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80B1 -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80B1
KR100786180B1 KR1020060070654A KR20060070654A KR100786180B1 KR 100786180 B1 KR100786180 B1 KR 100786180B1 KR 1020060070654 A KR1020060070654 A KR 1020060070654A KR 20060070654 A KR20060070654 A KR 20060070654A KR 100786180 B1 KR100786180 B1 KR 10078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hutter
safety
stat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6007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구(130)가 구비된 방화셔터(100)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130)의 절단부 비상구(130) 측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 상기 비상구(130)의 절단부 셔터(120) 측에 결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되, 플레이트(151)의 전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축홈 또는 축공(156)이 형성된 프레임(155)을 상하 평행으로 돌출시킨 앞측에 지지홈(157)을 형성한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프레임(155)에 축 결합하고, 고정날개부(140)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핀(163)을 구비하며, 앞측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걸림수단(169)을 형성하여 프레임(155)의 지지홈(157)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되, 설치시 안전핀(163)이 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다 화재시 완전 걸림 상태로 전환되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틸트 작용으로 걸림수단(169)이 지지홈(157)을 빠져나와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구(160)로 구성된 것으로,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의하여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쪽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으로 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Fireproof Shu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를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a)도는 안전장치부의 축돌기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도는 안전장치부의 축볼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c)도는 안전장치부의 축나사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d)도는 안전장치부의 축핀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고정날개부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날개부가 생략되고 슬레이트가 적용된 경우에 슬레이트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c)는 고정날개부로서 고정프레임이 적용된 경우에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d)는 고정날개부로서 중첩날개가 적용된 경우에 중첩날개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도는 안전장치부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도는 안전장치부의 1차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c)도는 안전장치부의 2차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d)도는 안전장치부의 3차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e)도는 안전장치부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화셔터 110 : 저장부
111 : 모터 112 : 회전샤프트
120 : 셔터 121 : 슬레이트
122 : 보강플레이트 130 : 비상구
131 : 슬레이트 132 : 경첩
140 : 고정날개부 141 : 플레이트
142 : 홈부 143 : 절개공
144 : 걸림편 150 : 차단날개부
151 : 플레이트 152 : 홈부
153 : 차단편 154 : 끼움편
155 : 프레임 156 : 축홈 또는 축공
160 : 작동구 161 : 회전축
162 : 삽입공 163 : 안전핀
164 : 걸림돌기 165 : 스프링
166 : 걸림턱 167 : 바이메탈
168 : 고정볼트 169 : 공간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이 발생하여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보다 안전하게 화재발생지역이 차단되도록 하고,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방화셔터의 비상구가 이중으로 안전 작동되도록 하여 화염 등을 완전 차단하되, 상황에 따라 화염원 쪽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주변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하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을 차단하고, 방화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 크기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방화셔터를 절개하여 비상구를 형성하므로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화재에 의한 풍압이나 고열로 화염의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온도에서는 비상구를 차단하는 장치도 있으나, 이는 화재 진압 등을 위하여 화재지역 내로 소방관 등이 진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방화셔터의 안전장치는 화염 발생시 1차로 풍압이나 고열의 화염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소방관 등이 임의의 힘을 가했을 때), 안전장치가 틸트 운동으로 회전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비상구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효과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화셔터의 특성상 평소에는 감긴 채로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슬레이트의 내부 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보다 소형의 안전장치로의 제작이 요구되어 왔으며, 아울러 저렴한 가격에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코스트의 저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의하여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쪽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으로 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는, 비상구가 구비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의 절단부 비상구 측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 상기 비상구의 절단부 셔터 측에 결합하여 고정날개부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되,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축홈 또는 축공이 형성된 프레임을 상하 평행으로 돌출시킨 앞측에 지지홈을 형성한 차단날개부, 및 상기 차단날개부의 프레임에 축 결합하고, 고정날개부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핀을 구비하며, 앞측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걸림수단을 형성하여 프레임의 지지홈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되, 설치시 안전핀이 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다 화재시 완전 걸림 상태로 전환되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틸트 작용으로 걸림수단이 지지홈를 빠져나와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를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a)도는 안전장치부의 축돌기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도는 안전장치부의 축볼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c)도는 안전장치부의 축나사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d)도는 안전장치부의 축핀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고정날개부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고정날개부가 생략되고 슬레이트가 적용된 경우에 슬레이트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c)는 고정날개부로서 고정프레임이 적용된 경우에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d)는 고정날개부로서 중첩날개가 적용된 경우에 중첩날개로부터 차단날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도는 안전장치부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도는 안전장치부의 1차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c)도는 안전장치부의 2차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d)도는 안전장치부의 3차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e)도는 안전장치부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상측 슬레이트(121)에 횡으로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한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를 상측에 감아서 보관하되 비상시 하향으로 동작시켜 화염을 차단하도록 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셔터(120)를 절개하여 일측단에 경첩(132)을 결합하여 연결한 비상구(130)와,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결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되 플레이트(151)의 전면에 상하 평행으로 축홈 또는 축공(156)이 형성된 프레임(155)을 돌출시킨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프레임(155)에 축 결합하되, 고정날개부(140)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핀(163)을 구비하고, 1차 걸림 상태를 유지하다 화재시 완전 걸림 상태로 자동 전환되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틸트 작용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구(160)로 구성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회전샤프트(112)에 모터(111)를 결합하고 이를 제어하여 셔터(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나아가 회전샤프트(112)에는 다수개의 연결조인트(113)를 이용하여 셔터(120)의 상단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120)는 다수개의 슬레이트(121)를 조립하여 형성하되 상측 또는 하측의 슬레이트(121)에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시켜 고열에 따른 변형을 억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구(130)는 셔터(120)의 소정 위치를 절개하여 형성하되 일측단을 탄성 장치가 구비된 방화용 경첩(132)으로 셔터(120)에 결합하여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구(1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날개부(140)는 셔터(120)의 절개부분에 플레이트(141)를 부착하여 홈부(142)가 순차적으로 연접되어 일부 중첩되게 부착하되 홈부(142)에 절개공(143)을 형성하고 비상구(130)측으로 걸림편(144)이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날개부(140)의 대용으로서, 도 7의 c)와 같이 고정날개부(140)가 장착되는 위치에 고정프레임(140a)이 구성될 수도 있고, 도 7의 d)와 같이 중첩날개(140b)가 장착될 수 있으며, 도 7의 b)와 같이 슬레이트(131)에 별도의 구성 물품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도 직접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단날개부(150)는 비상구(130)의 절개부분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홈부(152)가 순차적으로 연접되어 일부가 중첩되게 부착하되 셔터(120)측으로 차단편(153)을 형성하고 차단편(153)에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52)에 형성된 절개공(143)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편(154)을 형성한다.
특히,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 전면에 상하 평행으로 축홈 또는 축공(156)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프레임(155)을 돌출시키되, 축홈 또는 축공(156)은 후측에 형성되고, 앞측에는 지지홈(157)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160)는 프레임(155)에 형성된 축홈 또는 축공(156)에 회전수단(161)이 결합되어 회전되게 하고, 횡으로 걸림턱(166)이 형성된 삽입공(162)이 천공되되, 삽입공(162)이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하며, 삽입공(162) 내부에 환형턱(164)이 형성된 안전핀(163)이 삽입되고, 스프링(165)이 환형턱(164)의 후측으로 삽입되며, 삽입공(162)의 후단은 고정볼트(168)로 마감처리됨으로써, 안전핀(163)이 스프링(165)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안전핀(163)의 전단은 라운딩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수단(161)으로서 샤프트, 볼트, 핀, 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회전수단(161)에 따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탄력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작동구(160)의 앞측 돌출부에 바이메탈(167)를 결합하여 삽입공(162)에 형성된 노출공간을 통하여 안전핀(163)의 환형턱(164)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안전핀(163)의 환형턱(164)과 삽입공(162)의 걸림턱(166)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나아가, 작동구(160)의 앞측에는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걸림수단(169)을 형성하여 프레임(155)의 지지홈(157)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걸림수단(169)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핀을 탄력 설치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작동구(160)는 대응되는 고정날개부(140)의 그 형상이나 모양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지프레임(140a), 중첩날개(140b) 또는 슬레이트(131) 등에 직접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정날개부(140)가 장착되는 위치에 도 7의 c)와 같이 고정프레임(140a)이 구성될 수도 있고, 도 7의 d)와 같이 중첩날개(140b)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7의 b)와 같이 슬레이트(131)에 고정날개부(140)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물품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도 직접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발생시 모터(111)를 제어하여 회전샤프트(112)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셔터(120)가 하부로 내려와 화재지역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지역 내에 위치한 사람들은 비상문(130)을 열고 안전지역으로 대피하게 된다.
이때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42)에 삽입된 차단날개부(150)의 차단편(153)이 빠져나오면서 비상구(130)가 열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홈부(142)의 절개공(143)에 삽입된 끼움편(154)도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사람 등이 안전 공간으로 대비한 후(사람들이 비상구(130)를 밀고 대피한 후)에는 탄력 설치된 경첩(132)에 의해 원위치 되어 비상구(130)가 닫히게 되고, 따라서 차단날개부(150)의 차단편(153)이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차단편(153)의 끼움편(154)이 홈부(142)의 절개공(143)에 끼워져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동작이 진행될 때 고정날개부(140)의 걸림편(144)에 안전핀(163)의 전단 라운드 부분이 걸려 화재로 인한 풍압 등의 압력으로 부터 닫힘 상태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탈출 시에는 전단의 라운딩된 안전핀(163)이 라운딩 부분만 1차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안전핀(163)은 통상의 탄력 설치된 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탈출자가 쉽게 비상구(130)를 통해 탈출할 수 있다.
나아가, 비상구(130)는 열린 후 탄력 설치된 경첩(132)에 의해 원위치하여 닫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작동구(160)는 화재가 근접하여 고열이 가해지는 경우, 바이메탈(167)의 특성상 외향으로 휘어져 안전핀(163)의 환형턱(164)에 걸려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바이메탈(167)의 단부가 환형턱(164)으로부터 빠져나와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안전핀(163)은 스프링(165)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고정날개부(140)의 걸림편(144)에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더욱이 고정날개부(140)가 생략된 슬레이트(131)(도 7b 참조) 또는 고정날개부(140) 대신에 적용된 지지프레임(140a)(도 7c 참조) 또는 중첩날개(140b)(도 7d 참조)에 각각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고열과 풍압에서도 화재지역의 차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진압 등의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발로 차는 등의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프레임(155)에 결합된 작동구(160)의 탄력 설치된 걸림수단(169)이 프레임(155)의 지지홈(157)을 빠져 나와 이탈하게 되어 작동구(160)가 회전수단(16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틸트 작용함으로 안전핀(163)의 걸림 상태를 해제되고, 이로 인하여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는 화재 발생 시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을 비상구(130)를 통화여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2,3중 구조로 화재로 인한 풍압 및 고열에도 방화셔터(100)로서의 역할을 완전하게 수행하여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고, 상황에 따른 화재지역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는 비상구(130)의 절단부 비상구(130) 측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 상기 비상구(130)의 절단부 셔터(120) 측에 결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되, 플레이트(151)의 전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축홈 또는 축공(156)이 형성된 프레임(155)을 상하 평행으로 돌출시킨 앞측에 지지홈(157)을 형성한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프레임(155)에 축 결합하고, 고정날개부(140)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핀(163)을 구비하며, 앞측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걸림수단(169)을 형성하여 프레임(155)의 지지홈(157)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되, 설치시 안전핀(163)이 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다 화재시 완전 걸림 상태로 전환되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틸트 작용으로 걸림수단(169)이 지지홈(157)을 빠져나와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구(160)로 구성함으로써,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으로 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상구(130)가 구비된 방화셔터(100)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130)의 절단부 비상구(130) 측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
    상기 비상구(130)의 절단부 셔터(120) 측에 결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되, 플레이트(151)의 전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축홈 또는 축공(156)이 형성된 프레임(155)을 상하 평행으로 돌출시킨 앞측에 지지홈(157)을 형성한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프레임(155)에 축 결합하고, 고정날개부(140)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안전핀(163)을 구비하며, 앞측에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된 걸림수단(169)을 형성하여 프레임(155)의 지지홈(157)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되, 설치시 안전핀(163)이 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다 화재시 완전 걸림 상태로 전환되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틸트 작용으로 걸림수단(169)이 지지홈(157)을 빠져나와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구(1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60)는 프레임(155)의 축홈 또는 축공(156)에 회전수단(161)로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횡으로 걸림턱(166)이 형성된 삽입공(162)을 천공하여 일부 외부로 노출되게 하며, 삽입공(162) 내부에 환형턱(164)이 형성된 안전핀(163)을 삽입하되, 스프링(165)를 환형턱(164)의 후측에 함께 삽입하여 삽입공(162)의 후단을 고정볼트(168)로 마감하여 안전핀(163)을 탄력 설치하고, 안전핀(163)의 전단을 라운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60)의 회전수단(161)은 샤프트, 볼트, 핀, 볼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적용되고, 회전수단(161)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력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60)는 앞측 돌출부에 바이메탈(167)를 결합하여 삽입공(162)에 형성된 노출공간을 통하여 안전핀(163)의 환형턱(164)에 걸리도록 하되, 안전핀(163)의 환형턱(164)과 삽입공(162)의 걸림턱(166)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60)의 걸림수단(169)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핀 또는 볼을 탄력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0060070654A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8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54A KR100786180B1 (ko)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54A KR100786180B1 (ko)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180B1 true KR100786180B1 (ko) 2007-12-21

Family

ID=3914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54A KR100786180B1 (ko)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73B1 (ko) 2007-06-13 2008-06-1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2B1 (ko) 2007-06-13 2008-06-1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965398B1 (ko) 2009-12-07 2010-06-24 권순석 방화셔터의 비상구 잠금장치
KR101065400B1 (ko) 2009-04-03 2011-09-16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CN114991377A (zh) * 2022-06-09 2022-09-02 苏州佰业达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应急安全躲避型变形式吊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183A (ja) * 1991-04-23 1993-05-14 Stanley Works:The 防火扉組立体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183A (ja) * 1991-04-23 1993-05-14 Stanley Works:The 防火扉組立体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73B1 (ko) 2007-06-13 2008-06-1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2B1 (ko) 2007-06-13 2008-06-1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065400B1 (ko) 2009-04-03 2011-09-16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KR100965398B1 (ko) 2009-12-07 2010-06-24 권순석 방화셔터의 비상구 잠금장치
CN114991377A (zh) * 2022-06-09 2022-09-02 苏州佰业达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应急安全躲避型变形式吊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861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8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WO2004009180A1 (en) Mounting assembly with intumescent layer for downlighters
KR101035118B1 (ko) 방화문용 도어 클로저
KR100913789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53657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N209742687U (zh) 消防安全疏散门系统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504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487899B1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1496551B1 (ko) 방화형 도어 스토퍼
KR20100012670A (ko) 방화문용 도어 릴리스 장치
KR102359815B1 (ko) 방화용 비상문의 열림 제어장치
KR200339882Y1 (ko) 방화문용 도어 스토퍼 제어장치
KR100426098B1 (ko)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20210128692A (ko) 방화기능이 향상된 방화장치
KR10191113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965398B1 (ko) 방화셔터의 비상구 잠금장치
KR20060005311A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