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29B1 - 도어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29B1
KR101054529B1 KR1020100118419A KR20100118419A KR101054529B1 KR 101054529 B1 KR101054529 B1 KR 101054529B1 KR 1020100118419 A KR1020100118419 A KR 1020100118419A KR 20100118419 A KR20100118419 A KR 20100118419A KR 101054529 B1 KR101054529 B1 KR 101054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ing
motor
gear
interlock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10011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동암과,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문틀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동암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감속기와, 상기 제1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에 연결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2스프링과, 상기 고정봉에 일측이 끼움되되 일측이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 사이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핀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며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도어의 개폐시에 뾰족한 끝단이 상기 제2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제1모터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2감속기와, 상기 제2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회동로드의 일측에 접촉되는 캠과, 상기 회로기판과 전선에 의하여 연결되고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캠과 접촉하는 리밋스위치로 이루어진 도어개폐부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개폐부의 압축스프링 타단이 밀착되며, 상기 제2연동암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비나 사후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기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기존의 도어클로저(door closer)는 출입자가 도어를 열고 들어오거나 나간 후 도어에서 손을 놓으면 도어클로저 내에 설치된 유압시스템에 의해 유압의 힘으로 도어가 서서히 닫히다가 마지막에 빨리 닫히는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클로저는 대부분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유압유가 누설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압식 도어클로저를 방화도어에 사용할 경우에는 화재발생시에 도어클로저 내부의 기름이 고열에 의하여 연소될 수 있으므로, 도어클로저의 기능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기계식 구조로 단순화시켜 제작비나 사후관리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기름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 친화적인 도어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가 폐쇄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자들이 빠른 속도로 닫히는 도어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여지를 제거할 수 있는 도어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는 도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동암과,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건물 문틀에 설치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동암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감속기와, 상기 제1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에 연결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2스프링과, 상기 고정봉에 일측이 끼움되되 일측이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 사이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핀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며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도어의 개폐시에 뾰족한 끝단이 상기 제2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로드와, 상기 제1모터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2감속기와, 상기 제2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회동로드의 일측에 접촉되는 캠과, 상기 회로기판과 전선에 의하여 연결되고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캠과 접촉하는 리밋스위치로 이루어진 도어개폐부와; 상기 케이싱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개폐부의 압축스프링 타단이 밀착되며, 상기 제2연동암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에는 도어를 출입하는 출입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탄성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되,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덮개를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동암은 도어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된 소켓과; 일측이 상기 소켓에 끼움되어 출입하되 이탈방지핀에 의하여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동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단이 상기 소켓의 끝단에 접촉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상기 소켓에 일단이 압축되고 상기 고정판에 타단이 압축되는 제2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는 그 구조가 대부분 기계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유압식 도어클로저에 비하여 고장 발생빈도가 적음과 아울러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수리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사후관리비용이 절감되며, 기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연동암이 회동하고 연이어 회전축과 제2기어가 회전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제2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기어와 제1모터 및 제1감속기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므로 도어가 천천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출입자들이 닫히고 있는 도어에 부딪혀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스프링의 탄성이 탄성조절수단에 의하여 조절됨으로써 도어의 폐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1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2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가 문틀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제1연동암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와 연결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와 연결된 도어가 폐쇄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될 때까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변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탄성조절수단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1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2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가 문틀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제1연동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와 연결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와 연결된 도어가 폐쇄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될 때까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변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탄성조절수단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는 제1연동암(10)의 일단이 도어(D)에 연결되고, 제2연동암(20)의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1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은 후술할 회전축(51)에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는 상기한 제1연동암(10)과 제2연동암(20)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건물 문틀(F)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는 회로기판(40)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도어(D)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동암(20) 및 제1연동암(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50)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도어개폐부(60)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D)의 폐쇄속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연동암(10)은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에 설치되는 소켓(12)과, 상기 소켓(12)에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봉(13)과, 상기 연결봉(13)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제1탄성스프링(14)과, 상기 고정판(11)과 소켓(12)에 양단이 접촉되는 제2탄성스프링(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1)은 볼트결합이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도어(D)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12)은 일단이 상기 고정판(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전체적인 형태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다. 이렇게 파이프 형태를 갖는 소켓(12)은 일면에 관통홀(12a)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13)은 일측이 상기 소켓(12)에 끼움되어 출입하고, 타측이 상기 제2연동암(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봉(13)에는 이탈방지핀(13a)이 설치되어 상기 소켓(12)에 끼움된 부분이 소켓(1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탄성스프링(14)은 상기 연결봉(13)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단이 상기 소켓(12)의 끝단에 접촉된다. 즉, 상기 제1탄성스프링(14)의 직경은 상기 소켓(12)의 내경보다는 크고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소켓(12)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탄성스프링(14)은 도어(D)가 개폐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탄성스프링(15)은 상기 소켓(12)에 일단이 압축되고 상기 고정판(11)에 타단이 압축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탄성스프링(15)도 도어(D)가 개폐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연동암(20)은 타단이 상기 회전축(51)에 의하여 관통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축(51)이 회전할 때 그것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제2연동암(20)은 후술할 압축스프링(61)에 의하여 관통된다.
상기 케이싱(30)은 건물의 문틀(F) 상부에 볼트체결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회로기판(40)은 후술할 제2모터(66)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66)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상기 케이싱(3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51)과, 상기 케이싱(30)의 타면과 덮개(70) 사이에 설치되는 제1모터(52)와, 상기 제1모터(52)에 구비된 모터축에 연결되는 제1감속기(53)와, 상기 제1감속기(53)에 연결되는 제1기어(54)와, 상기 회전축(51)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54)와 맞물리는 제2기어(5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을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케이싱(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덮개(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모터(52)는 상기 케이싱(30),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싱(30)의 타면과 덮개(7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 제1모터(52)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는 D.C모터이다. 이러한 제1모터(52)에 구비된 (+)(-)단자는 서로 와이어로 연결하여 합선된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제1감속기(53)는 상기 제1모터(52)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비된 감속기축(53a)이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다.
상기 제1기어(54)는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 제1감속기(53)의 감속기축(53a)에 연결되어 감속기축(53a)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2기어(55)는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51)의 일단,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 회전축(51)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축(51)과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1기어(54)와 맞물려 회전한다.
이러한 제2기어(55)는 외주면 대부분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그 기어치가 상기 제1기어(54)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회전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둥글게 형성되는 곡선부(55a)에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술할 회동로드(65)의 뾰족한 끝단이 가리키는 직선부(55b)는 일직선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곳에는 기어치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도어개폐부(60)는 상기 동력전달부(50)의 회전축(51)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61)과, 상기 케이싱(30)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62)과, 상기 고정봉(6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2스프링(63,64)과, 일측이 상기 고정봉(62)에 끼움되는 회동로드(65)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는 제2모터(66)와, 상기 제2모터(66)에 구비된 모터축에 연결되는 제2감속기(67)와, 상기 제2감속기(67)에 구비된 감속기축(67a)에 연결되는 캠(68)과, 상기 캠(68)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리밋스위치(69)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61)은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20)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70)에 밀착되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압축스프링(61)은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2연동암(20)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는 방향, 즉 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62)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봉 형태의 구성요소로서 양단이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된다.
상기 제1스프링(63)은 상기 고정봉(62)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고정봉(62)의 절반정도의 길이만 둘러싼다.
상기 제2스프링(64)은 상기 제1스프링(63)이 둘러싸지 않은 고정봉(62)의 나머지 절반을 둘러싼다.
상기 회동로드(65)는 일측이 상기 고정봉(62)에 끼움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회동로드(65)의 일측에 삽입홈(65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5a)이 고정봉(62)이 삽입된다. 이러한 외동로드는 일측, 즉 삽입홈(65a)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1스프링(63)과 제2스프링(64) 사이에 위치되어 제1스프링(63)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음과 동시에 제2스프링(64)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회동로드(65)의 타측은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된 고정핀(65b)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도어(D)의 개폐시에 뾰족한 끝단이 상기 제2기어(55)의 곡선부(55a)에 형성된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로드(65)는 도어(D)가 개방될 때는 상기 고정핀(65b)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일정각도씩 회동하면서 제2기어(55)의 기어치를 스치면서 넘어가고 도어(D)가 폐쇄될 때는 상기 고정핀(65b)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일정각도씩 회동하면서 제2기어(55)의 기어치를 스치면서 넘어간다.
상기 제2모터(66)는 상기 제1모터(52)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30)의 타면과 상기 덮개(7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 제2모터(66)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는 D.C모터이다. 이러한 제2모터(66)에 구비된 (+)단자와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6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감속기(67)는 상기 제2모터(66)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비된 감속기축(67a)이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다.
상기 캠(68)은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 제2감속기(67)의 감속기축(67a)에 연결되어 감속기축(67a)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캠(68)은 상기 제2감속기(67)의 감속기축(67a)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동로드(65)의 일측, 즉 삽입홈(65a)이 형성된 회동로드(65)의 끝부분에 접촉된다. 이렇게 캠(68)이 회동로드(65)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로드(65)가 고정핀(65b)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하여 경사지도록 한다. 이렇게 회동로드(65)가 경사지게 되면 상기 회동로드(65)의 뾰족한 끝단이 제2기어(55)의 기어치를 좀 더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밋스위치(69)는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4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어 도어(D)가 폐쇄되었을 때 캠(68)과 접촉한다. 이렇게 캠(68)과 리밋스위치(69)가 접촉되면, 리밋스위치(69)와 상기 회로기판(40)이 전선(W)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40)에 캠(68)과 리밋스위치(69)가 접촉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고, 그 신호가 입력되면 회로기판(40)은 상기 제2모터(6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제2모터(66)의 모터축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70)는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51)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30)을 비롯한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를 수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타단이 밀착되고 상기 제2연동암(20)이 출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출입홀(7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조절수단(80)은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타단과 상기 덮개(70)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스프링(61)의 탄성을 조절함으로써 도어(D)의 폐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조절수단(80)은 상기 덮개(70)를 관통하는 조절볼트(81)와, 상기 조절볼트(81)와 나선결합되는 고전너트(82)와, 상기 조절볼트(81)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83)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볼트(81)는 일단이 상기 덮개(70)의 외부로 약간 노출되고, 타단에 상기 가압부재(83)가 결합된다.
상기 고전너트(82)는 상기 덮개(70)의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 고전너트(82)가 설치되는 덮개(70)의 특정위치에는 구멍이 뚫려 고전너트(82)와 나선결합된 조절볼트(81)의 일단이 노출된다.
상기 가압부재(83)는 조절볼트(8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61)의 끝단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61)의 끝단을 'U'자형으로 절곡시켜 가압부재(83)의 일부분을 압축스프링(61)의 'U'자형 부분에 삽입시키면 가압부재(83)와 압축스프링(61)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압축스프링(61)의 끝단을 가압부재(83)에 좀 더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81)를 돌려서 상기 덮개(70) 내부로 들어가게 하면, 그 들어간 길이만큼 압축스프링(61)의 끝단은 덮개(70)와 이격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압축스프링(61)에 가하고 있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압축스프링(61)에 가하는 압력이 상승되면 제2연동암(20)이 회동되는 힘을 증가시켜 도어(D)가 좀 더 잘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압축스프링(61)의 압력을 줄이고 싶은 경우에는 조절볼트(8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덮개(70)에는 카메라(72)와, 저장장치(73)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72)는 도어(D)를 출입하는 출입자를 촬영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고, 상기 저장장치(73)는 상기 카메라(72)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저장장치(73)는 컴퓨터와 같은 외부의 IT기기와 연결을 하여 촬영한 영상 또는 화면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D)를 폐쇄하기 위하여 회로기판(40)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회로기판(40)은 제2모터(66)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모터(66)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모터(66)가 구동되면 제2감속기(67)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2감속기(67)의 감속기축(67a)에 연결된 캠(68)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캠(68)이 회전하면 상기 캠(68)에 의하여 압력을 받은 회동로드(65)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동시에 압축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기어(55)가 회전하게 되면 제2기어(55)의 곡선부(55a)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어 있던 회동로드(65)의 뾰족한 끝부분이 제2기어(55)의 곡선부(55a)에 형성된 기어치를 타고 넘어가면서 제2기어(55)의 직선부(55b)를 향해서 움직인다.
상기 제2기어(55)가 회전하면 이에 치결합되어 있는 제1기어(54)가 회전하게 되고, 연이어 제1감속기(53)의 감속기축(53a)과 제1모터(52)의 모터축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52)와 제1감속기(53)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상기 제2기어(55)와 회전축(51)이 천천히 회전되도록 하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제2연동암(20)을 천천히 회동되게 함으로써 도어(D)가 천천히 폐쇄되도록 한다. 이 원리를 살펴보면, D.C모터(직류모터)인 제1모터(52)의 양 단자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합선시킨 후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은 채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하여 전기가 발생된다. 이렇게 되면 제1모터(52) 내부에 부하가 발생되어 모터축을 천천히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충분히 밝혀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기와 같이 간단히 언급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한편, 상기 제2연동암(20)이 회동하여 덮개(70) 내부에 들어감으로써 도어(D)가 폐쇄되면 상기 캠(68)은 리밋스위치(69)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캠(68)이 리밋스위치(69)와 접촉되면, 상기 리밋스위치(69)는 접촉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회로기판(40)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회로기판(40)은 더 이상 상기 제2모터(66)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10: 제1연동암 11: 고정판
12: 소켓 13: 연결봉
13a: 이탈방지핀 14: 제1탄성스프링
15: 제2탄성스프링 20: 제2연동암
30: 케이싱 40: 회로기판
50: 동력전달부 51: 회전축
52: 제1모터 53: 제1감속기
53a: 감속기축 54: 제1기어
55: 제2기어 55a: 곡선부
55b: 직선부 60: 도어개폐부
61: 압축스프링 62: 고정봉
63: 제1스프링 64: 제2스프링
65: 회동로드 65a: 삽입홈
65b: 고정핀 66: 제2모터
67: 제2감속기 67a: 감속기축
68: 캠 69: 리밋스위치
70: 덮개 71: 출입홀
72: 카메라 73: 저장장치
80: 탄성조절수단 81: 조절볼트
82: 고정너트 83: 가압부재

Claims (4)

  1. 도어(D)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동암(10)과,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1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동암(2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클로저에 있어서,
    건물 문틀(F)에 설치되는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40)과;
    상기 케이싱(3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51)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는 제1모터(52)와, 상기 제1모터(52)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감속기(53)와, 상기 제1감속기(5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54)와, 상기 회전축(51)에 설치되어 회전축(5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5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55)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50)와;
    상기 동력전달부(50)의 회전축(51)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20)에 연결되는 압축스프링(61)과, 상기 케이싱(30)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봉(62)과, 상기 고정봉(6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2스프링(63,64)과, 상기 고정봉(62)에 일측이 끼움되되 일측이 상기 제1스프링(63)과 제2스프링(64) 사이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된 고정핀(65b)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며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도어(D)의 개폐시에 뾰족한 끝단이 상기 제2기어(55)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로드(65)와, 상기 제1모터(52)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모터(66)와, 상기 제2모터(66)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2감속기(67)와, 상기 제2감속기(67)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회동로드(65)의 일측에 접촉되는 캠(68)과, 상기 회로기판(4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고 도어(D)가 폐쇄되었을 때 캠(68)과 접촉하는 리밋스위치(69)로 이루어진 도어개폐부(60)와;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51)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개폐부(60)의 압축스프링(61) 타단이 밀착되며, 상기 제2연동암(20)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71)이 형성된 덮개(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70)에는 도어(D)를 출입하는 출입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72)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72)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장치(7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타단과 상기 덮개(70) 사이에는 탄성조절수단(80)이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탄성을 조절하되,
    상기 탄성조절수단(80)은 상기 덮개(70)를 관통하는 조절볼트(81)와;
    상기 조절볼트(81)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덮개(7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전너트(82)와;
    상기 조절볼트(8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암(10)은 도어(D)에 설치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 관통홀(12a)이 형성된 소켓(12)과;
    일측이 상기 소켓(12)에 끼움되어 출입하되 이탈방지핀(13a)에 의하여 소켓(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동암(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봉(13)과;
    상기 연결봉(13)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단이 상기 소켓(12)의 끝단에 접촉되는 제1탄성스프링(14)과;
    상기 소켓(12)에 일단이 압축되고 상기 고정판(11)에 타단이 압축되는 제2탄성스프링(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
KR1020100118419A 2010-11-25 2010-11-25 도어클로저 KR10105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19A KR101054529B1 (ko) 2010-11-25 2010-11-25 도어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19A KR101054529B1 (ko) 2010-11-25 2010-11-25 도어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529B1 true KR101054529B1 (ko) 2011-08-04

Family

ID=4493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419A KR101054529B1 (ko) 2010-11-25 2010-11-25 도어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22B1 (ko) * 2013-12-13 2015-01-30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541894B1 (ko) 2013-09-26 2015-08-06 주식회사고려필터 전선이 내장된 도어용 링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25B1 (ko) 2005-09-12 2007-07-06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0906989B1 (ko) 2007-11-09 2009-07-08 문홍식 도어 체크용 폐문 장치
KR100938132B1 (ko) 2009-10-16 2010-01-22 김지환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100123171A (ko) * 2009-05-14 2010-11-24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간소화된 엑츄에이터 구조를 갖는 도어 스토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25B1 (ko) 2005-09-12 2007-07-06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0906989B1 (ko) 2007-11-09 2009-07-08 문홍식 도어 체크용 폐문 장치
KR20100123171A (ko) * 2009-05-14 2010-11-24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간소화된 엑츄에이터 구조를 갖는 도어 스토퍼장치
KR100938132B1 (ko) 2009-10-16 2010-01-22 김지환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94B1 (ko) 2013-09-26 2015-08-06 주식회사고려필터 전선이 내장된 도어용 링크장치
KR101488522B1 (ko) * 2013-12-13 2015-01-30 김지환 도어클로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464B2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KR101015693B1 (ko) 도어클로저
CN101528506B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可旋转地支承的相机单元的装置
CN111182098B (zh)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的使用方法
KR101054529B1 (ko) 도어클로저
TW200905058A (en) Panel fitting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US20180340705A1 (en) Actuating Drive
CN107615429A (zh) 电气开关
KR101195317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CN201323313Y (zh) 一种脱落电连接器旋转脱落机构
KR10104856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방화도어 클로저
CN208173904U (zh) 一种充电接口固定装置
KR100981522B1 (ko) 도어클로저
KR101753107B1 (ko)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CN206205583U (zh) 一种锁用离合器驱动机构
RU2017134982A (ru) Компьютер,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KR102236547B1 (ko) 카메라부 틸트용 롱 샤프트부를 구비한 방폭 스피드 돔 카메라
KR101207748B1 (ko) 도어클로저
KR101509067B1 (ko) 창문 개폐장치
ES2275263T3 (es) Freno secundario electrico de vehiculo automovil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retorno de esfuerzo.
CN107240518A (zh) 一种储能式电动操作小型断路器
KR101187907B1 (ko) 기어 내장 모터를 위한 동력 전달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감시용 카메라
RU2229007C1 (ru) Замо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164386B1 (ko) 도어클로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