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406B1 -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406B1
KR102478406B1 KR1020220065497A KR20220065497A KR102478406B1 KR 102478406 B1 KR102478406 B1 KR 102478406B1 KR 1020220065497 A KR1020220065497 A KR 1020220065497A KR 20220065497 A KR20220065497 A KR 20220065497A KR 102478406 B1 KR102478406 B1 KR 10247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locking
iot modu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윈
Priority to KR102022006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배연창부와 방범 방충망부가 동시에 개방되게 제어됨에 따라 빠른 대피가 가능한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Fire-resistant smoke exhaust window and crime prevention insect net opening system using IoT module}
본 발명은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배연창부와 방범 방충망부가 동시에 개방되게 제어됨에 따라 빠른 대피가 가능한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연기와 유독가스 등이 발생하게 되어 거주자의 대피를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질식사고에 의한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법상 6층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시 의무적으로 건물내의 연기나 유독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연설비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연설비의 예로 건물 외벽에 외부와 접하는 배연창을 설치하고, 화재시 배연창을 강제로 개방할 수 있는 배연창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건물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감지기나, 연동제어반의 신호에 따라 배연창개폐장치를 작동하여 배연창을 강제로 개방시켜 연기나 유독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발생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축물에는 방범의 목적으로 잠금장치가 구비된 방범 방충망을 많이 설치하고 있은데, 이러한 방범 방충망의 잠금장치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한국등록특허 제10-1554332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창틀에 설치되며, 상기 창틀로부터 상기 프레임이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본체부로부터 탈착되거나, 상기 창틀로부터 상기 프레임이 이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부착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본체부가 상기 제1본체부로부터 탈착되도록 회동하는 회동부; 및 상기 제1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저지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이 되고 있으나, 화재 발생시,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대피하기 위해서는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선행해야 됨에 따라 화재발생에 빠르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4332호 (2015.09.14.등록)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발생시, 배연창부와 방범 방충망부가 동시에 개방되게 제어됨에 따라 빠른 대피가 가능한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감지부를 통해 1차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부를 통해 2차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의 판단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측벽에 구비된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연창(110) 및 상기 배연창(110)이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는 배연창 개폐부(120)를 포함하는 배연창부(100);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창호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방충망(210) 및 상기 방충망(210)이 닫힌 상태일 때, 이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잠금부(220)를 포함하는 방범 방충망부(200); 복수 개가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IoT모듈(400)로 전달하는 화재감지부(300); 및 상기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적절한 작동 신호를 배연창부(100) 및 방범 방충망부(200)로 전달하는 IoT모듈(4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연창 개폐부(120)는, 동력원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연창(110)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개폐용 구동부(121); IoT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oT모듈(400)을 통해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개폐용 제어부(123)로 전달하는 개폐용 송수신부(122); 및 상기 개폐용 송수신부(122)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 신호인 경우, 상기 배연창(110)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용 구동부(121)로 구동신호가 송출되는 개폐용 제어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220)는, 일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에 기어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충망(210)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한 쌍이 서로 대칭되어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는 잠금용 고리부(221);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되, 연장방향 일단과 타단에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의 고리가 삽입 체결되는 걸쇠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210)이 구비된 창호의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는 잠금용 걸쇠부(222); 한 쌍의 잠금용 고리부(2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동작되게 하는 잠금용 구동부(223); IoT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oT모듈(400)을 통해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잠금용 제어부(225)로 전달하는 잠금용 송수신부(224); 및 상기 잠금용 송수신부(224)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 신호인 경우, 상기 잠금부(22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용 구동부(223)로 구동신호가 송출되는 잠금용 제어부(22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화재감지부(300)는,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화재감지센서(310); 화재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촬영부(320);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되, 상기 촬영부(32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영상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정보들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값을 IoT모듈(400)로 전달하는 감지용 제어부(330); 및 감지용 제어부(33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IoT모듈(400)로 전달하되, 상기 IoT모듈(4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감지용 송수신부(3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측정값과 기설정된 화재감지 설정값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1차로 판단한 뒤, 상기 촬영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적외선 이미지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2차로 판단하게 되며, 이후, 1차 판단 결과와 2차 판단 결과를 비교하여 판단 결과가 모두 화재 발생인 상태이면, 최종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때의 감시 영역을 촬영한 기준 이미지 영상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 영상은, 상기 촬영부(320)에 의해 미리 촬영되어 저장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화재발생 여부의 1차 판단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기존의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 환경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감시 구역을 다시 촬영하게 되고, 이를 기준 이미지 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자동으로 기준 이미지 영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oT모듈(400)은, 관리서버(S) 및 사용자 단말기(P)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배연창부와 방범 방충망부가 동시에 개방되게 제어됨에 따라 빠른 대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감지부를 통해 1차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부를 통해 2차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의 판단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연창부의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2a는 슬라이드식인 배연창부의 도면이고, 도 2b는 체인식인 배연창부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연창 개폐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범 방충망부의 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재감시부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배연창부와 방범 방충망부가 동시에 개방되게 제어됨에 따라 빠른 대피가 가능한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연창부(100), 방범 방충망부(200), 화재감지부(300) 및 IoT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배연창부(100)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건축물의 측벽에 구비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상술하면, 상기 배연창부(100)는 건축물의 측벽에 구비된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연창(110) 및 상기 배연창(110)이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는 배연창 개폐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연창(110)은 도 2a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또는 도 2b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연창 개폐부(120)는 개폐용 구동부(121), 개폐용 송수신부(122) 및 개폐용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용 구동부(121)는 동력원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연창(110)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는데, 이는 배연창(110)의 개폐 방법에 따라 적절한 구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개폐용 송수신부(122)는 IoT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oT모듈(400)을 통해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개폐용 제어부(123)로 전달한다.
상기 개폐용 제어부(123)는 상기 개폐용 송수신부(122)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 신호인 경우, 상기 배연창(110)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용 구동부(121)로 구동신호가 송출되게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범 방충망부(200)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창호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방충망(210) 및 상기 방충망(210)이 닫힌 상태일 때, 이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잠금부(220)를 포함한다.
상술하면, 상기 방충망(210)은 메쉬망의 외측 둘레를 프레임이 감싼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이 창호의 창틀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창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슬라이딩식 방충망의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220)는 상기 방충망(210)이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외부 침입을 방지하는 한편, 필요시 잠금이 해제되면서 상기 방충망(210)의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부(220)는 잠금용 고리부(221), 잠금용 걸쇠부(222), 잠금용 구동부(223), 잠금용 송수신부(224) 및 잠금용 제어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는 일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에 기어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충망(210)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한 쌍이 서로 대칭되어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는 한 쌍의 고리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호 구성이 연동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잠금용 걸쇠부(222)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되, 연장방향 일단과 타단에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의 고리가 삽입 체결되는 걸쇠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210)이 구비된 창호의 프레임 일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잠금용 걸쇠부(222)는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고리가 상기 걸쇠홈에 인입되면 방충망(210)과 배연창(110)이 서로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가 반대로 회동되면서 고리가 상기 걸쇠홈에서 인출되면 방충망(210)과 배연창(110)의 고정이 해제되게 한다.
한편, 상기 잠금용 구동부(223)는 한 쌍의 잠금용 고리부(2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동작되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잠금용 구동부(223)는 한 쌍의 잠금용 고리부(221) 중 하나의 잠금용 고리부(221)의 기어와 맞물리게 구비되는 구동기어(223a) 및 상기 구동기어(223a)가 회전되게 하는 잠금모터(2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모터(223b)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223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가 오므려지게 회동되면서 상기 잠금용 걸쇠부(222)와 고정된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기어(223a)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잠금용 걸쇠부(222)와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용 송수신부(224)는 IoT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oT모듈(400)을 통해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잠금용 제어부(225)로 전달한다.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는 상기 잠금용 송수신부(224)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 신호인 경우, 상기 잠금부(22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용 구동부(223)로 구동신호가 송출되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부(300)는 복수 개가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IoT모듈(400)로 전달하는데, 이를 위해, 화재감지센서(310), 촬영부(320), 감지용 제어부(330) 및 감지용 송수신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는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는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적외선감지기 등의 다양한 화재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복합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측정된 정보는 측정값(수치)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320)는 화재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술하면, 상기 촬영부(320)는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되어 화재감시 지역을 적외선 영상으로 촬영하여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이미지 영상을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촬영부(320)는 이후 후술할 감지용 제어부(330)에 의해 줌인, 줌아웃, 포커싱 및 트래킹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촬영부(320)의 구동장치는 이미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되, 상기 촬영부(32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영상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정보들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값을 IoT모듈(400)로 전달한다.
상술하면,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측정값과 기설정된 화재감지 설정값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1차로 판단한 뒤, 상기 촬영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적외선 이미지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2차로 판단하게 되며, 이후, 1차 판단 결과와 2차 판단 결과를 비교하여 판단 결과가 모두 화재 발생인 상태이면, 최종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전달받은 측정값이 기설정된 설정값의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화재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전달받은 측정값이 설정값의 수치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에는 화재가 발생하기 않은 상태일 때의 감시 영역을 촬영한 기준 이미지 영상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화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기준 이미지 영상은 상기 촬영부(320)에 의해 미리 촬영되어 저장되는데, 이는 건축물 내의 인테리어가 변화되는 등의 실내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화재발생 여부의 1차 판단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기존의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 환경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감시 구역을 다시 촬영하게 되고, 이를 기준 이미지 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게 한다.
한편, 수동으로 업데이트 시, 사용자가 관리서버(S) 또는 단말기를 통해 감시 구역을 다시 촬영하여 기준 이미지 영상으로 저장하게 함으로써 수동으로 기준 이미지 영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전달받은 적외선 이미지 영상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을 각각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화재 구역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동일한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게 되고, 분할된 각 구역의 영상에서 화염 특성 및 연기 특성을 추출하여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구역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을 분석하여 화염 특성 및 연기 특성을 도출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2차례에 걸쳐 화재 감지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두 결과값이 모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결과를 도출하여 감지 오류를 줄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감지용 송수신부(340)는 감지용 제어부(33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IoT모듈(400)로 전달하되, 상기 IoT모듈(4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IoT모듈(400)은 상기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적절한 작동 신호를 배연창부(100) 및 방범 방충망부(200)로 전달한다.
상술하면, 상기 IoT모듈(400)은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연창부(100)가 개방되게 구동명령을 전달하는 한편, 상기 방범 방충망부(200)의 잠금이 해제되게 구동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연창부(100)와 방범 방충망부(200)는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바로 개방되어 실내의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가 쉽게 탈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IoT모듈(400)은 관리서버(S) 및 사용자 단말기(P)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 결과를 관리서버(S) 및 사용자 단말기(P)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S)는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를 화면출력장치로 전달하여 시각정보로 송출되게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P)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화재감지 결과를 시각정보로 송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oT모듈(400)은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측정된 감지값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상기 관리서버(S) 및 사용자 단말기(P)로 전달하여 시각정보로 송출되게 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화재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IoT모듈(400)은 상기 배연창부(100)와 방범 방충망부(200)의 구동상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IoT모듈(400)은 화재발생 시, 배연창부(100)와 방범 방충망부(200)가 정확하게 동작하고 있는지 전달받아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상태에서 배연창부(100)와 방범 방충망부(200)의 동작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서버(S) 또는 사용자 단말기(P)로 비상신호를 전달하여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방범 방충망부(200)에는 잠금 고리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로 전달하는 동작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방범 방충망부(200)의 오작동에 의한 인명피해를 더욱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IoT모듈(400)에는 건축물의 창호의 위치정보, 복수 개의 방범 방충망부(200)가 구비된 위치정보, 건물 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램프(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의 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되며, 상기 램프 및 스피커는 IoT모듈(4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건축물 내에 사람이 잔존하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나 방범 방충망부(200)가 오작동되어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방충망(210)을 실내에서 개방하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방충망(21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는 상기 동작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정보를 분석하여 하중이 실내에서 방충망(21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되, 가해진 하중의 크기가 기설정된 힘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IoT모듈(4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다시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결과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방범 방충망부(2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부(220)로 구동신호를 재송출한다.
이후,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는 다시 구동신호를 송출한 뒤에도 동작센서에 비슷한 하중정보가 가해지는 비상상태가 지속되면, 해당 방범 방충망부(200)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IoT모듈(400)로 비상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IoT모듈(400)은 비상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면 건축물 내의 창호의 위치정보와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하여 문제가 발생된 방범 방충망부(200)에서 인접한 위치의 탈출이 가능한 창호를 선별하고, 해당 창호로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선별된 창호와 근접한 위치의 램프 또는 스피커로 대피신호를 송출하여 시각정보 또는 소리정보로서 사용자의 탈출을 도움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S : 관리서버 P : 사용자 단말기
100 : 배연창부 110 : 창문
120 : 배연창 개폐부 121 : 개폐용 구동부
122 : 개폐용 송수신부 123 : 개폐용 제어부
200 : 방범 방충망부 210 : 방충망
220 : 잠금부 221 : 잠금용 고리부
222 : 잠금용 걸쇠부 223 : 잠금용 구동부
223a : 구동기어 223b : 잠금모터
224 : 잠금용 송수신부 225 : 잠금용 제어부
300 : 화재감지부 310 : 화재감지센서
320 : 촬영부 330 : 감지용 제어부
340 : 감지용 송수신부
400 : IoT모듈

Claims (9)

  1. 건축물의 측벽에 구비된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연창(110) 및 상기 배연창(110)이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는 배연창 개폐부(120)를 포함하는 배연창부(100);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창호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방충망(210) 및 상기 방충망(210)이 닫힌 상태일 때, 이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잠금부(220)를 포함하는 방범 방충망부(200);
    복수 개가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IoT모듈(400)로 전달하는 화재감지부(300); 및
    상기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적절한 작동 신호를 배연창부(100) 및 방범 방충망부(200)로 전달하는 IoT모듈(400);
    을 포함하며,
    상기 배연창 개폐부(120)는,
    동력원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연창(110)을 개폐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개폐용 구동부(121);
    IoT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oT모듈(400)을 통해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개폐용 제어부(123)로 전달하는 개폐용 송수신부(122); 및
    상기 개폐용 송수신부(122)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 신호인 경우, 상기 배연창(110)이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용 구동부(121)로 구동신호가 송출되는 개폐용 제어부(123);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220)는,
    일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에 기어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충망(210)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한 쌍이 서로 대칭되어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는 잠금용 고리부(221);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되, 연장방향 일단과 타단에 상기 잠금용 고리부(221)의 고리가 삽입 체결되는 걸쇠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210)이 구비된 창호의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는 잠금용 걸쇠부(222);
    한 쌍의 잠금용 고리부(221)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동작되게 하는 잠금용 구동부(223);
    IoT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oT모듈(400)을 통해 화재감지부(3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잠금용 제어부(225)로 전달하는 잠금용 송수신부(224); 및
    상기 잠금용 송수신부(224)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화재감지 결과가 화재 발생 신호인 경우, 상기 잠금부(22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용 구동부(223)로 구동신호가 송출되는 잠금용 제어부(225);
    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부(300)는,
    건축물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화재감지센서(310);
    화재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촬영부(320);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되, 상기 촬영부(32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영상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정보들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값을 IoT모듈(400)로 전달하는 감지용 제어부(330); 및
    감지용 제어부(33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IoT모듈(400)로 전달하되, 상기 IoT모듈(40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로 전달하는 감지용 송수신부(340);
    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측정값과 기설정된 화재감지 설정값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1차로 판단한 뒤, 상기 촬영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적외선 이미지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2차로 판단하게 되며, 이후, 1차 판단 결과와 2차 판단 결과를 비교하여 판단 결과가 모두 화재 발생인 상태이면, 최종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때의 감시 영역을 촬영한 기준 이미지 영상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화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방범 방충망부(200)에는,
    잠금용 고리부(221)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로 전달하는 동작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IoT모듈(400)에는,
    건축물의 창호의 위치정보, 복수 개의 방범 방충망부(200)가 구비된 위치정보, 건물 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램프(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의 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램프 및 스피커는 IoT모듈(4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는,
    상기 동작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정보를 분석하여 하중이 실내에서 방충망(21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되, 가해진 하중의 크기가 기설정된 힘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IoT모듈(400)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다시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결과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방범 방충망부(2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잠금부(220)로 구동신호를 재송출하며,
    상기 잠금용 제어부(225)는,
    다시 구동신호를 송출한 뒤에도 상기 동작센서에 비슷한 하중정보가 가해지는 비상상태가 지속되면, 해당 방범 방충망부(200)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IoT모듈(400)로 비상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IoT모듈(400)은,
    비상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면 건축물 내의 창호의 위치정보와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하여 문제가 발생된 방범 방충망부(200)에서 인접한 위치의 탈출이 가능한 창호를 선별하고, 선별된 창호와 근접한 위치의 램프 또는 스피커로 대피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준 이미지 영상은,
    상기 촬영부(320)에 의해 미리 촬영되어 저장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데이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용 제어부(330)는,
    화재발생 여부의 1차 판단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기존의 기준 이미지 영상과 촬영된 이미지 영상을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 환경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감시 구역을 다시 촬영하게 되고, 이를 기준 이미지 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자동으로 기준 이미지 영상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400)은,
    관리서버(S) 및 사용자 단말기(P)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 결과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KR1020220065497A 2022-05-27 2022-05-27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KR10247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97A KR102478406B1 (ko) 2022-05-27 2022-05-27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97A KR102478406B1 (ko) 2022-05-27 2022-05-27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406B1 true KR102478406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497A KR102478406B1 (ko) 2022-05-27 2022-05-27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4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890A (ko) * 2000-10-12 2002-03-07 민용 창문 잠금장치
KR101554332B1 (ko) 2015-03-09 2015-09-18 주식회사 윈하우징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잠금장치
KR101926998B1 (ko) * 2017-12-07 2018-12-07 이학재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KR20190061623A (ko) * 2017-11-28 2019-06-05 (주)거광기업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20190130801A (ko) * 2018-05-15 2019-11-25 (주)엠아이웨어 단독형 화재 경보기와 가시광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융합형 화재 경보 시스템
KR20210018602A (ko) * 2019-08-06 2021-02-18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890A (ko) * 2000-10-12 2002-03-07 민용 창문 잠금장치
KR101554332B1 (ko) 2015-03-09 2015-09-18 주식회사 윈하우징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잠금장치
KR20190061623A (ko) * 2017-11-28 2019-06-05 (주)거광기업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101926998B1 (ko) * 2017-12-07 2018-12-07 이학재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KR20190130801A (ko) * 2018-05-15 2019-11-25 (주)엠아이웨어 단독형 화재 경보기와 가시광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융합형 화재 경보 시스템
KR20210018602A (ko) * 2019-08-06 2021-02-18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233B2 (en) Barrier operator control of a camera
KR101213181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도어록 시스템
EP34322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alternate communication path between a central monitoring station and a connected security/control system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KR102478406B1 (ko)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KR100797517B1 (ko)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BR112020018408B1 (pt) Uma unidade de monitoramento para um sistema de vigilância e um sistema de vigilância compreendendo tal unidade de monitoramento
KR200382262Y1 (ko) 가정용 보안 시스템
KR20060036364A (ko)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20070012908A (ko)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1131659B1 (ko)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JP4367066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並び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JP2005076324A (ja) 防犯シャッタ及びこれが用いられる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KR200366600Y1 (ko) 보안용 도어락 시스템
JP2010138567A (ja) 施錠確認機能付き窓及び画像処理装置
KR200372729Y1 (ko)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JP2006083529A (ja) 自動ドア
KR102379817B1 (ko) 가정에서의 통합 화재감지 정보 전파 및 화재 소화 시스템
KR101402694B1 (ko)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0851453B1 (ko) 외부 화재발생시 자동 차단되는 도어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2209122B1 (ko) 건축물의 침입관리를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JP3102020U (ja) 住宅の二重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