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468Y1 -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468Y1
KR0120468Y1 KR2019940034439U KR19940034439U KR0120468Y1 KR 0120468 Y1 KR0120468 Y1 KR 0120468Y1 KR 2019940034439 U KR2019940034439 U KR 2019940034439U KR 19940034439 U KR19940034439 U KR 19940034439U KR 0120468 Y1 KR0120468 Y1 KR 0120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moke shielding
emergency door
smoke
hing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047U (ko
Inventor
박갑일
Original Assignee
박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일 filed Critical 박갑일
Priority to KR2019940034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468Y1/ko
Publication of KR960023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0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방화 셔터에 설치되는 비상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경첩 부분을 통하여 연기나 화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1경첩편(10)과, 제2경첩편(20)과, 코일 스프링(30)과, 축봉(40)이 조립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편(10)의 양측에 연기 차폐턱(14)을 마련하는 한편, 제2경첩편(20)에는 상기 연기 차폐턱(14)의 외면에 밀접하는 연기 차폐판(24)을 마련하여 비상문이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기 차폐판(24)이 연기 차폐턱(14)에 밀접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화 셔터의 비상문 경첩
제1도는 본 고안이 방화 셔터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방화 셔터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경첩편 11 : 축수부
14 : 연기 차폐턱 20 : 제2경첩편
21 : 축수부 24 : 연기 차폐판
30 : 코일 스프링 40 : 축봉
50 : 방화 셔터 60 : 비상문
본 고안은 건축물이나 차고 등에 설치되는 방화 셔터 장치에 있어서, 방화 셔터에 마련되는 비상문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주요 통로마다 방화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방화 셔터는 화재 발생시 화재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고, 또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닫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방화 셔터가 닫히고 난 후 건물 내에 남아 있는 사람들이 신속하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방화 셔터에 비상문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 비상문은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하여 온 방화 셔터의 비상문용 경첩은 연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연기 차단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연기 속에 유독 가스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화 셔터가 완벽한 안전 시설이 되지 못하고 더우기 고온의 화염까지도 새어 나오게 되므로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없게 되며 경첩이나 그 인근 부위가 고온에 녹아 결국 비상문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방화 기능을 상실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상문을 설치하는 경첩 부위로부터 연기나 화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연기 차단 수단이 강구된 방화 셔터의 비상문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경첩편과, 제2경첩편과, 코일 스프링과, 축봉이 조립하여 이루어진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편의 일측에 연기 차폐턱을 마련하는 한편 제2경첩편에는 상기 연기 차폐턱의 외면에 밀접하는 연기 차폐판을 마련하여 비상문이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기 차폐판이 연기 차폐턱에 밀접되게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연기 차폐턱의 외면과 상기 연기 차폐판의 내면이 원호면을 이루도록 형성한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축공(12)과 축수부(11) 및 스프링 설치 공간부(13)가 마련된 제1경첩편(10)과, 역시 축공(22)과, 축수부(21) 및 스프링 설치 공간부(23)가 마련된 제2경첩편(20)과, 코일 스프링(30)과, 축봉(40)으로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편(10)의 일측에 연기 차폐턱(14)을 마련하는 한편, 제2경첩편(20)에는 상기 연기 차폐턱(14)의 외면에 밀접하는 연기 차폐판(24)을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 연기 차폐턱(14)과 연기 차폐판(24)의 상호 접촉면은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5는 코일 스프링 고정 보스, 50은 방화 셔터, 60은 비상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셔터(50)의 일부분에 비상문(6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경첩의 제1경첩편(10)은 방화 셔터(50)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제2경첩편(20)은 비상문(60)에 용접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경첩은 방화 셔터(50)와 비상문(60)을 구성하고 있는 셔터 부재마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경첩편(10)과 제2경첩편(20)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 사용되는 본 고안은 비상문(60)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4도와 같이 제1경첩편(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기 차폐턱(14)의 외면에 제2경첩편(20)의 연기 차폐판(24)이 밀접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나 화염이 경첩을 통해 빠져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 상기 연기 차폐턱(14)과 연기 차폐판(24)은 비상문이 일정 각도(즉, 닫힘 위치)에서 더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제동하는 스토퍼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채용되는 방화 셔터는 화재 발생시 내부로부터 유독 개스가 누출될 염려가 없고 화재의 확산이 방지되며 경첩 설치 부위가 고온에 잘 견디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제1경첩편(10)과, 제2경첩편(20)과, 코일 스프링(30)과, 축봉(40)이 조립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편(10)의 양측에 연기 차폐턱(14)을 마련하는 한편, 제2경첩편(20)에는 상기 연기 차폐턱(14)의 외면에 밀접하는 연기 차폐판(24)을 마련하여 비상문이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기 차폐판(24)이 연기 차폐턱(14)에 밀접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방화 셔터의 비상문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폐턱(14)의 외면과 상기 연기 차폐판(24)의 내면이 원호면을 이루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방화 셔터의 비상문 경첩.
KR2019940034439U 1994-12-17 1994-12-17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KR0120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439U KR0120468Y1 (ko) 1994-12-17 1994-12-17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439U KR0120468Y1 (ko) 1994-12-17 1994-12-17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047U KR960023047U (ko) 1996-07-20
KR0120468Y1 true KR0120468Y1 (ko) 1998-10-15

Family

ID=1940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439U KR0120468Y1 (ko) 1994-12-17 1994-12-17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4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80B1 (ko) * 2007-06-13 2008-08-07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80B1 (ko) * 2007-06-13 2008-08-07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047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5058C (en) Heat activated spring loaded locking bolt for hinged doors and door assemblies employing same
KR101716324B1 (ko)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KR101592149B1 (ko) 도어 장치
KR101977044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0120468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TW201912065A (zh) 具有熱致動式阻尼器之通氣式安全櫃
KR0137136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KR200402137Y1 (ko)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KR20190008112A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20190020955A (ko)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도어
KR0138544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경첩
KR100315214B1 (ko)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JPH09291775A (ja) 防火シャッターの非常扉用蝶番
KR0127370Y1 (ko)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 차연장치
KR20050065472A (ko) 방화셔터
KR200149744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완충구조
KR102580114B1 (ko) 내화충전 구조를 갖는 방화댐퍼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101987795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06665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JP2604923B2 (ja) 防火ダンパー
KR0124251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KR200423381Y1 (ko) 투시형 방화셔터
KR20050007868A (ko) 문화재 수장고용 기밀방화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