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920A - 커넥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920A
KR20090074920A KR1020080000631A KR20080000631A KR20090074920A KR 20090074920 A KR20090074920 A KR 20090074920A KR 1020080000631 A KR1020080000631 A KR 1020080000631A KR 20080000631 A KR20080000631 A KR 20080000631A KR 20090074920 A KR20090074920 A KR 2009007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roove
coupling device
locking
releas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115B1 (ko
Inventor
노용준
연복희
남지탁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1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결합장치는 커넥터와 대응커넥터를 결합하고 결합상태를 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대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대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후 상기 가이딩홈의 가이딩 방향을 변화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으며, 결합장치가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결합장치를 구비한 커넥터를 통해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 대응커넥터, 검지장치, 결합장치

Description

커넥터 결합장치{APPARATUS FOR CONNECTION}
본 발명은 커넥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결합장치 및 결합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케이블을 전자장치나 다른 전원 및 기기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넥터를 이용해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를 벗겨낸 다음 피복부가 제거된 심선을 터미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해서 터미널과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된 터미널은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세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수커넥터(10)는 암 커넥터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락암(11) 및 상기 락암(11)을 구동하기 위한 락암 조작부(13)을 구비한다. 락암(11)은 상부로 탄성 변형되며, 일 부분에 돌기(12)를 구비한다.
암커넥터(20)는 수커넥터(1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락암(11)에 구비된 돌기(12)를 수용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고정부(2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1)는 길이방향의 홀로 이루어진다.
수커넥터(10) 및 암커넥터(2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고정된 길이방향의 홀로 이루어진 고정부(21)에 락암(21)이 삽입된다. 이때, 락암(11)에 구비된 돌기(12)는 일시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고정부(2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락암 조작부(13)가 외부 물체에 의하여 외력을 인가받을 경우, 락암(11)이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돌기(12)가 고정부(21)로부터 이탈되어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락암과 락암 조작부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해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락암 조작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자동차와 같이 진동이 많은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진동으로 인해 해제방지수단의 결합이 느슨해 지거나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커넥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해제방지수단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문제 및 분실 시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세트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그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구성요소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결합장치는, 커넥터와 대응커넥터를 결합하고 결합상태를 검지하는 커넥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대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후 상기 가이딩홈의 가이딩 방향을 변화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응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이 형성된 홈판; 및 상기 커넥터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판과 연결되어 상기 홈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내면에는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ㄷ자로 절곡된 회전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외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위 아래에 이격공간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결합의 해제를 방지하는 해제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판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의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일단에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판은 상기 걸림부 하단에 제1걸림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상기 해제방지수단의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돌기와 탄성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걸림돌기와 단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의 형상과 상응되는 형상의 제2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의 회전판의 회전에 의한 접촉시 형성되는 형상에 의하여 상기 고정홈이 안내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에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결합해제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커넥터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커넥터와 대 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으며 결합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장치가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분실의 우려가 없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결합장치가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대응커넥터와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대응커넥터에 구비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을 구비한다.
상기 대응커넥터와 커넥터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구성요소이고, 물리적으로 반드시 구별되는 두 종류의 커넥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암커넥터 및 수커넥터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달리 언급이 없다면 이하에서는 대응커넥터와 커넥터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딩홈의 안내에 의하여 가이딩되면서 상기 대응커넥터가 커넥터에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딩 홈의 방향에 따라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가이딩 홈을 방향을 결합되는 방향과 타 방향으로 전환시킨다면, 상기 결합된 대응커넥터는 결합된 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대응커넥터와 커넥터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2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커넥터(11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응커넥터(150)에 형성된 끼움돌기(152)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이 형성된 홈판(112) 및 상기 커넥터의 회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판(112)과 연결되어 상기 홈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수단이 구비된 커넥터(110) 및 대응커넥터(150)는 상기 끼움돌기(152)가 홈판(112)에 끼워지고 사용자가 회전부(113)를 조작하여 상기 홈판(112)을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 7a의 결합수단은 내면에 상기 대응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152)가 가이딩되어 수용하는 수용홈(123)이 형성되고, 상 기 커넥터의 양측면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ㄷ자로 절곡된 회전판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끼움돌기 및 수용홈이 반드시 대응커넥터 및 커넥터에 형성된다고 한정되어 해석되기보다는 커넥터가 사용되는 환경, 커넥터의 디자인 등에 따른 당업자 간에 설계의 차이에 의해 커넥터에 끼움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이는 본 발명에 해당되는 기술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례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결합수단을 이용한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의 결합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세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세트는 커넥터(110), 해제방지수단(140) 및 대응커넥터(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100)는 하우징 몸체(111), 회전판(120) 및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몸체(111)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커넥터(110)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전판(120)의 중앙부위에는 커넥터 몸체(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30)과 걸림결합되는 걸림부(121)가 구비되며, 해제방지수단(140)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상기 회전판(120)에는 대응커넥터(150)에 형성된 끼움돌기(152)를 수용하는 수용홈(123)이 더 형성된다.
연결부(미도시)는 상기 커넥터(110)와 회전판(1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 이며, 상기 회전판(120)이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는 볼트와 너트 또는 베어링 등으로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거나 자명한 사실에 해당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결합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회전판(120)의 회전운동에 따라 걸림결합되는 걸림부(121)와 걸림턱(13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5a, 5b 및 5c를 참조한다.
상기 해제방지수단(140)은 상기 회전판(120)에 형성된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어 커넥터(110)과 대응커넥터(150)의 결합상태를 검지 및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해제방지판(144), 돌기(141), 고정홈(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정의 공간은 해제방지수단(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해제방지수단(140)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121)가 걸림결합되는 부위와 상기 회전판(120)의 중앙부위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121)는 결합이 해제되기 위해서는 회전판(120)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걸림부(121)가 상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장치는 해제방지수단(140)이 걸림부(121)의 해제방향인 상측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걸림부(121)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함으로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제방지수단이 시간적 순서에 따라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인 도 6a, 6b, 6c 및 6d를 참조하면 상기 해제방지수단(140), 특히 해제방 지수단의 해제방지판(144)은 상기 회전판(120)의 중앙부위와 상기 걸림부(121)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림턱(130)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121)의 결합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142)은 걸림턱(130)에 구비된 제2걸림돌기(132)와 상기 회전판(120)에 구비된 제1걸림돌기(122)가 상기 회전판(120)의 회전에 의한 접촉시 형성되는 형상에 의하여 제1걸림돌기에 결합된다. 도 6b 및 6c를 참조하면, 상기 해제방지수단(140)의 삽입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걸림돌기(132)는 언덕지게 형성이 되어 있지만, 상기 제1걸림돌기(122)는 단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142)은 언덕지게 형성된 상기 제2걸림돌기(132)에서 디딤효과를 얻어야지만 제1걸림돌기(122)를 지나 안착 및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방지수단(140)은 해제방지판 지지부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방지판 지지부재(145)는 고정홈(142)의 상부에 마련되어 고정홈(142)과 해제방지판(144)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켜 고정홈(142)에 탄성력을 부가한다. 여기서, 해제방지판 지지부재(145)에 의하여 고정홈(142)과 해제방지판(144)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소정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결합해제홈(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제방지수단(140)의 결합해제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를 더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해제홈(14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해제홈(143) 은 모양을 특수하게 형성하여 특수한 연장으로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제방지수단(14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20)에 마련되는 소정공간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141)의 삽입경로를 제공하는 슬라이딩홈(도 4의 1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홈(125)에는 상기 돌기(1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24)이 일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해제방지수단(140)이 상기 고정홈(142)이 제1걸림돌기(122)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도 커넥터(110)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커넥터(110)와 해제방지수단(140)을 따로 보관함에 따른 분실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회전판에 해제방지수단이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판(120)에는 이탈방지턱(124)이 형성된 슬라이딩홈(125)이 구비되고, 해제방지수단(140)의 측면에 구비된 돌기(141)는 상기 슬라이딩홈(125)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해제방지수단(140)은 회전판(120)에 항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방지수단과 커넥터를 각각 보관함에 따른 분실문제가 해결된다.
상기 상술된 커넥터에 대응되는 개념인 즉,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몸체(151) 및 끼움돌기(152)를 포함하는 대응 커넥터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대응커넥터(150)의 하우징 몸체(151)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통 상적으로 커넥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하우징 몸체(151)는 커넥터(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대응커넥터(150)의 끼움돌기(152)는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가 서로 결합될 때, 회전판(120)에 구비된 수용홈(123)에 수용되어 결합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단으로써, 상기 회전판(120)의 회전운동 시 상기 수용홈(123)과 맞물려 끼움돌기(152)는 회전운동이 진행될수록 수용홈(123)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요소 및 도 7a, 7b, 7c, 7d 및 7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케이블이 각각 결합된 커넥터(110) 및 대응커넥터(150)를 준비하여,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대응커넥터(150)의 끼움돌기(152)는 커넥터의 수용홈(123)에 일부 결합되고(도 7c) 상기 회전판(120)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더욱 안쪽으로 유도된다.
한편, 도 7d 및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20)이 회전할 수 있는 최대한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회전판(120)에 구비된 상기 걸림부(121)는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0)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결합해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110)가 대응커넥터(150)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해제방지수 단(140)을 장착한다(도 7e).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가 완벽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해제방지수단(140)에 형성된 고정홈(142)은 제2걸림돌기(132)와 제1걸림돌기(122)가 밀접해 있으므로 상기 제2걸림돌기에서 디딤효과를 얻어 제1걸림돌기에 안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제방지수단(140)이 안착되면 걸림부(121)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걸림부(121)가 유동하지 않으므로,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10)가 대응커넥터(150)에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걸림돌기(132)와 제1걸림돌기(122)는 서로 밀접해 있지 못하고 단차지게 형성된 상기 제1걸림돌기(132)에 의해 해제방지수단(140)은 삽입될 수 없게 된다. 즉, 고정홈(142)의 일부분이 제1걸림돌기(122)의 단차진 부분에 충돌하며 삽입이 방해되고, 해제방지수단(140)이 완전하게 장착되지 않는다.
결국, 사용자는 해제방지수단(140)이 회전판(120)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 삽입되는 상태를 확인하여 커넥터(110)와 대응커넥터(150)의 결합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세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결합수단이 구비된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제방지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에 해제방지수단이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면도,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이 걸림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6b, 6c 및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제방지수단이 시간적 순서에 따라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 7b, 7c, 7d 및 7e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커넥터 120 : 회전판
123 : 수용홈 130 : 걸림턱
140 : 해제방지수단 150 : 대응커넥터
152 : 끼움돌기

Claims (9)

  1. 커넥터와 대응커넥터를 결합하고 결합상태를 검지하는 커넥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대응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후 상기 가이딩홈의 가이딩 방향을 변화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응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되는 가이딩홈이 형성된 홈판; 및
    상기 커넥터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판과 연결되어 상기 홈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내면에는 상기 대응커넥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가이딩되어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ㄷ자로 절곡된 회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판의 중앙부위 아래에 이격공간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결합의 해제를 방지하는 해제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판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의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일단에 이탈방지턱이 구비된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걸림부 하단에 제1걸림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상기 해제방지수단의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돌기와 탄성결 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걸림돌기와 단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의 형상과 상응되는 형상의 제2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의 회전판의 회전에 의한 접촉시 형성되는 형상에 의하여 상기 고정홈이 안내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에 탄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방지수단은,
    결합해제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장치.
KR1020080000631A 2008-01-03 2008-01-03 커넥터 결합장치 KR100969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31A KR100969115B1 (ko) 2008-01-03 2008-01-03 커넥터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31A KR100969115B1 (ko) 2008-01-03 2008-01-03 커넥터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920A true KR20090074920A (ko) 2009-07-08
KR100969115B1 KR100969115B1 (ko) 2010-07-09

Family

ID=4133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631A KR100969115B1 (ko) 2008-01-03 2008-01-03 커넥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74B1 (ko) * 2013-04-18 2014-03-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장착장치
CN110635304A (zh) * 2014-02-06 2019-12-31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780A (ja) * 2001-03-06 2002-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組立体
WO2006020924A2 (en) * 2004-08-13 2006-02-23 Jst Corporation Lever action mechanical assist connector
KR100773311B1 (ko) * 2006-03-27 2007-11-09 경신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74B1 (ko) * 2013-04-18 2014-03-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장착장치
CN110635304A (zh) * 2014-02-06 2019-12-31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连接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115B1 (ko)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JP4843669B2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TWI351797B (ko)
EP2367240A2 (en) Connector, card edge connector, and sensor using the same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EP170141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40093288A (ko) 레버 감합식 커넥터
JP5015812B2 (ja) コネクタ用カバー
JP5303348B2 (ja) ロック構造及び該ロック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WO2005096454A1 (ja) 垂直嵌合コネクタ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JP2011134460A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US99480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9272104A (ja) リテーナ付き電気コネクタ
KR20090132362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14168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4055466A (ja) コネクタ
KR20100070848A (ko) 커넥터
KR2012013668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0762987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잠금구조
KR20070022035A (ko) 수직 끼워 맞춤 커넥터
WO2007148874A1 (en)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KR20080093175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34310A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