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62B1 -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62B1
KR101010562B1 KR1020100014435A KR20100014435A KR101010562B1 KR 101010562 B1 KR101010562 B1 KR 101010562B1 KR 1020100014435 A KR1020100014435 A KR 1020100014435A KR 20100014435 A KR20100014435 A KR 20100014435A KR 101010562 B1 KR101010562 B1 KR 10101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perating
door
fi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남호
최창원
Original Assignee
구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남호 filed Critical 구남호
Priority to KR102010001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는,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며 내부로 고리힌지축 및 작동힌지축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측으로 작동구가 마련되는 작동축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작동힌지축에 힌지체결되며 일측에는 본체로 돌출되어 작동구에 삽입되는 작동핀이 형성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과 함께 작동힌지축에 힌지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회동되는 작동판을 위치 고정하는 작동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작동홀더와, 상기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과 함께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고 일단으로 고리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회동되어 고리수단을 고정하는 고리구가 형성되는 고리판 및 상기 고리판과 함께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걸림판과 고리판을 위치 고정하는 고리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고리홀더와, 상기 본체의 상측을 케이싱하는 상면케이스 및 상기 본체의 양측을 케이싱하는 양면케이스를 포함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케이스의 어느 일측에서 작동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가압볼트와, 일측에 상기 양면케이스를 관통한 가압볼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압볼트의 선단이 수용홈의 단부에 체결되며 타측면이 작동축의 상측면에 접지되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의 수용홈 내부에서 양면케이스로 연장되도록 가압볼트를 수용하여 가압체로 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작동축이 아래로 하강되면 가압체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작동축 또는 작동핀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시에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인원에 의해 방화문을 열었을 때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고리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원이 안정적인 대피가 가능하면서도 대피가 완료되었을 때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방화문이 차단되어 방화문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door release for fire door}
본 발명은 아파트 및 빌딩과 같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나 불길이 인접지역으로 번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화문의 개폐를 도모하는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의 발생에 따라 방화문이 개방되도록 도어릴리즈의 액츄에이터 작동축이 방화문 고리수단의 해제구간으로 작동되면 탄성력으로 하여금 액츄에이터의 작동축을 방화문 고리수단의 해제구간에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화재 시에도 방화문의 자유로운 개폐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리수단과 도어릴리즈의 마찰을 방지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재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재 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현재 빌딩이나 아파트가 초고층화되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기질식이나 옮겨붙는 불에 의해서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방화문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평상 시에는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가 화재발생 시에만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차단장치가 필수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장치는 방화문으로 방화문을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도어클로져가 구비되고, 방화문의 일측에는 고리수단이 설치되고, 방화문의 측벽에 도어릴리즈가 설치되어 평상 시에는 도어릴리즈로 하여금 방화문의 고리수단을 고정하다가 화재발생 시 화재감지수단 및 제어장치에 의해 도어릴리즈가 작동되면 고리수단과의 고정이 해제되어 도어클로져로 하여금 방화문이 차단되어 인접지역으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장치는 화재 시에 작동됨으로써 방화문에 구성된 고리수단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방화문이 측벽에 닫히도록 하여 불길이나 연기를 신속하게 차단되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인원이 피신을 위해 방화문을 열면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다시 도어릴리즈에 고정되어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방화문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건물 내부로 불길 또는 연기가 확산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화문이 대피인원에 의해 열려서 고리수단이 도어릴리즈에 고정될 때마다 도어릴리즈를 작동시켜 고리수단을 해제하여 방화문을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릴리즈를 계속적으로 작동시킨다할지라도 방화문의 계속적인 개폐에 따른 도어릴리즈 및 고리수단이 고정되는 부위의 마찰로 인해 파손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의 발생에 따라 방화문이 개방되도록 도어릴리즈의 액츄에이터 작동축이 방화문 고리수단의 해제구간으로 작동되면 탄성력으로 하여금 액츄에이터의 작동축을 방화문 고리수단의 해제구간에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화재 시에도 방화문의 자유로운 개폐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리수단과 도어릴리즈의 마찰을 방지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는,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며 내부로 고리힌지축 및 작동힌지축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측으로 작동구가 마련되는 작동축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작동힌지축에 힌지체결되며 일측에는 본체로 돌출되어 작동구에 삽입되는 작동핀이 형성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과 함께 작동힌지축에 힌지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회동되는 작동판을 위치 고정하는 작동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작동홀더와, 상기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과 함께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고 일단으로 고리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회동되어 고리수단을 고정하는 고리구가 형성되는 고리판 및 상기 고리판과 함께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걸림판과 고리판을 위치 고정하는 고리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고리홀더와, 상기 본체의 상측을 케이싱하는 상면케이스 및 상기 본체의 양측을 케이싱하는 양면케이스를 포함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케이스의 어느 일측에서 작동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가압볼트와, 일측에 상기 양면케이스를 관통한 가압볼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압볼트의 선단이 수용홈의 단부에 체결되며 타측면이 작동축의 상측면에 접지되는 가압체와, 상기 가압체의 수용홈 내부에서 양면케이스로 연장되도록 가압볼트를 수용하여 가압체로 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구성하여 작동축이 아래로 하강되면 가압체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작동축 또는 작동핀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를 축전하여 엑츄에이터에 전기를 공급하여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도모하는 콘덴서부와, 상기 콘덴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콘덴서부와 제어부의 작동을 리셋하는 리셋부가 포함되는 제어기가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는, 화재 발생 시에 엑츄에이터의 작동축이 방화문을 차단하는 고리수단의 해제구간으로 이동되면 고정수단이 작동축을 고정하기 때문에, 대피인원이 대피를 위한 방화문의 계속적인 개폐 시에도 고리홀더가 고리수단을 고정하지 않아 고리수단 및 도어릴리즈의 마찰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며, 또한 방화문의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하여 인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면서도 인원의 대피가 완료되었을 때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방화문이 차단되어 방화문의 안전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시에 엑츄에이터를 작동하는 화재감지수단 및 전선 파손 등에 대비하여 엑츄에이터를 임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성되기 때문에, 화재 시에 방화문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 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접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고정 또는 해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 (b)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수단에 의해 작동축이 고정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a), (b)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수단에 의해 작동핀이 고정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가 적용되는 방화문 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접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화문(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을 닫아주는 도어클로져(7)에 의해 화재 시에 불길 및 연기의 확산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에는 고리형태의 고리수단(3)이 형성되며 상기 방화문(1)의 측벽으로 평상 시에는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을 고정하다가 화재가 발생되면 고리수단(3)을 해제시켜 방화문(1)으로 하여금 연기 및 불길의 차단을 도모하는 도어릴리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에 도어릴리즈 내의 엑츄에이터(20) 작동축(21)을 방화문(1) 고리수단(3)의 해제구간에서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릴리즈의 형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이 삽입되는 삽입구(10h)가 마련되며 내부로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작동홀더(30)와 고리홀더(40)가 체결되어 힌지회동을 도모하는 작동힌지축(39) 및 고리힌지축(49)이 수용되는 본체(1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상측에 작동구(23)를 가지는 작동축(21)이 형성되며 제어실(미도시)의 제어로 인해 작동축(21)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20)가 구성된다.
상기 작동홀더(30)는 작동힌지축(39)에 체결되며 일측에는 힌지회동 시에 후술되는 고리홀더(40)의 걸림면(43)에 걸림되는 접지면(33)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본체(10)를 관통하여 엑츄에이터(20)의 작동구(23)에 삽입되는 작동핀(38)이 형성되는 작동판(31)이 구성되고 상기 작동판(31)과 함께 작동힌지축(39)에 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작동판(31)을 위치 고정하는 작동토션스프링(30s)으로 구성되어 엑츄에이터(20)의 작동에 따라 힌지작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홀더(40)는 고리힌지축(49)에 체결되며 일단으로 작동홀더(30)의 접지면(33)을 걸림하도록 걸림면(43)이 형성되는 걸림판(41)이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41)의 일측에서 걸림판(41)과 함께 고리힌지축(49)에 체결되는 고리판(45)이 구성되고 상기 고리판(45)의 일단으로 고리수단(3)을 고정하는 고리구(47)가 구성되어 방화문(1)이 닫힐 때 고리수단(3)의 가압력에 의해 고리판(45)이 힌지회동되어 고리구(47)로 하여금 고리수단(3)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판(45)의 일측에 고리힌지축(49)에 힌지체결되는 고리토션스프링(40s)을 구성하여 고리토션스프링(40s)의 탄성에 의해 걸림판(41)과 고리판(45)의 힌지회동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회동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의 개방을 위하여 방화문(1)이 도어릴리즈에 고정되는 형태는, 상기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이 본체(10)의 삽입구(10h)로 삽입되어 고리판(45)에 형성된 고리구(47)의 일면을 가압하면 고리판(45)과 걸림판(41)은 고리힌지축(49)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힌지회동되어 고리구(47)로 하여금 고리수단(3)을 고정함과 아울러 걸림판(41)의 걸림면(43)이 작동판(31)의 접지면(33)에 마찰되어 고정되고 작동판(31) 또한 작동힌지축(39)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동된다.
상기 작동판(31)의 회동에 따라 작동판(31)에서 돌출되어 엑츄에이터(20)의 작동구(23)에 삽입되는 작동핀(38)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엑츄에이터(20)의 작동축(21) 또한 상측으로 전진된 상태로 고리구(47)가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을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화재가 발생되어 도어릴리즈의 고정이 해제되어 방화문(1)이 차단되는 형태는, 엑츄에이터(20)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작동축(21)을 후진시키면 작동핀(38)은 아래로 하강되어 작동홀더(30)의 작동판(31)은 작동힌지축(39)을 기준으로 회동되고 작동판(31)의 회동에 따라 작동판(31)의 접지면(33)과 걸림판(41)의 걸림면(43)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접지면(33)과 걸림면(43)의 고정이 해제되면 걸림판(41)과 고리판(45)은 고리토션스프링(40s)의 탄성에 의해 회동력이 발생되고 작동판(31)은 작동토션스프링(30s)에 의해 회동력이 발생되어 작동홀더(30)와 고리홀더(40)는 고리수단(3)이 가압되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어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은 고리구(47)에서 빠져나와 방화문(1)이 도어클로져(7)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20)는 작동축(21)의 전, 후진되는 위치에 따라 방화문(1) 고리수단(3)의 고정 또는 해제되는 구간으로 나눠지며, 더욱 자세히는 작동축(21)이 전진되면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이 고정되는 구간이며 작동축(21)이 후진되면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을 해제하는 구간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20)의 일측으로 작동핀(38)을 접지하는 리미트 스위치(50)를 구성하여 작동핀(38)의 상, 하 이동을 감지하여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이 도어릴리즈에 고정 또는 해제 여부를 제어실에 전기적 신호로 보내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을 케이싱하되, 후술되는 고정수단(90)의 가압체(93)가 안내되는 안내홈(8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케이스(80)가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을 케이싱하는 양면케이스(70)가 구성되어 본체(10)를 상측 및 양측에서 케이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90)은 엑츄에이터(20)의 작동축(21)과 접지되어 있다가 작동축(21)이 고리수단(3)의 해제구간으로 작동되면 작동축(21)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엑츄에이터(20)의 작동축(21)을 해제구간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90)은 양면케이스(70)의 어느 일측에서 작동축(21)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가압볼트(91)가 구성된다.
일측으로 상기 양면케이스(70)를 관통한 가압볼트(91)가 수용되는 수용홈(9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94)에 수용된 가압볼트(91)의 선단이 수용홈(94)의 단부에 체결되며 타측면이 작동축(21)의 상측면에 접지되는 가압체(93)가 구성된다.
상기 가압체(93)의 수용홈(94) 내측단부에서 양면케이스(70)로 연장되도록 가압볼트(91)를 수용하여 가압체(93)로 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97)으로 이루어져 스프링(97)에서 발생되는 장력이 가압체(93)로 인가되어 상기 가압체(93)는 작동축(21) 방향으로 탄성됨으로써 작동축(21)이 아래로 하강되면 가압체(93)는 스프링(97)의 장력에 의해 탄성하여 작동축(21)의 상측에 이동되어 작동축(21)을 해제구간에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때 가압체(93)에 인가되는 스프링(97)의 장력은 가압체(93)가 작동축(21)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97)의 수축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상면케이스(80)의 안내홈(83)에 가압체(93)의 상면이 인입구성되어 안내홈(83)의 양측 단부로 가압체(93)가 이동 시에 걸림됨으로써 스프링(97)의 장력에 의한 가압체(93)의 이동반경을 한정하여 스프링(97)에서 인가되는 장력의 조절없이 가압체(93)를 작동축(21)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히는 상기 안내홈(83)의 일측단부를 작동축(21)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가압체(93)가 스프링(97)의 장력에 의해 이동되더라도 안내홈(83)의 일측단부에 걸림되어 작동축(21)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작동축(2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재 시에 엑츄에이터(20)가 작동하여 작동축(21)이 아래로 하강되면 상기 고정수단(90)으로 하여금 작동축(21)을 해제구간에서 고정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인원에 의해 방화문(1)을 열었을 때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이 고리홀더(4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원이 안정적인 대피가 가능하면서도 대피가 완료되었을 때는 도어클로져(7)에 의해 방화문(1)이 차단되어 방화문(1)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93)의 하단면이 엑츄에이터(20)의 작동축(21)이 해제구간으로 이동될 때 작동핀(38)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가압체(93)의 하단면으로 작동핀(38)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동핀(38)이 작동구(23)에서 이탈되더라도 작동핀(38)은 고정되어 고리홀더(40) 및 작동홀더(30)는 계속적으로 해제구간 위치에 유지되어 고리구(47)로 하여금 방화문(1)의 고리수단(3)을 고정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재 시에 방화문(1)의 개폐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볼트(91)의 일측으로 돌출구(98)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구(98)를 걸림할 수 있는 걸림구(99)를 본체(10) 일측에 형성하여 스프링(97)의 장력에 의해 가압볼트(91) 및 가압체(93)가 작동축 및 작동핀(38)의 상측에서 돌출구(98)가 걸림구(99)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20)의 작동은 제어실에서의 작동이나 화재감지수단(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데, 여기서 전기를 충전하는 콘덴서(103) 또는 충전지(104)가 구성되고, 외부의 화재감지수단과 같은 전기적 신호와 제어실에서 연결되는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103), 충전지(104)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엑츄에이터(20)에 인가하는 제어부(105)가 구성되고,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05)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107)가 구비되는 제어기(100)가 구성되어 화재 시에 화재감지수단의 파손이나 제어실과 연결되는 전선의 파손이 발생되어도 상기 제어기(100)를 통해 등에 방화문(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0 : 본체 10h : 삽입구
20 : 엑츄에이터 21 : 작동축
23 : 작동구 30 : 작동홀더
31 : 작동판 33 : 접지면
38 : 작동핀 39 : 작동힌지축
30s : 작동토션스프링 40 : 고리홀더
41 : 걸림판 43 : 걸림면
45 : 고리판 47 : 고리구
49 : 고리힌지축 40s : 고리토션스프링
50 : 리미트 스위치 70 : 양면케이스
80 : 상면케이스 83 : 안내홈
90 : 고정수단 91 : 가압볼트
93 : 가압체 94 : 수용홈
97 : 스프링 100 : 제어기
103 : 콘덴서 105 : 제어부
107 : 리셋부

Claims (3)

  1. 방화문의 고리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며 내부로 고리힌지축 및 작동힌지축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측으로 작동구가 마련되는 작동축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작동힌지축에 힌지체결되며 일측에는 본체를 관통하여 작동구에 삽입되는 작동핀이 형성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과 함께 작동힌지축에 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회동되는 작동판을 위치 고정하는 작동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작동홀더와, 상기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는 걸림판 및 상기 걸림판과 함께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고 일단으로 고리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회동되어 고리수단을 고정하는 고리구가 형성되는 고리판 및 상기 고리판과 함께 고리힌지축에 힌지체결되어 탄성에 의해 걸림판과 고리판을 위치 고정하는 고리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고리홀더와, 상기 본체의 상측을 케이싱하는 상면케이스 및 상기 본체의 양측을 케이싱하는 양면케이스를 포함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케이스(70)의 어느 일측에서 작동축(21)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가압볼트(91)와,
    일측에 상기 양면케이스(70)를 관통한 가압볼트(91)가 수용되는 수용홈(94)이 형성됨과 아울러 가압볼트(91)의 선단이 수용홈(94)의 단부에 체결되며 타측면이 작동축(21)의 상측면에 접지되는 가압체(93)와,
    상기 가압체(93)의 수용홈(94) 내부에서 양면케이스(70)로 연장되도록 가압볼트(91)를 수용하여 가압체(93)로 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97)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90)을 구성하여 작동축(21)이 아래로 하강되면 가압체(93)가 스프링(97)의 장력에 의해 작동축(21) 또는 작동핀(38)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작동축(21) 또는 작동핀(38)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케이스(8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8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83)의 일측단부를 작동축(21)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가압체(93)의 상면이 상면케이스(80)의 안내홈(83)에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를 충전하는 콘덴서(103) 또는 충전지(104)와, 외부의 전기적 신호와 외부전기의 단선을 인식하여 외부의 전기, 콘덴서(103), 충전지(104)의 전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기를 엑츄에이터(20)에 인가하는 제어부(105)와, 화재가 종료됨에 따라 제어부(105)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는 리셋부(107)가 구비되는 제어기(100)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KR1020100014435A 2010-02-18 2010-02-18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KR10101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35A KR101010562B1 (ko) 2010-02-18 2010-02-18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435A KR101010562B1 (ko) 2010-02-18 2010-02-18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562B1 true KR101010562B1 (ko) 2011-01-24

Family

ID=4361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35A KR101010562B1 (ko) 2010-02-18 2010-02-18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5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292B1 (ko) 1996-10-07 1999-12-01 허영조 잠김해제 기능을 가진 비상구 출입문 도어록
JP2002256754A (ja) 2001-03-02 2002-09-11 Howa:Kk 防災用自閉引き戸の係止装置
KR20090097328A (ko) * 2008-03-11 2009-09-16 김현기 방화도어용 도어 스토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292B1 (ko) 1996-10-07 1999-12-01 허영조 잠김해제 기능을 가진 비상구 출입문 도어록
JP2002256754A (ja) 2001-03-02 2002-09-11 Howa:Kk 防災用自閉引き戸の係止装置
KR20090097328A (ko) * 2008-03-11 2009-09-16 김현기 방화도어용 도어 스토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021339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20120132250A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10150340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거주자 대피용 화재 차단장치
KR20070109037A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101195317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010562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고정장치
KR101195324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1007861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326440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060109711A (ko) 방화스크린장치
KR10125660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101779108B1 (ko)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101056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KR101141301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496551B1 (ko) 방화형 도어 스토퍼
EP3445929B1 (en) A door provided with at least one latch
KR102661398B1 (ko) 갇힘 방지용 도어록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094193B1 (ko)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19597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제어장치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20200112351A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