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724U -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724U
KR19980046724U KR2019960059878U KR19960059878U KR19980046724U KR 19980046724 U KR19980046724 U KR 19980046724U KR 2019960059878 U KR2019960059878 U KR 2019960059878U KR 19960059878 U KR19960059878 U KR 19960059878U KR 19980046724 U KR19980046724 U KR 199800467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ear door
striker
suppo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9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724U/ko
Publication of KR19980046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724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면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면도어의 양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후면도어의 뒷면에는 이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힌지고정된 회전걸림부 및 이 회전걸림부와 다른 힌지중심점을 가지면서 회전지지부를 매개로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레버로 구성된 개폐수단을 설치하여서, 이 작동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걸림부가 회전지지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잠금/해제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용이한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도어의 양단에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후면도어에는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한 작동수단을 설치하여, 이 작동수단이 스트라이커에 걸리게 함으로써, 후면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이 적재함을 갖는 자동차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적재함에 화물을 쉽게 실을 수 있도록 측면도어(100) 및 후면도어(200)를 개폐가능하도록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수단은 걸림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측면도어(100)의 끝단면에 설치된 걸림부(30)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걸림홈(3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가능하도록 후면도어(200)에 설치된 작동부(4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어 잠금장치는 주행중 진동으로 작동부가 걸림부로부터 이탈되면서 후면도어나 측면도어가 열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측면도어의 양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후면도어의 뒷면에는 이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힌지고정된 회전걸림부 및 이 회전걸림부와 다른 힌지중심점을 가지면서 회전지지부를 매개로 연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레버로 구성된 개폐수단을 설치하여서, 이 작동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걸림부가 회전지지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잠금/해제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용이한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면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라이커20 : 회전걸림부
21 : 회전지지부22 : 작동레버
23 : 작동돌기24 : 장공구멍
25 : 자리면26a, 26b : 탄성스프링
27 : 회전제한돌기28 : 걸림턱
30 : 걸림부31 : 걸림홈
40 : 작동부100 : 측면도어
200 : 후면도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측면도어(100)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커(10)와, 후면도어(200)의 바깥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0)와 선택적으로 걸림/해제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은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한 회전걸림부(20)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걸림부(20)의 윗면과 회전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지지부(21)와, 힌지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지지부(21)와 연동가능한 작동레버(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회전걸림부(20)의 상단에는 V자 형태로 절개된 자리면(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21)는 일면에 작동돌기(23)가 돌출되어 상기 작동레버(22)의 장공구멍(2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회전지지부(21)는 그 일측면에 상기 자리면(25)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제한돌기(27)가 돌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스트라이커를, 100은 측면도어를, 200은 후면도어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상기 측면도어(100)의 끝단에 스트라이커(10)를 설치하는 동시에 후면도어(200)의 바깥면에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서, 이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에 따라 갈고리 형상의 회전걸림부(20)가 스트라이커(10)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후면도어(200)의 개폐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힌지고정되어 스트라이커(10)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회전걸림부(20)와, 이 회전걸림부(20)와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서로 회전간섭을 일으키도록 힌지고정된 회전지지부(21)와, 상기 회전지지부(21)와 연동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작동레버(2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0은 회전걸림부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걸림부(20)는 소정의 폭을 갖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후면도어(200)의 뒷면에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회전걸림부(20)는 그 회전궤적 내에 스트라이커(10)가 놓여지면서 그 안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후면도어(200)의 뒷면에 위치설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걸림부(20)는 그 윗면의 일부가 V자 형태로 절개된 자리면(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자리면(25)에는 후술하는 회전지지부(21)의 회전제한돌기(27)가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걸림부(20)는 상기 후면도어(200)의 뒷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전부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각 회전걸림부(20)는 측면도어(10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스트라이커(10)의 회전궤적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위치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걸림부(20)는 탄성스프링(26a)의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후면도어(200)의 양측면 바깥쪽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회전걸림부(20)는 상기 회전지지부(21)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동하게 된다.
도면부호 21은 회전지지부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지지부(21)는 폭보다 길이가 길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회전지지부(21)는 그 일면에 수직으로 작동돌기(23)가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이 작동돌기(23)는 후술하는 작동레버(22)의 작동구멍(24)에 끼워져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21)는 일측면에 자리면(2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제한돌기(27)가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이 회전제한돌기(27)는 항상 상기 자리면(25)에 끼워져서 회전걸림부(2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돌기(27)는 회전지지부(21)를 회전함시킴에 따라 자리면(25)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와 같이 회전제한돌기(27)가 이탈하게 되면 상기 회전걸림부(20)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21)는 일단에 걸림턱(28)이 길이방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28)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제한돌기(27)가 자리면(25)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걸림부(20)가 계속하여 회전하는 경우 자리면(25)에 끼워지면서 최대 회전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지지부(21)는 탄성스프링(26b)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후면도어(200)의 뒷면에 힌지고정되며, 이때 상기 회전제한돌기(27)는 항상 자리면(25)에 끼워져서 회전걸림부(20)와 회전지지부(21)가 이루는 회전궤적 중에서 일부구간이 서로 간섭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도면부호 22는 작동레버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레버는 폭보다 길이가 긴 막대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제 길이의 일측으로 편심된 부위가 상기 회전지지부의 윗쪽으로 힌지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작동레버(22)는 후면도어(20)에 설치된 회전지지부(21)의 바깥면보다 더욱 바깥쪽으로 놓여지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지지부(21)와 작동레버(22)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일부구간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힌지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22)는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구멍(24)에는 상기 작동돌기(23)가 끼워져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지지부(21)는 작동돌기(23)가 장공구멍(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동레버(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 작동돌기(23)가 상대적으로 장공구멍(24)을 따라 움직이는 것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21)와 작동레버(22)의 회전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측면도어(100)나 후면도어(2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열린 상태가 되면 상기 자리면(25)에는 회전제한돌기(27)가 끼워진 채로 회전걸림부(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10)는 회전걸림부(20)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열린 상기 측면도어(100)나 후면도어(200)를 닫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도어(100)를 닫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측면도어(100)를 잡아 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10)는 측면도어(100)와 일체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그 세로봉이 상기 회전걸림부(20)의 갈고리 안쪽을 밀게 된다.
동시에, 상기 회전걸림부(20)는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회전제한돌기(27)는 자리면(25)으로부터 이탈하면서 회전지지부(21)가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부(21)가 회전을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작동돌기(23)는 장공구멍(24)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되며, 이때에도 상기 작동레버(22)는 회전제한돌기(27)가 장공구멍(24)의 일단을 밀는 것과 비례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걸림부(20)와 작동레버(2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회전지지부(21)는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걸림부(20)는 상기 자리면(25)이 회전지지부(21)의 걸림턱(28)에 걸릴때까지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걸림턱(28)에 자리면(25)이 걸리게 되면 회전걸림부(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스트라이커(10)를 고정시켜 측면도어(100)의 잠금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걸림부(20)의 탄성스프링(26a)은 압축된 상태로 있으면서 회전지지부(21)의 탄성스프링(26b)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걸림부(20)는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각 탄성력은 상기 각 도어(100), (200)를 여는 경우 복원력을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도어(200)가 닫혀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도어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나 상기 회전걸림부의 작동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후면도어(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걸림부(20)가 회전을 하면서 갈고리 부분의 안쪽이 스트라이커(10)에 부딛히면서 그 충격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도어(100)나 후면도어(200)를 여는 과정은 상술한 닫는 과정과는 반대의 작용으로 쉽게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측면도어에 스트라이커를 설치하는 동시에 후면도에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서, 개폐수단의 작동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걸림부와 회전지지부가 연동하면서 스트라이커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측면도어(100)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커(10)와, 후면도어(200)의 바깥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0)와 선택적으로 걸림/해제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은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한 회전걸림부(20)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걸림부(20)의 윗면과 회전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지지부(21)와, 힌지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지지부(21)와 연동가능한 작동레버(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20)의 상단에는 V자 형태로 절개된 자리면(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21)는 일면에 작동돌기(23)가 돌출되어 상기 작동레버(22)의 장공구멍(2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회전지지부(21)는 그 일측면에 상기 자리면(25)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제한돌기(27)가 돌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KR2019960059878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KR199800467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878U KR19980046724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878U KR19980046724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724U true KR19980046724U (ko) 1998-09-25

Family

ID=5399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878U KR19980046724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7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97B1 (ko) * 2007-01-03 2008-11-05 배종식 건물용 현관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97B1 (ko) * 2007-01-03 2008-11-05 배종식 건물용 현관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992B2 (en) Rotary pawl latch with lock down paddle
EP1797259B1 (en) Rotary pawl latch
CA1259360A (en) Latching mechanism for a pivotally mounted door
KR19980046724U (ko) 자동차의 후면도어 잠금장치
KR102054588B1 (ko) 글로브 박스
JP4170601B2 (ja) ロック装置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100579641B1 (ko) 센터 패시어 트레이 잠금장치
JP3795656B2 (ja) ウィンドウロック装置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CN112867837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100692142B1 (ko) 자동차의 연료 도어 개폐장치
JPH0510113Y2 (ko)
KR0138850Y1 (ko) 버스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KR19980046725U (ko) 자동차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JP2505252Y2 (ja) オ―プンカ―の幌格納用ロック装置
JPS5847175Y2 (ja) 車輌扉のがたつき防止ラツチ機構
JPH05503973A (ja) ドア等の蝶着された蓋のためのロック装置
KR20130139507A (ko) 슬라이딩도어용 오픈유지장치
KR100320870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래칫 어셈블리
KR100412350B1 (ko) 도난 방지용 자동차 도어 락 장치
KR100878658B1 (ko) 플랩도어 잠금장치
KR200156482Y1 (ko) 트럭 적재함 로크 기구
JPH05457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