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172B1 -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172B1
KR100837172B1 KR1020070057981A KR20070057981A KR100837172B1 KR 100837172 B1 KR100837172 B1 KR 100837172B1 KR 1020070057981 A KR1020070057981 A KR 1020070057981A KR 20070057981 A KR20070057981 A KR 20070057981A KR 100837172 B1 KR100837172 B1 KR 10083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ire
support
emergency exit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7005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되 비상구(130)측으로 안전편(144)을 형성하고 안전편(144)에 압력을 가하면 절곡되게 형성한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결합하되 스프링(164)으로 지지수단(163)을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65)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을 자제시킨 지지구(160)로 구성하므로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Fireproof Shu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설치상태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 도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b) 도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c) 도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 도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고,
b) 도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며,
c) 도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다.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 도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고,
b) 도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c) 도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a 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고,
도 b 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도 c 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화셔터 110 : 저장부
111 : 모터 112 : 회전샤프트
120 : 셔터 121 : 슬레이트
122 : 보강플레이트 130 : 비상구
131 : 슬레이트 132 : 경첩
140 : 고정날개부 141 : 플레이트
142 : 홈부 143 : 절개공
144 : 안전편 145 : 회전축
146 : 걸림홈 147 : 지지편
148 : 탄성볼 149 : 축공
150 : 차단날개부 151 : 플레이트
152 : 홈부 153 : 차단편
154 : 끼움편 160 : 지지구
161 : 상,하부편 162 : 걸림돌기
163 : 지지수단 164 : 스프링
165 : 바이메탈 166 : 체결나사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 기타 위해요인이 발생하여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보다 안전하게 화재발생지역을 차단하고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방화셔터의 비상구를 이중으로 안전 장치하여 화염 등을 완전하게 차단하되 상황에 따라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제작이 가능하여 주변의 간섭 방지하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의 차단하고 방화공간 내의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이상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 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방화셔터를 절개하여 비상구를 형성하므로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화재에 위한 풍압이나 고열로 화염의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온도에서는 비상구를 차단하는 장치도 있으나 이는 화재 진압 등을 위해 화재지역으로 소방관 등이 진입하기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이 선 출원한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화염 발생시 1 차로 풍압이나 고열로 화염의 완벽하게 차단하고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소방관 등이 임의 힘을 가했을 때) 안전장치가 틸트 운동으로 회전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비상구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효과를 이미 입증된 바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화셔터의 특성상 평소 항상 감겨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슬레이트의 내부 측에 설치하기 위하여 보다 작은 소형의 안전장치로의 제작이 요구되어 왔으며 아울러 저렴한 가격에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코스트의 저감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는 방화셔터에 있어서, 비상구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의 절단부에 결합하되 비상구측으로 안전편을 형성하고 안전편에 압력을 가하면 절곡되게 형성한 고정날개부와, 상기 비상구에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 및 상기 차단날개부의 플레이트에 결합하되 스프링으로 지지수단을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을 설치하여 지지수단을 자제시킨 지지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설치상태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 도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b) 도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c) 도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 도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고, b) 도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며, c) 도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고,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 도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고, b) 도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c) 도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고,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a 는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고, 도 b 는 동작 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며, 도 c 는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상측 슬레이트(121)에 횡으로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한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를 상측에 감아서 보관하되 비상시 하향으로 동작시켜 화염을 차단하도록 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셔터(120)를 절개하여 일측단에 경첩(132)을 결합하여 연결한 비상구(130)로 구성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되 비상구(130)측으로 안전편(144)을 형성하고 안전편(144)에 압력을 가하면 절곡되게 형성한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결합하되 스프링(164)으로 지지수단(163)을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65)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을 자제시킨 지지구(160)로 구성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회전샤프트(112)에 모터(111)를 결합하고 이를 제어하여 셔터(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나아가 회전샤프트(112)에는 다수개의 연결조인트(113)를 이용하여 셔터(120)의 상단과 결합함에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120)는 다수개의 슬레이트(121)를 조립하여 형성하되 상측 또는 하측의 슬레이트(121)에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시켜 고열에 따른 변형을 억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구(130)는 셔터(120)의 소정 위치를 절개하여 형성하되 일측단을 탄성 장치가 구비된 방화용 경첩(132)으로 셔터(120)에 결합하여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구(1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날개부(140)는 셔터(120)의 절개부분에 플레이트(141)를 부착하여 홈부(142)가 순차적으로 연접되어 일부 중첩되게 부착하되 홈부(142)에 절개공(143)을 형성하고 비상구(130)측으로 걸림편(144)이 돌출되게 형성한다.
특히, 고정날개부(140)는 일측에 상, 하측으로 지지편(147)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47)에 탄성볼(148)과 축공(149)을 형성하고 상,하측의 지지편(147) 사이에 안전편(144)을 결합하며 안전편(144)에 걸림홈(146)과 회전축(145)을 형성한다.
상기 차단날개부(150)는 비상구(130)의 절개부분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홈부(152)가 순차적으로 연접되어 일부가 중첩되게 부착하되 셔터(120)측으로 차단편(153)을 형성하고 차단편(153)에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52)에 형성된 절 개공(143)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편(154)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구(160)의 지지수단(163)은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후측에 스프링(164)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을 탄력 설치하되 지지구(160)에 바이메탈(165)을 결합하여 바이메탈(165)의 단부가 지지수단(163)의 측단에 걸려 자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지지구(160)에는 상,하부편(161)과 걸림돌기(162)를 형성하여 지지수단(163)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한다.
한편 지지구(160)의 지지수단(163)은 후단에 스프링(164)을 형성하여 전방으로 지지수단(163)을 탄력 설치하되 바이메탈(165)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지지구(160)에는 스프링(164)의 후측에 체결나사(166)를 결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발생시 모터(111)를 제어하여 회전샤프트(112)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셔터(120)가 하부로 내려와 화재지역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지역 내에 위치한 사람들은 비상문(130)을 열고 안전지역으로 대피하게 된다.
이때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42)에 삽입된 차단날개부(150)의 차단편(153)이 빠져나오면서 비상구(130)가 열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홈부(142)의 절개공(143)에 삽입된 끼움편(154)도 함께 빠져나 오게 된다.
또한 사람 등이 안전 공간으로 대비한 후에는 (사람들이 비상구(130)를 밀고 대피한 후에) 탄력 설치된 경첩(132)에 의해 원위치 되어 비상구(130)가 닫히게 되고, 따라서 차단날개부(150)의 차단편(153)이 고정날개부(140)의 홈부(152)에 삽입됨과 동시에 차단편(153)의 끼움편(154)이 홈부(142)의 절개공(143)에 끼워져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화재로 인한 풍압 등의 압력으로 부터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고정날개부(140)와 지지구(160)는 화재가 근접하여 고열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수단(163)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던 바이메탈(165)이 휘어져 걸림 상태를 해제하므로 지지수단(163)이 스프링(164)에 의해 회전하거나 전진하여 고정날개부(140)의 안전편(14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지지수단(163)의 전단이 고정날개부(140)의 안전편(144)에 걸리게 되어 비상문(130)의 차단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고열과 풍압에서도 화재지역의 차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진압 등의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발로 차는 등의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 되어 고정날개부(140)의 안전편(144)에 지지수단(163)이 가압되어 걸림홈(146)이 탄성볼(148)에서 빠져 나와 이탈하게 됨과 동시에 안전편(144)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걸림 상태를 해제되고 이로 인하여 비상구(130) 열려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화재 발생 시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을 비상구(130)를 통화여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풍압 및 고열에도 방화셔터(100)로서의 역할을 완전하게 수행하여 화재의 확산을 억제하고 상황에 따른 화재지역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안전장치(100)는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되 비상구(130)측으로 안전편(144)을 형성하고 안전편(144)에 압력을 가하면 절곡되게 형성한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결합하되 스프링(164)으로 지지수단(163)을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65)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을 자제시킨 지지구(160)로 구성하므로 화재 등 기타 위해 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구를 통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하여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풍압이나 고열에서도 완전하게 방화셔터가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화염원 측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되 소형제작이 유리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작동 후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측 슬레이트(121)에 횡으로 다수개의 보강플레이트(122)를 부착한 셔터(120)와, 상기 셔터(120)를 상측에 감아서 보관하되 비상시 하향으로 동작시켜 화염을 차단하도록 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셔터(120)를 절개하여 일측단에 경첩(132)을 결합하여 연결한 비상구(130)로 구성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130)의 타측단에 대응되는 셔터(120)의 절단부에 결합하되 비상구(130)측으로 안전편(144)을 형성하고 안전편(144)에 압력을 가하면 절곡되게 형성한 고정날개부(140)와,
    상기 비상구(130)에 플레이트(151)를 부착하여 고정날개부(140)에 중첩되어 끼워지게 하는 차단날개부(150), 및
    상기 차단날개부(150)의 플레이트(151)에 결합하되 스프링(164)으로 지지수단(163)을 탄력설치하고 바이메탈(165)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을 자제시킨 지지구(1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부(140)는 일측에 상, 하측으로 지지편(147)을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편(147)에 탄성볼(148)과 축공(149)을 형성하고 상,하측의 지지편(147) 사이에 안전편(144)을 결합하며 안전편(144)에 걸림홈(146)과 회전축(145)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60)의 지지수단(163)은 축으로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후측에 스프링(164)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을 탄력 설치하되 지지구(160)에 바이메탈(165)을 결합하여 바이메탈(165)의 단부가 지지수단(163)의 측단에 걸려 자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60)의 지지수단(163)은 후단에 스프링(164)을 형성하여 전방으로 지지수단(163)을 탄력 설치하되 바이메탈(165)을 설치하여 지지수단(163)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0070057981A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981A KR100837172B1 (ko)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981A KR100837172B1 (ko)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172B1 true KR100837172B1 (ko) 2008-06-11

Family

ID=3977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981A KR100837172B1 (ko) 2007-06-13 2007-06-13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295B1 (ko) * 2016-01-14 2017-05-22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6861A (ja) * 1990-10-19 1992-05-2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防火用感温通路遮断装置
JPH05118183A (ja) * 1991-04-23 1993-05-14 Stanley Works:The 防火扉組立体
KR200410728Y1 (ko) 2005-12-27 2006-03-08 장종복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KR100704512B1 (ko) 2006-10-16 2007-04-09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3B1 (ko) 2006-07-27 2007-10-25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8B1 (ko) 2006-07-29 2007-10-26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86180B1 (ko) 2006-07-27 2007-12-2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80011002A (ko) * 2006-07-28 2008-01-3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6861A (ja) * 1990-10-19 1992-05-2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防火用感温通路遮断装置
JPH05118183A (ja) * 1991-04-23 1993-05-14 Stanley Works:The 防火扉組立体
KR200410728Y1 (ko) 2005-12-27 2006-03-08 장종복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KR100770393B1 (ko) 2006-07-27 2007-10-25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86180B1 (ko) 2006-07-27 2007-12-2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80011002A (ko) * 2006-07-28 2008-01-3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8B1 (ko) 2006-07-29 2007-10-26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04512B1 (ko) 2006-10-16 2007-04-09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295B1 (ko) * 2016-01-14 2017-05-22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US7427147B2 (en) Lighting assemblies
KR1007861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77039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3717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JP2018028247A (ja) 防火サッシ
KR100770398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JP3209178U (ja) 消火弾自動放出格納装置
KR100913789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705640B1 (ko) 돌출형 방화문 고정장치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2203052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대피시스템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100853657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0850480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487899B1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077039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477663Y1 (ko) 방화용 댐퍼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621207B1 (ko) 방화셔터
JP2006122286A (ja) 消火装置
KR100965398B1 (ko) 방화셔터의 비상구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