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07B1 -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07B1
KR101753107B1 KR1020160100292A KR20160100292A KR101753107B1 KR 101753107 B1 KR101753107 B1 KR 101753107B1 KR 1020160100292 A KR1020160100292 A KR 1020160100292A KR 20160100292 A KR20160100292 A KR 20160100292A KR 101753107 B1 KR101753107 B1 KR 10175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ring
open
clos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태
김광호
안석동
박성준
박정호
Original Assignee
한일차단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차단기(주) filed Critical 한일차단기(주)
Priority to KR102016010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프링에 축적하여 사용하며, 비교적 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이다.

Description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Switching drive device for extra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프링에 축적하여 사용하며, 비교적 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초고압 상태 즉, 229~345kV의 높은 전압으로 송전되는데, 이러한 초고압 전압의 송전은 고장이나 기타 이유에 의해 기계적 작동에 의한 개폐가 필요하다. 초고압 전압의 송전에 대한 개폐를 위해서는 초고압 차단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초고압 차단기는 기본적으로 단락사고와 같은 전력계통의 사고가 일어날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전력계통을 차단하는 기능과 이러한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전력계통과 함께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기기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초고압 차단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특허 제10-0988133호에 제안되어 있는 초고압 차단기의 개폐구동 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초고압 차단기의 개폐구동 장치에 있어서, 전동기에 접속되어 전동 구동되어 회전가능하고, 한 쌍의 마주보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는 한 쌍의 쉬브(SHEAVE)를 갖는 제 1 가변 풀리(PULLEY); 상기 제 1 가변 풀리로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고, 마주보게 설치되고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는 한 쌍의 쉬브(SHEAVE)을 갖는 제 2 가변 풀리; 상기 제 1 가변 풀리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 2 가변 풀리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1 가변 풀리와 상기 제 2 가변 풀리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변 풀리 및 제 2 가변 풀리의 한 쌍의 쉬브 간 이격 거리가 가변함에 따라서 각각의 제 1 가변 풀리 및 제 2 가변 풀리에 접촉하는 접촉 반경이 변화되는 벨트(BELT); 상기 초고압 차단기의 투입 구동을 위한 탄성 에너지를 제공하는 투입 스프링; 상기 투입 스프링과 상기 제 2 가변 풀리 사이를 구동접속하게 설치되는 제 1 동력전달기구; 상기 초고압 차단기의 트립 구동을 위한 탄성 에너지를 제공하는 트립 스프링(TRIP SPRING); 및
상기 트립 스프링과 상기 제 2 가변 풀리 사이를 구동접속하게 설치되는 제 2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의 개폐구동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투입스프링의 압축을 위해서 풀리와 벨트를 사용하여 투입와이어를 잡아당겨 압축함으로써 투입스프링의 압축량을 일정하게 가져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투입와이어에 스프링의 강한 압력이 상시 작용함으로써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와이어의 전단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또한, 가변풀리를 사용함으로써 접촉되는 벨트의 접촉면적이 달라지고 이로써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높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813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차단기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프링에 축적하여 사용하며, 비교적 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터의 동력을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하여 투입스프링의 압축에 사용함으로써 투입스프링에 대해 항상 일정한 압축량을 가져갈 수 있고, 투입스프링의 압축에 금속재질의 투입바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래치기어의 회전에 따라 투입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전압에 따라 압축량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음으로써 범용적으로 상용할 수 있는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는 차단기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접점을 열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투입부와, 투입부에 저장된 동력을 이용해 차단기의 접점을 열고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는 접점을 닫는 오픈부와, 상기 투입부에 저장된 동력을 오픈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프링에 축적하여 사용하며, 비교적 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 효과와 함께, 모터의 동력을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하여 투입스프링의 압축에 사용함으로써 투입스프링에 대해 항상 일정한 압축량을 가져갈 수 있고, 투입스프링의 압축에 금속재질의 투입바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래치기어의 회전에 따라 투입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전압에 따라 압축량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음으로써 범용적으로 상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을 타관점에서 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투입부의 일부구성도
본 발명은 차단기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프링에 축적하여 사용하며, 비교적 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을 타관점에서 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투입부의 일부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는 차단기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접점을 열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투입부(10)와, 상기 투입부(10)에 저장된 동력을 이용해 차단기의 접점을 열고 고장이나 단락사고와 관련된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는 접점을 닫는 오픈부(30)와, 상기 투입부(10)에 저장된 동력을 오픈부(3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투입부(10)는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압축되는 투입스프링(21)과, 상기 투입스프링(21)의 압축을 위해 투입스프링(21)과 일단이 맞닿아 있는 투입바(19)와, 상기 투입바(19)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투입스프링(21)을 내부에 수용하는 투입스프링하우징(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픈부(30)는 차단기의 접점과 결합되어 있는 작동레버(31)와, 상기 작동레버(31)와 고정 결합되는 오픈바(32)와, 상기 오픈바(32)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픈스프링(33)과, 상기 오픈스프링(33)의 압축을 위해 오픈스프링(33)과 일단이 맞닿아 있으며 오픈스프링(33)을 내부에 수용하는 오픈스프링하우징(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40)는 투입스프링(21)의 팽창으로 발생하는 힘을 전달하는 회동링크(48)와, 상기 회동링크(48)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오픈바(32)와 일단이 고정되는 압축레버(5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차단 동작시 구동을 위해 힘을 축적하는 투입부(10)와, 차단기의 개폐작동을 위한 힘을 가해주는 오픈부(30)와, 투입부(10)에 축적된 힘을 오픈부(30)로 전달해주기 위한 동력전달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투입부(10)의 구성 중 투입스프링(21)은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압축되어 힘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며, 코일스프링 이외에 판 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입스프링(21)의 압축을 위한 동작은 투입바(19)의 위치이동에 의해 행하게 되는데, 도시된 실시예는 투입스프링(2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투입바(19)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바(19)의 일측과 고정 결합되어 투입스프링(21)을 밀어주는 원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투입바(19)와 원판 모두 고정되어 같이 이동되므로 하나의 구성으로 본다.
상기 투입바(19)는 투입스프링하우징(22)의 내부에 수용되어 투입스프링하우징(22)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투입스프링하우징(22)은 투입스프링(21)의 일단과 맞닿아 있어 투입바(19)에 의해 투입스프링(21)이 압축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픈부(30)의 작동레버(31)는 차단기의 접점과 고정되며,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작동레버(31)는 차단기의 접점과 링크(35) 및 레버고정링크(36)와 결합되어 있어 작동레버(31)가 오픈스프링(33) 쪽으로 당겨질 때 차단기의 접점이 열리는 구조이며, 반대로 작동레버(31)가 오픈스프링(33)에서 멀어지면 차단기의 접점이 닫히는 구조이다.
상기 작동레버(31)의 일측에는 오픈바(32)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픈바(32)의 일측에는 오픈스프링(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픈스프링(33)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에 의해 차단기의 접점을 열은 뒤 어떠한 조치를 행하거나 문제가 없을 경우 제2솔레노이드(51)에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오픈스프링(33)이 팽창되어 차단기의 접점을 닫아주게 되며, 이 부분은 추후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오픈스프링(33) 역시 오픈스프링하우징(34) 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오픈스프링하우증(34)은 오픈스프링(33)의 일단과 맞닿아 있어 오픈스프링(33)이 압축되거나 팽창할 수 있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40)의 회동링크(48)는 투입스프링(21)의 팽창으로 발생하는 래치기어(17)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중심에서 외팔보 형태로 3개의 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레버(50)는 회동링크(48)에 고정 결합되어 회동링크(48)와 같이 회전되면서 일측은 오픈바(32)에 결합되어 있어 압축레버(50)의 회동에 의해 오픈바(32)의 위치를 이동시켜 오픈스프링(33)을 압축하도록 한다.
다음, 모터(11)에 의해 투입스프링(21)이 압축되는 동작과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모터(11)의 구동축(11a)은 베벨기어(12a)와 결합되고, 상기 베벨기어(12a)와 치합되는 베벨기어(12b)가 스퍼기어인 소기어(13)의 축과 결합되며, 상기 소기어(13)는 기어의 잇수가 다른 대기어(14)와 결합되며 상기 대기어(14)는 캠(1)과 결합된 캠축(15)과 결합되어, 모터(11)의 구동력을 베벨기어(12)를 통해 소기어(13)로 전달하고 이후 대기어(14)로 전달하며 캠축(15)으로 전달한 뒤 캠(16)으로 전달하여 래치기어(17)를 회전시켜 투입스프링(21)의 압축에 필요한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모터(11)의 구동축(11a)은 한 쌍의 베벨기어(12a, 12b)를 통해 동력전달방향이 절환되어 스퍼기어(13, 14)로 전달되고 스퍼기어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캠축(15)으로 전달되며, 상기 캠축(15)에는 한 쌍의 캠(16)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캠(16)은 캠축(15)의 회전에 따라 래치기어(17)를 한 칸씩 회전시키게 된다.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래치기어(17)는 원주면의 일부분에만 기어가 형성된 원판 두 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캠(16) 역시 두 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래치기어(17)가 투입스프링(21)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도중 투입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2개의 캠(16)은 캠축(15)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사점이 서로 달라 하나의 캠이 래치기어(17)를 기어 한 칸만큼 회전시키는 동안 다른 쪽의 캠은 래치기어(17)가 반대쪽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잡아주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래치기어(17)는 한쪽 방향 즉, 투입스프링(21)을 압축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으며, 래치기어(17)가 일정량 회전되고 나면 B핀(18)이 클로즈후크(44)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클로즈후크(44)는 서로 대향형으로 형성된 래치기어(17)의 사이에 일부가 들어가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B핀(18)은 래치기어(17)의 외부원주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래치기어(17)가 회전되다가 B핀(18)이 클로즈후크(44)에 형성된 홈 부분으로 들어감으로써 래치기어(17)의 회전이 멈추게 되고 투입스프링(21)의 압축 또한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투입스프링이 최대한 압축된 상태이며, 도 4 및 도 5의 상태로써, 투입스프링(21)이 최대한 압축된 상태는 투입바(19)가 래치기어(17)의 회전중심축보다 높게 올라간 상태가 되며, 이로써 투입스프링(21)이 팽창하게 되면 래치기어(17)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기어(17)는 힌지(20)에 의해 투입바(19)와 결합되어 래치기어(17)의 회전에 따라 투입바(19)에 의한 투입스프링(21)의 압축량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래치기어(17)와 투입바(19)는 힌지(2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래치기어(17)의 회전각도에 따라 투입바(19)가 이동되게 되며, 이로써 래치기어(17)의 회전량에 따라 투입바(19)의 끝단과 래치기어(17)의 중심점 간의 거리가 변하게 되어 결국 투입스프링(21)의 압축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투입스프링(21)의 압축량은 차단기의 접점을 열 때의 힘과 비례하게 되는데, 비교적 낮은 전압의 차단기에 본 발명의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를 사용할 경우 투입스프링(21)의 압축량을 최대치로 가져갈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래치기어(17)를 최대한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로 사용하여 차단기의 종류와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1)가 구동하여 한 쌍의 베벨기어(12a, 12b)를 거쳐 소기어(13) 및 대기어(14)를 회전시키고, 상기 대기어(14)에 결합되어 있는 캠축(15)을 회동시키고, 캠축(15)의 회전에 따라 캠(16)이 상사점과 하사점을 오가면서 래치기어(17)를 회전시켜 투입스프링(21)을 압축시키게 되는데 이 상태가 도 5와 도 6의 상태이다.
압축이 완료된 이후 차단기의 단락이 필요할 경우 상기 차단기의 접점을 여는 동작은 제1솔레노이드(41)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1솔레노이드(41)에 결합되어 있는 핀(42)이 전진하면서 회전핀(43)을 회동시키고 회전핀(43)의 회동에 의해 클로즈후크(44)를 회동시켜 클로즈후크(44)에 걸려있던 B핀(18)이 빠져나오면서 래치기어(17)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래치기어(17)가 회전된다.
이후, 상기 래치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제1전달바(46)가 회전되고, 상기 제1전달바(46)에 기어로 결합되어 있는 회동캠(45)이 회전되며, 상기 회동캠(45)의 회전에 의해 롤러(47)가 밀려나와 오픈후크(52)에 고정되어 있던 회동링크(48)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링크(48)와 제2전달바(49)로 고정되어 있는 압축레버(50)가 회동되면서 오픈바(32)와 작동레버(31)를 오픈스프링(33) 쪽으로 밀게 되어 결국 작동레버(31)에 결합되어 있던 차단기의 접점을 열게 된다.
다음, 차단기의 점검이 끝나고 접점을 연결할 경우에는 압축되어 있던 오픈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오픈바(32)와 압축레버(50)가 밀려나오게 되고, 이로써 압축레버(50)와 회동링크(48)가 회동되고 제2솔레노이드(51)의 작동에 의해 회동링크(48)의 일측에 형성된 오픈후크(52)와 A핀(53)에 의해 회동링크(48)의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차단기의 접점이 닫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스프링에 축적하여 사용하며, 비교적 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 효과와 함께, 모터의 동력을 베벨기어를 통해 전달하여 투입스프링의 압축에 사용함으로써 투입스프링에 대해 항상 일정한 압축량을 가져갈 수 있고, 투입스프링의 압축에 금속재질의 투입바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인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래치기어의 회전에 따라 투입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전압에 따라 압축량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음으로써 범용적으로 상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투입부
11. 모터 12. 베벨기어 13. 소기어
14. 대기어 15. 캠축 16. 캠
17. 래치기어 18. B핀 19. 투입바
20. 힌지 21. 투입스프링 22. 투입스프링하우징
30; 오픈부
31. 작동레버 32. 오픈바 33. 오픈스프링
34. 오픈스프링하우징 35. 링크 36. 레버고정링크
40; 동력전달부
41. 제1솔레노이드 42. 핀 43. 회전핀
44. 클로즈후크 45. 회동캠 46. 제1전달바
47. 롤러 48. 회동링크 49. 제2전달바
50. 압축레버 51. 제2솔레노이드 52. 오픈후크
53. A핀

Claims (6)

  1. 차단기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차단기의 접점을 열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저장하는 투입부(10)와, 상기 투입부(10)에 저장된 동력을 이용해 차단기의 접점을 열고 고장이나 단락사고와 관련된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는 접점을 닫는 오픈부(30)와, 상기 투입부(10)에 저장된 동력을 오픈부(3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로 구성되며,
    상기 투입부(10)는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압축되는 투입스프링(21)과, 상기 투입스프링(21)의 압축을 위해 투입스프링(21)과 일단이 맞닿아 있는 투입바(19)와, 상기 투입바(19)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투입스프링(21)을 내부에 수용하는 투입스프링하우징(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픈부(30)는 차단기의 접점과 결합되어 있는 작동레버(31)와, 상기 작동레버(31)와 고정 결합되는 오픈바(32)와, 상기 오픈바(32)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픈스프링(33)과, 상기 오픈스프링(33)의 압축을 위해 오픈스프링(33)과 일단이 맞닿아 있으며 오픈스프링(33)을 내부에 수용하는 오픈스프링하우징(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40)는 투입스프링(21)의 팽창으로 발생하는 힘을 전달하는 회동링크(48)와, 상기 회동링크(48)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오픈바(32)와 일단이 고정되는 압축레버(5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1)의 구동축(11a)은 베벨기어(12a)와 결합되고, 상기 베벨기어(12a)와 치합되는 베벨기어(12b)가 스퍼기어인 소기어(13)의 축과 결합되며, 상기 소기어(13)는 기어의 잇수가 다른 대기어(14)와 결합되며 상기 대기어(14)는 캠(16)과 결합된 캠축(15)과 결합되어, 모터(11)의 구동력을 베벨기어(12)를 통해 소기어(13)로 전달하고 이후 대기어(14)로 전달하며 캠축(15)으로 전달한 뒤 캠(16)으로 전달하여 래치기어(17)를 회전시켜 투입스프링(21)의 압축에 필요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이 특징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17)는 원주면의 일부분에만 기어가 형성된 원판 두 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캠(16) 역시 두 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래치기어(17)가 투입스프링(21)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도중 투입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 특징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17)는 힌지(20)에 의해 투입바(19)와 결합되어 래치기어(17)의 회전에 따라 투입바(19)에 의한 투입스프링(21)의 압축량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접점을 여는 동작은 제1솔레노이드(41)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1솔레노이드(41)에 결합되어 있는 핀(42)이 전진하면서 회전핀(43)을 회동시키고 회전핀(43)의 회동에 의해 클로즈후크(44)를 회동시켜 클로즈후크(44)에 걸려있던 B핀(18)이 빠져나오면서 래치기어(17)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래치기어(17)가 회전되며,
    상기 래치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제1전달바(46)가 회전되고, 상기 제1전달바(46)에 기어로 결합되어 있는 회동캠(45)이 회전되며, 상기 회동캠(45)의 회전에 의해 롤러(47)가 밀려나와 오픈후크(52)에 고정되어 있던 회동링크(48)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링크(48)와 제2전달바(49)로 고정되어 있는 압축레버(50)가 회동되면서 오픈바(32)와 작동레버(31)를 오픈스프링(33) 쪽으로 밀게 되어 결국 작동레버(31)에 결합되어 있던 차단기의 접점을 열게 되는 것이 특징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KR1020160100292A 2016-08-05 2016-08-05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KR10175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92A KR101753107B1 (ko) 2016-08-05 2016-08-05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92A KR101753107B1 (ko) 2016-08-05 2016-08-05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07B1 true KR101753107B1 (ko) 2017-07-19

Family

ID=5942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292A KR101753107B1 (ko) 2016-08-05 2016-08-05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577B1 (ko) 2020-01-30 2021-07-13 한일차단기(주) 기밀성이 향상된 차단기용 개폐장치
KR20210115274A (ko) * 2020-03-12 2021-09-27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동스프링 조작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250B2 (ja) * 2002-08-12 2008-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用遮断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250B2 (ja) * 2002-08-12 2008-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用遮断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577B1 (ko) 2020-01-30 2021-07-13 한일차단기(주) 기밀성이 향상된 차단기용 개폐장치
KR20210115274A (ko) * 2020-03-12 2021-09-27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동스프링 조작기
KR102352558B1 (ko) * 2020-03-12 2022-01-19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동스프링 조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508A (en) Circuit breaker operating mechanism equipped with a stored energy system having removable and replaceable closing spring mechanisms
US7982142B2 (en) Diverter switch,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witch and use of such a switch
KR101753107B1 (ko)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EP2001032A1 (en) Closing protection mechanism for a closing assembly over-toggle linkage
US7498535B2 (en) Circuit breaker operator
US11158467B2 (en) Dual power automatic transfer switch mechanism
CA2796833C (en) Pole operating device in a medium-voltage electric control apparatus
JP4634493B2 (ja) 電力用ガス遮断器
CN102047363A (zh) 用于高压/中压电子设备的具有短致动时间的控制装置
US20020121503A1 (en) High-voltage circuit-breaker having a spring-loaded control mechanism with an energy-recovering additional spring
KR101678002B1 (ko)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
KR100988133B1 (ko) 초고압 차단기의 개폐구동 장치
EP1164605B1 (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Federspeicher eines Leistungsschalters
WO2018115026A1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circuit breaker
KR101038089B1 (ko) 개폐기용 조작 장치
JP2007173241A (ja) 電気スイッチギヤ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装置
US4761524A (en) Switch operating mechanism
KR101739006B1 (ko)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EP2535910A1 (en) An energy accumulator for actuating a switching device, a tap changer and a transformer
CN100355004C (zh) 一种用于闸刀开关的操作机构
KR20080047549A (ko) 회로 차단기
KR200350765Y1 (ko)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EP1535791B1 (en) Device for actuating on-load disconnectors for power lines, particularly for railroad power lines
CN107623264A (zh) 一种防盗开关柜
CN108695081A (zh) 三工位分合闸操作装置及三工位分合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