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735Y1 -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735Y1
KR200401735Y1 KR20-2005-0026077U KR20050026077U KR200401735Y1 KR 200401735 Y1 KR200401735 Y1 KR 200401735Y1 KR 20050026077 U KR20050026077 U KR 20050026077U KR 200401735 Y1 KR200401735 Y1 KR 200401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device
fire
security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원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원희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Priority to KR20-2005-002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연구역 방화문이 닫힌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하여, 방화문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난방지 및 보안 경비를 위한 방범기능을 갖도록 한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일측면 상부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되고,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는 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암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와 암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방범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방범 방화문에 설치된 개폐장치(50)와 연결되는 송수신부(31)와 송수신부(31)에 연결되는 제어부(32), 제어부(32)에 연결되는 경보발생부(33)와 디스플레이부(34)로 구성되는 중앙관리실(30);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되며, 솔레노이드(14)는 중앙관리실(30)의 제어부(32)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개폐장치(50); 방범 방화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개폐장치(50)와 중앙관리실(30)에 연결 설치되는 CCD카메라(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An automatic switchgear for a fire and crime prevention door}
본 고안은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연기가 제연구역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방화문을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잠긴 상태에서 개방되지 않도록 중앙 제어실에서 자동으로 폐쇄 시킬 수 있게 하고, 문의 개폐를 중앙관리실에서 감시할 수 있게 한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방화문이 닫힌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어 방화문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난방지 및 보안 경비를 위한 방범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진화를 위한 각종 소방설비가 설치되며,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연구역이 설정된다.
화재 발생시, 연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된 제연구역에는 방화문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상승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방화문을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방화문을 잠가 놓아야 하므로, 평상시에 방화문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주게 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방화문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도어클로저가 방화문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도어클로저는 화재로 인해 연기가 발생되거나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현재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방화문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의 일측면 상부에 도어클로저(120)가 설치되고, 도어클로저(120)의 고정축(121)에는 작동바(122)가 회동되게 결합되며, 작동바(122)에는 암(123)이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고, 암(123)은 도어틀(124)에 결합된 지지편(125)과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110)는 힌지부(111)에 의해 일측단부가 도어틀(124)에 회전되게 고정되어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며, 도어(110)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설치된 도어클로저(12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힌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도어클로저에 의해 평상시 사용할 때 자동 닫힘으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화재발생으로 인한 비상시에는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도어클로저에 의해 자동으로 닫힌 방화문은 외력, 즉 사용자가 손으로 방화문을 열면, 쉽게 열리게 되어 제연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폐단을 안고 있다.
또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제연을 위해 방화문을 폐쇄하여 열리지 않도록 하려면, 방화문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잠궈 폐쇄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난해하며,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화문을 현관등에 설치하여 방범 방화문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중앙관리실에서 통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재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화문을 설치함에 있어, 화재발생으로 인해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래칫기어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래칫에 의해 닫힌 상태로 고정(폐쇄)되도록 하므로서, 화재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방화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제연구역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방범 방화문용 문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닫힌 방범 방화문의 근처에 CCD카메라를 설치하여 방범 방화문을 임의로 열고자 설치한 수동스위치를 누르면 작동하여 중앙관리실의 제어부에서 일정시간 녹화되도록 하여 방범기능을 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방범 방화문이 현관에 설치될 경우 현관 비밀번호가 틀리게 입력되는 경우 중앙관리실로 신호가 가서 CCD카메라를 작동시켜 일정시간 녹화되도록 하여 방범 기능을 할 수 있게 한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의 일측면 상부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되고,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는 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암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와 암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방범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방범 방화문에 설치된 개폐장치와 연결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에 연결되는 제어부, 제어부에 연결되는 경보발생부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중앙관리실;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 래칫기어가 결합되고, 래칫기어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칫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되며, 솔레노이드는 중앙관리실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개폐장치; 방범 방화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개폐장치와 중앙관리실에 연결 설치되는 CCD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개폐장치에 수동스위치를 연결 설치하고, 수동스위치를 중앙관리실의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어부에 연결하며, 제어부에서 수동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어부는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로 구성되며,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의 신호가 송신부를 통하여 중앙관리실과 CCD카메라에 연결되어 화재시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CCD카메라가 작동되고 촬영되는 화면이 중앙관리실의 디스플레이부에 방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및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 래칫기어가 결합되고, 래칫기어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칫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되되,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래칫에 맞물려 고정된 래칫기어의 움직임 및 충격을 감지하는 리밋스위치가 구비되고, 리밋스위치와 전기적인 신호방식으로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는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도어클로저(10)는 도어(2)의 일측면 상부에 설치되고, 중앙부위에 수직되게 구성된 고정축(11)에는 작동바(1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틀(3)에 결합되는 지지편(16)에 암(17)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바(15)와 암(17)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솔레노이드(14)는 전원공급에 의해 로드(14)가 전,후진 이동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14) 작동을 위한 전원공급은 통상적인 축전지나 건전지를 이용하는 것이며, 또한, 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식은 스위치 방식이나 유 무선방식에 의한 원격조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전기적인 신호방식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도면 표기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어(2)의 일측면 상부에는 고정축(11)이 수직되게 형성된 도어클로저(10)가 설치되고, 고정축(11)에 작동바(15)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틀(3)에 결합된 지지편(16)에는 암(17)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또한, 작동바(15)와 암(17)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는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된다.
이때,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래칫(13)은 전진이동시 래칫기어(12)와 맞물려 치합 고정된다.
이러한 래칫기어(12)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그 래칫기어의 형태에 따라 래칫(13)의 형상도 변화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일측부위에 도어클로저(10)가 설치되고, 도어틀(3)에 힌지점을 이루는 암(17)과 작동바(15)가 링크방식으로 결합되게 설치되며,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는 작동바(15)가 결합되되, 고정축(11)에는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와 치합되는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도록 결합된 방화문을 사용함에 있어, 화재발생으로 인해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화문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방범 방화문은 도어클로저(1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중앙관리실에서 보내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어 래칫(13)이 전진 이동되고, 래칫(13)이 전진 이동되어 고정축(11)에 결합된 래칫기어(12)와 치합되어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므로서, 도어(2)의 개방을 위한 고정축(11)의 회전을 차단하여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구역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개략도로서, 방화문을 자동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와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래칫(13)을 설치하고, 래칫기어(12)와 래칫(13)이 맞물리도록 치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래칫기어(12)가 회전되면, 이를 리밋스위치(20)에서 감지하여 중앙관리실로 신호를 보내고, 경보기(21)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중앙관리실로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CCD카메라를 작동시켜 강제로 방범방화문을 여는 사람을 일정시간 녹화한다.
본 고안에서, 래칫기어(12)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리밋스위치(20)는 필요에 따라, 광센서, 충격감지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 도어(2)가 도어클로저(10)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도면 표기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14)가 래칫기어에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구성도로서, 중앙관리실(30)에 설치된 송수신부(31)에 의하여 각각의 방범 방화용 문의 개폐장치(50)와 연결되고, 방범 방화문이 설치된 곳에 형성된 센서부(4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중앙관리실(30)의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제어부(32)로 보낸다. 제어부(32)에서 경보발생부(33)에 명령을 내려 경보를 발생시켜 화재를 알린다. 이때 센서부(40)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중앙관리실(30)로 보내고, 동시에 CCD카메라(60)를 작동시켜 현장의 상황을 디스플레이부(34)에 보여주고, 녹화한다. 이때 만약 센서의 오작동일 경우에 디스플레이부(34)에 보여지는 화면으로 오작동임을 알 수 있다.
센서부(40)는 방범 방화문 인접한 곳에 설치되고, 열감지기(42)와 연기감지기(43)로 이루어지며, 열감지기(42)와 연기감지기(43)는 송신부(41)를 통하여 중앙관리실(30)과 CCD카메라(60)에 연결된다. 이때 송신부(41)는 유선일 수도 있고, 무선일 수도 있으며, 연결수단에 대해서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송수신부, 송신부 수신부는 모두 유선 또는 무선을 사용한 통상의 연결수단이며, 이하에서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방범 방화문에 설치된 개폐장치(50)는 중앙관리실(30)과의 연결을 위한 수신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수신부(51)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제어부(52)와 솔레노이드(53)로 이루어진다. 개폐장치(50)의 작동시 CCD카메라(60)가 일정시간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연결하여 상황을 중앙관리실(30)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개폐장치(50)는 방범 방화문 도어(2) 일측에 수동스위치(70)를 형성하여 사람이 수작업으로 솔레노이드(53)의 해제를 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수동스위치(70)는 중앙관리실(30)의 제어부(32)와 연결되어 중앙관리실(30) 제어부(32)의 메인스위치를 내리면 작동이 되지 않게 하여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게 한다.
수동스위치(70)는 솔레노이드의 래칫(13)을 래칫기어로 부터 해제하여 사람이 문을 손으로 열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열려 있는 상태에서 수동스위치(70)를 눌러 래칫(13)을 래칫기어(12)에 결합되어 문(2)이 다시 닫히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방범기능이 작동될 때에는 이러한 수동스위치(70)가 작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범 방화문 도어(2)를 현관에 설치할 때, 비밀번호 입력 장치를 설치하고, 비밀번호 입력장치를 중앙관리실 제어부로 연결하여 현관에서 비밀번호를 눌러 도어(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가 틀렸을 경우 CCD카메라를 작동시켜 일정 시간(대략 5초에서 10초 정도)녹화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중앙관리실(30)에는 각 개폐장치(50), 센서부(40), 수동스위치(70), CCD카메라(60)에 연결되는 송수신부(31)가 형성되고, 송수신부(31)는 제어부(32)와 연결된다. 제어부(32)는 부저나 경광등과 같은 경보발생부(33)와 연결되어 비상시 경보를 발생시키고, 디스플레이부(34)는 방범 방화문 인접한 곳에 설치된 CCD카메라에서 보내온 화상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범 방화문을 설치함에 있어, 도어(2)의 자동 개폐를 위해 도어클로저(10)를 설치하되,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를 결합하고, 래칫기어(12)의 일측방에 솔레노이드(14)에 의해 래칫(13)이 전후진 이동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도어(2)를 닫힌 상태로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화문의 도어(2)가 도어클로저(10)와 작동바(15) 및 암(17)에 의해 힌지점을 기점으로 회전되며 개폐되는 과정에서,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결합된 작동바(15)와 도어틀(3)에 힌지점을 이루도록 결합된 암(17)에 의해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는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와 치합되어 맞물리는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2)를 닫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켜 래칫(13)과 래칫기어(12)가 맞물려 고정되면, 도어(2)가 외력에 의해 열리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2)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암(17)과 작동바(15)에 의해 연결된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이 회전되면서,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고정축(11)에 결합된 래칫기어(12)가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진 이동된 래칫(13)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개폐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발생으로 인해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화문을 닫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켜 래칫(13)에 의해 래칫기어(12)의 회전을 차단하게 되면, 도어(2)가 외력에 의해 열리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평상시에 방범 방화문이 열린 상태에서 래칫(13)과 래칫기어(12)가 결합되어 문이 닫히지 않게 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중앙관리실에서 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켜 해당되는 방범 방화문을 한 번에 닫아 잠궈 제연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구역에 남아있는 사람이 탈출을 위해 수동스위치를 누를 경우 해당 CCD카메라에 비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면서 중앙관리실의 관리자가 그 구역의 문을 해제하여 탈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현관에 방범 방화문이 설치되면, 비밀번호를 눌러 상기 솔레노이드(14)를 해제할 수 있게 하고, 만약 비밀번호가 틀리면 CCD카메라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연구역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첨부 도면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도어(2)의 개폐를 위해 설치된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를 결합하고,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래칫(13)을 설치하여 래칫기어(12)의 회전을 차단하며, 래칫기어(12)의 회전을 감지하는 리밋스위치(20)를 설치하여, 래칫기어(12)와 래칫(13)이 맞물린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도어(2)가 개방되어 래칫기어(12)가 회전하게 되면, 리밋스위치(20)에서 이를 감지하여, 불법침입, 도난 경보음을 경보기(21)를 통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리밋스위치(20)는 래칫기어(12)의 회전을 통해 작동되게 이루어지며, 리밋스위치(20) 뿐만 아니라, 광센서 및 충격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도어(2)가 잠긴상태에서, 불법으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음으로 알리거나 또는, 유,무선 송수신방식으로 불법침입 및 도난 등을 알리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은 화재시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제연방지를 위한 방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난 및 보안을 위한 방범용 도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연구역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는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폐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방화문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어(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켜 래칫(13)을 전진시켜 래칫기어(12)와 맞물려지게 하여, 회전되지 않게 하면, 방화문을 항시 개방된 상태로 별도의 버팀목이나 지지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연구역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화재 발생시 연기가 제연구역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방화문이 닫힌 상태에서, 개방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폐쇄시 킬 수 있으므로, 제연 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연구역 방화문이 닫힌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방화문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연구역으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여 화재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도난 및 보안 경비를 위한 방범기능을 병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CCD카메라를 설치하여 억지로 문을 열거나, 중앙에서 수동스위치 잠금상태에서 문을 열려고 하거나, 현관에 설치된 문에 입력시키는 비밀번호가 틀릴경우 녹화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한다.
도 1은 종래의 방화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도어 3 : 도어틀
10 : 도어클로저 11 : 고정축
12 : 래칫기어 13 : 래칫
14 : 솔레노이드 15 : 작동바
16 : 지지편 17 : 암
20 : 리밋스위치 21 : 경보기
30 : 중앙관리실 31 : 송수신부
32 : 제어부 33 : 경보발생부
34 : 디스플레이부 40 : 센서부
41 : 송신부 42 : 열감지기
43 : 연기감지기 50 : 개폐장치
51 : 수신부 52 : 솔레노이드제어부
53 : 솔레노이드 60 : CCD카메라
70 : 수동스위치

Claims (4)

  1. 도어의 일측면 상부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되고,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는 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암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와 암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방범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방범 방화문에 설치된 개폐장치(50)와 연결되는 송수신부(31)와 송수신부(31)에 연결되는 제어부(32), 제어부(32)에 연결되는 경보발생부(33)와 디스플레이부(34)로 구성되는 중앙관리실(30);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되며, 솔레노이드(14)는 중앙관리실(30)의 제어부(32)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개폐장치(50);
    방범 방화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개폐장치(50)와 중앙관리실(30)에 연결 설치되는 CCD카메라(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장치(50)에 수동스위치(70)를 연결 설치하고, 수동스위치(70)를 중앙관리실(30)의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제어부(32)에 연결하며, 제어부(32)에서 수동스위치(7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관리실(30)과 CCD카메라(60)에 방범 방화문 인접한 곳에 설치된 센서부(40)를 연결하고, 센서부(40)는 열감지기(42)와 연기감지기(43)로 구성되며, 센서부(40)의 신호가 중앙관리실(30)의 디스플레이부(34)와 CCD카메라(60)의 작동스위치를 켜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4. 도어의 일측면 상부에 도어클로저가 설치되고, 도어클로저의 고정축에는 작동바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암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바와 암은 링크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클로저(10)의 고정축(11)에 래칫기어(12)가 결합되고, 래칫기어(12)의 일측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칫(13)이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되되,
    솔레노이드(14)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래칫(13)에 맞물려 고정된 래칫기어(12)의 움직임 및 충격을 감지하는 리밋스위치(20)가 구비되고, 리밋스위치(20)와 전기적인 신호방식으로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20-2005-0026077U 2005-09-09 2005-09-09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01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77U KR200401735Y1 (ko) 2005-09-09 2005-09-09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77U KR200401735Y1 (ko) 2005-09-09 2005-09-09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801A Division KR100734925B1 (ko) 2005-09-12 2005-09-12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735Y1 true KR200401735Y1 (ko) 2005-11-21

Family

ID=4370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077U KR200401735Y1 (ko) 2005-09-09 2005-09-09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7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15B1 (ko) * 2006-03-31 2007-08-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향성 감지 자동도어시스템 및개폐방법
KR101051129B1 (ko) 2009-04-27 2011-07-22 주창희 구동부와 제어장치를 일체로 갖는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폐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15B1 (ko) * 2006-03-31 2007-08-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향성 감지 자동도어시스템 및개폐방법
KR101051129B1 (ko) 2009-04-27 2011-07-22 주창희 구동부와 제어장치를 일체로 갖는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925B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CA2529642C (en) Door security device for use in security systems
IL99796A (en) Door locking system
GB2494229A (en) A fasten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KR200427721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120134700A (ko) 원격 제어 기능과 방범 기능을 갖추고 있는 방범 창문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US20060130404A1 (en) Quick release for security bars system
KR101777396B1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20180012422A (ko) 중문 자동 장치 및 시스템
JP5225713B2 (ja) 扉装置
JP2005248452A (ja) 施錠システム
JPH09184332A (ja) サッシ
TW201519171A (zh) 智能住宅管理系統
JP455980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KR101926998B1 (ko)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TWI807238B (zh) 門禁系統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JP2006097245A (ja) 防犯換気窓システム
KR101974013B1 (ko) 비상문 개방 경보 장치
KR102067908B1 (ko)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RU2350727C1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проникновения в помещение
JP2009102904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防犯装置
JP2008065746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8280777A (ja) 侵入監視領域の開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