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51A -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51A
KR20200112351A KR1020190032673A KR20190032673A KR20200112351A KR 20200112351 A KR20200112351 A KR 20200112351A KR 1020190032673 A KR1020190032673 A KR 1020190032673A KR 20190032673 A KR20190032673 A KR 20190032673A KR 20200112351 A KR20200112351 A KR 2020011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ok
protrusion
spr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878B1 (ko
Inventor
이판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상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상공
Priority to KR102019003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crescent-shaped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용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회전시켜 훅을 방충망의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을 수행하되, 핸들의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만 핸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방충망을 열지 못하게 하여 이중의 잠금을 수행하도록 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이다.

Description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push type double lock crescent for window screen}
본 발명은 방범용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회전시켜 훅을 방충망의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을 수행하되, 핸들의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만 핸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방충망을 열지 못하게 하여 이중의 잠금을 수행하도록 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防蟲網)은 건물 외부에서 실내로 모기 등의 벌레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망이며, 방충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일반 방충망과 방충기능과 함께 방법기능을 가지는 방범방충망이 있다.
이러한 방범방충망은 직경 0.2~0.3mm의 알루미늄 철사를 이용해 제작되는 일반 방충망과 달리 직경 0.6~0.7mm의 스테인레스 철사를 이용해 제작되므로 외부에서 방충망이 잠겨있을 경우 이를 절단하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모되고, 특히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해 방충망의 일부분을 절단하여도 잠금장치를 돌리는데 시간이 소모됨으로써 방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충망의 도어 잠금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507호에 제안되어 있는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장금장치가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체결슬라이드와 결합하는 걸림부재에 의하여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고, 체결부재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도어의 교행을 가능하게 하는 미닫이식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본체(101)와 상부캡(102) 사이에 삽입되는 체결부재(103)에 내장되는 체결슬라이드(104)의 조작노브(108)는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캡(102)의 상부에 구비되는 버튼(113)은 압축스프링(11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외부에서는 핀 등으로 조작할 수 없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도어의 잠금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버튼에 의해 체결슬라이드의 이동량에 대한 제한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핀이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로 체결슬라이드를 언록킹 방향으로 밀어넣게 되면 록킹 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56호에 제안되어 있는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는 본체와 결합되는 상부캡의 정면에 회동식 조작노브가 구비되어 절곡부가 형성된 레버를 체결슬라이드의 걸림돌기를 걸어 회동식 노브의 회동에 따라 후퇴할 수 있게 구성한 미닫이식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회동식 조작노브(220) 레버(222)의 절곡부(221)에 아래쪽에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224)를 형성하고, 해제버튼(130)의 하부에는 위쪽에 경사면(132)을 가진 걸림턱(131)을 형성하여 돌기(224)와 걸림턱(131)에 의하여 체결슬라이드(400)가 정지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절곡부의 돌기에 의해 록킹을 수행함으로써 록킹에 대한 힘이 떨어지고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507호(2010. 6. 25.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456호(2014. 7. 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방범용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되, 핸들을 회전시켜 훅을 방충망의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을 수행할 때, 핸들의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만 핸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방충망을 열지 못하게 하여 이중의 잠금을 수행하도록 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충망을 잠글 경우에 핸들을 돌려 훅을 스트라이크에 고정한 다음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핸들이 원위치되어서 핸들의 걸림돌기와 몸체의 간섭돌기가 닿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핸들을 열 때에는 핸들을 누르지 않고는 열수가 없는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는 부시를 끼움 결합하여 훅의 회전에 대한 마찰을 줄여 사용자가 핸들을 돌릴 때 더욱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는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방충망의 외부 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고정 결합되어 같이 회전되는 훅과, 상기 훅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방충망의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핸들은 몸체(10)에 형성된 간섭돌기에 의해 회동상태가 제한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는 방범용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되, 핸들을 회전시켜 훅을 방충망의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을 수행할 때, 핸들의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만 핸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방충망을 열지 못하게 하여 이중의 잠금을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방충망을 잠글 경우에 핸들을 돌려 훅을 스트라이크에 고정한 다음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핸들이 원위치되어서 핸들의 걸림돌기와 몸체의 간섭돌기가 닿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핸들을 열 때에는 핸들을 누르지 않고는 열 수가 없는 효과와 함께,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는 부시를 끼움 결합하여 훅의 회전에 대한 마찰을 줄여 사용자가 핸들을 돌릴 때 더욱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구성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분 절개구성도
본 발명은 방범용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회전시켜 훅을 방충망의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을 수행하되, 핸들의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만 핸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방충망을 열지 못하게 하여 이중의 잠금을 수행하도록 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구성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예시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는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방충망의 외부 틀에 고정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20)과, 상기 핸들(20)과 고정 결합되어 같이 회전되는 훅(30)과, 상기 훅(30)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15)와, 상기 방충망의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핸들(20)은 몸체(10)에 형성된 간섭돌기(14)에 의해 회동상태가 제한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몸체(10)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는 창틀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상기 핸들(2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몸체(10)에 설치되어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되며, 상기 핸들(20)과 훅(30)은 같이 회전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핸들(20)과 훅(30)의 회전에 대한 부분은 도 7을 참조하여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14)는 몸체(10) 내에 설치되어 훅(30)의 회전량을 제한해주는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2개의 스토퍼체결홈(15a) 중에서 어느 한쪽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잠금장치가 창틀의 왼쪽에 설치되거나 오른쪽에 설치되는지에 따라서 훅(30)의 회전방향이 달라져야 하므로 스토퍼(15)의 체결위치를 변화시켜 훅(30)의 회전가능한 범위를 조절해줄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크(40)는 방충망의 틀에 고정되어 방충망과 같이 이동되는 구성으로 훅(30)의 회동에 따라 방충망에 대한 록킹 및 언록킹이 수행되는데, 상기 핸들(20)은 몸체(10)의 체결원통(12) 원주면에 형성된 간섭돌기(14)에 의해 회동상태가 제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0)에는 상부로 돌출된 체결원통(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원통(12)의 원주면에는 간섭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20)의 일측에는 간섭돌기(14)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20)과 훅(30)은 고정볼트(18)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8)에는 스프링(19)이 체결되어 있어서, 스프링(19)의 축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핸들(20)에 힘을 주면 스프링(19)이 압축되고, 스프링(19)이 압축된 상태에서만 핸들(20)의 걸림돌기(21)가 간섭돌기(14)에 걸리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돌려야만 핸들(20)이 체결원통(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30)은 핸들(20)과 결합을 위해 볼트홀이 형성된 회전중심부(31)와, 상기 회전중심부(31)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부(31)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확장된 날개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34)는 회전중심부(31)의 회동에 의해 스트라이크(40)의 훅걸이(41)에 걸리거나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즉, 상기 회전중심부(31)의 단면 쪽에는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에는 고정볼트(18)와 핸들(20)의 체결을 위해 관통되어 있는 체결홈(33)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4)는 회전중심부(31)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34)는 핸들(20)의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크(40)의 훅걸이(41)에 걸린 상태 즉, 도 6과 같은 록킹 상태가 되거나 스트라이크의 훅걸이(41)에서 빠진 상태 즉, 도 5와 같은 언록킹 상태가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핸들과 훅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핸들(20)의 일측에는 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홈(22)에는 훅(30)의 돌출부(32) 내부에 형성된 돌기(35)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훅(30)의 돌출부(32)는 부시(16)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볼트(18)에는 스프링(19)이 끼워져 있으며 훅(30)의 체결홈(33)을 통해 핸들(20) 내부에 일부가 끼워져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부시(16)에는 확관부(16a)가 형성되어 있어서 훅(30)의 돌출부(32)가 부시(16)의 확관부(16a)에 의해 몸체(10)의 삽입홈(13)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20)은 고정볼트(18)의 축방향을 따라 스프링(19)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핸들(20)의 홈(22)에 훅(30)의 돌기(35)가 끼워져 있어 핸들(20)이 회전되면 훅(30)도 같이 회전되게 되며, 돌출부(32)와 부시(16)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시(16) 역시 몸체(10)의 삽입홈(13)을 따라 회전되게 되고, 상기 체결원통(12)의 삽입홈(13)에는 부시(16)가 훅(30)을 잡아주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훅(30)이 회전될 때 삽입홈(13)과의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핸들(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즉, 상기 핸들(20)은 스프링(19)에 의해 몸체(1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항상 밀리는 힘을 받고 있으므로 스프링(19)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핸들(20)에 힘을 가해준 상태에서 핸들(20)을 돌리게 되면 부시(16)에 의해 삽입홈(13)의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부드럽게 핸들(20)을 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훅(30)의 돌출부(32)와 부시(16)의 결합방식은 부시(16)에 훅의 돌출부(32)를 끼운 다음 돌출부(32)의 끝부분을 외부로 확장 즉, 부시(16)의 확관부(16a)쪽으로 확장시킨 다음 가압 접합시켜 돌출부(32)가 부시(16)에서 빠지지 않는 돌출부(32)의 확관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부시(16)에 돌출부(32)를 억지끼움 방식으로도 고정해줄 수 있으며, 접착제 등으로 고정해줄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는 마감캡(17)으로써 핸들(20)의 회전방향에 따른 록킹 또는 언록킹의 표시를 해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는 방범용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되, 핸들을 회전시켜 훅을 방충망의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에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언록킹을 수행할 때, 핸들의 일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핸들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만 핸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방충망을 열지 못하게 하여 이중의 잠금을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방충망을 잠글 경우에 핸들을 돌려 훅을 스트라이크에 고정한 다음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핸들이 원위치되어서 핸들의 걸림돌기와 몸체의 간섭돌기가 닿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핸들을 열 때에는 핸들을 누르지 않고는 열 수가 없는 효과와 함께, 상기 몸체의 삽입홈에는 부시를 끼움 결합하여 훅의 회전에 대한 마찰을 줄여 사용자가 핸들을 돌릴 때 더욱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몸체
11. 커버 12. 체결원통 13. 삽입홈
14. 간섭돌기 15. 스토퍼 15a. 스토퍼체결홈
16. 부시 16a. 확관부 17. 마감캡
18. 고정볼트 19. 스프링
20; 핸들
21. 걸림돌기 22. 홈
30; 훅
31. 회전중심부 32. 돌출부 33. 체결홈
34. 날개부 35. 돌기
40; 스트라이크
41. 훅걸이

Claims (4)

  1. 방충망에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방충망의 외부 틀에 고정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20)과, 상기 핸들(20)과 고정 결합되어 같이 회전되는 훅(30)과, 상기 훅(30)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스토퍼(15)와, 상기 방충망의 창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핸들(20)은 몸체(10)에 형성된 간섭돌기(14)에 의해 회동상태가 제한되는 것이 특징인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상부로 돌출된 체결원통(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원통(12)의 원주면에는 간섭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20)의 일측에는 간섭돌기(14)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20)과 훅(30)은 고정볼트(18)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8)에는 스프링(19)이 체결되어 있어서, 스프링(19)의 축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핸들(20)에 힘을 주면 스프링(19)이 압축되고, 스프링(19)이 압축된 상태에서만 핸들(20)의 걸림돌기(21)가 간섭돌기(14)에 걸리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돌려야만 핸들(20)이 체결원통(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30)은 핸들(20)과 결합을 위해 볼트홀이 형성된 회전중심부(31)와, 상기 회전중심부(31)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부(31)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아크 형상으로 확장된 날개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34)는 회전중심부(31)의 회동에 의해 스트라이크(40)의 훅걸이(41)에 걸리거나 걸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특징인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의 일측에는 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홈(22)에는 훅(30)의 돌출부(32) 내부에 형성된 돌기(35)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훅(30)의 돌출부(32)는 부시(16)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고정볼트(18)에는 스프링(19)이 끼워져 있으며 훅(30)의 체결홈(33)을 통해 핸들(20) 내부에 일부가 끼워져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부시(16)에는 확관부(16a)가 형성되어 있어서 훅(30)의 돌출부(32)가 부시(16)의 확관부(16a)에 의해 몸체(10)의 삽입홈(13)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1020190032673A 2019-03-22 2019-03-22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10221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73A KR102211878B1 (ko) 2019-03-22 2019-03-22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73A KR102211878B1 (ko) 2019-03-22 2019-03-22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51A true KR20200112351A (ko) 2020-10-05
KR102211878B1 KR102211878B1 (ko) 2021-02-03

Family

ID=7280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73A KR102211878B1 (ko) 2019-03-22 2019-03-22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050B1 (ko) * 2021-10-18 2023-02-17 엠피아주식회사 도어개폐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497A (en) * 1986-09-03 1988-08-16 Clover Co., Ltd. Lock device for double sliding doors
KR20100006507U (ko) 2008-12-17 2010-06-25 김진호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73456Y1 (ko) 2013-04-19 2014-07-04 김영성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848376B1 (ko) * 2016-09-27 2018-04-13 남정호 도어록의 설정된 잠금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497A (en) * 1986-09-03 1988-08-16 Clover Co., Ltd. Lock device for double sliding doors
KR20100006507U (ko) 2008-12-17 2010-06-25 김진호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73456Y1 (ko) 2013-04-19 2014-07-04 김영성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848376B1 (ko) * 2016-09-27 2018-04-13 남정호 도어록의 설정된 잠금 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050B1 (ko) * 2021-10-18 2023-02-17 엠피아주식회사 도어개폐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878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8079238B2 (en) Lock device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JP4509142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CA2147306A1 (en) Security grill lock assembly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EP3106591A1 (en) Safety device for handles
KR102217482B1 (ko)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JP6113765B2 (ja) 打掛錠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20247Y1 (ko) 모티스록을 조작하기 위한 도어 핸들 레버 장치
KR100421692B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101811814B1 (ko) 자동잠김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US20050126234A1 (en) Spring latch lock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441795Y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JP3225629U (ja) 室内錠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20080064076A (ko) 건물용 현관문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