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076A - 건물용 현관문 - Google Patents

건물용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076A
KR20080064076A KR1020070100292A KR20070100292A KR20080064076A KR 20080064076 A KR20080064076 A KR 20080064076A KR 1020070100292 A KR1020070100292 A KR 1020070100292A KR 20070100292 A KR20070100292 A KR 20070100292A KR 20080064076 A KR20080064076 A KR 2008006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ole
horizontal
door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997B1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배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식 filed Critical 배종식
Publication of KR2008006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용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에 스트라이커 설치홈을 형성한 뒤에 그 스트라이커 설치홈에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와 동일한 구조로 된 스트라이커를 설치하며,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회전식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래치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현관문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걸리는 부분의 외측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를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서, 래치와 스트라이커가 걸려 잠겨진 부분(이하, 래치록킹부라 약칭함)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켜서 강제로 도어록장치를 파손시킨 뒤에 현관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래치록킹부가 돌출커버부에 가려져서 이 래치록킹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킬 수 없음에 따라 현관문을 강제로 열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1)의 일측에는 전면과 내측면이 개방된 스트라이커 설치홈(2)이 형성되고, 이 스트라이커 설치홈에는 스트라이커(3)가 설치되며, 현관문(5)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 설치홈(2)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5a)가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현관문에 도어록장치(6)를 설치하되, 이 도어록장치(6)는 케이스(10)의 외측 전면에 래치홈(7)이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래치(8)가 설치되고, 이 래치의 후면에 결합 설치된 래치축(11)이 케이스(10) 내측으로 관통되어 그 단부에 일측 상부에 스프링걸이부(12)가 설치되고 하측에 걸림턱(13)을 형성한 캠판(14)이 설치되고, 상기 캠판 하측의 케이스(10) 내측 전면에는 상측에 걸림턱(13)에 걸리는 걸림부(15)를 형성하고 하측에 스프링걸이부(17)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평돌출부(16)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쇠(18)가 편심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캠판(14)의 스프링걸이부(12)와 걸림쇠(18)의 스프링걸이부(17)의 사이에는 스프링(19)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 측벽에는 수평부(22)에 장공(23)을 형성하고 수직부(24)에 연결공(25)을 형성한 역 "ㄱ"자형 해정구(26)의 모서리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벽에는 힌지브라켓(27)이 내향 형성되고, 이 힌지브라켓에는 "T"자형으로 형성되는 잠금레버(33)의 우측 상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잠금레버(33)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돌출편(28)이 해정구(26)의 장공(23)에 삽입 안내되며, 중앙에 하향 형성되는 중앙회전부(29)의 단부에는 누름구(34)가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31)을 형성한 수평절곡부(30)가 형성되며, 중앙상부에 키뭉치(40)와 연결되는 연결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브라켓(27) 하측의 케이스 우측벽에는 역 "L"자형 열림레버(35)의 수직부 상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이 열림레버(35)의 수평부 중앙에는 잠금레버(33)의 통공(31)을 하향 관통하는 누름구(34)에 눌리는 수평눌림부(36)가 형성되고, 이 열림레버의 수평부 단부에는 걸림쇠(18)의 수평돌출부(16)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7)이 형성되며, 열림레버(35)의 수평부 하방에는 내부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레버(33)의 통공(31)에는 상단부에 외부손잡이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열림레버(35)의 수평눌림부(36)를 눌러주는 누름구(34)가 수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록, 현관문, 래치, 도어 스트라이커, 스트라이커 설치홈, 도어프레임,돌출커버부

Description

건물용 현관문{The front door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용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에 스트라이커 설치홈을 형성한 뒤에 그 스트라이커 설치홈에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와 동일한 구조로 된 스트라이커를 설치하며,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회전식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래치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현관문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걸리는 부분의 외측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를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서, 래치와 스트라이커가 걸려 잠겨진 부분(이하, 래치록킹부라 약칭함)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켜서 강제로 도어록장치를 파손시킨 뒤에 현관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래치록킹부가 돌출커버부에 가려져서 이 래치록킹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킬 수 없게 하며, 그에 따라 현관문을 강제로 열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건물용 현관문은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에 바 형태의 래치가 내외부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출몰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도어록장치에 대응하는 도어프레임에는 바 형태의 래치가 삽입될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물용 현관문은 도어록장치에서의 래치가 바형태의 래치선단부와 판형태로 된 슬라이더가 리벳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취약하며, 도어록 케이스의 내부에서 얇은 철판으로 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장공에 핀이 안내되도록 된 것이 고작이므로, 도어록의 전체적인 강도가 취약한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발명의 래치와 그 래가 삽입되어 걸린 도어프레임사이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지렛대의 원리로 힘껏 제키게 되면, 상기 2mm 내외의 얇은 철판으로 된 슬라이더와 래치가 연결된 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도어록의 잠금상태가 강제로 해정되게 되고, 도어록을 사용할 수 없게 파손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에 스트라이커 설치홈을 형성한 뒤에 그 스트라이커 설치홈에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와 동일한 구조로 된 스트라이커를 설치하며,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회전식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래치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현관문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걸리는 부분의 외측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를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서, 래치록킹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켜서 강제로 도어록장치를 파손시킨 뒤에 현관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래치록킹부가 돌출커버부에 가려져서 이 래치록킹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킬 수 없음에 따라 현관문을 강제로 열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의 일측에는 전면과 내측면이 개방된 스트라이커 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스트라이커 설치홈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되며, 현관문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 설치홈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가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현관문에 도어록장치를 설치하되, 이 도어록장치는 케이스의 외측 전면에 래치홈커버대를 개재시킨 상태로 하측에 래치홈이 개구되게 형성된 래치를 설치하며, 이 래치의 후면에 결합 설치된 래치축이 래치홈커버대와 케이스의 전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관통된 뒤에 그 내측 단부 에는 일측 상부에 스프링걸이부가 설치되고 하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캠판이 설치되고, 상기 캠판 하측의 케이스 내측 전면에는 상측에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하측에 스프링걸이부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평돌출부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쇠가 편심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캠판의 스프링걸이부와 걸림쇠의 스프링걸이부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 측벽에는 수평부에 장공을 형성하고 수직부에 연결공을 형성한 역 "ㄱ"자형 해정구의 모서리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벽에는 힌지브라켓이 내향 형성되고, 이 힌지브라켓에는 "T"자형 잠금레버의 우측 상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잠금레버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돌출편이 해정구의 장공에 삽입 안내되며, 중앙에 하향 형성되는 중앙회전부의 단부에는 누름구가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을 형성한 수평절곡부가 형성되며, 중앙상부에 키뭉치와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브라켓 하측의 케이스 우측벽에는 역 "L"자형 열림레버의 수직부 상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이 열림레버의 수평부 중앙에는 잠금레버의 통공을 하향 관통하는 누름구에 눌리는 수평눌림부가 형성되고, 이 열림레버의 수평부 단부에는 걸림쇠의 수평돌출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열림레버의 수평부 하방에는 내부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레버의 통공에는 상단부에 외부손잡이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열림레버의 수평눌림부를 눌러주는 누름구가 수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용 현관문은, 도어프레임에 스트라이커 설치홈을 형성한 뒤에 그 스트라이커 설치홈에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와 동일한 구조로 된 스트라이커를 설치하며,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회전식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래치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현관문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걸리는 부분의 외측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를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함으로서, 래치록킹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켜서 강제로 도어록장치를 파손시킨 뒤에 현관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래치록킹부가 돌출커버부에 가려져서 이 래치록킹부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삽입시킬 수 없음에 따라 현관문을 강제로 열을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현관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물용 현관문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의 일측에 전면과 내측면이 개방된 스트라이커 설치홈(2)이 형성되고, 이 스트라이커 설치홈(2)에는 지지판(4a)에 "ㄷ"형으로 절곡된 고리부(4)가 설치된 스트라이커(3)가 설치된다.
이때, 스트라이커 설치홈(2)이 형성된 도어프레임(1)의 전면은 추후에 설명하는 현관문(5)의 선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커버부(5a)가 삽입식으로 안착되도록 안착홈부(1a)가 도 1,2 및 도 10에서와 같이 도어프레임(1)의 전면부(1b)보다 낮게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관문(5)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 설치홈(2)을 커버하는 돌 출커버부(5a)가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이 돌출커버부(5a)의 내면에는 현관문을 닫을 때 돌출커버부(5a)와 안착홈부(1a)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돌소음을 감쇄하게 하는 연질의 패킹(5b)이 부착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3)에 대응하는 위치의 현관문(5) 내부에 도어록장치(6)가 설치된다. 이때, 고리부(4)에 걸리는 래치(8)와, 래치(8)의 래치홈(7)을 커버하는 래치홈커버대(9)는 현관문(5)의 측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록장치(6)는 평면에서 볼 때 "ㄷ"형으로 절곡된 케이스(10)의 외측 전면에 역 "7"자형으로 절곡된 래치홈커버대(9)의 장절곡부(9a)가 결합 설치되고, 이 장절곡부(9a)에는 선단부 하측에 래치홈(7)이 개구되게 형성된 래치(8)가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치(8)의 후면에 결합 설치된 래치축(11)이 장절곡부(9a)와 케이스(10)의 전면을 통하여 케이스(10)의 내부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케이스(10) 내측의 래치축(11) 단부에는 일측 상부에 스프링걸이부(12)가 설치되고 하측에 걸림턱(13)을 형성한 캠판(14)이 래치와 동일하게 회전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캠판(14) 하측의 케이스(10) 내측 전면에는 상측에 걸림턱(13)에 걸리는 걸림부(15)를 형성하고 하측에 스프링걸이부(17)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평돌출부(16)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쇠(18)가 편심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캠판(14)의 스프링걸이부(12)와 걸림쇠(18)의 스프링걸이부(17)의 사이에는 스프링(19)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내벽 상하에는 상하부스톱퍼(20,2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하부스톱퍼(20,21) 사이의 케이스(10) 측벽에는 수평부(22)에 장공(23)을 형성하고 수직부(24)에 연결공(25)을 형성한 역 "ㄱ"자형 해정구(26)의 모서리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하되, 상기 수평부(22)가 상하부스톱퍼(20,21)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스톱퍼(20,21) 반대편의 케이스(10)의 타측벽에는 힌지브라켓(27)이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고, 이 힌지브라켓(27)에는 "T"자형으로 형성되는 잠금레버(33)의 우측 상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잠금레버(33)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돌출편(28)이 해정구(26)의 장공(23)에 삽입 안내되며, 중앙에 하향 형성되는 중앙회전부(29)의 단부에는 누름구(34)가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31)을 형성한 수평절곡부(30)가 형성되며, 중앙상부에 키뭉치(40)와 연결되는 연결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27) 하측의 케이스(10) 우측벽에는 역 "L"자형 열림레버(35)의 수직부 상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열림레버(35)의 수평부 중앙에는 잠금레버(33)의 통공(31)을 하향 관통하는 누름구(34)에 눌리는 수평눌림부(36)가 형성되고, 이 열림레버(35)의 수평부 단부에는 걸림쇠(18)의 수평돌출부(16)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7)이 형성되며, 열림레버(35)의 수평부 하방에는 내부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레버(33)의 통공(31)에는 상단부에 외부손잡이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열림레버(35)의 수평눌림부(36)를 눌러주는 누름구(34)가 수직 설치되며, 상기 누름구(34)의 하단에는 걸림턱(34a)을 형성하고, 이 누름구(34)의 하단부에 눌리는 수평눌림부(36)에는 걸림턱(34a) 하부가 삽입되어 누름구(34)의 하단부가 이탈하지 않게 하는 장공(36a)이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잠금레버(33)의 연결구멍(32)에 현관문의 실외측에서 내향 설치된 키뭉치(40)의 후단레버와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누름구(34)의 상단부에는 현관문의 실외측에서 내향 설치된 외부손잡이(42)의 레버와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열림레버(35)의 수평부 하측에 형성된 연결구멍(38)에는 현관문의 실내측에서 내향 설치된 내부손잡이(41)의 레버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해정구(26)의 후단 연결공(25)에는 현관문의 실내측에서 내향 설치된 잠금손잡이(43)의 단부와 힌지식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내외부손잡이(41,42)와 잠금손잡이(43), 그리고 키뭉치(40)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공지되어 있는 내외부손잡이(41,42)와 잠금손잡이(43), 그리고 키뭉치(40)를 선택하여 그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열림레버(35)와 누름구(34), 해정구(26), 잠금레버(33)]들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지된 내외부손잡이(41,42)와 잠금손잡이(43), 그리고 키뭉치(40)와의 연결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6-107685호(발 명의 명칭 :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를 본 발명의 주요장치부인 도어록장치(6)와 함께 현관문(5)에 적용한 이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선 출원건의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와 본 발명의 주요장치부인 도어록장치(6)를 함께 설치할 때는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의 주요장치부인 방향전환기(46)의 말단부에 설치된 열림링크(44)를 본 발명 중의 열림레버(35)에 연결하고, 잠금링크(45)는 해정구(26)에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잠금레버(33)의 연결구멍(32)에 현관문의 실외측에서 내향 설치된 키뭉치(40)의 후단레버와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것과, 누름구(34)의 상단부에 현관문의 실외측에서 내향 설치된 외부손잡이(42)의 레버와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것은 일사용상태와 동일하게 하며, 상기 잠금레버(33)의 연결구멍(32)에 키뭉치 대신에 모터, 또는 실린더 등의 작동기를 설치한 뒤에 그 작동기를 리모콘이나 지문인식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게 할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선출원건의 주요장치부인 방향전환기(46)의 말단부에 설치된 열림링크(44)를 본 발명 중의 열림레버(35)에 연결하고, 잠금링크(45)는 해정구(26)에 연결하여 현관문을 개폐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그 이유는 선출원건의 주요장치부인 방향전환기(46)에 대한 설명이 그 명세서와 도면에 나타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장치부인 도어록장치(6)가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부터 설명하는데, 이때는 도 6의 일점쇄선과 도 8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정구(26)의 수평부(22)가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하부스톱퍼(21)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상태에서 수평부(22)의 회전 하강으로 수평부(22)에 형성된 장공(23)에 삽입된 돌출편(28)을 하측으로 끌어 내리게 된다.
이때, 돌출편(28)은 대략 "T"자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편(28)의 반대편이 케이스(10)의 우측벽에 형성된 힌지브라켓(27)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잠금레버(33)의 외측단에 형성된 부분이므로 돌출편(28)의 하강으로 잠금레버(33)의 중앙하부에 하향 형성된 중앙회전부(29)가 힌지브라켓(27)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브라켓(27)측으로 이동하는 중앙회전부(29)의 하단부에는 통공(31)을 형성한 수평절곡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31)에 누름구(34)의 하측이 관통된 상태이므로, 누름구(34)의 하단부도 힌지브라켓(27)측으로 이동하여 누름구(34)의 하단부가 통공(31) 하측의 수평눌림부(36)를 누를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단부가 외부손잡이(42)와 연결된 누름구(34)를 외부손잡이(42)의 조작으로 하측으로 내리면 누름구(34)의 하단부가 열림레버(35)의 수평눌림부(36)를 눌러서 도 7 및 도 8의 (나)와 같이 수직부 상부가 힌지결합된 열림레버(35)를 힌지식으로 회전 하강시킨다.
상기 열림레버(35)를 하강시키게 되면 열림레버(35)의 수평부 후방에 형성된 걸림홈(37)에 일측이 편심 설치된 걸림쇠(18)의 우측으로 수평 돌출된 수평돌출부(16)가 삽입되게 걸린 상태이므로, 회전식으로 하강하는 열림레버(35)에 의해 걸 림쇠(18)도 회전식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식으로 하강하는 걸림쇠(18)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부(15)가 걸림쇠(18)의 상측에서 스프링(19)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캠판(14)의 하측 걸림턱(13)에서 이탈하게 되며, 이렇게 스프링(19)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할 수 있는 캠판(14)의 걸림턱(13)에서 걸림부(15)가 이탈함에 따라 캠판(14)이 회전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캠판(14)의 중심부에 설치된 래치축(11)은 케이스(10)의 전면판 전방으로 노출되며 그 선단에 래치(8)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캠판(14)의 회전과 동일하게 래치(8)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래치(8)의 하측으로 개방된 래치홈(7)이 래치홈커버대(9)의 단절곡부(9c)의 외측으로 이탈하여 도어프레임(1)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의 고리부(4)와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는 래치홈(7)의 고리부(4)를 향하도록 래치(8)가 90도 만큼 회전되어 현관문(5)이 열려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현관문(5)을 닫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현관문(5)을 힌지식으로 닫으면, 90도 만큼 수평하게 위치하는 래치홈(7)이 스트라이커(3)의 고리부(4)에 접촉하면서 스트라이커(3)을 닫는 힘에 의해 래치(8)가 90도 만큼 돌아가서 도 2와 같이 래치홈(7)이 하측의 단절곡부(9c)의 중심부와 일치하게 되고, 래치홈(7)으로는 고리부(4)가 들어와 있으면서 래치홈(7)을 위에서와 같이 단절곡부(9c)가 커버하여 고리부(4)가 이탈하지 않고 닫힌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래치(8)가 90도 만큼 돌아가는 것은 래치축(11)이 90도 만큼만 돌아가도록 래치축의 일측면에 평면부를 형성하고, 그 래치축의 외측에 평면부가 걸리는 걸림부를 90도 각도로 설치하였기 때문이며, 래치축(11)이 90도 만큼만 돌아가도록 형성된 것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에서 현관문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관문의 외측에서 외부손잡이(42)를 조작시켜서 누름구(34)를 하강시키면, 위에서 래치(8)가 회전하면서 90도 만큼 돌아가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과 동일하게 해제가 이루어져 현관문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 도어록장치(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일사용상태인 경우와 같이 실내측에서 내부손잡이(41)를 조작시켜 내부손잡이의 레버단부와 연결된 열림레버(35)를 하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림레버(35)가 걸림쇠(18)를 함께 하강시키면서 걸림쇠(18)에 지지하고 있던 캠판(14)이 스프링(19)의 탄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8)를 회전시켜 래치(8)와 고리부(4)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현관문(5)을 개방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이사용상태의 경우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6-107685호에 개재된 방향전환기(46)의 조작으로 열림링크(44)를 당김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림레버(35)가 걸림쇠(18)를 함께 하강시키면서 걸림쇠(18)에 지지하고 있던 캠판(14)이 스프링(19)의 탄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8)를 회전시켜 래치(8)와 고리부(4)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현관문(5)을 개방시키게 된다.
다음은 도어록장치(6)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서, 먼저, 실내측에서 잠금손잡이(43)를 조작시켜 도어록장치(6)가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할 때의 설명이다.
즉, 실내측에서 잠금손잡이(43)를 조작시켜 도어록장치(6)가 잠기도록 하는 경우에는 실내측에서 잠금손잡이(43)를 조작시킴에 따라 역 "ㄱ"자형으로 형성된 해정구(26)의 수직부(24) 하단에 잠금손잡이(43)의 후단 레버부가 연결되어서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해정구(26)가 상측으로 회동하게 한다.
이때, 해정구(26)의 수평부(22)는 상부스톱퍼(20)에 걸려 해정구(26)의 회전각도를 제한 한다.
상기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하는 해정구(26)의 수평부(22)에 형성된 장공(23)에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잠금레버(33)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편(28)이 삽입되어서 이 돌출편(28)이 상측으로 각운동하며 상승할 때, 잠금레버(33)는 우측의 힌지브라켓(27)를 회전 중심이 되어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잠금레버(33)가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때 잠금레버(33)의 중앙부에 하향 형성된 중앙회전부(29)도 함께 각운동하며, 이 중앙회전부(29)의 하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된 수평절곡부(30)가 수평 방향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절곡부(30)의 통공(31)에는 누름구(34)의 하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 8의 (가)와 같이 누름구(34)의 하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좌측으로 하단부가 이동한 누름구(34)의 하단부는 수평절곡부(30)의 하측에 위치한 수평눌림부(36)의 장공(36a)과 일직선상태에 놓여져서 외부손잡이를 조작시켜 누름구(34)가 하강하여도 그 하단부는 장공(36a)을 관통하면서 수평눌림부(36)를 누르지 못하여 최종적으로 래치(8)를 회전시킬 수 없어 도어록장치(6)가 잠금상태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키뭉치(40)를 조작시켜 도어록장치(6)를 잠글 때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때는 도 4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뭉치(40)에 키를 삽입시켜 회전시키면 키뭉치(40) 후단의 레버가 잠금레버(33)의 중앙 상측에 위치한 연결구멍(32)을 상측으로 올리게 된다.
이 잠금레버(33)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측 상부가 힌지브라켓(27)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서 잠금레버(33)가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잠금레버(33)가 상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회전부(29) 하방의 수평절곡부(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수평절곡부(30)의 통공(31)에 삽입된 누름구(34)의 하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렇게 좌측으로 이동한 누름구(34)의 하단부는 도 8의 (가)와 같이 장공(36a)으로 내려가서 수평눌림부(36)를 못 눌러주어 도어록장치(6)를 잠그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도어록장치(6)가 잠겨진 상태에서 이를 해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실내측에서는 잠금손잡이(43)를 잠글 때와 역동작시키면 해정이 되고, 실외측에서는 키뭉치(40)를 잠글 때와 역동작시키면 해정되는 것이 당연하고, 그 다음에 내, 외부손잡이를 이용하여 실내측과 실외측에서 현관문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 1,2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에 전면과 내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스트라이커 설치홈(2)에 스트라이커(3)가 설치되어 있고, 현관문(5)의 선단부 외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 설치홈(2)을 가리는 돌출커버대(5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현관문(5)을 닫았을 때, 래치(8)와 스트라이커(3)가 걸린 래치록킹부가 돌출커버대(5a)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현관문을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열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래치록킹부로 끝이 뾰족한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도 삽입이 안되어 현관문을 강제적으로 열거나 파손 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도어록장치와 스트라이커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8의 (가)(나)는 도 5의 D-D선 작용상태 단면도.
도 9의 (가)(나)는 도 5의 E-E선 작용상태 단면도.
도 10의 (가)(나)는 본 발명의 요부인 도어록장치와 스트라이커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이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프레임 2 : 스트라이커 설치홈 3 : 스트라이커
4 : 고리부 5 : 현관문 6 : 도어록장치
7 : 래치홈 8 : 래치 9 : 래치홈커버대
10 : 케이스 11 : 래치축 12 : 스프링걸이부
13 : 걸림턱 14 : 캠판 15 : 걸림부
16 : 수평돌출부 17 : 스프링걸이부 18 : 걸림쇠
19 : 스프링 20 : 상부스톱퍼 21 : 하부스톱퍼
22 : 수평부 23 : 장공 24 : 수직부
25 : 연결공 26 : 해정구 27 : 힌지브라켓
28 : 돌출편 29 : 중앙회전부 30 : 수평절곡부
31 : 통공 32 : 연결구멍 33 : 잠금레버
34 : 누름구 35 : 열림레버 36 : 수평눌림부
37 : 걸림홈 38 : 연결구멍 40 : 키뭉치
41 : 내부손잡이 42 : 외부손잡이 43 : 잠금손잡이
44 : 열림링크 45 : 잠금링크 46 : 방향전환기
1a : 안착홈부 5a : 돌출커버부 5b :패킹

Claims (1)

  1. 도어프레임(1)의 일측에는 전면과 내측면이 개방된 스트라이커 설치홈(2)이 형성되고, 이 스트라이커 설치홈(2)에는 지지판(4a)에 "ㄷ"형으로 절곡된 고리부(4)가 설치된 스트라이커(3)가 설치되며,
    현관문(5)의 선단부 외측에는 스트라이커 설치홈(2)을 커버하는 돌출커버부(5a)가 상하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3)에 대응하는 위치의 현관문에 도어록장치(6)를 설치하되, 이 도어록장치(6)는 케이스(10)의 외측 전면에 역 "7"자형으로 절곡된 래치홈커버대(9)를 개재시킨 상태로 선단부 하측에 래치홈(7)이 개구되게 형성된 래치(8)가 설치되며,
    이 래치(8)의 후면에 결합 설치된 래치축(11)은 케이스(10)의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 그 내측 단부에는 일측 상부에 스프링걸이부(12)가 설치되고 하측에 걸림턱(13)을 형성한 캠판(14)이 래치와 동일하게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캠판(14) 하측의 케이스(10) 내측 전면에는 상측에 걸림턱(13)에 걸리는 걸림부(15)를 형성하고 하측에 스프링걸이부(17)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평돌출부(16)가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쇠(18)가 편심되게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캠판(14)의 스프링걸이부(12)와 걸림쇠(18)의 스프링걸이부(17)의 사이에는 스프링(19)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내벽에는 수평부(22)에 장공(23)을 형성하고 수직부(24)에 연결공(25)을 형성한 역 "ㄱ"자형 해정구(26)의 모서리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타측벽에는 힌지브라켓(27)이 내향 형성되고, 이 힌지브라켓(27)에는 "T"자형으로 형성되는 잠금레버(33)의 우측 상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잠금레버(33)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돌출편(28)이 해정구(26)의 장공(23)에 삽입 안내되며, 중앙에 하향 형성되는 중앙회전부(29)의 단부에는 누름구(34)가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31)을 형성한 수평절곡부(30)가 형성되며, 중앙상부에 키뭉치(40)와 연결되는 연결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브라켓(27) 하측의 케이스(10) 우측벽에는 역 "L"자형 열림레버(35)의 수직부 상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이 열림레버(35)의 수평부 중앙에는 잠금레버(33)의 통공(31)을 하향 관통하는 누름구(34)에 눌리는 수평눌림부(36)가 형성되고, 이 열림레버(35)의 수평부 단부에는 걸림쇠(18)의 수평돌출부(16)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37)이 형성되며, 열림레버(35)의 수평부 하방에는 내부손잡이와 연결되는 연결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레버(33)의 통공(31)에는 상단부에 외부손잡이가 연결되고 하단부가 열림레버(35)의 수평눌림부(36)를 눌러주는 누름구(34)가 수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현관문.
KR1020070100292A 2007-01-03 2007-10-05 건물용 현관문 KR100866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650 2007-01-03
KR20070000650 2007-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76A true KR20080064076A (ko) 2008-07-08
KR100866997B1 KR100866997B1 (ko) 2008-11-05

Family

ID=3981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92A KR100866997B1 (ko) 2007-01-03 2007-10-05 건물용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4853A (zh) * 2018-12-26 2019-03-26 苏州慧通汇创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dlp激光快速成型3d打印机护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678B1 (ko) 2012-09-24 2012-12-28 김순석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CN106121394B (zh) * 2016-08-10 2017-12-01 艾谱机电发展(宁波)有限公司 一种橱柜安全锁具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724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KR100244393B1 (ko) 1997-07-03 2000-02-01 정몽규 자동차 도어 자동닫힘 장치
KR200193652Y1 (ko)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건호유리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KR200229620Y1 (ko) 2001-02-08 2001-07-19 홍충식 화장실용 도어록 어셈블리
KR200316822Y1 (ko) 2003-03-12 2003-06-18 황원학 보조도어 기능을 갖는 현관문
KR200316823Y1 (ko) 2003-03-12 2003-06-18 황원학 방문자 확인용 유리를 구비한 현관문
KR200342326Y1 (ko) 2003-11-12 2004-02-18 대진기전주식회사 중장비 차량의 운전실 도어 록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4853A (zh) * 2018-12-26 2019-03-26 苏州慧通汇创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dlp激光快速成型3d打印机护罩
CN109514853B (zh) * 2018-12-26 2024-05-07 苏州慧通汇创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的dlp激光快速成型3d打印机护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997B1 (ko)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KR102475979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09014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IL261113A (en) Arranging a bolt with a stop bolt
JP5302310B2 (ja) ラッチ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100043426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0866997B1 (ko) 건물용 현관문
KR101915448B1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068142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WO2011113212A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200449153Y1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JP3753001B2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101531758B1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KR100848704B1 (ko) 현관문용 도어록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200263009Y1 (ko) 창문의 일체형 잠금장치
JP4279419B2 (ja) 引戸用ガードアーム錠
JP4514076B2 (ja) 鎌錠
KR100991053B1 (ko)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