V3)에서 대차(50)가 롤러는 메인롤러(R1) 하나만이 구비되어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창문(W)의 유리는 진공층을 사이에 둔 이중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슬라이딩 벨트모듈(V, V2, V3)을 창틀(F)의 상부(좌우 슬라이딩 개폐형)나, 좌우측(상하 슬라이딩 개폐형)에 설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생략하였고, 또 기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창호시스템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본 시스템(S1~S3: 제1 내지 제3실시예, S로 통일)
F: 창틀 F1: 장착부
W, W1, W2: 창문
V: 슬라이딩 벨트모듈(V1~V3: 제1 내지 제3실시예, V로 통일)
제1실시예
100: 하우징 110: 노출면
120: 안착부 120: 안착홈
130: 개구부 140: 안착돌기
150: 공간부
200: 벨트 210: 돌기부
300: 대차 310: 누름부재
320: 수용홈부 330: 결합고정부
제2 및 제3실시예
10: 벨트 20: 텐션조절체
30A,30B: 벨트풀리 40: 하우징
41,43,45,47: 수용부 50: 대차
R1,R2: 롤러

Claims (4)

  1. 하부, 상부, 좌측 및 우측의 일부 또는 모두에 장착부를 갖는 창틀;
    상기 창틀에 구비되어 움직이는 미닫이 창문;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노출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는 벨트 및, 상기 창문이 결합되고 상기 벨트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노출면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벨트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벨트를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개구부 및, 개구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배치된 안내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홈은 상기 안내돌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부와, 수용홈부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내 공간부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정부에는 상기 대차의 이동성을 부가하는 이동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20160049236A 2015-05-18 2016-04-22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170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270 WO2016186451A1 (ko) 2015-05-18 2016-05-18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9102 2015-05-18
KR1020150069102 2015-05-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92A Division KR20160135680A (ko) 2015-05-18 2016-07-25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48A true KR20160135648A (ko) 2016-11-28
KR101703119B1 KR101703119B1 (ko) 2017-02-06

Family

ID=57706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236A KR101703119B1 (ko) 2015-05-18 2016-04-22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20160094292A KR20160135680A (ko) 2015-05-18 2016-07-25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92A KR20160135680A (ko) 2015-05-18 2016-07-25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03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2567A (zh) * 2020-11-27 2021-03-16 盐城中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门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814B1 (ko) * 2016-11-18 2019-12-02 김성만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CN110529033A (zh) * 2019-07-31 2019-12-03 合肥四周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可以进行粉尘清理式推拉防霾窗
KR102197822B1 (ko) 2020-08-19 2021-01-04 피디아이 주식회사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KR102616091B1 (ko) 2020-12-24 2023-12-20 피디아이 주식회사 도어용 하부 안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3A (ja) * 1996-07-04 1998-02-03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KR20100001473A (ko) * 2008-06-27 2010-01-06 최민규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
KR101016211B1 (ko) * 2010-08-18 2011-02-25 이문희 터널 비상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83A (ja) * 1996-07-04 1998-02-03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KR20100001473A (ko) * 2008-06-27 2010-01-06 최민규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
KR101016211B1 (ko) * 2010-08-18 2011-02-25 이문희 터널 비상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2567A (zh) * 2020-11-27 2021-03-16 盐城中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119B1 (ko) 2017-02-06
KR20160135680A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119B1 (ko) 슬라이딩 플랫 윈도우 시스템
KR101456898B1 (ko) 폴딩도어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AU2015200393B2 (en)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20200056419A1 (en) Door guide frame of detachable segment structure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KR101884911B1 (ko) 슬라이딩 벨트모듈을 구비한 방풍형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101466870B1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KR20110035338A (ko)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101704356B1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US20130199737A1 (en) Blinds-between-glass window with thermal break
KR102197822B1 (ko) 비노출형 레일을 갖춘 창호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EP0565492A2 (en) Thermal cut section member assembly for making sliding wing window and door frames
KR102504250B1 (ko) 유격이 없는 창호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20140105894A (ko) 구조변경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장치
KR101710422B1 (ko)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KR10189141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140123718A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 부재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101939999B1 (ko) 승강형 고정장치, 슬라이딩 벨트모듈, 수평조절 서포터 및 이들을 이용한 창틀 시공 시스템
KR101553675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KR102503629B1 (ko) 무피스 착탈구조를 가진 창호용 호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