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792B1 -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792B1
KR101252792B1 KR1020100071305A KR20100071305A KR101252792B1 KR 101252792 B1 KR101252792 B1 KR 101252792B1 KR 1020100071305 A KR1020100071305 A KR 1020100071305A KR 20100071305 A KR20100071305 A KR 20100071305A KR 101252792 B1 KR101252792 B1 KR 10125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gate
emergency call
unlock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253A (ko
Inventor
김국배
김종규
박재균
유영국
Original Assignee
김국배
박재균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배, 박재균, 김종규 filed Critical 김국배
Priority to KR102010007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7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cantilever g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은 좌,우 게이트프레임(10,20) 사이에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비상게이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게이트프레임(20)에는 비상호출버튼(41)을 갖는 비상용 호출포스트(40)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이 누름 동작되어 비상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비상게이트(30)를 개방시켜주는 게이트 컨트롤러(50)가 구비된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50)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의 누름 동작에 따라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송수신 모듈(500)을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된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락커(31)를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하는 원격무선리모컨(510)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되는 락킹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락커(31)를 제어하여 언락킹을 실행하는 제어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측 게이트프레임(10,20)에 설치되어, 개방된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되었는지 또는 통과중인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20)에 의해 락커(31)를 락킹 또는 언락킹 제어되게 하는 감지센서(53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Automatic open and shut system emergency gate for train station and open and shut method}
본 발명은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차(기차, 지하철 등을 포괄함), 예컨대, 지하철 역사 내에는 티켓을 점검하는 주 게이트(gate) 외에 장애인의 휠체어나 비상시 승객이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비상 게이트 장치(또는 스피드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비상 게이트 장치는 상기한 주 게이트의 일편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통상 좌측 게이트 프레임과 우측 게이트프레임 사이에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비상 게이트가 마련된다.
또한, 우측 게이트프레임의 근방에는 티켓을 개찰할 수 있는 개찰구 및 역무원을 비상호출하기 위한 비상호출버튼을 구비한 직립형의 비상용 호출포스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주 게이트에 많은 사람이 몰리는 경우에는 일반인들도 비상 게이트 장치에 마련된 개찰구에 카드를 접촉시켜서 통과할 수도 있고, 휠체어를 통과시켜야 될 경우나 비상승객의 경우, 비상호출버튼을 눌러서 역무원을 호출하여 비상 게이트를 개방한 후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 게이트 장치는 역무원이 비상 게이트 장치 부근에 상주하거나, 또는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비상호출버튼을 누름에 따른 경고음을 듣고 비상 게이트 장치로 이동하여 비상 게이트를 개방해 주어야 하므로, 비상 게이트 장치를 개폐하기 위한 전용 역무원이 배치되어야 함에 따른 인력손실은 물론, 역무원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비상 게이트장치를 신속하게 개폐하지 못하는 폐단도 있었다.
또한, 경고음이 울렸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역무원이 이를 듣지 못하는 경우에는 승객이 비상 게이트를 통과할 수 없었으므로 해당 역무원이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비상 게이트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통과된 것이 확인되면 비상 게이트가 자동으로 락킹되도록 한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의 자동개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은 좌,우 게이트프레임(10,20) 사이에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비상게이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게이트프레임(20)에는 비상호출버튼(41)을 갖는 비상용 호출포스트(40)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이 누름 동작되어 비상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비상게이트(30)를 개방시켜주는 게이트 컨트롤러(50)가 구비된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50)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의 누름 동작에 따라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송수신 모듈(500)을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된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락커(31)를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하는 원격무선리모컨(510)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되는 락킹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락커(31)를 제어하여 언락킹을 실행하는 제어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 게이트프레임(10,20)에 설치되어, 개방된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되었는지 또는 통과중인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20)에 의해 락커(31)를 락킹 또는 언락킹 제어되게 하는 감지센서(53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의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에는 상기 락커(31)를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해제버튼(511)이 구비되되, 상기 락킹해제버튼(511)은 다수의 락커(31)를 선택적으로 언락킹시킬 수 있도록 락커(31)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전면 커버(42) 내부에 설치공간(43)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43)에는 서포트(44)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44)에는 ㄹ자형의 브라켓(45)에 의해 상기 송수신 모듈(500)이 조립된다.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의 상기 송수신 모듈(500)에는 안테나(501)가 구비되되, 상기 안테나(501)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발광창(40a)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방법은 (1)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비치된 비상호출버튼(41)을 눌러서 비상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2) 상기 비상호출신호가 송수신 모듈(500)에 수신되면,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비상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3)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된 비상호출신호가 원격무선리모컨(510)에 수신되면, 원격무선리모컨(510)에 비치된 락킹해제버튼(511)을 누름 조작하여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4)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된 락킹해제신호가 제어부(520)에 수신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비상게이트(30)에 비치된 락커(31)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5) 상기 락킹이 해제된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중인지 또는 통과가 완료되었는지를 감지센서(530)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6) 상기 감지센서(530)에 의한 감지결과, 통행체가 통행중이면 제어부(520)에 의해 비상게이트(30)의 언락킹 상태가 유지되게 제어하고, 통행체의 통행이 완료된 상태이면 제어부(520)에 의해 비상게이트(30)가 락킹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무원이 비상 게이트 부근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비상게이트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고, 승객이 비상게이트를 통과한 후에는 감지시스템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비상게이트가 자동으로 락킹됨으로써 역무원이나 승객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상용 호출포스트의 볼륨을 확장하지 않으면서도 그 내부의 잉여공간에 송수신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추가 비용없이 장치의 효율적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수신모듈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발광창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송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 게이트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호출포스트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 게이트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열차 역사용 비상 게이트장치(이하 '비상 게이트장치'라 약칭함)의 대략적 구성을 살펴본다.
비상 게이트장치는 좌측 게이트프레임(10)과 우측 게이트프레임(2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게이트프레임(10,20) 사이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비상게이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비상게이트(30)의 일측은 통상 우측 게이트프레임(20)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좌측 게이트프레임(10)에 락킹되는 락커(31)가 구비된다(도 2참조).
상기 우측 게이트프레임(20)의 근방에는 사각기둥 형태의 비상용 호출포스트(40)가 설치된다.
비상용 호출포스트(40)는 최상측에 육안식별을 위한 발광부(미도시) 및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발광시키기 위한 아크릴 소재의 발광창(40a)이 사면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광창(40a)중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발광창 하부에는 전면 커버(42)가 조립되고, 상기 전면 커버(42) 상에는 마이크 장치(미도시)와 승무원을 호출하기 위한 비상호출버튼(4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42)의 하부에는 표를 개찰할 수 있는 개찰구(46)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이하 '자동개폐시스템'으로 약칭함)은 비상호출버튼(41)이 누름 동작되어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되면 비상게이트(30)를 원격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게이트 컨트롤러(50)를 갖는다.
게이트 컨트롤러(50)는 송수신 모듈(500), 원격무선리모컨(510), 제어부(520) 및 감지센서(530)를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500)은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의 누름 동작에 따라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500)은 도 3에서 보듯이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전면 커버(42) 내측에 마련된 설치공간(43) 내에 배치된다. 배치구조를 보면, 설치공간(43)에 마련된 서포트(44) 상에 ㄹ자형의 브라켓(45)을 나사 조립하고, 브라켓(45)의 상단에 송수신 모듈(500)을 평행한 상태로 나사조립하여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수신 모듈(500)의 상면 일측에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501)가 구비된다. 안테나(501)는 송,수신 감도가 좋아야 하는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대부분의 재질은 금속재이므로 이에 내장될 경우 감도가 저하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상측에 마련된 아크릴 소재의 발광창(40a)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무선리모컨(510)은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되는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락커(31)를 언락킹(unlocking)시키기 위한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원격무선리모컨(510)에는 상기 락커(31)를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해제버튼(511)이 구비되되, 락킹해제버튼(511)은 다수의 락커(31)를 선택적으로 언락킹시킬 수 있도록 락커(31)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열차 역사에는 비상 게이트장치가 여러 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들 비상 게이트장치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이 일련번호와 원격무선리모컨(51)의 락킹해제버튼(511)의 일련번호를 일치시켜서, 예컨대, 1번 비상 게이트장치에서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면 1번 락킹해지버튼(511)에 점멸등이 점멸되도록 하여 승무원으로 하여금 1번 비상 게이트장치에서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쉽게 인지토록 하고, 승무원이 1번 락킹해지버튼(511)을 조작함으로써 1번 비상 게이트장치의 비상게이트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상 게이트장치가 여러 곳에 분산 설치되어 있더라도 호출신호가 수신된 비상 게이트장치를 손쉽게 인지하여 신속하게 비상게이트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상 게이트장치는 앞서 밝혔듯이 휠체어, 자전거 등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승객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반해, 아이들이나 비양심적 승객이 장난삼아 비상호출버튼(41)을 눌러서 비상게이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 아니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비상 게이트장치를 통과하고자 하는 승객을 촬상하기 위한 감시카메라(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에는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화면(미도시)을 부설하여 비상 게이트장치를 통해 불량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써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되는 락킹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락커(31)를 제어하여 언락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감지센서(530)는 좌,우측 게이트프레임(10,20)에 설치되어, 개방된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되었는지 또는 통과중인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행체(승객 또는 휠체어 등의 물건)가 통과중인 경우에는 락커(31)가 락킹되면 안되므로 감지센서(530)에서 통행체가 통과중이라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520)로 송출함으로써 락커(31)의 언락킹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반대로 통행체의 통과가 완료된 경우에는 비상게이트(30)가 닫힘과 함께 락커(31)가 락킹되어야 하므로 감지센서(530)에서 통행체가 통과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520)로 송출함으로써 제어부(520)로 하여금 락커(31)가 락킹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비상게이트(30)의 힌지 연결부에는 비상게이트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수단(미도시)이 매설되어 있어서 통행체의 통과가 완료되면 탄성수단에 의해 비상게이트(30)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비상게이트 자동개폐방법을 설명한다.
1 단계, 비상게이트(30)의 락커(31)가 락킹된 상태로 부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비치된 비상호출버튼(41)을 누름 조작하여 비상호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비상게이트(30)을 사용하고자 하는 승객이 비상호출버튼(41)을 누름 조작하게 되면, 비상호출버튼(41)에서 비상호출신호가 발생하여 이를 송수신 모듈(500)로 송출한다.
2 단계, 송수신 모듈(500)에서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비상호출신호를 연계 송출한다.
즉, 상기 비상호출버튼(41)에 의해 발생된 비상호출신호가 송수신 모듈(500)의 안테나(501)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원격무선리모컨(510)을 송출한다.
3 단계, 원격무선리모컨(510)에 의해 락킹신호를 송출한다.
즉,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된 비상호출신호가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수신되면, 원격무선리모컨(510)에 비치된 락킹해제버튼(511)을 누름 조작하여 제어부(520)로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한다.
4 단계, 제어부(520)에 의해 락커(31)의 락킹을 해제한다.
즉,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된 락킹해제신호가 제어부(520)로 수신되면 제어부(520)는 그 신호를 근거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비상게이트(30)에 비치된 락커(31)의 락킹을 해제함으로써 비상게이트(30)가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이를 통해 통과체가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5 단계, 통행체의 통과여부를 감지한다.
즉, 상기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중인지 또는 통과가 완료되었는지를 감지센서(530)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신호를 제어부(520)로 송출한다.
6 단계, 감지센서(530)의 감지결과에 따라 락커(31)의 상태를 제어한다.
즉, 통행체가 통행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20)가 그 감지신호에 의해 비상게이트(30)의 락커(31)를 언락킹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통행체의 통행이 완료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20)가 그 감지신호에 의해 비상게이트(30)의 락커(31)가 락킹되도록 제어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0 : 비상게이트 31 : 락커
40 : 비상용 호출포스트 40a : 발광창
41 : 비상호출버튼 42 : 전면커버
43 : 설치공간 44 : 서포트
45 : 브라켓 50 : 게이트 컨트롤러
500 : 송수신 모듈 511 : 락킹해제버튼
510 : 원격무선리모컨 520 : 제어부
530 :감지센서

Claims (5)

  1. 좌,우측 게이트프레임(10,20) 사이에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비상게이트(30)가 구비되며, 상기 우측 게이트프레임(20)에는 비상호출버튼(41)을 갖는 비상용 호출포스트(40)가 구비되고,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이 누름 동작되어 비상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비상게이트(30)를 개방시켜주는 게이트 컨트롤러(50)가 구비된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50)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비상호출버튼(41)의 누름 동작에 따라 비상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송출하는 송수신 모듈(500)을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된 비상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락커(31)를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하는 원격무선리모컨(510)을 구비하고;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내장된 채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되는 락킹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락커(31)를 제어하여 언락킹을 실행하는 제어부(520)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측 게이트프레임(10,20)에 설치되어, 개방된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되었는지 또는 통과중인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20)에 의해 락커(31)를 락킹 또는 언락킹 제어되게 하는 감지센서(53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에는 상기 락커(31)를 언락킹시키기 위한 락킹해제버튼(511)이 구비되되, 상기 락킹해제버튼(511)은 다수의 락커(31)를 선택적으로 언락킹시킬 수 있도록 락커(31)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전면 커버(42) 내부에 설치공간(43)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43)에는 서포트(44)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44)에는 ㄹ자형의 브라켓(45)에 의해 상기 송수신 모듈(500)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500)에는 안테나(501)가 구비되되, 상기 안테나(501)는 상기 비상용 호출포스트(40)의 발광창(40a)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의 자동개폐시스템.
  5. (1) 비상용 호출포스트(40)에 비치된 비상호출버튼(41)을 눌러서 비상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2) 상기 비상호출신호가 송수신 모듈(500)에 수신되면,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비상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3) 상기 송수신 모듈(500)로 부터 송출된 비상호출신호가 원격무선리모컨(510)에 수신되면, 원격무선리모컨(510)에 비치된 락킹해제버튼(511)을 누름 조작하여 락킹해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4) 상기 원격무선리모컨(510)으로 부터 송출된 락킹해제신호가 제어부(520)에 수신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비상게이트(30)에 비치된 락커(31)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5) 상기 락킹이 해제된 비상게이트(30)를 통해 통행체가 통과중인지 또는 통과가 완료되었는지를 감지센서(530)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6) 상기 감지센서(530)에 의한 감지결과, 통행체가 통행중이면 제어부(520)에 의해 비상게이트(30)의 언락킹 상태가 유지되게 제어하고, 통행체의 통행이 완료된 상태이면 제어부(520)에 의해 비상게이트(30)가 락킹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의 자동개폐방법.
KR1020100071305A 2010-07-23 2010-07-23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10125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305A KR101252792B1 (ko) 2010-07-23 2010-07-23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305A KR101252792B1 (ko) 2010-07-23 2010-07-23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53A KR20120009253A (ko) 2012-02-01
KR101252792B1 true KR101252792B1 (ko) 2013-04-09

Family

ID=4583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305A KR101252792B1 (ko) 2010-07-23 2010-07-23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7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0023A (zh) * 2017-05-25 2017-09-01 王俊芝 紧急开关系统
KR20200134667A (ko) 2019-05-23 2020-12-02 박성진 비가역함수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는 부정승차 검출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23B1 (ko) * 2013-09-05 2014-06-27 김찬용 위치복원체가 구비된 지하철 역사의 양방향 비상게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592A (ja) 1997-10-07 1999-04-23 Shibaura Mechatronics Corp 自動改札機
JP2003300462A (ja) 2002-04-10 2003-10-21 East Japan Railway Co リモコン式乗降ドア操作システム
KR20070043312A (ko) * 2005-10-21 2007-04-25 주식회사 한국싸인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
KR20100048077A (ko) * 2008-10-30 2010-05-11 서울메트로 비상 게이트의 컨트롤러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592A (ja) 1997-10-07 1999-04-23 Shibaura Mechatronics Corp 自動改札機
JP2003300462A (ja) 2002-04-10 2003-10-21 East Japan Railway Co リモコン式乗降ドア操作システム
KR20070043312A (ko) * 2005-10-21 2007-04-25 주식회사 한국싸인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
KR20100048077A (ko) * 2008-10-30 2010-05-11 서울메트로 비상 게이트의 컨트롤러 테스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0023A (zh) * 2017-05-25 2017-09-01 王俊芝 紧急开关系统
CN107989513A (zh) * 2017-05-25 2018-05-04 王俊芝 出入口机紧急开关系统
CN107989513B (zh) * 2017-05-25 2019-04-05 张辉 出入口机紧急开关系统
KR20200134667A (ko) 2019-05-23 2020-12-02 박성진 비가역함수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는 부정승차 검출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53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US7717238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07808465B (zh) 一种atm机防护舱舱门电子系统
CN107808466B (zh) 基于多传感器识别人体的atm机防护舱舱门电子系统
CN107687298A (zh) 优先驱动动力侧门打开/关闭操作
US20070171053A1 (en) Escape route monitoring system with an escape door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150146002A1 (en) Door with security features and integrated system
KR101252792B1 (ko)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20100076157A (ko) 지하철 안전시스템
JP2013216251A (ja) 周辺状況監視装置
JP2007007841A (ja) 入退出監視システム
ES2587062T3 (es) Sistema de acceso a un edificio
JPWO2006100717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7033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19956A (ja) 自動ゲート開閉システム
JP2009263016A (ja)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及び防犯方法
JP2006099381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共連れ防止方法
KR101232317B1 (ko) 방문자 위치 확인이 용이한 초인종 시스템
KR102275661B1 (ko)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6330915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
KR20220160980A (ko) 출입보안 자동화 무인변전소 시스템, 무인변전소 출입보안 자동화 장치 및 무인변전소 자동화 출입 보안 방법
KR101142221B1 (ko) 출입 관리 장치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