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24B1 -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24B1
KR101716324B1 KR1020160114840A KR20160114840A KR101716324B1 KR 101716324 B1 KR101716324 B1 KR 101716324B1 KR 1020160114840 A KR1020160114840 A KR 1020160114840A KR 20160114840 A KR20160114840 A KR 20160114840A KR 101716324 B1 KR101716324 B1 KR 10171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ace
door frame
hous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이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현 filed Critical 이명현
Priority to KR102016011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실내의 고열이 실외로 번지는 현상을 차단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틀과 문짝과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문틀의 측면과, 문틀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의 측면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있어서,
문틀 또는 문짝의 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공간을 가지고, 제1공간의 입구 측을 폐쇄하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 문틀 또는 문짝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 또는 문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공간의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제2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 제1공간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낙하 가능한 회전낙하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평상시 차단판이 제1공간의 입구 측에 납땜되어 회전낙하체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 차단판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면 회전낙하체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차단판을 뚫고 제2공간으로 자유낙하되어 문틀과 문짝 간의 비틀림이 방지되고,
회전낙하체는, 회전축에 걸림 결합되는 축결합부; 축결합부에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시 제2공간으로 수용되어 걸리고, 외측으로 곡률진 호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되,
제1하우징의 내면에는, 회전낙하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내화성 고무 소재의 받침부재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Fire door of the sid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실내의 고열이 실외로 번지는 현상을 차단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틀과 문짝과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출입구 또는 비상구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문틀과, 이러한 문틀 사이에 회동수단(예컨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문짝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문틀과 문짝에는 단열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그 내부에 단열재를 채우고, 그 외곽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나, 화재 발생시 밀폐된 실내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1차적으로 열변형된 후 단열재가 연소되어 가스가 방출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팽창과 동시에 강도가 취약한 부분에서 비틀림이 발생한다.
특히 힌지가 문틀에 결합된 부분보다 힌지 반대쪽 부분에서 비틀림이 심하게 일어나는데, 이때 문짝의 내측에 삽입된 가스켓의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문틀과 문짝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면서 유해가스와 함께 화염이 실외로 번져 인명피해가 커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고자, 방화문 규정에는 965℃ 이하의 고온에서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는 방화문을 규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그 규정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등록번호:10-1638116)'에서는 방화문 본체(100)의 하우징(500) 내부에 스프링(520)에 의해 수용되어 있던 로크몸체(510)가 화재 발생시 하우징(500) 입구의 막음판(530)이 녹으면서 문틀 후레임(200)의 홀캡(220)으로 수직 이동되게 함으로써, 방화문 본체(100)와 문틀 후레임(200)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화재 발생시 고열에 의해 스프링(520)에 변형이 생기거나 녹아버리기 때문에, 스프링(520)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로크몸체(510)가 홀캡(220) 내부로 안정적으로 수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말은 즉, 스프링(520) 등의 형상금속은 통상 -10℃에서 상온 100℃ 사이에 작동하기 때문에, 실내의 사람이 탈출하기 전에 작동되기 일쑤여서 그 위험성이 굉장히 클 뿐만 아니라, 300℃ 이상이 되면 스프링(520)에 변형이 생겨 버텨야 할 온도에서 오히려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에 의한 고열에도 유해가스와 화염이 실외로 누출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틀과 문짝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8116호, 2016.07.04.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실내의 고열이 실외로 번지는 현상을 차단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틀과 문짝과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틀의 측면과, 상기 문틀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의 측면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문짝의 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공간의 입구 측을 폐쇄하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문짝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 또는 문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간의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제2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공간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낙하 가능한 회전낙하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평상시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1공간의 입구 측에 납땜되어 상기 회전낙하체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판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면 상기 회전낙하체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차단판을 뚫고 상기 제2공간으로 자유낙하되어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 간의 비틀림이 방지되고, 상기 회전낙하체는, 상기 회전축에 걸림 결합되는 축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에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2공간으로 수용되어 걸리고, 외측으로 곡률진 호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낙하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내화성 고무 소재의 받침부재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판은, 200℃ 이상에서 녹는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단일금속 또는 상기 단일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문틀 또는 문짝의 측면에 함몰되게 설치된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회전낙하체가 화재 발생시에는 제1하우징의 입구에 회전낙하체의 회전을 막고 있던 차단판이 용융되면서 회전낙하체가 그 자중에 의해 문짝 또는 문틀의 측면에 함몰되게 설치된 제2하우징의 내부로 자유낙하하여 고정됨으로써, 문틀과 문짝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전낙하체가 수용된 제1하우징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문틀과 문짝 간의 비틀림이 방지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문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벽에 설치되는 문틀(10)과, 일측이 문틀(10)의 힌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문짝(20)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방화문임을 감안하여 문틀(10)과 문짝(20)의 내부에는 단열기능을 가지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P 부분은 문틀(10)의 측면과, 문틀(10)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20)의 측면 사이에 문틀(10)과 문짝(20)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이다. 도 2-(a)는 문짝(20)의 측면에 회전낙하체(300)가 수용된 제1하우징(1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문짝(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틀(10)의 측면에 제2하우징(2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 2의 경우는, 제1하우징(100)이 문짝(20)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하우징(200)이 문틀(10)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틀(10)과 문짝(20)에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이다. 도 4-(a)는 문짝(20)의 측면에 제2하우징(2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문짝(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틀(10)의 측면에 회전낙하체(300)가 수용된 제1하우징(1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 4의 경우는, 제1하우징(100)이 문틀(10)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하우징(200)이 문짝(20)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문틀(10)과 문짝(20)에 본 발명의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2 내지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의 구성 중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은 문틀(10)과 문짝(20) 그 어디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함을 알 수 있으며, 상술된 제1하우징(100), 제2하우징(200) 및 회전낙하체(300)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하우징(100)은 문틀(10) 또는 문짝(2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공간(100a)을 가지고, 제1공간(100a)의 입구 측을 폐쇄하는 차단판(14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전낙하체(300)가 수용된 제1하우징(100)의 상태도이다. 도 6-(a)는 회전낙하체(300)가 수용된 제1하우징(100)의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도 6-(a)의 A 부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도 6-(a)의 B 부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공간(100a)을 가지고, 제1공간(100a)의 입구 측을 폐쇄하는 차단판(140)이 설치된 제1하우징(10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00)은 제1공간(100a)을 가지도록 문틀(10) 또는 문짝(20)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공간(100a)에 수용된 회전낙하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내용인즉 제1하우징(100)은 편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회전축(130)이 설치되도록 제1축공(112)이 관통형성되어 회전낙하체(300)를 내부에 위치되게 하는 한 쌍의 고정편(110)과, 한 쌍의 고정편(110)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120)으로 이루어져 문틀(10) 또는 문짝(20)의 측면에 함몰되게 삽입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차단판(140)은 제1공간(100a)의 입구 측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 회전낙하체(300)가 회전되지 못하게끔 하여 회전낙하체(300)를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말하자면, 차단판(140)은 제1하우징(100)을 이루는 한 쌍의 고정편(110) 사이 공간에 회전낙하체(300)의 돌출 방지를 위해 납땜 등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인바, 평상시에는 제1하우징(100) 내부의 회전낙하체(30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막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일정 온도 이상(본 발명에서는 200℃ 이상)이 되면 녹으면서 회전낙하체(300)의 자중에 의해 제1공간(100a)의 입구를 개방하면서 자유낙하하여 제2하우징(200)의 제2공간(200a)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단, 차단판(140)은 200℃ 이상의 고온이 전달되면 녹는 단일금속 또는 단일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연납 또는 황동 그라파이트를 적용하였다. 또한 반드시 상기된 연납 또는 황동 그라파이트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니고, 회전낙하체(300)가 낙하되지 않도록 받치고 있다가 200℃ 이상이 되면 녹는 소재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부가적으로, 제1하우징(100)의 내면(더욱 상세하게는 연결편(120)의 내면)에는 받침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150)는 연결편(120)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연결편(120)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닿일 수 있는 회전낙하체(300)의 걸림부(320) 부분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받침부재(150)의 소재로는 어느 하나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의 내화성능을 고려하여 내화성 고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한 쌍의 고정편(110)과 회전낙하체(300) 사이 공간의 회전축(130)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어링은 회전낙하체(300)가 걸려져 있는 회전축(13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회전축(130)의 자중과 회전축(130)에 걸리는 회전낙하체(3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축(1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작용을 하게끔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이 설치된 문틀(10) 또는 문짝(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20) 또는 문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공간(100a)의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제2공간(200a)을 가지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이 설치된 문틀(10) 또는 문짝(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20) 또는 문틀(1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2공간(200a)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써, 평상시에는 제2하우징(200)의 제2공간(200a)에 회전낙하체(300)가 수용되어있지않아 방화문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문짝(20)을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급작스런 화재 발생시 제1하우징(100)의 제1공간(100a)을 차단하고 있던 차단판(140)이 200℃ 이상이 되면 용융되는데, 이때 회전낙하체(300)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차단판(140)을 뚫고 나와 낙하하면서 제2하우징(200)의 제2공간(200a)으로 수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낙하체(300)는 제1공간(100a)에 회전축(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낙하 가능한 구성이다.
말하자면, 회전낙하체(300)는 앞서 기술한 맥락과 같이 화재 발생시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차단판(140)이 용융되는데, 이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차단판(140)을 뚫고 제2하우징(200)의 제2공간(200a)으로 자유낙하되어 문틀(10)과 문짝(20) 간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되는 작용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문틀(10)과 문짝(20) 간의 비틀림이 방지된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문틀(10)과 문짝(20) 간의 비틀림이 회전낙하체(300)에 의해 방지된 상태가 도시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낙하체(300)는 회전축(130)에 걸림 결합되도록 제1축공(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축공(312)이 관통형성된 축결합부(310)와, 축결합부(310)에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시 제2하우징(200)의 제2공간(200a)으로 수용되어 걸리는 돌기 형상의 걸림부(320)로 이루어져 문틀(10)과 문짝(20)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내의 고열이 실외로 번지는 현상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부(320)는 외측으로 곡률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데 즉, 회전낙하체(300)의 걸림부(320) 단부 측에 무게 중심을 많이 두도록 하여 회전낙하체(3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문틀
20: 문짝
100: 제1하우징
100a: 제1공간
110: 고정편
112: 제1축공
120: 연결편
130: 회전축
140: 차단판
150: 받침부재
200: 제2하우징
200a: 제2공간
300: 회전낙하체
310: 축결합부
312: 제2축공
320: 걸림부

Claims (5)

  1. 문틀의 측면과, 상기 문틀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의 측면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문짝의 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공간의 입구 측을 폐쇄하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문틀 또는 상기 문짝의 측면에 대응되는 문짝 또는 문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간의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된 제2공간을 가지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공간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낙하 가능한 회전낙하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평상시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1공간의 입구 측에 납땜되어 상기 회전낙하체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 상기 차단판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면 상기 회전낙하체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차단판을 뚫고 상기 제2공간으로 자유낙하되어 상기 문틀과 상기 문짝 간의 비틀림이 방지되고,
    상기 회전낙하체는,
    상기 회전축에 걸림 결합되는 축결합부; 및
    상기 축결합부에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시 상기 제2공간으로 수용되어 걸리고, 외측으로 곡률진 호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낙하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내화성 고무 소재의 받침부재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200℃ 이상에서 녹는 단일 원소로 이루어진 단일금속 또는 상기 단일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KR1020160114840A 2016-09-07 2016-09-07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KR10171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40A KR101716324B1 (ko) 2016-09-07 2016-09-07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40A KR101716324B1 (ko) 2016-09-07 2016-09-07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24B1 true KR101716324B1 (ko) 2017-03-14

Family

ID=5845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40A KR101716324B1 (ko) 2016-09-07 2016-09-07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112A (ko) * 2017-07-14 2019-01-23 (주) 벽두도어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KR101977047B1 (ko) * 2019-01-02 2019-05-10 조민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85630B1 (ko) * 2018-10-29 2019-06-03 조명식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85631B1 (ko) * 2018-10-29 2019-09-03 조수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87795B1 (ko) * 2018-10-29 2019-09-30 주식회사 메리트도어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633B1 (ko) * 2005-07-15 2006-02-13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JP2014074285A (ja) * 2012-10-04 2014-04-24 Lixil Corp 開口部装置
KR101599896B1 (ko) * 2014-07-01 2016-03-04 김동규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638116B1 (ko) 2015-11-30 2016-07-08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633B1 (ko) * 2005-07-15 2006-02-13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JP2014074285A (ja) * 2012-10-04 2014-04-24 Lixil Corp 開口部装置
KR101599896B1 (ko) * 2014-07-01 2016-03-04 김동규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638116B1 (ko) 2015-11-30 2016-07-08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112A (ko) * 2017-07-14 2019-01-23 (주) 벽두도어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KR102121020B1 (ko) 2017-07-14 2020-06-09 (주)벽두도어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KR101985630B1 (ko) * 2018-10-29 2019-06-03 조명식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85631B1 (ko) * 2018-10-29 2019-09-03 조수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87795B1 (ko) * 2018-10-29 2019-09-30 주식회사 메리트도어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77047B1 (ko) * 2019-01-02 2019-05-10 조민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324B1 (ko)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KR101705629B1 (ko) 방화문 고정장치
KR101638116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923643B1 (ko)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KR101705640B1 (ko) 돌출형 방화문 고정장치
KR101977044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WO2015177874A1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KR102061008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JP6154769B2 (ja) ドア
KR101985631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2121020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 장치
JP2013127168A (ja) 建具
JP2016118049A (ja) 防火用スクリーン
CN217576604U (zh) 一种带自动防火门的危险化学品储存装置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1987795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101985630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20180119838A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200423381Y1 (ko) 투시형 방화셔터
CN210948365U (zh) 一种新型暗铰链钢制防火门
KR102333729B1 (ko) 방화문 걸쇠 일체형 승하강 모듈
CN220815444U (zh) 一种防烧毁的防火门
KR0120468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경첩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