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339B1 -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339B1
KR101021339B1 KR1020100092265A KR20100092265A KR101021339B1 KR 101021339 B1 KR101021339 B1 KR 101021339B1 KR 1020100092265 A KR1020100092265 A KR 1020100092265A KR 20100092265 A KR20100092265 A KR 20100092265A KR 101021339 B1 KR101021339 B1 KR 10102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e gear
gear
hous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남호
Original Assignee
구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남호 filed Critical 구남호
Priority to KR102010009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방화문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즈 및 상기 도어클로즈의 암에 연결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즈에 형성되는 암의 일측이 인접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단면이 원 형태의 볼이 형성되며, 내부로는 볼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 및 완충스프링을 걸림하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내부에서 하우징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이격되며,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안착되는 본체 하측 지점으로 도어클로즈 암과 연결되어 피스부재를 통해 구동기어와 체결되는 결합체; 후단이 하우징에 형성되는 볼에 맞닿게 형성되며 선단이 상기 구동기어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어 구동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선단측으로 하여금 구동기어의 구속여부를 결정하는 스토퍼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수단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방화문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도어클로즈가 설치된 방화문에 간편하게 접목 가능하여 사용 상의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Automatic closing device for a fire door}
본 발명은 아파트 및 빌딩과 같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나 불길이 건물 내부의 인접지역으로 번지지 않도록 방화문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 후진되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도어클로즈의 암과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이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화문을 작동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재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재 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현재 빌딩이나 아파트가 초고층화되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기질식이나 옮겨붙는 불에 의해서 많은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방화문을 화재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방화문의 상방에는 스프링의 탄성 및 유압을 통해 열려진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도어클로즈가 부설되어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어클로즈는 방화문 상측에 취부되는 자동폐쇄장치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자동폐쇄장치는 방화문을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클로즈와 연결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형성되어 평상 시에는 구속수단을 통해 연결수단을 구속하여 방화문을 개방시켜놓다가 화재가 감지되면 구속수단이 연결수단을 구속하지 않게 구동되어 도어클로즈의 스프링의 탄성 및 유압에 의해 방화문이 폐쇄됨으로써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자동폐쇄장치는 등록실용 20-0410354호를 꼽을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패널과; 통공이 형성된 커버와;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모크디텍터와; 스모크디텍터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즈를 단속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도어클로즈의 길이조절암과 작동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스모트디텍터와 작동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스모크디텍터와 연결되는 연기감지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클로즈와 연결되는 연결수단은 회전부와 대응되고, 연결수단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은 작동부와 대응되어 종래의 자동폐쇄장치와 같이 화재 시에 자동으로 방화문을 폐쇄하여 화재 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등록실용 20-0410354호의 회전부 및 작동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되는 부품이 과다하여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잔고장이 일어날 염려가 있으며 동작이 신속하지 않으면서도 기 설치된 도어클로즈에 접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 후진되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도어클로즈의 암과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이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화문을 작동할 수 있어 화재 시에 신속하게 방화문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방화문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즈 및 상기 도어클로즈의 암에 연결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즈에 형성되는 암의 일측이 인접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단면이 원 형태의 볼이 형성되며, 내부로는 볼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 및 완충스프링을 걸림하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내부에서 하우징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이격되며,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가 안착되는 본체 하측 지점으로 도어클로즈 암과 연결되어 피스부재를 통해 구동기어와 체결되는 결합체; 후단이 하우징에 형성되는 볼에 맞닿게 형성되며 선단이 상기 구동기어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어 구동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선단측으로 하여금 구동기어의 구속여부를 결정하는 스토퍼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기어의 이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며, 스토퍼수단의 선단이 래칫기어의 기어 이 사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로 하우징의 선단 및 후단으로 하우징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로 전기를 충전하며 구동모터에 대한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로 전기를 인가하는 콘덴서 또는 충전지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 충전지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구동모터에 인가하는 제어부와,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제어부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가 구비되는 제어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하우징에 도어클로즈 암과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스토퍼수단이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방화문이 개방 또는 폐쇄되기 때문에,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수단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방화문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도어클로즈가 설치된 방화문에 간편하게 접목 가능하여 사용 상의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수단의 선단을 구동기어를 래칫기어로 형성하고 스토퍼수단의 선단을 래칫기어의 기어이 사이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스토퍼수단이 구동기어를 가압하여도 구동기어의 래칫구조로 인해 방화문의 개방이 이루어져 보통의 출입문처럼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화재 감지 시에는 방화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인하여 전, 후진되는 하우징의 선단 및 후단에는 하우징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전, 후방으로의 이동을 정확히 설정하여 구동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스토퍼수단으로 하여금 구동기어를 스토퍼하지 못하거나 과하게 구동기어의 기어이 사이를 강하게 가압하여 기어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시에 구동모터를 작동하는 화재감지수단 및 전선의 파손에 대비하여 구동모터를 임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성되기 때문에, 화재 시에 방화문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a), (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어의 결합체와 도어클로즈 암이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제1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제1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제2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a), (b)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에 의해 전, 후진되는 스토퍼수단의 제2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a),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제2형태의 힌지수단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스토퍼수단의 제1, 2형태를 나타내는 도 10 내지 14를 제외한 나머지 도면은 제3형태의 스토퍼수단을 적용하여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a), (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화문(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화재 시에 도어클로즈로 하여금 방화문(1)을 자동으로 폐쇄시켜 연기 및 불길의 차단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는, 방화문(1)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즈 암(6)을 구속하여 평상 시에는 방화문(1)을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다가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폐쇄장치가 구동하여 도어클로즈 암(6)의 구속상태를 해제시켜 도어클로즈(5)가 가지는 스프링의 탄성 및 유압에 의해 방화문(1)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는 도 2, 4,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즈(5) 및 상기 도어클로즈 암(6)과 연결되어 작동되며, 그 외형은 방화문(1)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즈(5)에 형성되는 암(6)의 일측이 인접되는 본체(1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 내부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21)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20)가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는 화재 감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모터(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하우징(30)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0)은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은 회전축(21)의 나사산과 치합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30)이 전, 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타측으로는 단면이 원 형태의 볼(31)이 형성되며, 상기 볼(31)의 후부로는 볼(31)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33) 및 완충스프링(33)을 걸림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판(35)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스토퍼수단(50)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을 안내시키는 안내가이드(37)가 본체(10)에 안착되어 하우징(30)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 선단에 이격되는 위치에는,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는 구동기어(40)가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40)가 안착되는 본체(10) 하측 지점으로 도어클로즈 암(6)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는 돌출되어 하부 표면으로 나사(42)가 형성되는 결합체(41)가 형성되어 피스부재(45)로 인해 구동기어(40)와 결합체(41)가 상호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기어(40)와 상호 체결된 결합체(41)는 본체(10) 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어클로즈(5)에 형성된 암(6)과 결합되며 구동기어(40)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이가 후술되는 스토퍼수단(50)을 통해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도어클로즈(5)로 하여금 방화문(1)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거나 방화문(1)을 폐쇄할 수 있도록 작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41)와 결합되는 도어클로즈 암(6)의 단부측 표면으로 결합체(41)에 형성되는 나사(42)와 대응되는 나사(7)가 형성되어 상호 치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체(41)와 도어클로즈 암(6)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어클로즈 암(6)의 후부에서 결합체(41) 및 구동기어(4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3)가 더 구성된다.
상기 체결볼트(43)가 체결되는 결합체(41) 및 구동기어(40)에는 체결볼트(43)와 치합되는 나사산(s)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수단(50)은 구동기어(40)를 구속 또는 구속을 해제시켜 방화문(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후단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볼(31)에 맞닿게 형성되며 선단이 상기 구동기어(40)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선단측으로 하여금 구동기어(40)의 구속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으로 인하여 회전축(21)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하우징(30)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전방으로 이동된 하우징(30)의 볼(31)이 스토퍼수단(5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40)를 구속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40)가 구속되면 구동기어(40)의 결합체(41)와 결합된 도어클로즈 암(6) 또한 구속되어 도어클로즈(5)에서 발생되는 방화문(1)이 폐쇄되는 힘을 압도하여 방화문(1)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방화문(1)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화재 감지 또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전기적 신호를 통해 구동모터(20)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하우징(30) 또한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우징(30)의 볼(31)에 맞닿은 스토퍼수단(50)의 중앙측이 볼(31)에서 미끄러져 후측으로 이동되게 되면 구동기어(40)와 치합되는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구동기어(40)에서 이탈되어 구동기어(4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수단(50)에 의한 구동기어(40)의 구속이 해제되면 도어클로즈(5)의 스프링 탄성 및 유압으로 하여금 방화문(1)이 폐쇄되어 화재 시에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수단(5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0)의 구동 여부에 의해 구동기어(40)를 구속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수단(50)은 제1, 2, 3형태로 각각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수단(50)의 제1형태를 살펴보면,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양측의 선단부에는 구동기어(40)에 형성된 다수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측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볼(31)에 맞닿게 구성됨으로써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30)과 함께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선단측으로 하여금 구동기어(40)의 구속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형태의 스토퍼수단(50)의 후측에는 수평으로 절게되는 절개홈(h)이 형성되어 스토퍼수단(50)의 좌우이동을 도모하도록 하며 상기 절개홈(h)에 인입되는 고정핀(p)이 구성되어 좌우이동되는 스토퍼수단(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형태의 스토퍼수단(50)은 양측에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볼에 미끄러져 후측으로 이동되고 난 후 도어클로즈(5)에 의한 방화문(1)이 폐쇄됨에 따라 구동기어(40)가 회전될 때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구동기어(40)에 마찰되어 구동기어(40)의 회전력을 감쇄 또는 미회전시킬 수 있으나 하우징(30) 내에 탄설되는 완충스프링(33)으로 하여금 구동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마찰될 때 탄성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후진됨으로써 스토퍼수단(50)이 구동기어(4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고정핀(p)에 공지의 탄성체를 걸어주어 양측이 사선으로 형성된 스토퍼수단(50)이 구동기어(40) 측에 계속적인 탄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수단의 제2형태를 살펴보면, 도 12, 13,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수단(50)은 구동기어(40)의 일측 외주연을 수용할 수 있는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의 내측으로 안착홈(50h)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0h) 내부에서 힌지회동되어 일측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형태인 힌지부재(50a)로 이루어지며, 더욱 자세히는 상기 힌지부재(50a)는 힌지회동이 일측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힌지부재(50a)의 일측이 안착홈(50h)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방화문(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는 구동기어(40)가 회전되면 구동기어(40)의 기어이가 힌지부재(50a)에 마찰되면 힌지부재(50a)는 힌지회동되어 구동기어(40)를 구속하지 않으면서도 방화문(1)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구동기어(40)가 회전되면 힌지부재(50a)는 안착홈이 걸림되어 구동기어(40)를 구속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힌지부재에 공지의 탄성체를 걸어주어 힌지부재(50a)가 구동기어(40) 측에 계속적인 탄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수단(50)의 제3형태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볼(31)에 이격되어 중앙에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되며 각각의 연장되는 측에 수직방향의 안내홈(52)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개방홈(53)이 형성되는 고정체(5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51)와 동일하게 중앙으로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되되, 연장된 양측이 고정체(51)의 안내홈(52)에 각각 인입되며 중앙이 고정체(51)의 개방홈(53)에 위치되어 볼(31)에 맞닿게 형성되고 양측의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재(55)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3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스토퍼수단(50)의 스토퍼부재(55) 중앙측이 볼(31)과 맞닿게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되면서 고정체(51)의 안내홈(52)에 인입된 상태로 이동되어 스토퍼부재(55)가 고정체(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이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래칫기어(rachet gear)로 이루어지며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은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의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구동기어(40)에 치합되면 구동기어(40)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반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을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하더라도 방화문(1)이 개방하기 위해 구동기어(40)를 회전할 때 구동기어(40)는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을 타고 회전되어 구동기어(40)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으며, 방화문(1)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구동기어(40)가 회전시키고자 하면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걸림하여 구동기어(40)를 구속할 수 있게 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 전에는 방화문(1)이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스토퍼수단(50)에 구동기어(40)가 치합되어도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스토퍼수단(50)과 구동기어(40)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방화문(1)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방화문(1)의 개방각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지만 개방된 방화문(1)을 폐쇄할 때에는 반드시 구동모터(20)를 구동시켜 하우징(30)에 형성된 볼(31)로 하여금 스토퍼수단(50)을 후진으로 이동시켜야만 스토퍼수단(50)과 구동기어(40)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도어클로즈(5)로 인하여 방화문(1)이 폐쇄됨으로써, 평소에는 방화문(1)을 보통의 출입문처럼 사용하면서 화재 감지 시에는 방화문(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실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구동모터(20)가 구동되는 시간이 길거나 짧으면 스토퍼수단(50)으로 하여금 구동기어(40)를 스토퍼하지 못하거나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를 과다하게 가압하여 기어이가 파손되어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의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으므로 하우징(30)의 전, 후방으로의 이동을 정확히 설정하여 구동모터(20)를 구동하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 또는 후진되어 이탈될 수 있도록 하우징(30)이 이동되는 위치, 즉 하우징(30)의 선단 및 후단측으로 하우징(30)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감지하여 하우징(30)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스토퍼수단(50)이 구동기어(40)에 치합되게 되면 하우징(30) 선단에 위치한 감지센서(60)가 하우징(30)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하고 구동기어(40)에 치합된 스토퍼수단(50)이 구동기어(40)에서 이탈되도록 하우징(30)이 후진하면 하우징(30) 후단에 위치한 감지센서(60)가 하우징(30)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및 사용자의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외부 전기를 통해 전기를 인가받아 작동하게 되는 데 외부전기 단선되면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20)로 전기를 인가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로 전기를 충전하여 구동모터(20)로 인가하는 콘덴서(71) 또는 충전지(73)가 구성된다.
또한 외부의 화재감지수단과 같은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71), 충전지(73)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구동모터(20)에 인가하는 제어부(75)가 구성되고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75)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77)가 구비되는 제어기(70)가 구성된다.
따라서 화재 시에 화재감지수단의 파손이나 외부전기와 구동모터(20)를 연결되는 전선의 파손이 발생되어도 상기 제어기(70)를 통해 구동모터(20)를 구동할 수 있어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를 통해 방화문(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 방화문 5 : 도어클로즈
6 : 도어클로즈 암 7 : 나사
10 : 본체 20 : 구동모터
21 : 회전축 30 : 하우징
31 : 볼 33 : 완충스프링
35 : 걸림판 37 : 안내가이드
40 : 구동기어 41 : 결합체
42 : 나사 43 : 체결볼트
s :나사산 50 : 스토퍼수단
h : 절개홈 p : 고정핀
50h : 안착홈 50a : 힌지부재
51 : 고정체 52 : 안내홈
53 : 개방홈 55 : 스토퍼부재
60 : 감지센서 70 : 제어기
71 : 콘덴서 73 : 충전지
75 : 제어부 77 : 리셋부

Claims (8)

  1. 도어클로즈(5)가 설치되는 방화문(1)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클로즈(5)의 암(6)과 연결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1)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즈(5)에 형성되는 암(6)의 일측이 인접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21)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20);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단면이 원 형태의 볼(31)이 형성되며, 내부로는 볼(31)을 탄성지지하는 완충스프링(33) 및 완충스프링(33)을 걸림하는 걸림판(35)이 형성되는 하우징(30);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하우징(30)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37);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에 이격되며,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는 구동기어(40); 및 상기 구동기어(40)가 안착되는 본체(10) 하측 지점으로 도어클로즈 암(6)과 연결되어 피스부재(45)를 통해 구동기어와 체결되는 결합체(41);
    후단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볼(31)에 맞닿게 형성되며 선단이 상기 구동기어(40)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선단측으로 하여금 구동기어(40)의 구속여부를 결정하는 스토퍼수단(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50)은 중앙에서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단부에는 구동기어(40)에 형성된 다수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며 중앙측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볼(31)에 맞닿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수단(50)의 후측에는 수평으로 절게되는 절개홈(h)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h)에 인입되는 고정핀(p)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50)은 구동기어(40)의 일측 외주연을 수용할 수 있는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의 내측으로 안착홈(50h)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0h) 내부에서 힌지회동되어 일측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형태인 힌지부재(50a)로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재(50a)는 힌지회동이 일측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일측이 안착홈(50h)의 단부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50)은 하우징(30)에 형성되는 볼(31)에 이격되어 중앙에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되며 각각의 연장되는 측에 수직방향의 안내홈(52)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개방홈(53)이 형성되는 고정체(5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51)와 동일하게 중앙에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연장되되, 연장된 양측이 고정체(51)의 안내홈(52)에 각각 인입되며 중앙이 고정체(51)의 개방홈(53)에 위치되어 볼(31)에 맞닿게 형성되고 양측의 선단이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재(55)로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40)는 기어이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며, 스토퍼수단(50)의 선단이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기어(4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로 하우징(30)의 선단 및 후단으로 하우징(30)이 전, 후방으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40)의 결합체(41)는 도어클로즈(5)의 암(6)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 표면으로 나사(4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41)와 결합되는 암(6)의 단부측 표면으로 결합체(41)에 형성되는 나사(42)와 대응되는 나사(7)가 형성되어 상호 치합되도록 구성되며, 도어클로즈 암(6)의 후부에서 결합체(41) 및 구동기어(4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43)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로 전기를 충전하며 구동모터(20)에 대한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20)로 전기를 인가하는 콘덴서(71) 또는 충전지(73)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71), 충전지(73)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구동모터(20)에 인가하는 제어부(75)와,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제어부(75)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77)가 구비되는 제어기(7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20100092265A 2010-09-20 2010-09-20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02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265A KR101021339B1 (ko) 2010-09-20 2010-09-20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265A KR101021339B1 (ko) 2010-09-20 2010-09-20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339B1 true KR101021339B1 (ko) 2011-03-14

Family

ID=4393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265A KR101021339B1 (ko) 2010-09-20 2010-09-20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3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020B1 (ko) 2010-12-23 2011-08-16 주식회사 쉴드텍 반자동 전자파 차폐 스윙식 도어
KR101254451B1 (ko) * 2011-11-26 2013-04-12 최보식 방화문의 자동폐쇄장치
KR101486167B1 (ko) 2013-10-31 2015-02-02 윤정식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KR20180087708A (ko) 2017-01-25 2018-08-0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CN110761637A (zh) * 2019-08-20 2020-02-07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防火门窗用打开停定结构
CN115387706A (zh) * 2022-08-17 2022-11-25 吉林建筑大学 一种钢结构装配式住宅防火窗台和应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54Y1 (ko) 2005-12-14 2006-03-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20060100016A (ko) * 2005-03-16 2006-09-20 이재권 도어의 힌지축 제어장치
KR200428319Y1 (ko) 2006-07-27 2006-10-11 유병규 제연감지 도어 해정기
KR100823138B1 (ko) 2007-04-06 2008-04-21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도어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016A (ko) * 2005-03-16 2006-09-20 이재권 도어의 힌지축 제어장치
KR200410354Y1 (ko) 2005-12-14 2006-03-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200428319Y1 (ko) 2006-07-27 2006-10-11 유병규 제연감지 도어 해정기
KR100823138B1 (ko) 2007-04-06 2008-04-21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도어 스토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020B1 (ko) 2010-12-23 2011-08-16 주식회사 쉴드텍 반자동 전자파 차폐 스윙식 도어
KR101254451B1 (ko) * 2011-11-26 2013-04-12 최보식 방화문의 자동폐쇄장치
KR101486167B1 (ko) 2013-10-31 2015-02-02 윤정식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KR20180087708A (ko) 2017-01-25 2018-08-0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CN110761637A (zh) * 2019-08-20 2020-02-07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防火门窗用打开停定结构
CN115387706A (zh) * 2022-08-17 2022-11-25 吉林建筑大学 一种钢结构装配式住宅防火窗台和应用方法
CN115387706B (zh) * 2022-08-17 2023-12-01 吉林建筑大学 一种钢结构装配式住宅防火窗台和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339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195317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486167B1 (ko)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KR20120132250A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101326363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0846747B1 (ko) 안전 게이트 유닛
KR100928682B1 (ko)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
KR101195324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100938129B1 (ko) 기계식 도어클로저
KR10101056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KR200465862Y1 (ko) 문 자동잠금장치
KR101225960B1 (ko)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KR10125660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100759712B1 (ko) 복수의 방화문을 동시에 폐쇄하는 방화문 동시 폐쇄시스템.
KR100426098B1 (ko)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100117422A (ko) 방화문용 도어 릴리스 장치
KR101010562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KR101901401B1 (ko)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KR100906990B1 (ko) 탄성력 조절장치
KR100567769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100933069B1 (ko) 건축현장용 세대내 자동 안전문 장치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KR101327543B1 (ko) 도어 체크용 폐문 장치
KR20120062286A (ko) 방화문 도어클로져용 폐쇄력 보조장치
KR100866263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