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998B1 -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998B1
KR101926998B1 KR1020170167338A KR20170167338A KR101926998B1 KR 101926998 B1 KR101926998 B1 KR 101926998B1 KR 1020170167338 A KR1020170167338 A KR 1020170167338A KR 20170167338 A KR20170167338 A KR 20170167338A KR 101926998 B1 KR101926998 B1 KR 10192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window
spring
fir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재
Original Assignee
이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재 filed Critical 이학재
Priority to KR102017016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 E05B2045/0655Photo-di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는 물론 외부 침입자로 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에 스프링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한쌍의 스프링 가드로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설치된 걸쇠를 지지하되, 상기 걸쇠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걸려 잠금 작동한 상태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잠금을 해제함과 함께 및 방범창(또는 방충망)이 스프링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자동 개방하여 신속한 안전 탈출이 가능하고, 또한 외부 침입자의 접근이나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충격을 가하는 훼손시 경고 작동과 외부로 신호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므로 안전성 및 보안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crime prevention window}
본 발명은 화재는 물론 외부 침입자로 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잠금 수단을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잠금 해제 및 개방하여 신속한 안전 탈출이 가능하게 하고, 외부 침입 감지시 경보 작동하므로 안전성 및 보안성이 우수한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 고정식 방범창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고정식 방범창은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 거주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 외부로 탈출하거나, 소방대원과 같은 구조자가 창문을 통해 건물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거주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방범창을 고정식이 아닌 개방식으로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방범 등에 문제가 있고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시 방범창을 쉽게 개폐할 수 없어 사용상의 제약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범창에 안전 장치를 부가하는 기술이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방범창을 슬라이드 개폐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07319호에서는 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기를 통해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 되어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되어 로커가 회동하여 창문의 잠금 상태가 자동 해제되도록 하므로 위급 상황시 방범창을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방범창의 안전 장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로커가 축 회전하면서 걸림 홈에 방범창의 걸쇠가 풀리는 구조로 설치는 물론 작동 구조가 복잡하고 방범창의 걸쇠가 로커의 걸림 홈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는 경우에 방범창이 열리지 않고 걸려 신속한 탈출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종래 방범창의 안전 장치는 방범창의 잠금 해제 상태를 탈출자가 확인할 수 없고, 방범창이 자동으로 열려 있지도 않아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 방범창의 개폐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신속한 탈출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화재 상황 이외에 비상 상황시 방범창을 개방하여 탈출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와 화재 이외의 침입자가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 기능이 부족하여 방범창의 안전성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7319호(2003년03월03일) 등록특허 제10-1284234호(2013년07월03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잠금 수단을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잠금 해제 및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자동 개방하여 신속한 안전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외부 침입자의 접근이나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충격을 가하는 훼손시 경고 작동과 외부로 신호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므로 안전성 및 보안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 설치하는 설치 프레임과, 상기 설치 프레임 양 측방에 전후로 형성된 가이드 공간부에 삽입되어 잠금 해제 작동시 스프링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 이동 작동하는 한쌍의 스프링 가드와, 상기 한쌍의 스프링 가드 외측의 걸림 턱부에 걸려 잠금 해제 작동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자동 개방 작동하도록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결합 설치되는 걸쇠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및, 상기 걸쇠의 외측 중앙을 로드 돌출 상태로 지지하여 잠금 작동하되, 상기 화재 감지기에 의한 화재 감지시 잠금 해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솔레노이드는 푸쉬하는 것에 의해 함몰시켜 걸쇠의 잠금 작동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버튼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침입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침입자의 방범창(또는 방충망) 훼손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에 의해 외부 침입을 감지하여 경보 작동하는 경보기를 더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치 프레임에는 화재 감지 또는 적외선 센서와 충격 센서에 의한 외부 침입 감지시 소방서 또는 경찰서, 보안 업체, 설정 입력된 휴대폰으로 비상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에 스프링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한쌍의 스프링 가드로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설치된 걸쇠를 지지하되, 상기 걸쇠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걸려 잠금 작동한 상태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잠금을 해제함과 함께 및 방범창(또는 방충망)이 스프링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자동 개방하여 신속한 안전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안전성이 더욱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외부 침입자의 접근이나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충격을 가하는 훼손시 경고 작동과 외부로 신호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므로 안전성 및 보안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범창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잠금 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잠금 장치의 장금 상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배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프레임(10)과, 스프링 가드(20)와, 걸쇠(30), 솔레노이드(40) 및 화재 감지기(50)로 설치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 프레임(10)은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창틀 프레임(3) 내측에 고정 설치하되, 사각 형태의 몸체(11)로 형성하고 일측 양단에 창틀 프레임(3)에 고정 부재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 플랜지(11a)와 창틀 프레임에 삽입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11b)을 형성하며 양 측방에 가이드 공간부(12)와 내측 중앙에 각종 부품의 조립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부(1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 가드(20)는 설치 프레임 양 측방에 전후로 형성된 가이드 공간부(12)에 삽입되어 잠금 해제 작동시 스프링(25)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 이동 작동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 가드(20)는 전후좌우 모서리 위치로 지지 다리(21)를 돌출 형성하여 가이드 공간부(12)에서 일정하게 이동 안내됨은 물론 내부로 스프링(25)을 내 삽입 위치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가드(20)는 내측면에 걸림 턱부(2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걸림 턱부(22)는 가이드 공간부(12)의 개방홈(12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쇠(30)는 스프링 가드(20)의 걸림 턱부(22)에 걸려 잠금 해제 작동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방범창(또는 방충망)(2)을 자동 개방 작동하도록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결합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걸쇠(30)는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프레임 안쪽에 직접 고정 설치하거나 프레임 안쪽을 일부 절개 형성한 홈부(2a) 위치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솔레노이드(40)는 설치 프레임의 설치 공간부(13)에 결합되어 걸쇠(30) 외측 중앙 위치로 로드(42)가 돌출 또는 함몰 작동하면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하되, 화재 감지기(50)의 화재 감지 작동과 연동하여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잠금 해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솔레노이드(40)에 의한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잠금 해제 작동과 함께 방범창(또는 방충망)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스프링 가드(20)에 의해 개방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40)는 비상 상황 또는 환기 목적으로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개방하고자 할 때 버튼(45)을 푸쉬 작동하는 것에 의해 수동으로 함몰시켜 걸쇠(30)의 잠금 작동을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재 감지기(50)는 열 감지 및 연기 감지 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 프레임(10)에는 침입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침입자의 방범창(또는 방충망) 훼손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에 의해 외부 침입을 감지하여 경보 작동하는 경보기(60)를 더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경보기(60)는 적외선 센서에 의한 침입자의 접근 감지시 침입자의 접근이 가까워질수록 경보음의 소리가 점점 더 크게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설치 프레임(10)에는 화재 감지 또는 적외선 센서와 충격 센서에 의한 외부 침입 감지시 소방서 또는 경찰서, 보안 업체, 설정 입력된 휴대폰 등으로 비상 신호를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를 행하도록 유도하는 신호 송출부(70)를 더 설치 구성한다.
미 설명 부호로서, 33은 걸쇠 고정 부재, 80은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방범창(2)이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3)의 내측에 설치 프레임(10)을 이용하여 간단히 조립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설치 프레임(10)의 설치 공간부(13)에 각종 부품을 기 조립한 상태에서 설치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형성된 삽입홈(11b)으로 창틀 프레임의 내측 돌기(3a)를 끼움 결합하고, 결합 플랜지(11a)에 고정 부재를 삽입 체결하여 창틀 프레임에 유동 방지되게 간단히 조립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열 또는 연기를 감지 작동하는 화재 감지기(5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40)의 로드(42)가 돌출 상태에서 함몰 작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42) 함몰에 의해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걸쇠(30)를 잠금 작동하고 있던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쇠(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설치 프레임(10)의 양 측방 가이드 공간부(12)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스프링 가드(20)가 스프링(25)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 가드(20)가 전진 이동하면서 스프링 가드의 걸림 턱부(22)에 지지되어 있던 걸쇠(30)를 함께 전진 이동시켜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잠금을 해제 작동함과 동시에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자동 개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내부 거주자가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개방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화재 이외의 비상 상황에서 내부 거주자가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통해 비상 탈출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환기 목적시에는 버튼(45)의 푸쉬 작동에 의해 솔레노이드(40)의 로드(42)를 수동으로 함몰시켜 걸쇠(30)의 잠금을 해제 작동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방범창(또는 방충망)이 자동 개방되어 비상 탈출이나 환기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외부 침입에 대해 경보 작동도 한데, 이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침입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경보기(60)에서 경보 작동하되, 침입자의 접근이 가까워질수록 경보음의 소리가 점점 더 크게 출력하게 하고, 충격 센서에 의해 침입자의 방범창(또는 방충망) 훼손을 감지하므로 비상 상황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화재 감지 또는 적외선 센서와 충격 센서에 의한 외부 침입 감지시 경보 작동 이외에 신호 송출부(70)에서 소방서 또는 경찰서, 보안 업체, 설정 입력된 휴대폰 등으로 비상 신호를 송출하므로 비상 상황에 대해 신속한 대처를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스프링이 배제된 구조로서 창틀 프레임(3)에 고정 설치하는 설치 프레임(10)과, 창틀 프레임(3)에서 슬라이드 개폐 작동하는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결합 설치되는 걸쇠(30)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50) 및,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걸쇠의 외측 중앙을 로드 돌출 상태로 지지하여 잠금 작동하되, 상기 화재 감지기에 의한 화재 감지시 또는 버튼(45) 누름 작동으로 잠금 해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40) 및, 상기 솔레노이드의 잠금 해제 작동시 서보 모터(M)의 구동력, 피니언(47)과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창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래크(46)의 치합 구조에 의해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자동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90)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 프레임(10)에는 타이머를 부착 설치하여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일정 시간 개방 후 다시 폐쇄하도록 작동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메쉬형은 물론 자바라형의 방범창(또는 방충망) 이외에 내연창 등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 프레임(10)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화재 감지 또는 적외선 센서와 충격 센서에 의한 감지 작동시 경보 작동하는 경보기(60)와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70)가 동일하게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재 감지시 솔레노이드(40)의 작동으로 걸쇠(30)의 잠금 작동을 해제한다.
물론, 비상 상황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수동 조작할 수도 있는데, 이는 버튼(45)에 의해 솔레노이드(40)를 작동시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잠금 작동을 해제한 후 개폐 구동부(90)의 서보 모터(M) 작동으로 피니언(47)과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결합되어 있는 래크(46) 치합 구조에 의해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자동 개폐하므로 안전한 탈출 및 환기 등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개폐 작동부(70)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 개방 및 폐쇄 작동시킬 수 있어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에도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자동 개폐에 의해 더욱 안전하고 더욱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방범창(또는 방충망)의 잠금 수단을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잠금 해제 및 방범창(또는 방충망)을 자동 개방하여 신속한 안전 탈출이 가능하고, 그 밖에 화재 또는 외부 침입자의 접근이나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충격을 가하는 훼손시 경고 작동과 외부로 신호 송출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므로 안전성 및 보안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10: 설치 프레임 12: 가이드 공간부
20: 스프링 가드 22: 걸림 턱부
25: 스프링 30: 걸쇠
40: 솔레노이드 50: 화재 감지기
60: 경보기 70: 신호 송출부

Claims (5)

  1. 창틀 프레임(3)에 고정 설치하는 설치 프레임(10)과,
    상기 설치 프레임의 양 측방 전후로 형성된 가이드 공간부(12)에 삽입되어 잠금 해제 작동시 스프링(25)의 탄발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 이동 작동하는 한쌍의 스프링 가드(20)와,
    상기 한쌍의 스프링 가드(20) 외측의 걸림 턱부(22)에 걸려 잠금 해제 작동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방범창(또는 방충망)(2)을 자동 개방 작동하도록 방범창(또는 방충망)에 결합 설치되는 걸쇠(30)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50) 및,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걸쇠의 외측 중앙을 로드 돌출 상태로 지지하면서 잠금 작동하되, 상기 화재 감지기에 의한 화재 감지시 잠금 해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40)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40)는 버튼(45)의 푸쉬 작동에 의해 걸쇠(30)의 잠금 작동을 수동으로 해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10)에는 침입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침입자의 방범창(또는 방충망) 훼손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에 의해 외부 침입을 감지하여 경보 작동하는 경보기(60)를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10)에는 화재 감지 또는 적외선 센서와 충격 센서에 의한 외부 침입 감지시 소방서 또는 경찰서, 보안 업체, 설정 입력된 휴대폰으로 비상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70)를 더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5. 삭제
KR1020170167338A 2017-12-07 2017-12-07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KR10192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38A KR101926998B1 (ko) 2017-12-07 2017-12-07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338A KR101926998B1 (ko) 2017-12-07 2017-12-07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998B1 true KR101926998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338A KR101926998B1 (ko) 2017-12-07 2017-12-07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406B1 (ko) * 2022-05-27 2022-12-20 주식회사 한일윈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319Y1 (ko) * 2002-12-04 2003-04-21 이택수 방범창의 잠금장치
KR101737562B1 (ko) * 2016-04-22 2017-05-29 채창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319Y1 (ko) * 2002-12-04 2003-04-21 이택수 방범창의 잠금장치
KR101737562B1 (ko) * 2016-04-22 2017-05-29 채창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406B1 (ko) * 2022-05-27 2022-12-20 주식회사 한일윈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005B1 (en) Emergency release burglar bars actuated by smoke alarm
US4685316A (en) Window guard latch with emergency release
US4111477A (en) Window guard release
US6454324B1 (en) Electronic door control and light
KR101849386B1 (ko)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0734925B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1926998B1 (ko)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US5410841A (en) Sliding door and window security means
US6634681B1 (en) Security bar release mechanism
US3794365A (en) Inside emergency exit latch
US20080100465A1 (en) Secured and alarmed window and entry way
JP2010007309A (ja)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KR200459369Y1 (ko) 방범 창호장치
US20040055218A1 (en) Safety window
KR102523037B1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2067908B1 (ko)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KR101575900B1 (ko) 도어락 기능을 갖는 방범창
JP5014057B2 (ja) 玄関ドア
JP2009102904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防犯装置
KR101588125B1 (ko) 도어 잠금 해제장치
JPH05182085A (ja) 盗難防止システム
KR960018139A (ko) 개폐식 방범 창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