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006B1 -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006B1
KR101739006B1 KR1020140195582A KR20140195582A KR101739006B1 KR 101739006 B1 KR101739006 B1 KR 101739006B1 KR 1020140195582 A KR1020140195582 A KR 1020140195582A KR 20140195582 A KR20140195582 A KR 20140195582A KR 101739006 B1 KR101739006 B1 KR 10173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n
open
interlocking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577A (ko
Inventor
김재열
배병태
이성호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9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0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4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05Charg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용 스프링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구동구(10)와 연동구(16)가 구동축(15)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15)에 오픈레버(30)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구동구(10)에는 클로즈스프링(13)이 클로즈링크(13')를 통해 연결되어 탄성변형 및 복원되고, 상기 오픈레버(30)에는 오픈스프링(33)이 오픈링크(33')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의 구동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이상신호의 인가에 따라 복원된다. 상기 연동구(16)에는 핀걸이턱(18)이 형성되어, 상기 오픈레버(30)의 장공(30')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는 연동핀(31)을 걸어서 상기 오픈스프링(33)을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연동핀(31)은 핀가이드(20)의 측벽(24) 선단에 형성된 핀안내면(28)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연동구(16)와의 연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구동구(10)에 클로즈스프링(13)이 클로즈링크(13')를 통해 연결되어 동작되고, 메인구동구(1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15)외에는 별도의 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적으로 스프링조작기가 소형화되고 부품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Spring operation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축만으로 오픈동작과 클로즈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GIS)는 금속제 밀폐용기에 절연성능과 소호기능이 우수한 절연용 가스를 절연매체로 사용하여 도체와 각종 보호기기들을 수납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킨 수변전 설비로써, 차단기, 단로기, 접지개폐기 등 여러가지 구성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들 중 차단기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대한 정상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선로의 지락, 단락 및 사고 등과 같은 이상상태에서도 계통 사고 전류를 차단하여 전력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이상상태 발생시 신속하게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으로,다수의 스프링을 사용한 스프링 조작기에 의해 상기한 차단기의 선택적인 투입동작과 오픈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차단기에서는 차단기의 선택적인 투입동작과 오픈동작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매커니즘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다. 특히, 오픈스프링과 클로즈스프링의 탄성변형과 복원을 위한 동력 전달을 별도의 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스프링조작기에서는 오픈스프링과 연결된 메커니즘과 클로즈스프링과 연결된 메커니즘이 별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오픈스프링 및 클로즈스프링과 연결된 메커니즘이 별개, 즉 서로 다른 축에 구비되고 이들이 캠과 팔로워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되어 있어 전체 스프링조작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조작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픈스프링측과 클로즈스프링 측이 별도의 축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스프링조작기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73785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0161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8029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화된 스프링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면에 클로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메인구동구와, 상기 클로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동작을 수행하는 클로즈스프링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대 회전되고 장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오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된 오픈레버와, 상기 오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동작을 수행하며 스위치의 오픈조작을 위한 동작을 제공하는 오픈스프링과, 상기 메인구동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오픈스프링을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동작을 통해 탄성변형시키도록 상기 오픈레버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연동구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레버는 쌍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구의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되는 상기 오픈레버 각각에 있는 장공에 연동핀의 양단이 안착된다.
상기 오픈레버에 형성된 장공에는 상기 연동핀이 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장공의 일측 단부를 향해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핀은 상기 연동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장공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오픈레버를 회전시킨다.
상기 연동핀은 상기 연동구에 형성된 핀걸이턱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동구가 연동구공간에 설치되는 핀가이드에는 상기 연동핀이 안내되는 핀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 핀안내면은 상기 핀가이드의 측벽에 형성되는데, 상기 핀안내면의 일부 구간은 상기 연동구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연동핀이 상기 핀걸이턱에서 빠지도록 한다.
상기 핀가이드는 상기 측벽이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측벽의 사이에 상기 연동구가 위치되는 연동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구동구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동작시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오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면에 클로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메인구동구와, 상기 클로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 동작을 수행하는 클로즈스프링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대 회전되고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오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된 오픈레버와, 상기 오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동작을 수행하며 스위치의 오픈조작을 위한 동작을 제공하는 오픈스프링과, 상기 메인구동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오픈스프링을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동작에 의해 탄성변형시키도록 상기 오픈레버를 구동하는 연동구와, 상기 연동구가 내부에 설치되고 측벽의 선단을 따라 핀안내면이 형성된 핀가이드와, 상기 연동구가 상기 클로즈스프링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연동구의 핀걸이턱에 걸어져 상기 오픈레버의 장공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핀안내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오픈레버를 회전시키는 연동핀을 포함한다.
상기 오픈레버는 쌍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핀가이드의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되어 상기 연동핀의 양단이 각각의 오픈레버에 있는 장공에 안착된다.
상기 핀안내면은 상기 핀가이드의 측벽에 형성되는데, 상기 핀안내면의 일부 구간은 상기 연동구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연동핀이 상기 핀걸이턱에서 빠지도록 한다.
상기 메인구동구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동작시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오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의 스프링조작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 조작기를 구성하는 축으로 구동축만이 사용된다. 즉, 클로즈스프링은 클로즈링크를 통해 메인구동구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메인구동구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동축에는 오픈레버가 상대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스프링 조작기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줄어들고 소요공간도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스프링조작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핀가이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오픈스프링과 클로즈스프링이 모두 복원된 초기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로즈스프링이 탄성변형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로즈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오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로즈스프링은 완전히 복원되고 오픈스프링의 탄성변형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로즈스프링이 다시 탄성변형되어 동작대기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이상신호가 제공되어 오픈스프링이 복원되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프링차단기에는 메인구동구(10)가 있다. 상기 메인구동구(10)는 원판형상으로 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기어를 사용한다. 상기 메인구동구(1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과 아래에서 설명될 클로즈스프링(1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구동구(10)로서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동원인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을 감속기(도시되지 않음)의 최종 기어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
상기 메인구동구(10)의 일측 외면에는 메인구동구(10)의 회전중심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클로즈스프링연결부(12)가 있다. 상기 클로즈스프링연결부(12)는 상기 메인구동구(10)의 일측 외면에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클로즈스프링연결부(12)에는 클로즈스프링(13)과 상기 메인구동구(10)를 연결시키는 클로즈링크(13')의 일단부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은 원통코일스프링으로서 일단부는 제1고정판(14)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1구동판(14')에 연결된다. 상기 제1구동판(14')에는 상기 클로즈링크(13')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클로즈링크(13')는 상기 제1고정판(14)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메인구동구(10)와 일체로 회전되게 구동축(15)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5)은 상기 메인구동구(1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구동축(15)은 소정 길이 연장되어 일측에 연동구(16)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구(16)와 상기 메인구동구(10) 그리고 구동축(15)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연동구(16)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래에 설명될 연동핀(31)이 걸어지는 핀걸이턱(18)이 일측에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동구(16)가 상기 구동축(15)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핀걸이턱(18)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핀(31)이 걸어지면, 아래에서 설명될 오픈레버(30)가 상기 구동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동구(16)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핀가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핀가이드(20)는 예를 들면, 스프링조작기의 프레임과 같은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핀가이드(20)는 상기 연동구(16)가 위치되는 연동구공간(22)이 2개의 측벽(2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측벽(24)에는 상기 구동축(15)이 관통하는 축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24)의 선단을 따라서는 핀안내면(28)이 형성된다. 상기 핀안내면(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핀(31)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핀안내면(28)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형상의 곡선으로 되는 곡면부(29)와 급격한 경사를 가지는 천이부(29')로 구성된다. 상기 곡면부(29)와 천이부(29')가 만나는 지점을 연동핀(31)이 통과할 때, 즉, 천이부(29')에서 곡면부(29)로 연동핀(31)이 이동할 때, 상기 연동구(16)의 핀걸이턱(18)에서 연동핀(31)이 빠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축(15)에는 오픈레버(30)가 설치된다. 상기 오픈레버(30)는 상기 핀가이드(20)의 양측의 측벽(24) 외측에 각각 위치되게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오픈레버(30)가 반드시 한 쌍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핀(31)의 동작특성 등을 고려하면 한 쌍으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오픈레버(30)에는 장공(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30')에는 연동핀(31)의 양단이 설치된다. 상기 장공(30')에 설치된 연동핀(31)은 상기 오픈레버(30)를 상기 구동축(15)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를 위해 상기 장공(30')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연동핀(31)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핀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핀스프링(31')은 상기 연동핀(31)을 상기 장공(30')내에서 일측 단부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핀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가이드(20)의 핀안내면(28)에 상기 연동핀(31)이 밀착되어 이동된다.
상기 오픈레버(30)의 일측에는 오픈스프링연결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오픈스프링연결부(32)에는 오픈스프링(33)의 일단부에 연결된 오픈링크(33')가 설치된다. 상기 오픈스프링(33)은 원통코일스프링이다. 상기 오픈링크(33')는 상기 오픈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오픈스프링(33)을 탄성변형시키고 오픈스프링(33)의 복원력을 반대로 전달하기도 한다.
상기 오픈링크(33')의 일단부와 상기 오픈스프링(33)의 사이에는 제2구동판(34)이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판(34)은 상기 오픈링크(33')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오픈스프링(33)의 반대쪽 단부는 제2고정판(34')에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판(34')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오픈스프링(33)을 지지한다. 참고로, 상기 제1고정판(14')과 제2고정판(34')은 일체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구동구(10)의 회전중심인 구동축(15)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이 연결되어 메인구동구(10)의 회전에 의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오픈스프링(33)측은 상기 구동축(15)에 설치된 오픈레버(30)에 연결됨에 의해 역시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메인구동구(10)와 연동되어 오픈스프링(33)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구동축(15)만을 가지고 스프링조작기에서 스프링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례의 스프링조작기의 초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클로즈스프링(13)과 오픈스프링(33)이 모두 탄성변형되지 않은 이완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상기 메인구동구(10)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클로즈링크(13')가 당겨지면서 상기 제1구동판(14')이 당겨지면서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이 상기 제1고정판(14)에 대해 압착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연동구(16)도 상기 메인구동구(1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메인구동구(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이 탄성변형완료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동구(16)의 핀걸이턱(18)이 상기 연동핀(31)에 인접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구동구(10)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상기 핀걸이턱(18)이 상기 연동핀(31)을 걸어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핀(31)은 상기 연동구(16)의 핀걸이턱(18)에 걸어져 이동하면서 상기 핀가이드(20)의 핀안내면(28)에 상기 핀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은 상기 오픈레버(30)의 회전을 만들어내고, 상기 오픈레버(30)의 오픈스프링연결부(32)에 연결된 상기 오픈링크(33')의 이동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상기 메인구동구(10)의 회전은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의 복원되면서 상기 클로즈링크(13')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구동구(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동구(16)의 핀걸이턱(18)이 연동핀(31)을 걸고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핀(31)은 상기 핀가이드(20)의 핀안내면(28)을 따라 안내되어 핀안내면(28)중에서 상기 천이부(29')에서 상기 곡면부(29)로 넘어가면서 상기 핀걸이턱(18)에서 빠지게 된다. 이는 상기 핀걸이턱(18)의 끝단이 상기 핀안내면(28)의 가장 높은 부분보다 덜 돌출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핀걸이턱(18)이 상기 곡면부(29)의 끝부분을 통과할 때 상기 곡면부(29)에 의해 상기 장공(30') 내의 타단부쪽으로 상기 핀스프링(3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핀걸이턱(18)에서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오픈레버(30)는 더 이상 상기 연동구(16)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메인구동구(10)는 이 시점 이후에는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이 복원되는 힘과 관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 7의 상태로 된다. 도 7의 상태는 상기 오픈스프링(33)이 완전히 탄성변형된 상태이고,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은 다시 복원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구동구(10)가 다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연동구(16)의 핀걸이턱(18)에 상기 연동핀(31)이 걸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오픈레버(30)는 동작되지 않는다. 즉, 상기 메인구동구(10)와 연동구(16)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을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도 8에는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이 다시 탄성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상태는 상기 클로즈스프링(13)과 오픈스프링(33)이 모두 탄성변형된 상태로서 동작대기 상태가 된다. 즉, 이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이상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오픈스프링(33)이 동작되면서 스위치를 오픈시키는 것이다. 즉, 이상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오픈스프링(33)의 복원을 차단하고 있던 레치가 해제되면서 상기 오픈스프링(33)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여 상기 오픈링크(13')가 이동면서 상기 오픈레버(30)도 회전시킨다. 상기 오픈레버(30)는 상기 구동축(15)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구동구(10)나 연동구(16)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구동축(15)에 대해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한편, 도 9의 상태, 즉 상기 오픈스프링(33)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클로즈스프링(13)이 다시 복원력을 발휘하면, 상기 오픈스프링(33)이 다시 탄성변형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구(1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동핀(31)을 걸고 이동하면 상기 오픈스프링(33)이 다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이상신호가 실제의 이상신호이면 상기 오픈스프링(33)이 다시 복원되면서 차단작용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초기상태가 되도록 동작되어 스위치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클로즈링크(13')와 오픈링크(33')가 단일의 링크로 되어 있으나, 다수개의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오픈레버(30)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면서 클로즈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핀가이드(20)의 핀안내면(28)과 상기 연동핀(31)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 연동구(16)에 캠곡면을 두어 상기 오픈레버(30)의 선택적 회전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10: 메인구동구 12: 클로즈스프링연결부
13: 클로즈스프링 13': 클로즈링크
14: 제1고정판 14': 제1구동판
15: 구동축 16: 연동구
18: 핀걸이턱 20: 핀가이드
22: 연동구공간 24: 측벽
26: 축공 28: 핀안내면
29: 곡면부 29': 천이부
30: 오픈레버 31: 연동핀
32: 오픈스프링연결부 33: 오픈스프링
33': 오픈링크 34: 제2구동판
34': 제2고정판

Claims (11)

  1. 일측면에 클로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메인구동구와,
    상기 클로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동작을 수행하는 클로즈스프링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대 회전되고 장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오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된 오픈레버와,
    상기 오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동작을 수행하며 스위치의 오픈조작을 위한 동작을 제공하는 오픈스프링과,
    상기 메인구동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오픈스프링을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동작을 통해 탄성변형시키도록 상기 오픈레버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연동구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레버는 쌍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구의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되는 상기 오픈레버 각각에 있는 장공에 연동핀의 양단이 안착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에 형성된 장공에는 상기 연동핀이 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장공의 일측 단부를 향해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핀은 상기 연동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장공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오픈레버를 회전시키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핀은 상기 연동구에 형성된 핀걸이턱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동구가 연동구공간에 설치되는 핀가이드에는 상기 연동핀이 안내되는 핀안내면이 형성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안내면은 상기 핀가이드의 측벽에 형성되는데, 상기 핀안내면의 일부 구간은 상기 연동구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연동핀이 상기 핀걸이턱에서 빠지도록 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가이드는 상기 측벽이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측벽의 사이에 상기 연동구가 위치되는 연동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동구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동작시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오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8. 일측면에 클로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되고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메인구동구와,
    상기 클로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 동작을 수행하는 클로즈스프링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대 회전되고 일측에 장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오픈스프링연결부가 구비된 오픈레버와,
    상기 오픈스프링연결부에 연결되어 탄성변형과 복원동작을 수행하며 스위치의 오픈조작을 위한 동작을 제공하는 오픈스프링과,
    상기 메인구동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오픈스프링을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동작에 의해 탄성변형시키도록 상기 오픈레버를 구동하는 연동구와,
    상기 연동구가 내부에 설치되고 측벽의 선단을 따라 핀안내면이 형성된 핀가이드와,
    상기 연동구가 상기 클로즈스프링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연동구의 핀걸이턱에 걸어져 상기 오픈레버의 장공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핀안내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오픈레버를 회전시키는 연동핀을 포함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는 쌍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핀가이드의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되어 상기 연동핀의 양단이 각각의 오픈레버에 있는 장공에 안착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핀안내면은 상기 핀가이드의 측벽에 형성되는데, 상기 핀안내면의 일부 구간은 상기 연동구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연동핀이 상기 핀걸이턱에서 빠지도록 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동구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동작시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오픈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로즈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KR1020140195582A 2014-12-31 2014-12-31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KR101739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82A KR101739006B1 (ko) 2014-12-31 2014-12-31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582A KR101739006B1 (ko) 2014-12-31 2014-12-31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77A KR20160081577A (ko) 2016-07-08
KR101739006B1 true KR101739006B1 (ko) 2017-05-23

Family

ID=5650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582A KR101739006B1 (ko) 2014-12-31 2014-12-31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659A (ko) 2020-11-23 2022-05-31 (주)와이엘산업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09B1 (ko) 2007-03-05 2008-0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용 전동스프링 구동장치
KR100942567B1 (ko) 2007-12-31 2010-02-16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KR101072692B1 (ko) 2010-03-09 2011-10-11 임수형 자동재폐로 누전차단기의 조작 레버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77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918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CN103762127A (zh) 一种断路器的操作机构
US10643813B2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permanent magnetic actuation
CN105247736A (zh) 自动闭合式电气连接系统
KR101513722B1 (ko)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US9754737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tored energy assembly therefor
KR101739006B1 (ko)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EP2172956A2 (en) A mechanism for the synchronized operation of closing and opening of a switching device and a selector device in a switchgear.
EP3242305B1 (en) Electrical enclosure, and switching assembly and transfer assembly therefor
CN110021494B (zh) 用于开关柜中接地开关的传动系统以及开关柜
US9129760B2 (en) Shutter system for a switchgear compartment and method of manipulating a shutter system
KR101678002B1 (ko)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
KR101692787B1 (ko) 차단기
KR101753107B1 (ko)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장치
KR101038089B1 (ko) 개폐기용 조작 장치
KR101725088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704432B1 (ko) 회로차단기의 투입스프링 차징 장치
US11264191B2 (en) Breaker
KR102091533B1 (ko) 회로차단기
KR101775376B1 (ko) 회로차단기의 투입스프링 차징 장치
KR1022361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26948B1 (ko) 순시차단용 구동장치
JP2017045576A (ja) 開閉装置システムおよび操作機構
CN210640151U (zh) 柔性脱扣装置和包括该柔性脱扣装置的组合电器
JP2005141915A (ja) 三位置開閉器の操作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