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551B1 - 방화형 도어 스토퍼 - Google Patents

방화형 도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551B1
KR101496551B1 KR20130083259A KR20130083259A KR101496551B1 KR 101496551 B1 KR101496551 B1 KR 101496551B1 KR 20130083259 A KR20130083259 A KR 20130083259A KR 20130083259 A KR20130083259 A KR 20130083259A KR 101496551 B1 KR101496551 B1 KR 101496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stopper
outer cylinder
stopper
rel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151A (ko
Inventor
이형근
이용신
Original Assignee
이형근
이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근, 이용신 filed Critical 이형근
Priority to KR2013008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5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방된 출입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의 걸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간편한 발 동작만으로도 스토퍼의 걸림과 해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건물에 불이 났을 경우 자동적으로 도어 스토퍼의 해제가 되는 방화형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있어서,
외부케이스(210), 해제작용부(220), 탄성부(230), 작용고정부(240)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는 방화해제부(200)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화(防火)형 도어 스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도어 스토퍼는 상,하부에 나사공(101)을 형성하고,후방에 공간부(103)가 형성되도록 전면으로 돌출된 설치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공(104)을 형성하고, 설치부(102) 상부에는 걸림돌기(105)를 형성한 바디(1)와;
상기 설치공(104)에 끼워지며, 주벽을 관통하는 핀(201)으로 고정된 와셔(202)를 상기 공간부(103) 내부에 위치시켜, 상기 와셔(202)와 상기 공간부(103)의 바닥면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1)으로 탄설한 외부실린더(2)와;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부를 통해 외부실린더(2)의 내부에 삽설되며, 상단부와 상기 외부실린더(2)에 설치된 핀(201) 사이에 코일스프링(S2)을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패드(301)를 나사 결합한 내부실린더(3)와;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부 주벽과, 상기 내부실린더(3)의 하부에 형성된 장공(302)을 관통하는 핀(201)에 의해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실린더(2)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 작동판(4)과;
상면에는 관통공(501)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1)의 설치부(102) 상부에서 상기 외부실린더(2)가 관통하게 하고, 상면 내측 단부는 바디(1)의 걸림돌기(105) 하부에 끼워지며, 저면에는 요입홈(502)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06)과 상기 요입홈(502)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3)으로 탄설한 고정체(5)로 구성되는 도어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防火)형 도어 스토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형 도어 스토퍼{a fire prevention 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방된 출입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의 걸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간편한 발 동작만으로도 스토퍼의 걸림과 해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건물에 불이 났을 경우 자동적으로 도어 스토퍼의 해제가 되는 방화형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현관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출입문은 보안성 유지와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출입문이 개방된 후에는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문틀과 출입문 내측 간에 유압을 이용해 출입문을 자동으로 닫아주는 도어 클로저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물건을 옮기거나 환기 등을 위해서 출입문을 일시적으로 개방해두어야 할 필요도 있기 때문에 도어 클로저가 설치된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출입문의 내측 하부에는 도어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개방된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어 스토퍼(door-stopper)란 일반적으로 여닫이식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출입문이 닫히지 않도록 출입문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이용해 출입문의 위치를 일시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 스토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말굽다리(a)가 회전 가능하도록 브라켓(b)을 이용해 출입문 내측면 하부에 설치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도어 스토퍼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한 출입문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하는 지점에서 출입문 내측면에 설치된 말굽다리를 회전시켜 말굽다리 하단부의 패드(c)를 지면에 밀착시키면 패드와 지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출입문의 닫힘이 억제됨으로써 출입문(d)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스토퍼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말굽다리의 하단부에 패드가 설치된 형태이기 때문에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말굽다리를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야 할 때에는 출입문의 내측에 붙어 있는 말굽다리를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 끝으로 끌어내려야 하는데 패드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 끝을 이용해 말굽다리를 끌어내리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일부 사용자의 경우에는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손을 이용해 말굽다리를 끌어내리는 경우가 많은데, 신발과 접촉하는 경우가 많은 말굽다리의 사용조건상 말굽다리의 표면이 지저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말굽다리를 끌어내리는 경우에는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 뿐만 아니라, 손이 더러워짐으로써 불쾌감을 느끼는 사용자가 많았다.
또한, 말굽다리의 패드가 지면과 밀착한 상태로 출입문이 개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다시 문을 닫기 위해서 말굽다리를 당겨 올려야 할 때에는 출입문의 내면과 말굽다리 사이의 공간으로 신발 끝을 집어넣어서 말굽다리를 당겨 올려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출입문의 내측면이 신발과 닿으면서 출입문이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좁은 틈으로 신발 끝을 집어넣는 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신발 표면이 손상을 입는 경우도 빈번하기 때문에 일부 사용자의 경우에는 허리를 숙여 손으로 당겨 올림으로써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이나, 손이 더러워지는 불쾌감 등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도어 스토퍼는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 클로저의 유압이 작용하는 문의 회전력에 의해 말굽다리의 하단부에 설치된 패드와 지면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이용해 출입문의 개방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패드의 저면이 오염되거나 마모되면 주로 고무 재질로 된 패드 바닥면의 마찰력이 현저히 저하되면서 패드가 지면에 밀착되더라도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 스토퍼가 미끄러지면서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최근에는 건물이나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옆방이나 다른 장소로 불이 옮겨 붙는 즉, 연소(延燒)를 방지하지 위하여 방의 문은 잠겨 있어야 하는 법률적 규제를 받고 있다.
따라서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는 방화형 스토퍼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현재 기술의 요구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물이나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옆방이나 다른 장소로 불이 옮겨 붙는 즉, 연소(延燒)를 방지하지 위하여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는 방화형 스토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도어 스토퍼의 걸림 작동과, 걸림 작동 중인 도어 스토퍼의 걸림 해제를 위한 조작시에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 없이 외부로 노출된 작동판과 고정판을 수직으로 누르거나 수평으로 가볍게 미는 동작만으로도 도어 스토퍼의 걸림과 해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한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스프링을 이용해 지면과 밀착되는 패드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패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도어 스토퍼로서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스토퍼에 있어서,
외부케이스(210), 해제작용부(220), 탄성부(230), 작용고정부(240)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는 방화해제부(200)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방화(防火)형 도어 스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도어 스토퍼는 상,하부에 나사공(101)을 형성하고,후방에 공간부(103)가 형성되도록 전면으로 돌출된 설치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공(104)을 형성하고, 설치부(102) 상부에는 걸림돌기(105)를 형성한 바디(1)와;
상기 설치공(104)에 끼워지며, 주벽을 관통하는 핀(201)으로 고정된 와셔(202)를 상기 공간부(103) 내부에 위치시켜, 상기 와셔(202)와 상기 공간부(103)의 바닥면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1)으로 탄설한 외부실린더(2)와;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부를 통해 외부실린더(2)의 내부에 삽설되며, 상단부와 상기 외부실린더(2)에 설치된 핀(201) 사이에 코일스프링(S2)을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패드(301)를 나사 결합한 내부실린더(3)와;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부 주벽과, 상기 내부실린더(3)의 하부에 형성된 장공(302)을 관통하는 핀(201)에 의해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실린더(2)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 작동판(4)과;
상면에는 관통공(501)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1)의 설치부(102) 상부에서 상기 외부실린더(2)가 관통하게 하고, 상면 내측 단부는 바디(1)의 걸림돌기(105) 하부에 끼워지며, 저면에는 요입홈(502)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06)과 상기 요입홈(502)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3)으로 탄설한 고정체(5)로 구성되는 도어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防火)형 도어 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물이나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옆방이나 다른 장소로 불이 옮겨 붙는 즉, 연소(延燒)를 방지하지 위하여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스토퍼가 해제되면서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어 연소를 방지하고 방화(防火)가 되는 현저한 효과가 창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판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패드가 지면에 닿으면서 도어 스토퍼의 걸림 작동이 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지면과 마찰하는 패드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출입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도어 스토퍼의 걸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고정체를 가볍게 누르거나 미는 동작만으로도 도어 스토퍼의 걸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도어 스토퍼의 걸림과 해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 스토퍼를 나타낸 사용 상태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설치 상태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해제부가 구비된 도어 스토퍼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해제부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해제부 및 안착부의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해제부가 안착부에 구비된 도어 스토퍼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바디(1)와, 상기 바디(1)의 설치부(102)에 코일스프링(S1, S2)으로 탄설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눌러서 실린더 하단부에 설치된 패드(301)를 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작동판(4)과, 상기 실린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5)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요소의 구조적 특징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디(1)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나사공(101)을 형성함으로써 출입문의 내측면에 바디(1)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1)의 중앙부는 전면으로 돌출시켜 후방에 공간부(103)를 가진 설치부(10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설치부(102)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설치공(104)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실린더(2)가 상기 설치공(104)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설치부(102)의 상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05)를 형성함으로써 이 걸림돌기(105)에 고정체(5)의 내측 단부가 걸려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외부실린더(2)는 상기 바디(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104)을 동시에 관통하게 끼워진다. 이때, 외부실린더(2)에는 주벽을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201)을 이용하여 와셔(202)를 고정 설치하되, 이 와셔(202)는 바디(1)의 설치부(102)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103)에 위치시켜 그 공간부(103)의 바닥면과 와셔(202) 사이에 압축 코일스프링(S1)을 탄설함으로써 외부실린더(2)는 항상 상향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S1)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S1)의 복원력은 도어스토퍼의 걸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외부실린더(2)가 사용자에 의해 하향으로 눌려진 후, 걸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때 작용함으로써 도어 스토퍼의 걸림 해제가 코일스프링(S1)의 힘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실린더(2)의 하부를 통해서 외부실린더(2) 내부에는 내부실린더(3)가 삽설하게 된다. 이때, 내부실린더(3)의 상단부와 외부실린더(2)에 와셔(202)를 설치하기 위하여 외부실린더(2)의 주벽을 가로 방향으로 관통한 핀(201) 사이에는 압축 코일스프링(S2)을 설치함으로써, 내부실린더(3)는 항상 하향으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S2)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내부실린더(3)의 하단부에는 지면과 밀착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개방된 출입문의 위치를 고정하는 패드(301)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패드(301)의 마모나 손상시에 패드(301)만의 교체가 가능케 된다.
또한, 패드(301)의 저면은 다층 동심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었을 때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 물질이 패드(301)의 저면 전체에 묻는 것을 억제하여 오염물질로 인한 패드(301)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판(4)은 외부실린더(2)의 하부와, 상기 내부실린더(3)의 하부에 형성된 장공(302)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실린더(2)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기가 용이하며, 발로 밟을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체(5)는 상면에는 관통공(501)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1)의 설치부(102) 상부에서 상기 외부실린더(2)가 관통하게 하고, 내측 단부는 바디(1)의 걸림돌기(105) 하부에 끼워지며, 저면에는 요입홈(502)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06)과 상기 요입홈(502)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3)으로 탄설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판(4)을 밟아서 첨부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에 의해 외부실린더(2)와 내부실린더(3)가 동시에 하향하게 되고, 내부실린더(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패드(301)가 지면에 밀착되면서 패드(301)와 지면간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판(4)에 가하던 압력을 해제하더라도 고정판 저면의 요입홈(502)과 설치부(102) 상면의 안착홈(106)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3)의 압력에 의해 고정체(5)가 상향하게 되는데, 고정판의 내측 단부가 바디(1)의 걸림돌기(105) 아래쪽에 걸려있기 때문에 고정판이 내측단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501)의 모서리 부분이 외부실린더(2)의 외표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외부실린더(2)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실린더(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패드(301)와 지면간의 마찰력이 지속될 수 있게 되어 개방된 출입문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드(301)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해제하여 출입문을 닫고자 할 때에는 고정체(5)의 상면의 바깥쪽을 하향으로 누르면 코일스프링(S3)에 의해 탄설된 고정체(5)가 바디(1)의 걸림돌기(105) 하부에 끼워진 내측 단부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고정체(5)의 관통공(501) 모서리와 외부실린더(2)의 외표면에 작용하던 강한 마찰력이 일시적으로 해소된다.
이때, 외부실린더(2)에 고정 설치된 와셔(202)와 바디(1)의 공간부(103) 바닥면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1)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외부실린더(2)를 상향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지면에 밀착되어 있던 패드(301)는 지면과 떨어지면서 도어 스토퍼의 걸림 기능이 해제됨으로써 개방되었던 출입문을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5)의 상면 바깥쪽은 도어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하여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부위이므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고정체(5)의 외측 단부에는 하향으로 형성된 푸시부(50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 스토퍼의 걸림 상태, 즉 내부실린더(3)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패드(301)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해제할 때 고정체(5)의 푸시부(503)를 바디(1)쪽으로 미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정체(5)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면을 햐항으로 누르는 조작과 동일한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 스토퍼의 걸림 해제시 사용자의 발 동작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도어 스토퍼에 실화 또는 방화(放火) 등의 불이 났을 경우 자동적으로 도어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 장치 등의 방화해제부(200)를 구비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화해제부(200)는 건물이나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하여 도어를 잠금으로서 불이 번져나가는 것, 즉 연소를 방지하는 기능 및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화해제부는 상기한 고정체(5) 또는/및 푸시부(503)에 걸쳐서 장착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해제부는 고정체 또는/및 푸시부에 형성된 안착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안착부(300)는 안착공간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공간부는 방화해제부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형상, 구조, 장치 등의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안착부에는 충돌부(320)가 형성되어 있어 하기할 해제작용부의 탄성 충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화해제부는 상기한 안착부에 볼트, 너트, 접착제 등의 통상의 결합장치 또는 결합 수단으로 결합 또는 부착되어 있다.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방화해제부(200)는 외부케이스(210), 해제작용부(220), 탄성부(230), 작용고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부케이스(210)는 상기한 해제작용부 및 탄성부가 포함될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탄성부의 작용힘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0에서 보는 것처럼 외부케이스는 내부에 공간(250)이 형성되어 있어 해제작용부 및 탄성부가 그 공간에 삽설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해제작용부(220)는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설되어 있으며 탄성부에 의하여 일정한 힘을 작용받을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 보는 것처럼 해제작용부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230)의 반발력(또는 복원력)을 작용받아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의 막대, 심, 원통 막대, 바(bar) 등의 형상 또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서 보는 실시예로 해제작용부는 탄성부와 연동되어 있으며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와 걸려서 작동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해제작용부에는 충격부(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충격부는 고정체(5) 또는 푸시부(503)에 충격량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상,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0에서 보는 것처럼 충격부(221)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 막대기, 봉, 판 등의 형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체(5) 또는 푸시부(503)에 충격량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상, 구조 또는 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충격부에 해당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탄성부(220)는 해제작용부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 구조 또는 장치 등의 탄성 수단을 의미한다.
도 10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탄성부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고정부(240)는 해제작용부(220) 및 탄성부(230)가 외부케이스에 삽설되어 있으며 이 탄성부가 수축이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즉, 해제작용부가 탄성부에 삽입이 되어 외부케이스의 공간에 삽입이 되어 있는 경우 해제작용부는 탄성부가 수축이 되어 있는 경우 탄성력을 꾸준히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해서는 해제작용부를 외부케이스 또는 푸시부에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가 작용고정부의 기능이다.
이러한 작용고정부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불이 났을 경우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 작용고정부가 작용을 하게 되고, 작용고정부가 작용을 하게 되면 탄성부의 수축을 해제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해제작용부가 푸시부 또는/및 고정체에 힘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도어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시켜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고정부(240)는 상기한 해제작용부(220)를 일정한 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해제작용부의 걸기부(222)를 고정시켜주며, 일정한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걸기부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 구조, 형상, 장치 등의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하나의 실시예로 본 발명은 작용고정부로 저온납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저온납의 의미는 100도씨 이하의 온도에서 녹는점이 형성된 3~4 가지 금속의 합금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저온납의 녹는점의 범위는 40~50도씨, 50~60도씨, 60~70도씨 또는 70~80도씨 사이에서 녹을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저온납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범위에 대한 통상적으로 유통 또는 거래되는 저온납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용고정부는 외부케이스(210)에 형성된 작용구(211)에 해제작용부(220) 및 탄성부(230)가 외부케이스에 삽설된 상태에서 이 탄성부가 수축이 되어 있는 상태를 저온납으로 막아서 해제작용부와 함께 고정을 시켜주게 된다.
상기한 바처럼 해제작용부에 저온납이 녹아 함께 융합되는 부분은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한 걸기부(222)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작용고정부로 상기한 해제작용부의 걸기부(222)를 고정시켜주는 시정기계장치를 들 수 있다.
시정기계장치는 일정한 온도를 감응할 수 있는 온도센서부가 있고 걸기부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는 시정장치부가 구비되어 있어, 온도센서부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 이상(예컨대 70도 이상)이 감지될 경우 기계장치에 명령을 전달하여 걸기부에 걸려진 시정장치부를 작동하게 하여 걸림을 해제하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시정기계장치는 통상의 MCU(micro cotroller unit),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의 전기적 장치 또는/및 기계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장치 또는 수단의 경우라도 본 발명의 해제작용부(220)를 일정한 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해제작용부의 걸기부(222)를 고정시켜주며, 일정한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걸기부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 구조, 형상, 장치 등의 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작용고정부의 기술적 내용에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 예로 작용고정부를 저온납(72도씨에서 녹을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한 경우, 건물에 불이 났을 때 72도씨가 넘는 경우 저온납은 녹아서 액체상태가 되며 해제작용부의 걸림부를 푸는 작용을 하며 녹은 저온납은 방화해제부(200)의 외부케이스(210)에서 유출이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해제작용부(220)가 풀리면서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230)에 의하여 해제작용부가 탄성력을 작용받게 된다.
해제작용부가 탄성력을 작용받게 되면 해제작용부의 충격부(221)가 안착부(300)의 충돌부(320)를 순간적인 큰 충격량으로 가격하게 된다.
따라서 충돌부에 작용한 큰 충격량은 푸시부(503)에 힘을 가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됨에 따라 걸림돌기(105)에 걸린 고정체(5)의 내측단부의 걸림이 해제가 되며 스토퍼의 패드(301)가 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물론 상기한 안착부(300)의 충돌부(32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즉, 해제작용부의 충격부(221)의 충격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형상, 장치 등은 본 발명의 충돌부의 기술적 내용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작용과 효과로 건물이나 방에 불이 났을 경우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된 도어가 다시 닫힐 수 있는 작용과 효과가 있는바 불의 연소를 막는 방화(防火)의 효과를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문, 문, 문의 개폐장치, 도어 스토퍼 등의 생산,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문(도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고, 불의 연소를 막는 방화형 도어 스토퍼의 생산,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 바디 101: 나사공
102: 설치부 103: 공간부
104: 설치공 105: 걸림돌기
106: 안착홈 2: 외부실린더
201: 핀 202: 와셔
3: 내부실린더 301: 패드
302: 장공 4: 작동판
5: 고정체 501: 관통공
502: 요입홈 503: 푸시부
S1, S2, S3: 코일스프링
200 : 방화해제부 210 : 외부케이스
220 : 해제작용부 221 : 충격부
222 : 걸기부 230 : 탄성부
240 : 작용고정부 250 : 공간
300 : 안착부 310 : 안착공간부
320 : 충돌부

Claims (2)

  1. 도어 스토퍼에 있어서,
    불이 났을 경우 도어 스토퍼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화해제부(200)를 구비하되,
    상기 방화해제부(200)는 도어 스퍼토의 고정체 또는 푸시부에 형성된 안착부(300)에 설치되고,
    상기 방화해제부(200)는 해제작용부 및 탄성부가 포함될 공간을 제공하고 탄성부의 작용힘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케이스(210),
    상기한 도어 스토퍼의 걸림돌기(105)에 걸린 고정체(5)의 내측단부의 걸림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해제작용부(220),
    상기 해제작용부(220)에 일정한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230),
    일정한 온도 미만일 경우에는 해제작용부의 걸기부(222)를 고정시켜주고 일정한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해제작용부의 걸기부(222)를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용고정부(240)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화(防火)형 도어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 스토퍼는 상,하부에 나사공(101)을 형성하고,후방에 공간부(103)가 형성되도록 전면으로 돌출된 설치부(102)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공(104)을 형성하고, 설치부(102) 상부에는 걸림돌기(105)를 형성한 바디(1)와;
    상기 설치공(104)에 끼워지며, 주벽을 관통하는 핀(201)으로 고정된 와셔(202)를 상기 공간부(103) 내부에 위치시켜, 상기 와셔(202)와 상기 공간부(103)의 바닥면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1)으로 탄설한 외부실린더(2)와;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부를 통해 외부실린더(2)의 내부에 삽설되며, 상단부와 상기 외부실린더(2)에 설치된 핀(201) 사이에 코일스프링(S2)을 설치하고, 하단부에는 패드(301)를 나사 결합한 내부실린더(3)와;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부 주벽과, 상기 내부실린더(3)의 하부에 형성된 장공(302)을 관통하는 핀(201)에 의해 상기 외부실린더(2)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실린더(2)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한 작동판(4)과;
    상면에는 관통공(501)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1)의 설치부(102) 상부에서 상기 외부실린더(2)가 관통하게 하고, 상면 내측 단부는 바디(1)의 걸림돌기(105) 하부에 끼워지며, 저면에는 요입홈(502)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부(102)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06)과 상기 요입홈(502)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S3)으로 탄설한 고정체(5)로 구성되는 도어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防火)형 도어 스토퍼.

KR20130083259A 2013-07-16 2013-07-16 방화형 도어 스토퍼 KR10149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259A KR101496551B1 (ko) 2013-07-16 2013-07-16 방화형 도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259A KR101496551B1 (ko) 2013-07-16 2013-07-16 방화형 도어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151A KR20150009151A (ko) 2015-01-26
KR101496551B1 true KR101496551B1 (ko) 2015-02-25

Family

ID=5257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3259A KR101496551B1 (ko) 2013-07-16 2013-07-16 방화형 도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906A (ko) * 2017-12-11 2019-06-19 아라산업 주식회사 도어 홀더
KR102604359B1 (ko) 2022-11-07 2023-11-23 주식회사 블랙불 도어 스토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76Y1 (ko) 2006-05-04 2006-07-18 신중 원터치로 고정과 풀림이 가능한 도어 스토퍼
JP3151091U (ja) * 2008-12-25 2009-06-11 有限会社東信企販 バネ止め式のドアストッパー
KR20100009373A (ko) * 2008-07-18 2010-01-27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KR101007812B1 (ko) * 2008-07-18 2011-01-14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76Y1 (ko) 2006-05-04 2006-07-18 신중 원터치로 고정과 풀림이 가능한 도어 스토퍼
KR20100009373A (ko) * 2008-07-18 2010-01-27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KR101007812B1 (ko) * 2008-07-18 2011-01-14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JP3151091U (ja) * 2008-12-25 2009-06-11 有限会社東信企販 バネ止め式のドアストッパ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906A (ko) * 2017-12-11 2019-06-19 아라산업 주식회사 도어 홀더
WO2019117385A1 (ko) * 2017-12-11 2019-06-20 아라산업 주식회사 도어 홀더
KR102001147B1 (ko) * 2017-12-11 2019-07-17 아라산업 주식회사 도어 홀더
KR102604359B1 (ko) 2022-11-07 2023-11-23 주식회사 블랙불 도어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151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TWI630941B (zh) 在繩索上具有夾持功能的墜落阻止安全裝置
KR101486167B1 (ko)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KR101496551B1 (ko) 방화형 도어 스토퍼
KR102154233B1 (ko)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US10030419B2 (en) Fire door lock
JP5129664B2 (ja)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KR1007861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RU2632397C2 (ru) Подвижная деталь для направл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детали мебели в направлении перемещения и мебельная фурнитура
CA3066425C (en) Fireplace latch system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141301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384903B1 (ko) 개방위치설정이 용이한 방화문용 클로저
CN211598376U (zh) 温控自动锁紧装置
KR100770398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JP2011152182A (ja) 流水検知装置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CN210828990U (zh) 一种用于防火卷门机的两用撬杆
JPH0520845Y2 (ko)
JP5270589B2 (ja) ドア締り装置及びドア
KR101571401B1 (ko) 도어 개폐 핸들 잠금 장치
CN210685832U (zh) 一种用于防火卷门机的熔断摆臂
JP2012092564A (ja) 建具
JP2011157764A (ja) 扉の解錠装置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