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147B1 - 도어 홀더 - Google Patents

도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147B1
KR102001147B1 KR1020170169151A KR20170169151A KR102001147B1 KR 102001147 B1 KR102001147 B1 KR 102001147B1 KR 1020170169151 A KR1020170169151 A KR 1020170169151A KR 20170169151 A KR20170169151 A KR 20170169151A KR 102001147 B1 KR102001147 B1 KR 102001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b
moved
external fo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906A (ko
Inventor
노수곤
Original Assignee
아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147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80 priority patent/WO2019117385A1/ko
Priority to CN201820278095.7U priority patent/CN208137712U/zh
Publication of KR2019006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5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문에 결합되어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도어 홀더에 있어서, 상기 문에 고정되는 하우징;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주요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서브본체부; 및 상기 주요본체부 및 상기 서브본체부와 매개되는 매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이동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상기 주요본체부의 위치가 상기 매개부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의한 상기 매개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이 상기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홀더 {DOOR HOLDER}
본 발명은 도어 홀더에 관한 것으로, 문에 결합되어 문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도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도어는 건물 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서로 구획하거나 서로 연통시키는 수단으로서 건물 내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도어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도어와 관련된 도어 부속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어 부속품은 크게 도어 스토퍼, 도어 홀더, 도어 스테이 및 도어 클로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기존의 도어 홀더는 말굽형태의 도어 홀더로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도어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어 도어를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다만, 기존의 말굽형태의 도어홀더는 도어의 고정 해제를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도어 홀더에 외력을 작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 홀더에 외력을 제공하는 도중 넘어지는 등 작동시키는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도어 홀더에 용이하게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도어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문에 결합되어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도어 홀더에 있어서, 상기 문에 고정되는 하우징;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주요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서브본체부; 및 상기 주요본체부 및 상기 서브본체부와 매개되는 매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이동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상기 주요본체부의 위치가 상기 매개부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의한 상기 매개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이 상기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 위치인 상기 주요본체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되고,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잠금위치일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해제위치일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매개되는 반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한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일 경우 상기 제한부가 위치될 수 없는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며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반응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부는, 상기 제한부가 상기 반응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한부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와 매개되는 서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서브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매개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일 경우에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과 비교하여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부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 및 상기 서브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본체부는, 상기 하우징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작용되었던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가 원래의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 및 상기 매개부와 매개되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개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동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개부의 위치를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부는,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동력부에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부에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위치인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와 매개되는 서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매개부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 화재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서브부가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이 상기 화재감지부에 화재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서브부가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과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서브부에 전류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부는, 상기 전력부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온도가 상승되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홀더에 따르면, 사용자는 편리하게 도어 홀더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주요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서브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반응부 및 제한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주요 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이동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서브 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주요본체부가 고정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일 경우 제한부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고정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이상일 경우 제한부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고정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동력부에 의해 제한부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는 도어(D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D10)를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도어(D10)가 위치 이동되지 못하도록 도어(D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어 홀더(H10)가 상기 도어(D10)의 하단부의 일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도어(D10)에 결합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는 문에 결합되어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도어 홀더(H10)에 있어서, 상기 문에 고정되는 하우징(100),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주요본체부(200),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서브본체부(300) 및 상기 주요본체부(200) 및 상기 서브본체부(300)와 매개되는 매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외력을 상기 주요본체부(200)에 제공되는 주요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400)와 매개되는 서브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작용되었던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원래의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복원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서브본체부(300)를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가이드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요본체부(200)는 사용자의 외력을 수용하는 외력수용부(210),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상하로 위치 이동되는 작동로드(220), 상기 외력수용부(210)와 상기 작동로드(220)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체결부재(230),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고정위치일 경우 지면과 접촉되는 마찰부(240), 상기 마찰부(240)와 상기 작동로드(2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250) 및 상기 연결부(250)와 상기 작동로드(2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2 체결부재(260)를 구비할 수 있다.
매개부(400)는 잠금위치일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해제위치일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한부(410) 및 상기 제한부(410)와 매개(연결)되는 반응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위치는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일단부(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240))가 지면과 접촉되는 상태의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위치일 수 있다.
이동위치는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일단부(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240))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의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위치일 수 있다.
잠금위치는 상기 매개부(400)가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잠금위치는 상기 제한부(410)가 경사진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잠금위치는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가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상기 제한부(410)의 위치일 수 있다.
해제위치는 상기 매개부(400)가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해제위치는 상기 제한부(410)가 수평된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해제위치는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가 억지끼움되지 않는 상기 제한부(410)의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해제위치는 상기 잠금위치인 위치 보다 적게 경사진 위치일 수 있다.
제1 방향(w1)은 상기 도어 홀더(H1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정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w2)은 상기 제1 방향(w1)과 반대 방향으로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w3)은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내부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4 방향(w4)은 상기 제3 방향(w3)과 반대 방향으로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5 방향(w5)은 상기 제1 방향(w1), 상기 제2 방향(w2),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6 방향(w6)은 상기 제5 방향(w5)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홀더(H10)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에 제공되는 하우징(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관통부(111)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110), 상기 관통부(111), 상기 가이드부(121) 및 상기 삽입부(122)를 구비하며 두 개로 이루어진 제2 하우징(120a, 120b) 및 상기 제2 하우징(120a, 120b)을 서로 연결하는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제2 하우징(120a, 120b) 및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을 포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도어와 상기 하우징(100)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수단(미도시)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0a, 120b)은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w3)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방향(w4)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2 하우징(120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서브본체부(3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가이드부재(800)가 배치될 수 있는 가이드부(121) 및 상기 복원부(7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22), 상기 서브본체부(30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하우징돌출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는 상기 제1 방향(w1) 및 상기 제2 방향(w2)으로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는 상기 결합가이드부재(8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1)와 상기 결합가이드부재(800) 사이에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부재(800)는 상기 가이드부(121)와 상기 서브본체부(300)를 서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2)는 상기 제1 방향(w1)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 방향(w2)으로는 개구되지 않도록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2)에는 상기 복원부(7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돌출부(123)는 상기 제4 방향(w4)으로의 상기 제2-1 하우징(120a)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3 방향(w3)으로의 상기 제2-2 하우징(120b)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돌출부(123)는 상기 제한부(410)가 상기 제3 방향(w3) 및 상기 제4 방향(w4)으로 상기 배치공간(S20)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한부(4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은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3-1 하우징(130a) 및 제3-2 하우징(130b)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은 상기 제3-1 하우징(130a) 및 상기 제3-2 하우징(130b)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3-3 하우징(130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은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은 상기 제3-1 하우징(130a) 및 상기 제3-2 하우징(130b)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30a, 130b, 130c)은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상기 배치공간(S2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3 하우징(130c)은 상기 제3-1 하우징(130a) 및 상기 제3-2 하우징(130b)을 서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1 하우징(120a)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1 하우징(130a)은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상기 제5 방향(w5) 및 상기 제6 방향(w6)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로드(220)가 삽입되는 제1 연통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2 하우징(130b)은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상기 제5 방향(w5) 및 상기 제6 방향(w6)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로드(220)가 삽입되는 제2 연통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매개부(400)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S2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상기 이동위치일 경우 상기 마찰부(240) 및 상기 연결부(250)가 위치될 수 있는 위치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S20)은 상기 제6 방향(w6)으로의 상기 제3-1 하우징(130a)의 면, 상기 제5 방향(w5)으로의 상기 제3-2 하우징(130b)의 면, 상기 제2 방향(w2)으로의 상기 제3-3 하우징(130c)의 면, 상기 제4 방향(w4)으로의 상기 제2-1 하우징(120a)의 면 및 상기 제3 방향(w3)으로의 상기 제2-2 하우징(120b)의 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공간(S10)은 제6 방향(w6)으로의 상기 제3-2 하우징(130b)의 면과 상기 제4 방향(w4)으로의 상기 제2-1 하우징(120a)의 면 및 상기 제3 방향(w3)으로의 상기 제2-2 하우징(120b) 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주요본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외력수용부(210)는 사용자의 외력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외력수용부(210)는 사용자의 외력을 수용 받기 용이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수용부(210)는 일면이 곡면인 형상인 얇은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외력수용부(210)는 상기 작동로드(220)의 일단부에 제1 체결부재(2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수용부(21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작동로드(220)는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외력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6 방향(w6)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주요부(500)에 의해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220)의 일단부는 상기 외력수용부(2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로드(22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체결부재(260)에 의해 상기 연결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2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작동로드(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홀(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홀(221)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작동로드(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연통부(131) 및 상기 제2 연통부(132)에 삽입되어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 배치될 수 수 있다.
마찰부(240)는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도어가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도어에 작용되는 외력에 반하는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40)는 상기 마찰력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찰부(240)는 고무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40)의 하면은 톱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마찰부(240)는 내부에 상기 연결부(250)가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S24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40)는 상기 연결부(250)가 상기 수용공간(S240) 내로 배치되도록 상기 마찰부(240)의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마찰개구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40)는 상기 연결부(250)가 상기 수용공간(S240) 내로 배치되기 위하여 신장수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250)는 상기 연결부(250)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관통부(251) 및 상기 작동로드(2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함입되어 있는 연결함입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260)는 상기 연결관통부(251)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로드(220)의 연결홀(221)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250)와 상기 작동로드(2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결부재(260)와 상기 작동로드(220)의 연결홀(221)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연결관통부(251)는 상기 연결함입부(252)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함입부(252)에는 상기 작동로드(220)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서브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제1 방향(w1)의 면인 제1 서브면(300a), 상기 제2 방향(w2)의 면인 제2 서브면(300b) 및 상기 제5 방향(w5)의 면인 제3 서브면(300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 방향(w1)으로의 면을 포위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서브면(300a) 및 상기 제2 서브면(300b)은 곡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3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작동로드(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서브관통부(S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관통부(S300)는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와 상기 작동로드(220)의 저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제2 서브면(300b)으로부터 제2 방향(w2)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서브가압부(311, 312), 제1 서브돌출부(321, 322) 및 제2 서브돌출부(331, 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가압부(311, 312)는 상기 제한부(410)와 접촉되어 상기 제한부(41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돌출부(321, 322)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가이드부(121)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본체부(300)의 위치가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가이드부재(800)는 상기 제1 방향(w1)으로 상기 가이드부(121) 및 상기 제1 서브돌출부(321, 3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돌출부(321, 322)는 상기 제2-1 하우징(120a)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부(121)에 삽입되는 제1-1 서브돌출부(321)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부(121)에 삽입되는 제1-2 서브돌출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돌출부(331, 332)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삽입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도어 홀더(H1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2) 내부에 상기 제2 서브돌출부(331, 33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브돌출부(331, 332) 내부에 상기 삽입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돌출부(331, 332)는 상기 제2-1 하우징(120a)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부(122)에 삽입되는 제2-1 서브돌출부(331) 및 상기 제2-2 하우징(120b)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삽입부(122)에 삽입되는 제2-2 서브돌출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제공되는 매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매개부(400)가 구비하는 반응부(42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매개부(400)가 구비하는 제한부(4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개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배치공간(S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00)는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주요본체부(200)는 상기 매개부(400)가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400)가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부(420)는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일 경우 융해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는 70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반응부(42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한부(410)는 상기 작동로드(220)가 관통되는 제한홀(411) 및 상기 반응부(4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4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한홀(411)은 상기 제한부(410)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홀(411)의 형상은 상기 작동로드(220)의 단면적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한홀(411)의 크기는 상기 작동로드(220)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한돌기(412)는 상기 제한부(4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412)는 상기 제한부(410)의 일면과 접촉되어 있는 상기 반응부(420)가 상기 제한홀(41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반응부(4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반응부(420)가 상기 제한돌기(412)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반응부(420)는 상기 제한부(410)의 위치 이동의 힌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반응부(420) 및 상기 서브부(600)에 의해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주요부(500)는 상기 주요본체부(2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주요부(500)는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즉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매개부(40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요부(500)는 신장 및/또는 수축될 수 있는 탄성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요부(50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서브부(600)는 상기 주요본체부(20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400)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매개부(40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부(600)는 상기 제한부(41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부(600)는 신장 및/또는 수축될 수 있는 탄성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부(60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서브부(600)는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이상일 경우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2 온도는 60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서브부(60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원부(700)는 신장 및/또는 수축될 수 있는 탄성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원부(700)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2에서 X-X'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2에서 제1 방향(w1)으로 상기 도어 홀더(H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작동로드(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서브관통부(S300), 상기 제1 연통부(131), 상기 제2 연통부(132) 및 상기 제한부(410)의 상기 제한홀(411)을 관통하여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50) 및 상기 마찰부(240)는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이동위치일 경우,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위치공간(S10)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400)는 상기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응부(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방향(w2)으로의 상기 제3-1 하우징(130a)의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반응부(420)는 상기 제2 방향(w2)으로의 상기 제3-3 하우징(130c)의 면과 상기 제한부(410)의 일면 및 상기 제한돌기(412)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반응부(42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회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요부(500)의 일단부는 상기 외력수용부(2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주요부(500)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3-1 하우징(130a)의 제5 방향(w5)의 면(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부(600)는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부(600)는 상기 주요본체부(20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400)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매개부(40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부(600)의 일단부는 상기 제6->5 방향(w6->5)으로의 상기 제한부(410)의 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부(600)의 타단부는 상기 제6 방향(w6)으로의 상기 제3-3 하우징(130c)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요부(500) 및 상기 서브부(600)는 상기 작동로드(220)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제1 방향(w1)으로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하우징(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의 상기 제2 서브면(300b)은 상기 제1 방향(w1)으로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의 상기 제2 서브면(300b)은 상기 제1 방향(w1)으로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의 상기 서브가압부(311, 312)가 상기 배치공간(S20) 내에서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제3-1 하우징(130a)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하우징(1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주요 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이동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서 Y-Y'에 대한 단면도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주요본체부(200)는 상기 주요본체부(2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이동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9은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이동위치인 위치 및 상기 제한부(410)가 잠금위치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으며, 도 9(b)는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고정위치인 위치 및 상기 제한부(410)가 잠금위치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이동위치일 경우,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작동로드(220)와 억지끼움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의 억지끼움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200)는 상기 제6 방향(w6)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부(500)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제6 방향(w6)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서브부(600)가 상기 제한부(410)에 작용되는 외력(탄성력)에 의해 기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제6 방향(w6)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410)의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서브부(600)는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부(410)가 위치 이동된다고 하여도,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 간의 억지끼움이 해제될 정도, 즉 상기 제한부(410)가 수평인 위치로 위치되는 정도로 상기 제한부(41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외력이 계속 작용되면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제6 방향(w6)으로 계속 위치 이동되어 상기 마찰부(240)는 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240)가 상기 지면과 접촉된 후,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외력에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서브부(600)에 의해 도 8(a)에 도시된 제한부(410)와 동일한 기울기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410)가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작동로드(220)와 억지끼움되어 상기 작동로드(220)가 상기 주요부(500)에 의해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주요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되려고 하지만, 상기 제한부(410)와 억지끼움되고,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반응부(420)에 의해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서브 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주요본체부가 고정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주요본체부(200)의 위치가 상기 매개부(400)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의한 상기 매개부(4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이 상기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10(a)는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고정위치인 위치 및 상기 제한부(410)가 잠금위치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으며, 도 10(b)는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이동위치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고정위치인 동시에 상기 제한부(410)가 잠금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복원부(700)는 수축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본체부(300)의 상기 서브가압부(311, 312)는 상기 배치공간(S20) 상에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한부(41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서브가압부(311, 312)에 의해 상기 잠금위치에서 해체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며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부(420)는 상기 하우징(100) 및 상기 제한부(41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한부(410)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주요부(500)가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는 상기 복원부(7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기 전의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브본체부(300)가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기 전의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일 경우 제한부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고정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위치인 상기 주요본체부(200)는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매개부(400)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되고,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매개부(400)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1(a)는 반응부(420)가 융해되는 경우 제한부(410)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b)는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이동위치인 위치 및 상기 제한부(410)가 해제위치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이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한부(410)는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일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미만일 경우 상기 제한부(410)가 위치될 수 없는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부(420)는 미리 정해진 제1 온도 이상일 경우 융해될 수 있다.
상기 반응부(420)가 융해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서브부(600)에 의해 상기 반응부(420)가 상기 배치공간(S20)에서 차지하는 영역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반응부(42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한부(410)의 적어도 일면은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일 경우 상기 반응부(420)가 상기 배치공간(S20) 상에서 차지하고 있는 적어도 일 공간으로 상기 서브부(600)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와의 억지끼움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한부(410)가 경사를 유지할 수 있으나, 상기 제한부(410)가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경사보다 적게 경사지게 위치되어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 간의 억지끼움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410)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부(500)는 상기 외력수용부(2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도어는 자유롭게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도어 홀더(H10)는 화재 등의 이유로 도어 홀더(H10)가 설치된 환경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도어 홀더(H10)의 잠금 기능을 자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이상일 경우 제한부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고정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상기 주요본체부(200)가 이동위치인 위치 및 상기 제한부(410)가 해제위치인 위치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부(600)는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미만일 경우에 상기 매개부(400)에 제공하는 외력과 비교하여 상기 매개부(400)에 제공하는 외력이 변화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서브부(600)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서브부(600)가 수축되는 것에 따라, 상기 서브부(600)는 상기 제한부(410)와 이격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제한부(410)에 제공하는 외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수축부가 수축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반응부(42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한부(410)와 상기 작동로드(220) 사이의 억지끼움이 해제되어, 상기 작동로드(220)는 상기 주요부(500)에 의해 제5 방향(w5)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주요본체부(200)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기 ?문에, 도어는 자유롭게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도어 홀더(H10)는 화재 등의 이유로 도어 홀더(H10)가 설치된 환경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도어 홀더(H10)의 잠금 기능을 자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에 있어서 화재와 관련된 환경변화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1900) 및 상기 화재감지부(1900)에서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브부(600)에 전류를 유동시키는 전력부(1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부(1900)가 감지하는 환경 변화는 온도 변화, 냄새 변화, 가스 검출 및 소리 감지 등 화재와 관련된 모든 환경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감지부(1900)는 상술한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부(1900)는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전력부(1910)에 가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부(1900)는 상기 제3-1 하우징(130a)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전력부(1910)는 상기 화재감지부(1900)로부터 가동 신호를 수신 받을 경우, 상기 서브부(600)에 전류를 유동시켜 상기 서브부(60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력부(1910)가 상기 서브부(600)에 전류를 유동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력부(1910)는 상술한 도어 홀더(H10)의 모든 구성요소로도 전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부(6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상기 서브부(600)는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410)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동력부에 의해 제한부가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홀더(H10)에서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1900) 및 상기 매개부(400)와 매개되는 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1900)에서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개부(40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매개부(40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동력변화부(1931), 모터부(1932) 및 전원부(19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932)는 상기 화재감지부(1900)로부터 전자적 신호를 수신 받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33)는 상기 모터부(1932) 및 상기 화재 감지부가 가동될 수 있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화부(1931)는 상기 모터부(1932)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한부(41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부(1932), 상기 전원부(1933) 및 상기 동력변화부(1931)는 상기 하우징(100)에서부터 상기 제2 방향(w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납부(130)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화재감지부(1900)가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부(1932)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모터부(1932)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932)가 상기 동력변화부(1931)를 회전시키면 상기 동력변화부(19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개부(400)의 위치를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부(1932)가 상기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력변화부(1931)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한부(410)의 위치를 잠금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D10 : 도어 H10 : 도어 홀더
100 : 하우징 200 : 주요본체부

Claims (20)

  1. 문에 결합되어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도어 홀더에 있어서,
    상기 문에 고정되는 하우징;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주요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서브본체부; 및
    상기 주요본체부 및 상기 서브본체부와 매개되는 매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부는 잠금위치 및 해제위치를 가지고,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인 경우, 상기 매개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와 상기 매개부 사이에 제1 사잇각을 가지고, 상기 제1 사잇각에서는 상기 주요본체부와 상기 매개부 사이에 제1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매개부가 상기 주요본체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매개부가 상기 해제위치인 경우, 상기 매개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와 상기 매개부 사이에서 제2 사잇각을 가지고, 상기 제2 사잇각에서는 상기 주요본체부와 상기 매개부 사이에 제2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매개부와 상기 주요본체부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제1 사잇각은 상기 제2 사잇각보다 작은 값이며,
    상기 제1 마찰력은 상기 제2 마찰력보다 큰 값이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이동위치에서 고정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을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상기 주요본체부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를 가지는 상기 매개부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의한 상기 매개부의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문이 상기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도어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상기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위치인 상기 주요본체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되고,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상기 잠금위치일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해제위치일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매개되는 반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한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일 경우 상기 제한부가 위치될 수 없는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며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반응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는,
    상기 제한부가 상기 반응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한부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와 매개되는 서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상기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서브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매개부에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일 경우에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과 비교하여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일 경우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1. 제9항에 있어서,
    제한부 및 상기 서브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가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본체부는,
    상기 하우징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되었던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가 원래의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5. 제1항에 있어서,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 및
    상기 매개부와 매개되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개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상기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동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개부의 위치를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동력부에 작동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8. 제1항에 있어서,
    화재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부에 제공된 화재정보를 기초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되지 못하며, 상기 매개부가 상기 해제위치일 경우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위치인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따라, 상기 고정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브본체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전력부의 전류에 의해 상기 매개부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주요본체부가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와 매개되는 서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매개부의 위치가 상기 잠금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매개부에 외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력부는,
    상기 화재감지부에 화재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서브부가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이 상기 화재감지부에 화재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서브부가 상기 매개부에 제공하는 외력과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서브부에 전류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는,
    상기 전력부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온도가 상승되어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홀더.

KR1020170169151A 2017-12-11 2017-12-11 도어 홀더 KR102001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51A KR102001147B1 (ko) 2017-12-11 2017-12-11 도어 홀더
PCT/KR2017/014980 WO2019117385A1 (ko) 2017-12-11 2017-12-19 도어 홀더
CN201820278095.7U CN208137712U (zh) 2017-12-11 2018-02-27 门保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51A KR102001147B1 (ko) 2017-12-11 2017-12-11 도어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06A KR20190068906A (ko) 2019-06-19
KR102001147B1 true KR102001147B1 (ko) 2019-07-17

Family

ID=6428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151A KR102001147B1 (ko) 2017-12-11 2017-12-11 도어 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01147B1 (ko)
CN (1) CN208137712U (ko)
WO (1) WO201911738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34Y1 (ko) * 2004-02-16 2004-05-17 이상윤 문 고정장치
KR100746238B1 (ko) 2006-11-01 2007-08-03 이영우 도어 스톱퍼
KR101007812B1 (ko) 2008-07-18 2011-01-14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KR101496551B1 (ko) * 2013-07-16 2015-02-25 이형근 방화형 도어 스토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25A (ko) * 2015-08-07 2017-02-15 노수곤 도어 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534Y1 (ko) * 2004-02-16 2004-05-17 이상윤 문 고정장치
KR100746238B1 (ko) 2006-11-01 2007-08-03 이영우 도어 스톱퍼
KR101007812B1 (ko) 2008-07-18 2011-01-14 김기곤 도어 스토퍼장치
KR101496551B1 (ko) * 2013-07-16 2015-02-25 이형근 방화형 도어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06A (ko) 2019-06-19
WO2019117385A1 (ko) 2019-06-20
CN208137712U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278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利用した電子機器
US5634809A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JP3415008B2 (ja) コネクタ
CN100435607C (zh) 铰链装置和使用该铰链装置的电子设备
KR100617710B1 (ko)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체결 장치
TWI684851B (zh) 具有外接式影像擷取模組之電子裝置
CN105308797B (zh) 线缆连接器
JPH09180820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NL1024850C2 (nl) Connectorsysteem met verbeterde ontkoppel-functionaliteit.
CA2723140A1 (en) Docking station
JP2019102764A (ja) 防水型の開閉蓋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EP1603309B1 (en) A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a slildable hinge including leaf springs
US20060056774A1 (en)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module assembly
JP2004220970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20080064619A (ko) 전자기기의 커넥터 돌출구조
US8050025B2 (en) Cover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001147B1 (ko) 도어 홀더
CN213520521U (zh) 连接器
KR101227731B1 (ko) 콘센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
KR102008867B1 (ko) Usb 케이블 잠금장치
JP4216229B2 (ja) 光伝送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043128B2 (en) Detachable connector
EP0676522A2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KR101211799B1 (ko) 로크 기구 장착 전기 커넥터
KR20090074920A (ko) 커넥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