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480B1 -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480B1
KR100850480B1 KR1020070057984A KR20070057984A KR100850480B1 KR 100850480 B1 KR100850480 B1 KR 100850480B1 KR 1020070057984 A KR1020070057984 A KR 1020070057984A KR 20070057984 A KR20070057984 A KR 20070057984A KR 100850480 B1 KR100850480 B1 KR 10085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ire
safety
safety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7005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부착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16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61)에 상호 대향되게 탄성볼(163)과 슬라이드장공(164)을 각각 형성하며 전면에 걸림홈(167)이 형성된 가이드편(165)을 형성한 지지구(160)와, 상기 지지구(160)의 내측에 삽입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17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71)에 회전축(174)과 걸림공(172)을 형성하여 지지구(160)의 슬라이드장공(164)과 탄성볼(163)에 대응되게 하며 스프링(177)을 구비하여 측방으로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75)을 결합하여 바이메탈(175)의 단부가 걸림홈(167)에 끼워지게 형성한 안전작동구(170)로 구성하므로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Fireproof Shu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설치상태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화셔터 110 : 저장부
111 : 모터 112 : 회전샤프트
120 : 셔터 121 : 슬레이트
122 : 보강플레이트 130 : 비상구
131 : 슬레이트 132 : 경첩
140 : 고정날개부 141 : 플레이트
142 : 홈부 143 : 절개공
144 : 걸림편 150 : 차단날개부
151 : 플레이트 152 : 홈부
153 : 차단편 154 : 끼움편
160 : 지지구 161 : 지지편
162 : 나사공 163 : 탄성볼
164 : 슬라이드장공 165 : 가이드편
166 : 걸림돌기 167 : 걸림홈
170 : 안전작동구 171 : 지지편
172 : 걸림공 173 : 가이드홈
174 : 회전축 175 : 바이메탈
176: 걸림돌기 177 : 스프링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 기타 위해요인이 발생하여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보다 안전하게 화재발생지역을 차단하고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방화셔터의 비상구를 이중으로 안전 장치하여 화염 등을 완전하게 차단하되 상황에 따라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제작이 가능하여 주변의 간섭 방지하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의 차단하고 방화공간 내의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이상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방화셔터를 절개하여 비상구를 형성하므로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화재에 위한 풍압이나 고열로 화염의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온도에서는 비상구를 차단하는 장치도 있으나 이는 화재 진압 등을 위해 화재지역으로 소방관 등이 진입하기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이 선 출원한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화염 발생시 1 차로 풍압이나 고열로 화염의 완벽하게 차단하고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소방관 등이 임의 힘을 가했을 때) 안전장치가 틸트 운동으로 회전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비상구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효과를 이미 입증된 바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화셔터의 특성상 평소 항상 감겨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슬레이트의 내부 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보다 작은 소형의 안전장치로의 제작이 요구되어 왔으며 아울러 저렴한 가격에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코스트의 저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는 방화셔터에 있어서, 고정날개부에 중첩되는 차단날개부의 플레이트에 부착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에 상호 대향되게 탄성볼과 슬라이드장공을 각각 형성하며 전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가이드편을 형성하고 측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내측에 삽입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에 회전축과 걸림공을 형성하여 지지구의 슬라이드장공과 탄성볼에 대응되게 하며 스프링을 구비하여 측방으로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을 결합하여 바이메탈의 단부가 지지구의 걸림홈에 끼워지게 형성한 안전작동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설치상태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안전작동구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상측 슬레이트(121)에 횡으로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한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를 상측에 감아서 보관하되 비상시 하향으로 동작시켜 화염을 차단하도록 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셔터(120)를 절개하여 일측단에 경첩(132)을 결합하여 연결한 비상구(130)와,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와,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부착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16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61)에 상호 대향되게 탄성볼(163)과 슬라이드장공(164)을 각각 형성하며 전면에 걸림홈(167)이 형성된 가이드편(165)을 형성한 지지구(160)와, 상기 지지구(160)의 내측에 삽입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17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71)에 회전축(174)과 걸림공(172)을 형성하여 지지구(160)의 슬라이드장공(164)과 탄성볼(163)에 대응되게 하며 스프링(177)을 구비하여 측방으로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75)을 결합하여 바이메탈(175)의 단부가 걸림홈(167)에 끼워지게 형성한 안전작동구(170)로 구성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회전샤프트(112)에 모터(111)를 결합하고 이를 제어하여 셔터(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나아가 회전샤프트(112)에는 다수개의 연결조인트(113)를 이용하여 셔터(120)의 상단과 결합함에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120)는 다수개의 슬레이트(121)를 조립하여 형성하되 상측 또는 하측의 슬레이트(121)에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시켜 고열에 따른 변형을 억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구(130)는 셔터(120)의 소정 위치를 절개하여 형성하되 일측단을 탄성 장치가 구비된 방화용 경첩(132)으로 셔터(120)에 결합하여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구(1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날개부(140)는 셔터(120)의 절개부분에 플레이트(141)를 부착하여 홈부(142)가 순차적으로 연접되어 일부 중첩되게 부착하되 홈부(142)에 절개공(143)을 형성하고 비상구(130)측으로 걸림편(144)이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차단날개부(150)는 비상구(130)의 절개부분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홈부(152)가 순차적으로 연접되어 일부가 중첩되게 부착하되 셔터(120)측으로 차단편(153)을 형성하고 차단편(153)에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52)에 형성된 절개공(143)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편(154)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구(160)는 나사공(162)을 탄성볼(163)을 나사 결합하여 탄성볼(163)의 돌출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지지구(16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66)를 형성하여 스프링(177)의 일측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지지구(160)의 가이드편(165)은 전면에 설치하여 내부 측에 설치되는 안전작동구(1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측방으로 가이드 되게 한다.
상기 안전작동구(170)는 걸림공(172)의 일측으로 가이드홈(173)을 형성하여 탄성볼(163)에 측방으로 이동하는 걸림공(172)이 정확하게 가이드 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안전작동구(17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76)를 형성하여 스프링(177)의 타측단을 고정시켜 안전작동구(170)를 탄력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발생시 모터(111)를 제어하여 회전샤프트(112)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셔터(120)가 하부로 내려와 화재지역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지역 내에 위치한 사람들은 비상문(130)을 열고 안전지역으로 대피하게 된다.
이때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42)에 삽입된 차단날개부(150)의 차단편(153)이 빠져나오면서 비상구(130)가 열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홈부(142)의 절개공(143)에 삽입된 끼움편(154)도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사람 등이 안전 공간으로 대비한 후에는 (사람들이 비상구(130)를 밀고 대피한 후에) 탄력 설치된 경첩(132)에 의해 원위치 되어 비상구(130)가 닫히게 되고, 따라서 차단날개부(150)의 차단편(153)이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차단편(153)의 끼움편(154)이 홈부(142)의 절개공(143)에 끼워져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화재로 인한 풍압 등의 압력으로 부터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차단날개부(150)에 부착된 지지구(160)와 안전작동 구(170)는 화재가 근접하여 고열이 가해지는 경우 가이드편(165)의 걸림홈(167)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던 바이메탈(175)이 휘어져 걸림 상태를 해제하므로 안전작동구(170)가 스프링(177)에 의해 고정날개부(140)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안전작동구(170)는 가이드편(165)에 가이드 됨과 동시에 탄성볼(163)이 가이드홈(173)에 가이드 되면서 전진하므로 슬라이드장공(164)을 따라 정확하게 고정날개부(140)측으로 전진하게 되어 탄성볼(163)이 안전작동구(170)의 걸림공(172)에 삽입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작동구(170)의 전단이 고정날개부(140)의 걸림편(144)에 걸리게 되어 비상문(130)의 차단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고열과 풍압에서도 화재지역의 차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진압 등의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발로 차는 등의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 되어 고정날개부(140)의 걸림편(144)에 걸린 안전작동구(170)의 걸림공(172)이 탄성볼(163)에서 빠져 나와 이탈하게 됨과 동시에 안전작동구(170)가 회전축(174)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화재 발생 시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을 비상구(130)를 통화여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풍압 및 고열에도 방화셔터(100)로서의 역할을 완전하게 수행하여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고 상황에 따른 화재지역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상측 슬레이트(121)에 횡으로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한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를 상측에 감아서 보관하되 비상시 하향으로 동작시켜 화염을 차단하도록 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셔터(120)를 절개하여 일측단에 경첩(132)을 결합하여 연결한 비상구(130)와,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와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부착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16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61)에 상호 대향되게 탄성볼(163)과 슬라이드장공(164)을 각각 형성하며 전면에 걸림홈(167)이 형성된 가이드편(165)을 형성한 지지구(160)와, 상기 지지구(160)의 내측에 삽입하되 상, 하측에 지지편(17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71)에 회전축(174)과 걸림공(172)을 형성하여 지지구(160)의 슬라이드장공(164)과 탄성볼(163)에 대응되게 하며 스프링(177)을 구비하여 측방으로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75)을 결합하여 바이메탈(175)의 단부가 걸림홈(167)에 끼워지게 형성한 안전작동구(170)로 구성하므로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측 슬레이트(121)에 횡으로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한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를 상측에 감아서 보관하되 비상시 하향으로 동작시켜 화염을 차단하도록 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셔터(120)를 절개하여 일측단에 경첩(132)을 결합하여 연결한 비상구(130)와,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는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와,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지지구(160), 및 상기 지지구(160)의 내측에 삽입하되 스프링(177)을 구비하여 측방으로 슬라이딩되게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75)을 설치하여 자제 상태을 유지하도록 하는 안전작동구(170)로 구성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60)는 상, 하측에 지지편(16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61)에 상호 대향되게 탄성볼(163)과 슬라이드장공(164)을 각각 형성하며 전면에 걸림홈(167)이 형성된 가이드편(165)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동구(170)는 상, 하측에 지지편(171)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71)에 회전축(174)과 걸림공(172)을 각각 형성하여 지지구(160)의 슬라이드장공(164)과 탄성볼(163)에 대응되게 하며 스프링(177)을 구비하여 측방으로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75)을 결합하여 바이메탈(175)의 단부가 걸림홈(167)에 끼워지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작동구(170)는 걸림공(172)의 일측으로 가이드홈(173)을 형성하고 안전작동구(170)의 일측에 스프링(177)을 고정하는 걸림돌기(17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0070057984A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5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984A KR100850480B1 (ko)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984A KR100850480B1 (ko)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480B1 true KR100850480B1 (ko) 2008-08-07

Family

ID=3988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984A KR100850480B1 (ko)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48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48Y1 (ko) * 1994-04-16 1997-05-13 최성열 방화 및 방범용 셔터
KR0119679Y1 (ko) * 1994-12-22 1998-07-15 박갑일 건물용 방화셔터장치
KR0120468Y1 (ko) * 1994-12-17 1998-10-15 박갑일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KR20050065469A (ko) * 2005-05-19 2005-06-29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60005331A (ko) * 2005-12-31 2006-01-17 이삼준 모자 및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WO2006123914A1 (en) 2005-05-19 2006-11-23 Kap-Il Park Fire closure shutter
KR100704512B1 (ko) 2006-10-16 2007-04-09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70038195A (ko) * 2005-10-05 2007-04-10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체결장치
KR100770398B1 (ko) 2006-07-29 2007-10-26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48Y1 (ko) * 1994-04-16 1997-05-13 최성열 방화 및 방범용 셔터
KR0120468Y1 (ko) * 1994-12-17 1998-10-15 박갑일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KR0119679Y1 (ko) * 1994-12-22 1998-07-15 박갑일 건물용 방화셔터장치
KR20050065469A (ko) * 2005-05-19 2005-06-29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WO2006123914A1 (en) 2005-05-19 2006-11-23 Kap-Il Park Fire closure shutter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70038195A (ko) * 2005-10-05 2007-04-10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체결장치
KR20060005331A (ko) * 2005-12-31 2006-01-17 이삼준 모자 및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KR100770398B1 (ko) 2006-07-29 2007-10-26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04512B1 (ko) 2006-10-16 2007-04-09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551633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1007861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504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8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913789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53657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077039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65303B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746216B1 (ko)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KR102359815B1 (ko) 방화용 비상문의 열림 제어장치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20220006346A (ko) 방화댐퍼
KR100965398B1 (ko) 방화셔터의 비상구 잠금장치
KR200468383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잠금장치
KR10191113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JP2001129108A (ja)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装置
KR10083717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체결장치
KR101292474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