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317B1 -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317B1
KR101195317B1 KR1020100126672A KR20100126672A KR101195317B1 KR 101195317 B1 KR101195317 B1 KR 101195317B1 KR 1020100126672 A KR1020100126672 A KR 1020100126672A KR 20100126672 A KR20100126672 A KR 20100126672A KR 101195317 B1 KR101195317 B1 KR 10119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fire door
stopper mean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508A (ko
Inventor
구남호
Original Assignee
구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남호 filed Critical 구남호
Priority to KR1020100126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3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05Y2400/614Batteries charg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도어클로져가 구비되는 방화문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클로져의 암과 연결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져에 형성되는 암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 후 이동되며, 선단측으로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의 양측으로 단면이 반원인 형태의 인입홈이 전, 후방으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안착판이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내부에서 하우징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후단이 하우징의 안착판에 안착되며 안착된 하부 양측으로는 인입홈에 각각 대칭되도록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양측이 분리되어 기어형태로 이루어지는 치합부재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는 스토퍼수단; 상기 스토퍼수단의 선단에 이격되며, 치합부재에 치합되도록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도어클로져 암과 연결되어 도어클로져와 같이 회전되는 연동축이 수용되어 연동축과 함께 연동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방화문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화재발생시에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수단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어클로져가 설치된 방화문에 간편하게 접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Automatic closing device for a fire door}
본 발명은 아파트 및 빌딩과 같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나 불길이 건물 내부의 인접지역으로 번지지 않도록 방화문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 후진되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도어클로져의 암과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이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화문을 작동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재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재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현재 빌딩이나 아파트가 초고층화되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바, 화재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기질식이나 옮겨 붙은 불에 의해서 많은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방화문을 화재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방화문의 상방에는 스프링의 탄성 및 유압을 통해 열려진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도어클로져가 부설되어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어클로져는 방화문 상측에 취부되는 자동폐쇄장치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자동폐쇄장치는 방화문을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클로져와 연결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이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구속수단을 통해 연결수단을 구속하여 방화문을 개방시켜놓다가 화재가 감지되면 구속수단이 연결수단을 구속하지 않게 구동되어 도어클로져의 스프링의 탄성 및 유압에 의해 방화문이 폐쇄됨으로써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자동폐쇄장치는 등록실용 20-0410354호를 꼽을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패널과; 통공이 형성된 커버와;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모크디텍터와; 스모크디텍터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져를 단속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도어클로져의 길이조절암과 작동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회전부와; 스모트디텍터와 작동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스모크디텍터와 연결되는 연기감지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클로져와 연결되는 연결수단은 회전부와 대응되고, 연결수단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은 작동부와 대응되어 종래의 자동폐쇄장치와 같이 화재시에 자동으로 방화문을 폐쇄하여 화재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등록실용 20-0410354호의 회전부 및 작동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되는 부품이 과다하여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잔고장이 일어날 염려가 있으며 동작이 신속하지 않으면서도 기존에 설치된 도어클로져에 접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 후진되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도어클로져의 암과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이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화문을 작동할 수 있어 화재시에 신속하게 방화문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도어클로져가 구비되는 방화문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클로져의 암과 연결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져에 형성되는 암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 후 이동되며, 선단측으로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의 양측으로 단면이 반원인 형태의 인입홈이 전, 후방으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안착판이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내부에서 하우징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후단이 하우징의 안착판에 안착되며 안착된 하부 양측으로는 인입홈에 각각 대칭되도록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양측이 분리되어 기어형태로 이루어지는 치합부재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는 스토퍼수단; 상기 스토퍼수단의 선단에 이격되며, 치합부재에 치합되도록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도어클로져 암과 연결되어 도어클로져와 같이 회전되는 연동축이 수용되어 연동축과 함께 연동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수단의 상측으로는 탄성체를 수용한 장력볼트가 체결되어 탄성체의 장력이 스토퍼수단의 중심을 가압하게 됨으로서 스토퍼수단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합부재는, 선단측으로 구동기어를 치합하여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측으로는 스토퍼수단의 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핀이 형성되어 스토퍼수단의 선단에서 회동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치합체가 양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합체의 후측과 스토퍼수단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어 치합체의 후측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회동핀에 의해 회동되는 치합체가 회동 후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토션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하우징의 선단 및 후단으로 하우징이 전, 후방으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로 전기를 충전하며 구동모터에 대한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로 전기를 인가하는 콘덴서 또는 충전지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 충전지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구동모터에 인가하는 제어부와,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제어부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가 구비되는 제어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하우징에 도어클로져 암과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스토퍼수단이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구동기어를 구속여부를 결정하여 방화문이 개방 또는 폐쇄되기 때문에, 방화문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화재발생시에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구동기어를 구속하는 수단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어클로져가 설치된 방화문에 간편하게 접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수단의 하부로 인입구가 형성되고 안착판으로 인입구가 구분되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면서도 스토퍼수단의 선단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 후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치합체가 구동기어를 구속하기 때문에, 개방된 방화문에 일정한 힘을 가하면 방화문의 폐쇄가 이루어지면서도 폐쇄된 방화문을 다시 개방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보통의 출입문처럼 사용 가능하면서도 화재시에는 미처 안전한 장소로 대피를 못한 대피자들이 임의적으로 방화문을 개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대피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수단의 상측으로 탄성체를 수용한 장력볼트가 체결되기 때문에, 탄성체의 장력으로 하여금 스토퍼수단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스토퍼수단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인하여 전, 후진되는 하우징의 선단 및 후단에는 하우징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전, 후방으로의 이동을 정확히 설정하여 구동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스토퍼수단으로 하여금 구동기어를 스토퍼하지 못하거나 과하게 구동기어의 기어이 사이를 강하게 가압하여 기어이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시에 구동모터를 작동하는 화재감지수단 및 전선의 파손에 대비하여 구동모터를 임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성되기 때문에, 화재시에 방화문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수단의 인입구가 하우징의 인입구에 인입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a), (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어가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a), (b)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우선 통상적인 방화문(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화재시에 도어클로져로 하여금 방화문(1)을 자동으로 폐쇄시켜 연기 및 불길의 차단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는, 방화문(1)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져 암(6)을 구속하여 평상시에는 방화문(1)을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다가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폐쇄장치가 구동하여 도어클로져 암(6)의 구속상태를 해제시켜 도어클로져(5)가 가지는 폐쇄력에 의해 방화문(1)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져(5) 및 상기 도어클로져 암(6)과 연결되어 작동되며, 그 외형은 방화문(1)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져(5)에 형성되는 암(6)이 관통되어 수용되는 본체(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방화문의 폐쇄됨을 감지하는 센서(10s)가 더 구성된다.
상기 본체(10) 내부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21)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20)가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0)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는 화재 감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모터(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하우징(30)이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30)은 후측으로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홈(3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31)에 형성된 나사산은 구동모터(20)에 형성된 회전축(21)의 나사산과 치합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전, 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0)의 선단측으로는 후술되는 스토퍼수단(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안착판(33)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판(33)의 표면 양측으로는 단면이 반원인 형태의 인입홈(34)이 전, 후방으로 구분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전, 후 이동되는 하우징(30)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0)가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의 안착판(33)으로 후단이 안착되며 안착된 하부 양측으로는 인입홈(34)에 각각 대칭되도록 인입되는 인입구(51)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양측이 분리되어 후술되는 구동기어(70)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되도록 기어 형태로 이루어지는 치합부재(60)가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어 구동기어(70)의 구속여부를 결정하는 스토퍼수단(5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이격되며, 치합부재(60)에 치합되도록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도어클로져 암(6)과 연결되어 도어클로져(5)와 같이 회전되는 연동축(71)이 수용되어 연동축(71)과 함께 연동되는 구동기어(7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70)에 수용되는 연동축(71)은 본체(10)에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모터(20)의 구동으로 인하여 회전축(21)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하우징(30)은 안내가이드(40)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고 전방으로 이동된 하우징(30)에 의해 하우징(30)의 안착판(33)에 안착된 스토퍼수단(5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스토퍼수단(50)의 치합부재(60)가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70)를 구속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수단(50)이 구동기어(70)에 치합되는 형태는, 스토퍼수단(50)에 형성되는 인입구(51)가 하우징(30)의 인입홈(34)에 상호 대칭되는 상태로 인입되기 때문에 양측이 각각 치합되는 것이 아니라 스토퍼수단(50)의 어느 일측이 구동기어(70)에 치합된다.
상기 구동기어(70)가 구속되면 구동기어(70)에 수용되어 도어클로져(5)와 함께 회전하는 연동축(71) 및 도어클로져 암(6) 또한 구속되어 도어클로져(5)에서 발생되는 방화문(1)이 폐쇄되는 힘을 압도하여 방화문(1)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 방화문(1)은 화재 감지 또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전기적 신호를 통해 구동모터(20)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하우징(3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우징(30)의 안착판(33)에 안착된 스토퍼수단(50) 또한 후측으로 이동되게 되어 구동기어(70)와 치합되는 치합부재(60)가 구동기어(70)에서 이탈됨으로써 구동기어(7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 치합부재(60)에 의하여 구동기어(70)의 구속이 해제되면 도어클로져(5)의 유압으로 하여금 방화문(1)이 폐쇄되어 화재시에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소방법규에 의하면 사용자 및 대피자가 도어클로져(5)의 폐쇄력보다 많은 힘을 가하면 임의로 방화문(1)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져 하는데 본 발명에서도 치합부재(60)에 구동기어(70)가 치합되어 방화문(1)이 고정되어도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치합부재(60)와 구동기어(70)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방화문(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수단(50)은 개방된 방화문(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방화문(1)에 힘을 가하면 도어클로져 암(6)과 연동축(71)에 의해 구동기어(70)는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70)에 어느 일측이 치합되는 치합부재(60)는 구동기어(7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측의 스토퍼수단의 치합부재(60)가 뒤로 젖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분되게 형성된 전방측에 형성된 인입홈(34)에 인입된 인입구(51)가 후측의 인입홈(34)으로 이동되어 인입되게 되어 젖혀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때 힘을 가하는 방향의 구동기어(70)측은 치합부재(60)에 구속되지 않아 방화문(1)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져 구동모터(20)를 따로 구동하지 않더라도 방화문(1)으로 하여금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대피도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1)의 개폐 또는 개방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70)로 인해 스토퍼수단(50)이 뒤로 젖혀질 때 스토퍼수단(50)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수단(50)의 상측으로 탄성체(91)를 수용한 장력볼트(90)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91)의 장력으로 하여금 스토퍼수단(50)의 중심을 가압하게 됨으로서 구동기어(70)로 인한 스토퍼수단(50)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인입구(51)가 구분되게 전, 후방으로 형성된 인입홈(34)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력볼트(90)의 체결 정도에 따라 탄성체(91)를 가압하는 장력을 조절하여 스토퍼수단(50)으로 제공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력볼트(90)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장력볼트(90)의 하부로 통상의 너트를 체결하여 장력볼트(90)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치합부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구동기어(70)를 치합하여 구동기어(70)를 구속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측으로는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핀(62)이 형성되어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서 회동핀(6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치합체(6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치합체(61)의 후측과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어 치합체(61)의 후측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회동핀(62)에 의해 회동되는 치합체(61)가 회동 후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6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합부재(60)로 인해 스토퍼수단(50)의 인입구(51) 및 하우징(30)의 인입홈(34)이 없이도 구동기어(70)에 치합체(61)가 치합된 상태의 방화문(1)을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구동기어(70)를 회전시키면 회전되는 방향의 치합체(61)는 회동핀(62)에 의해 회동되어서 구동기어(70)를 구속하지 않다가 방화문(1)의 폐쇄 또는 개방이 완료되면 토션스프링(63)에 의해 치합체(61)는 원래 위치로 회동된 후 회동된 치합체(61)로 하여금 구동기어(70)를 다시 구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70)는 기어이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래칫기어(rachet gear)로 이루어지며, 치합체(61)의 선단은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될 수 있도록 래칫기어 형태로 형성한다.
즉 치합체(61)의 선단이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더라도 방화문(1)을 개방하기 위해 구동기어(70)가 회전될 때 구동기어(70)는 치합체(61)의 선단을 타고 회전되어 구동기어(7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으며, 방화문(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구동기어(70)를 회전시키고자 하면 치합체(61)가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에 걸림하여 구동기어(70)를 구속할 수 있게 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 전에는 방화문(1)이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구동모터(20)가 구동되는 시간이 짧거나 길면 치합체(61)로 하여금 구동기어(70)를 스토퍼하지 못하거나 치합체(61)가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를 과다하게 가압함으로써 기어이가 파손되어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의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가 있으므로 하우징(30)의 전, 후방으로의 이동을 정확히 설정하여 구동모터(20)를 구동하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체(61)의 선단이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 또는 후진되어 이탈될 수 있도록 하우징(30)이 이동되는 위치, 즉 하우징(30)의 선단 및 후단측으로 하우징(30)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감지하여 하우징(30)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8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치합체(61)가 구동기어(70)에 치합되게 되면 하우징(30) 선단에 위치한 감지센서(80)가 하우징(30)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하고 구동기어(70)에 치합된 치합체(61)가 구동기어(70)에서 이탈되도록 하우징(30)이 후진하면 하우징(30) 후단에 위치한 감지센서(80)가 하우징(30)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및 사용자의 임의적인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외부 전기를 통해 전기를 인가받아 작동하게 되는데, 외부전기가 단선되면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20)로 전기를 인가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로 전기를 충전하여 구동모터(20)로 인가하는 콘덴서(101) 또는 충전지(103)가 포함되고,
또한 외부의 화재감지수단과 같은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101), 충전지(103)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구동모터(20)에 인가하는 제어부(105)가 포함되고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05)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107)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제어기(100)가 제공되어진다.
따라서 화재시에 화재감지수단의 파손이나 외부전기와 구동모터(20)를 연결되는 전선의 파손이 발생되어도 상기 제어기(100)를 통해 구동모터(20)를 구동할 수 있어 본 발명인 자동폐쇄장치를 통해 방화문(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 방화문 5 : 도어클로져
6 : 도어클로져 암 10 : 본체
10s : 센서 20 : 구동모터
21 : 회전축 30 : 하우징
31 : 회전홈 33 : 안착판
34 : 인입홈 40 : 안내가이드
50 : 스토퍼수단 51 : 인입구
60 : 치합부재 61 : 치합체
62 : 회동핀 63 : 토션스프링
70 : 구동기어 71 : 연동축
80 : 감지센서 90 : 장력볼트
91 : 탄성체 100 : 제어기
101 : 콘덴서 103 : 충전지
105 : 제어부 107 : 리셋부

Claims (6)

  1. 도어클로져(5)가 구비되는 방화문(1)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클로져(5)의 암(6)과 연결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1)의 상측에 박스 형태로 취부되어 하부로 도어클로져(5)에 형성되는 암(6)이 수용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선단에 형성된 회전축(21)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모터(20);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홈(31)이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전, 후 이동되며, 선단측으로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의 양측으로 단면이 반원인 형태의 인입홈(34)이 전, 후방으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안착판(33)이 구성되는 하우징(30);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하우징(30)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0);
    후단이 하우징(30)의 안착판(33)에 안착되며 안착된 하부 양측으로는 인입홈(34)에 각각 대칭되도록 인입되는 인입구(51)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양측이 분리되어 기어형태로 이루어지는 치합부재(60)가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전, 후진되는 스토퍼수단(50);
    상기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이격되며, 치합부재(60)에 치합되도록 외주연으로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중앙으로 도어클로져 암(6)과 연결되어 도어클로져(5)와 같이 회전되는 연동축(71)이 수용되어 연동축(71)과 함께 연동되는 구동기어(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50)의 상측으로는 탄성체(91)를 수용한 장력볼트(90)가 체결되어 탄성체(91)의 장력이 스토퍼수단(50)의 중심을 가압하게 됨으로서 스토퍼수단(50)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부재(60)는, 선단측으로 구동기어(70)를 치합하여 구동기어(70)를 구속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측으로는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동핀(62)이 형성되어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서 회동핀(62)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치합체(61)가 양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합체(61)의 후측과 스토퍼수단(50)의 선단에 각각 고정되어 치합체(61)의 후측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회동핀(62)에 의해 회동되는 치합체(61)가 회동 후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토션스프링(6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70)는 기어이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며, 치합체(61)의 선단은 래칫기어로 이루어지는 구동기어(70)의 기어이 사이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하우징(30)의 선단 및 후단으로 하우징(30)이 전, 후방으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8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6.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로 전기를 충전하며 구동모터(20)에 대한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20)로 전기를 인가하는 콘덴서(101) 또는 충전지(103)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101), 충전지(103)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구동모터(20)에 인가하는 제어부(105)와,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제어부(105)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107)가 구비되는 제어기(1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20100126672A 2010-12-13 2010-12-13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19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672A KR101195317B1 (ko) 2010-12-13 2010-12-13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672A KR101195317B1 (ko) 2010-12-13 2010-12-13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08A KR20120065508A (ko) 2012-06-21
KR101195317B1 true KR101195317B1 (ko) 2012-10-29

Family

ID=4668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672A KR101195317B1 (ko) 2010-12-13 2010-12-13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691A (ko) 2020-09-14 2022-03-22 김광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344B1 (ko) * 2013-03-12 2015-06-04 윤정식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445289B1 (ko) * 2013-06-28 2014-09-29 주식회사 쉴드텍 전기식 모터 또는 공압식 모터를 이용한 자동 스윙방식 전자파 차폐 도어장치
KR101665047B1 (ko) * 2014-07-01 2016-10-14 김한수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484451Y1 (ko) * 2016-06-28 2017-09-07 김동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38B1 (ko) 2007-04-06 2008-04-21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도어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38B1 (ko) 2007-04-06 2008-04-21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도어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691A (ko) 2020-09-14 2022-03-22 김광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508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317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021339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0759713B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US201002423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roller shutter door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102058079B1 (ko) 환기 및 소방 겸용 댐퍼를 갖는 제연설비
KR101665047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326363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210717B1 (ko) 방화문용 폐쇄력 보조장치
KR101195324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101225960B1 (ko)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KR102181149B1 (ko) 방화문 도어클로저용 자동 개폐장치
KR10101056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JP3142139U (ja) 位置制限式横開きカーテン
KR101901401B1 (ko)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KR20140079673A (ko)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100759712B1 (ko) 복수의 방화문을 동시에 폐쇄하는 방화문 동시 폐쇄시스템.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KR10125660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20100117422A (ko) 방화문용 도어 릴리스 장치
KR101054529B1 (ko) 도어클로저
KR100567769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KR20060023366A (ko) 방화용 도어의 연기감지 자동개폐장치
KR101761890B1 (ko) 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문 비상 개폐 장치
KR100567775B1 (ko) 연기감지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