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317B1 -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317B1
KR101349317B1 KR1020130062214A KR20130062214A KR101349317B1 KR 101349317 B1 KR101349317 B1 KR 101349317B1 KR 1020130062214 A KR1020130062214 A KR 1020130062214A KR 20130062214 A KR20130062214 A KR 20130062214A KR 101349317 B1 KR101349317 B1 KR 10134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ocking
unit
entranc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동숙
Original Assignee
금동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동숙 filed Critical 금동숙
Priority to KR102013006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8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 E06B11/085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non-rotary or with a limited angle of rotation, e.g. 9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출입구의 통로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허용신호에 따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이 허용되는 게이트 회전체와, 일단이 게이트 회전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는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연결되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출입구를 벗어난 개방위치로 위치되며 회전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가 차단위치에서 출입구를 가로질러 차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회동부재의 게이트 회전체에 대한 상대회전을 억제하는 로킹유닛과, 로킹유닛의 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회동부재가 차단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게이트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로킹해제부 및, 외부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시 로킹해제부의 해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가 게시된다.

Description

게이트 장치 {A GATE APPARATUS}
본 발명은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출입구, 지하철이나 전철의 플랫폼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출입자나 승객들의 출입이 허가되는 경우 개폐를 허용하고,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출입구의 차단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전철의 플랫폼 출입구, 놀이공원 또는 경기장과 같이 허가된 예를 들어, 입장권이나 승차권을 구매한 사람만 출입이 허가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게이트가 구비되는 개찰구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장치는, 출입자의 허가된 통로를 확보하고,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되, 출입자의 이동시 함께 회전되면서 출입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턴 게이트 장치와,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스피드 게이트가 대표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피드 게이트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턴 게이트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게이트 장치들은 지하철이나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출입자의 출입카드, 교통카드 등을 인식하여 게이트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출입자가 게이트를 밀고 통과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출입자의 출입카드, 교통카드 등을 인식하지 못하여 허용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게이트장치가 개방되지 않거나, 출입자가 통과하려고 할 때 게이트가 차단위치로 위치되어 출입자가 무단으로 출입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게이트 장치의 경우, 화재나, 사고 등의 비상시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출입구를 차단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많은 사람이 신속하게 대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 시에 출입구에 사람이 몰려 2차 피해가 발생 될 수 있으며, 사람들이 출입구의 게이트를 강제로 개방하려는 동작에 의해 게이트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게이트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비상 상황 시 자동으로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게이트 장치는, 출입구의 통로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허용신호에 따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이 허용되는 게이트 회전체와; 일단이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출입구를 벗어난 개방위치로 위치되며, 상기 회전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차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대한 상대회전을 억제하는 로킹유닛과; 상기 로킹유닛의 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로킹해제부; 및 외부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시, 상기 로킹해제부의 해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회동부재에 인입 형성되는 로킹홈과;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로킹홈에 로킹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로킹돌기를 가지는 로킹부재; 및 상기 로킹부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돌기가 상기 로킹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킹해제부는,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강제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돌기가 상기 로킹홈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로킹홈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한 쌍의 걸림턱 각각에 접촉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로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게이트 회전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허용신호를 수신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게이트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3개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3개의 회동부재 중 하나만 상기 차단위치로 위치되고 나머지 2개는 개방위치로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복수 개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회동부재 중 하나만 상기 차단위치로 위치되고 나머지는 개방위치로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1개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는 90도 각도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게이트 장치에 의하면,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출입구를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를 하도록 게이트를 제어함으로써 비상 상황시 사람들이 대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피드 게이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턴 게이트 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의 정상동작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비상상황시의 게이트 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위치감지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게이트 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게이트 회전체(120)와, 회동부재(130)와, 로킹유닛(140)과, 로킹해제부(150), 구동부(160), 위치 감지센서(170) 및 제어유닛(180)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출입자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한 쌍 이상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장치 본체(110) 사이마다 출입구가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치 본체(110)의 정면 및 후면 각각에는 출입구 방향을 표시하고, 출입 가능 여부를 색상이나 기호(화살표 등)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110)의 출입구 측 측면에는 상기 게이트 회전체(120)와 회동부재(32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11)가 형성된다. 함몰부(111)의 내부 상측면(11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게이트 회전체가(120)가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 회전체(120)는 상기 장치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160)에 의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됨으로써, 출입구(20)를 차단하는 차단부재(10)를 지지하는 회전부재(130)가 차단위치(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출입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4의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사람이 출입구(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게이트 회전체(120)에는 회동부재(130)가 복수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130)는 게이트 회전체(1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해 일단이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출입구(20)를 차단하는 차단부재(10)가 연결된다. 회동부재(130)와 차단부재(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동부재(130)는 3개가 게이트 회전체(120)의 회전방향으로 120도 각도 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게이트 회전체(120)가 구동부(160)에 의해 120도 각도를 1회 동작범위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3개의 회동부재(13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도 4와 같이 수평자세로 위치하여 출입구(20) 차단위치로 위치되고, 나머지 2개는 출입구(20)에서 벗어나서 수직에 가까운 자세로 위치한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130)는 게이트 회전체(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131)와, 회전몸체(131)로부터 연장되어 차단부재(10)와 연결되는 연결바(132)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몸체(131)의 외주에는 후술할 로킹홈(133)이 소정 회전범위(회전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130)는 평상시에는 상기 로킹유닛(140)에 의해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해 자세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게이트 회전체(120)와 일체로 회전되어 상술한 차단위치로 개방위치 사이로 이동된다. 그리고 회동부재(130)는 로킹해제부(150)에 의해 로킹유닛(140)과의 로킹상태가 해제되면, 도 4 및 도 5의 자세에서 도 6 및 도 7의 자세로 하중에 의해 회동되어 출입구(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위치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130)가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해 독립적으로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평상시에는 로킹유닛(140)에 의해 자세 고정되고,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제어유닛(180)에 의해 동작되는 로킹해제부(150) 구동에 의해 로킹유닛(140)이 로킹상태가 해제되면, 수평자세 즉, 차단위치에 있는 회동부재(130; 차단부재 포함해서)가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도 6 및 도 7의 개방위치로 변경되어 출입구(20)가 완전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많은 사람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킹유닛(140)은 회동부재(130)를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자세 고정시킴으로써, 차단위치에 놓인 회동부재(130)가 자중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로킹유닛(140)은 상기 회동부재(131)에 형성되는 로킹홈(133)과, 게이트 회전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부재(141)와, 탄성부재(143)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홈(13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131)의 외주에 소정 각도 범위로 인입 형성된다. 로킹홈(133)은 회동부재(131)의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한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소정 범위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133a,133b)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로킹부재(141)는 회전위치에 따라서 로킹홈(133)에 로킹결합되어 회동부재(130)가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해 자세 고정되도록 즉, 차단위치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로킹돌기(141a,141b)를 가진다. 제1 및 제2로킹돌기(141a,141b)는 한 쌍의 걸림턱(133a,133b) 각각에 접촉되어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로킹돌기(141a,141b) 각각이 로킹홈(133) 내부에 위치하여 한 쌍의 걸림턱(133a,133b) 각각에 걸려서 로킹결합되면, 회동부재(130)가 로킹부재(14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억제되어 자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3)는 로킹부재(141)가 로킹홈(133)에서 로킹해제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43)는 압축스프링으로서, 게이트 회전체(120)에 설치된다. 따라서 로킹부재(141)가 로킹해제부(150)에 의해 간섭되어 탄성부재(143)의 가압력을 이기고 회동되면, 제2로킹돌기(141a)가 로킹홈(133)에서 분리되면서 회동부재(130)의 로킹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로킹해제된 회동부재(130)가 차단부재(10)와 함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20)를 완전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킹해제부(150)는 로킹유닛(140)의 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회동부재(130)가 차단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게이트 회전체(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로킹해제부(150)는 로킹부재(141)에 대응되도록 게이트 회전체(120)에 설치되며, 구동시 로킹부재(141)의 일측을 간섭하여 탄성부재(143)의 탄성력을 이기고 강제 회동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51,152,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액츄에이터(151,152,153)는 복수의 회동부재(130)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각각은 제어유닛(180)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60)는 게이트 회전체(120)를 일정 각도씩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스핀들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60)는 제어유닛(180)에 의해 구동제어됨으로써, 게이트 회전체(120)가 120도 각도씩 회전되어 사람이 출입구(20)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60)에 1회 구동시 게이트 회전체(120)의 회동각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 감지센서(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위치 감지센서(17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어 게이트 회전체(120)에 표시된 위치표시부(121)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위치표시부(121)는 120도 간격으로 게이트 회전체(1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표시부(121)는 반사마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치 감지센서(170)는 수발광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토센서, 레이저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접촉식 센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유닛(180)은 외부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시, 로킹해제부(1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로킹유닛(140)이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장치 본체(110)에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고, 동작상태를 송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182)와, 출입자가 소유한 식별수단을 인식하여 허용신호를 발생하는 인식모듈(181)이 설치된다. 인식모듈(181)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이 될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을 통해 출입자가 소유한 식별수단(보안카드, 교통카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개찰구 등에 설치되는 구성으로부터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수신부(182)에서 수신하는 비상신호는 화재경보장치나, 경찰서, 소방서, 관리센터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화재발생신호, 사고발생신호, 기타 대피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신호를 송/수신부(182)에서 수신하여 제어유닛(180)으로 전달하면, 제어유닛(18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킹해제부(150)를 제어하여 로킹유닛(140)을 로킹해제함으로써 회동부재(130)와 차단부재(1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되어 출입구(20)를 개방함으로써 사람들이 불편함 없이 출입구(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회전체(120)에 2개의 회동부재(130) 즉, 2개의 차단부재(10)가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회동부재(130)는 180도 각도로 배치되고, 각각의 회전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센서(170)도 2개가 배치되어 게이트 회전체(12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면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회동부재(130)의 배치위치는 180도 각도 외에도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회전체(120)에 하나의 회동부재(130)만을 설치하고 그 동작범위를 90도 각도로 왕복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출입구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위치 감지센서(170) 만을 설치하여 회동부재(13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230)는 일단이 게이트 회전체(2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차단부재(10;게이트)가 연결된다. 따라서 게이트 회전체(220)가 구동부(260)에 의해 회전구동되면, 회동부재(230)가 게이트 회전체(220)와 함께 회전되면서 차단부재(10)를 상하로 회동시켜서 출입구(20)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230)에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측면에 로킹홈(233)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홈(233)은 앞서 도 3 내지 도 8b를 통해 설명한 게이트 장치(100)의 회동부재(130)에 형성된 로킹홈(133)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로킹유닛(140')은 앞서 도 3 내지 도 8b를 통해 설명한 로킹유닛(14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킹해제부(150')도 앞서 설명한 로킹해제부(150)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시 로킹유닛(140')의 로킹부재(141)를 간섭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로킹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러한 로킹해제부(150')는 제어유닛(18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유닛(180')은 앞서 설명한 제어유닛(180)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비상신호 수신시 로킹해제부(150')의 구동을 제어하여 도 9 및 도 10의 상태에서 회동부재(230)와 차단부재(10)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출입구(2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도 11 및 도 12의 개방 상태).
상기 구동부(260)는 게이트 회전체(220)를 소정 각도 왕복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260)의 일 예로는, 장치 본체(2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61)와, 구동모터(261)의 회전구동력을 한 쌍이 게이트 회전체(220) 각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263)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261)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스핀들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은 제어유닛(18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동력전달유닛(263)은 한 쌍의 게이트 회전체(220)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링크(264)와, 한 쌍의 제1연결링크(264)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링크(265)와, 구동모터(261)의 회전중심과 제2연결링크(265)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동링크(266,267)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동력전달유닛(263)에 의하면, 구동모터(261)의 구동시, 회전력이 연동링크들(266,267)을 통해 제2연결링크(265)로 전달되어 제2연결링크(265)가 상하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2연결링크(265)에 링크 연결된 한 쌍의 제1연결링크(264)가 회전되면서 게이트 회전체(220)를 회전시키게 되고, 결국 회동부재(220)와 차단부재(10)가 함께 소정 각도 회동되어 출입구(2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180')은 앞서 설명한 제어유닛(180)과 마찬가지로, 입식모듈(181)을 통해 수신된 허용신호를 근거로 하여 구동부(260)의 구동을 제어하고, 송/수신부(182)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로킹해제부(150')를 제어하여 로킹유닛(140')의 로킹상태를 해제시켜서 차단부재(10)가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출입구(20)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구동부(260)의 구성은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이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차단부재(1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출입구(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소위 '스피드 게이트 장치'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구동메커니즘이 상기 구동부(260)를 대신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200)도 평상시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출입구(20)를 차단하고 있다가, 인식모듈(181)을 통해 허용신호가 인식되면, 제어유닛(180')은 구동부(260)를 구동시켜서 게이트 회전체(220)를 회전시켜서 차단부재(10)가 회동되도록 하여 출입구(10)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개방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출입을 허용한 뒤, 일정 시간 후 또는 출입자의 통과를 확인 후 다시 복귀시켜서 출입구(20)를 차단한다.
그리고 차단상태에서, 제어유닛(180')이 비상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로킹해제부(150')를 동작시켜서 로킹유닛(140')의 로킹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차단부재(10)와 회전부재(2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출입구(2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출입구(20)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비상 상황시 많은 사람이 신속하게 출입구(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차단부재 100.. 게이트 장치
110..장치 본체 120..게이트 회전체
130,230..회동부재 140..로킹유닛
150..로킹해제부 160..구동부
170..위치 감지센서 180..제어유닛
181..인식모듈 182..송/수신부

Claims (7)

  1. 출입구의 통로에 설치되는 장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허용신호에 따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이 허용되는 게이트 회전체와;
    일단이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출입구를 벗어난 개방위치로 위치되며, 상기 회전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출입구를 가로질러 차단하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대한 상대회전을 억제하는 로킹유닛과;
    상기 로킹유닛의 로킹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로킹해제부; 및
    외부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시, 상기 로킹해제부의 해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회동부재에 인입 형성되는 로킹홈과;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로킹홈에 로킹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로킹돌기를 가지는 로킹부재; 및 상기 로킹부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돌기가 상기 로킹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해제부는,
    상기 게이트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강제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로킹부재의 로킹돌기가 상기 로킹홈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홈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한 쌍의 걸림턱 각각에 접촉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로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회전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허용신호를 수신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게이트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복수 개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회전체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회동부재 중 하나만 상기 차단위치로 위치되고 나머지는 개방위치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1개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는 90도 각도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장치.
KR1020130062214A 2013-05-31 2013-05-31 게이트 장치 KR10134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214A KR101349317B1 (ko) 2013-05-31 2013-05-31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214A KR101349317B1 (ko) 2013-05-31 2013-05-31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317B1 true KR101349317B1 (ko) 2014-01-27

Family

ID=5014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214A KR101349317B1 (ko) 2013-05-31 2013-05-31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87B1 (ko) * 2020-04-02 2021-10-06 원동춘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893Y1 (ko) * 2003-09-20 2004-02-11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출입게이트용 회전문
KR100778073B1 (ko) 2005-10-21 2007-11-21 (주)쎌컴비젼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
KR200442468Y1 (ko) * 2007-07-11 2008-11-12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출입게이트용 드롭식 개폐장치
KR20110006875A (ko) * 2009-07-15 2011-01-21 주식회사씨큐어테크 보안 회전문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893Y1 (ko) * 2003-09-20 2004-02-11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출입게이트용 회전문
KR100778073B1 (ko) 2005-10-21 2007-11-21 (주)쎌컴비젼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
KR200442468Y1 (ko) * 2007-07-11 2008-11-12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출입게이트용 드롭식 개폐장치
KR20110006875A (ko) * 2009-07-15 2011-01-21 주식회사씨큐어테크 보안 회전문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87B1 (ko) * 2020-04-02 2021-10-06 원동춘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7959B (zh) 在电梯系统中的解救操作
EP1471028B1 (en) Manual unlocking device
EP2545238B1 (en) Sliding door with large opening
ES2968008T3 (es) Enclavamiento de puerta de cabina con bloqueo de umbral
US20150292246A1 (en) Fitting for a door
US8171671B2 (en) Security gate
KR101720910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광고판 개방장치
JP5014657B2 (ja) 入退出監視システム
KR100846747B1 (ko) 안전 게이트 유닛
EP1845053B1 (en) Landing door device of elevator
KR101349317B1 (ko) 게이트 장치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19956A (ja) 自動ゲート開閉システム
TWI737660B (zh) 用以操作入口之控制系統的方法及用以控制入口之系統
CN107438548B (zh) 用于将机械式缝隙填充器、导引式车辆门及站台屏蔽门联锁的系统和方法
KR101252792B1 (ko)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20100008237A (ko) 플랩게이트 장치
KR20100082580A (ko) 지문 인식형 보안 출입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US11773637B2 (en) System for locking a screen door leaf
CN207792435U (zh) 四开门电梯门机系统
CN207827650U (zh) 电梯门机系统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CN105324548B (zh) 自动门系统、自动门系统的控制装置以及自动门系统的控制方法
KR102632680B1 (ko) 생체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반 시스템
KR102615189B1 (ko) 자동 출입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