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908A -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908A
KR20070012908A KR1020050067142A KR20050067142A KR20070012908A KR 20070012908 A KR20070012908 A KR 20070012908A KR 1020050067142 A KR1020050067142 A KR 1020050067142A KR 20050067142 A KR20050067142 A KR 20050067142A KR 20070012908 A KR20070012908 A KR 2007001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automatic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174B1 (ko
Inventor
나은수
이종세
Original Assignee
나은수
이종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은수, 이종세 filed Critical 나은수
Priority to KR102005006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내외측에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한 터치 패널을 설치하여 방문자의 비밀번호, 지문 또는 홍채 등에 의한 입력 방식에 의해 이차(二次)에 걸쳐 도어 핸들의 사용 없이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개폐할 수 있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는, 여닫이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이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며 상기 문틀의 상측의 은폐된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회전축과, 베벨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수평 회전 구동력을 수직 회전 구동력으로 전달하며, 상기 문틀의 일측 사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내설(內設)된 수직 회전축과, 일단은 상기 수직 회전축에 당접되며, 타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일측 사이드의 소정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힌지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동문의 개폐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보조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구동 수단은, 상기 문틀의 타측 사이드에 부착된 걸림쇠와, 상기 여닫이문의 타측 사이드에 상기 걸림쇠의 머리부가 삽탈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여닫이문의 일차 개폐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걸림쇠 삽탈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Opening and Shutting Type Automatic Door}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외측과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구동 장치의 요부 상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힌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보조 모터에 의한 구동 장치의 요부 상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걸림쇠에 의한 착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비상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외측 및 내측에 장착되는 전면 및 후면 패널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계폐 장치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
10: 여닫이문 11: 리벳 결합부
12: 걸림쇠 삽탈부
20: 문틀 30: 센서
50: 구동 장치 51: 구동 모터
52: 수평 회전축 53: 베벨 기어
54: 수직 회전축 55: 보조 모터
56: 회전축 57: 캠
60: 힌지부 70: 걸림쇠
71: 힌지 나사 72: 고정축
73: 상하 이동축 80: 비상 레버
400: 제어부 400A: 전면 패널부
400B: 후면 패널부
본 발명은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의 내외측에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한 터치 패널을 설치하여 방문자의 비밀번호, 지문 또는 홍채 등에 의한 입력 방식에 의해 도어 핸들의 사용 없이도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닫이문을 이차에 걸쳐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입자에 의한 침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안팎으로 여닫히며, 그 주요부분은 문을 지지하는 문틀과 이 문틀에 문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이루어져 문틀에서 문이 회전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문을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분은 문틀에 문을 고정하는 고정점이 되는 힌지부로서, 이 힌지부는 문과 문틀이 닿는 상,하부에 구성되어 문을 회전 가능하게 문틀에 지지시키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문을 밀거나 당기면 문은 이 힌지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순한 힌지 회전 중심형 여닫이문은 조작자가 인위적인 힘을 가함에 따라 열리고 닫히게 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닫힐 때는 유압이나 스프링 복원력의 반력(Reaction force)에 의해 닫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옆으로 여닫는 미닫이문은 편의성을 고려하여 슬라이드(Slide) 식 자동 개폐 방식이 도입되어 있는데, 주요 부분은 문의 가동 실린더나 회전체의 구동에 의해 문을 움직이는 구동장치와, 센서에 의한 검출정보 또는 전원 제어를 통해 구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통해 문을 미닫이식으로 여닫는 장치와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된바 있다.
문의 자동 개폐 방식의 적용은 문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도어 핸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출입자의 다양한 정보만으로 문을 여닫을 수 있음으로 문을 개폐하는데 드는 불편을 줄일 수가 있어서, 특히 옥내 출입문 부분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옆으로 밀고 닫는 미닫이식의 슬라이식 문 개폐에만 사용이 제한되어 있고, 여닫이문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종래의 단순한 힌지 회전 중심형 여닫이문은 침입자에 의해 힌지 구조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음으로 안정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등록된 비밀번호와 대조하여 진정한 사용자를 판단하고 전자 신호에 의해 문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비밀번호 입력방식과,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하여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지문입력방식과, 사용자의 홍채를 입력하여 등록된 홍채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홍채입력방식과, 방문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시스템에서 수신된 비밀번호를 해독하여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RF식 비밀번호 입력방식 등을 여닫이식 자동문에 적용한 것은 전혀 제안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닫이식문의 내외측에 노출된 도어 핸들을 요하지 않으면서 터치 스크린 방식(비밀번호, 지문 또는 홍채 등에 의한 사용자 정보 입력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이문을 개폐할 수 있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닫이문이 이차에 걸쳐 개폐가 이루어짐으로 침입자에 의해 침입이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는, 문틀에 힌지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여닫이식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이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며 상기 문틀의 상측의 은폐된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회전축과, 베벨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수평 회전 구동력을 수직 회전 구동력으로 전달하며, 상기 문틀의 일측 사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내설(內設)된 수직 회전축과, 일단은 상기 수직 회전축에 당접되며, 타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일측 사이드의 소정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문의 개폐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보조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구동 수단은, 상기 문틀의 타측 사이드에 그 머리부가 돌출 및 삽입되도록 부착된 걸림쇠와, 상기 여닫이문의 타측 사이드에 상기 걸림쇠의 머리부가 삽탈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여닫이문의 일차 개폐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걸림쇠 삽탈부와, 상기 구동 모터의 우측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쇠의 머리부가 상기 걸림쇠 삽탈부에 삽탈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보조 모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걸림쇠의 몸통 부분의 중앙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힌지 나사의 일단은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축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홀의 아래측으로 이격하여서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하 이동축에 결합고정되는 한편, 상기 상하 이동축은 그 상단이 상기 보조 모터의 회전축의 끝단에 형성된 캠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상하 이동축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쇠의 머리부가 상기 걸림쇠 삽탈부에 삽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외측에 설치되어 키조작에 따라 문의 개폐를 위한 임의의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를 갖는 버튼식 또는 터치 스크린식의 터치 패널과, 방문자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카메라를 구비한 전면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내측에 설치되며 방문자를 확인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방문자 촬상을 위한 촬상 모드 및 비밀 번호 등록을 위한 비밀 번로 조작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을 구비한 후면 패 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부 또는 여닫이문 외측에는 지문 입력 센서나 홍체 입력 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방문자의 접근이나, 방문자의 핸드폰 또는 리모컨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닫이문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 모터의 캠에 연결된 비상 레버가 부착되어 상기 비상 레버의 작동에 의해 수동으로 여닫이문이 개폐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외측과 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1)은 방화(防火), 방음(防音) 및 단열(斷熱)이 되는 재질을 사용하며, 특히, 인텔리젼스 아파트나 고급 펜션의 현관문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용도나 재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1)은 건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문틀(20)과, 문틀(20)에 일부분이 다수의 힌지부(60)(도 4 참조)에 의해 결합되는 여닫이문(10)과, 여닫이문(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도 9 참조) 에 연계되어 구성된 센서(30), 전면 패널부(400A) 및 후면 패널부(400B)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문이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센서(30)는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으며, 방문자의 핸드폰 또는 리모컨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여닫이식 자동문(1)의 측부에는 또 다른 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 방문자나 출입자가 끼었을 때 후술하는 베벨 기어가 헛돌게 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구동 장치(50)는 스텝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 전면 패널부(400A) 및 후면 패널부(400B)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구동 장치의 요부 상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힌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50)는 여닫이문(10)이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며 문틀(20)의 상측의 은폐된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51)와, 구동 모터(5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회전축(52)과, 베벨 기어(53)를 개재하여 수평 회전축(52)의 수평 회전 구동력을 수직 회전 구동력으로 전달하며, 문틀(20)의 일측 사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내설(內設)된 수직 회전축(5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베벨 기어대신에 체인이나 벨트 또는 그 등가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수개의 힌지부(60)는 일단이 수직 회전축(54)에 당접되며, 타단은 여닫이 문(10)의 일측 사이드의 소정 부위에 부착됨으로써, 구동 모터(51)가 작동하여 두 개의 수평 및 수직 회전축(52)(54)이 정역회전되어 수직 회전축(54)에 결합된 다수개의 힌지부(60)에 의해 여닫이문(10)이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힌지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수직 회전축(54)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그 타단은 여닫이문(10)의 일측 사이드의 소정 부위에 대략 사각형상의 리벳 결합부(11)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리벳 결합부(11)는 여닫이문(10)에 리벳 결합되어 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상기한 힌지부(60)의 결합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력의 전달방식만 동일하다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힌지부(60)가 4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이나 이하도 가능하며 그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보조 모터에 의한 구동 장치의 요부 상세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걸림쇠에 의한 착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50)는 구동 모터의 우측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는 보조 모터(55)를 더 포함하며, 보조 모터(55)는 다수의 걸림쇠(70)가 문틀(20)의 걸림쇠 삽탈부(12)에 삽탈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여 일차적으로 여닫이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대략 갈고리 형태의 다수의 걸림쇠(70)는 힌지부(60)가 형성되지 않은 문틀(20)의 타측 사이드의 소정 공간 부위에, 걸림쇠(70)의 머리부가 돌출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걸림쇠(70)의 몸통 부분의 대략 중앙에는 힌지홀(도 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힌지 나사(71)가 삽입되고 힌지 나사(71)의 일단은 문틀(20)의 상기 타측 사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축(7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힌지홀의 아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고정홈(도면 번호 미부여)을 형성하여 고정수단(74)을 통해, 역시 문틀(20)의 타측 사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하 이동축(73)에 결합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축(72)은 문틀(20)에 완전 고정되며, 상하 이동축(73)은 그 상단이 보조 모터(55)의 회전축(56)의 끝단에 형성된 캠(57)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쇠(70)는 힌지 나사(71) 및 고정축(72)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보조 모터(55)에 연결된 상하 이동축(73)의 상하 이동에 의해 걸림쇠(70)의 머리부가 돌출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으로, 힌지부(60)가 형성되지 않은 여닫이문(10)의 타측 사이드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쇠 삽탈부(12)에 삽탈될 수 있도록 되어 여닫이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보조 모터(55)의 구동에 의해 걸림쇠(70)가 걸림쇠 삽탈부(12)에 삽탈되어 일차적으로 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이어서 상기한 구동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힌지부(60)를 통해 이차적으로 문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보조 모터(55), 상하 이동축(73) 및 고정축(72) 등에 의해 걸림쇠(70)가 회전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그 결합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걸림쇠(70)가 회전되어 걸림쇠 삽탈부(12)에 그 머리부가 삽탈될 수 있다면 어떠한 결합구조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걸림쇠(70)가 4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이나 이하도 가능하며 그 개수에 제한되 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비상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레버(80)가 건물의 실내쪽의 문틀(20)의 사이드에 형성되어 화재나 정전 등의 비상시에 비상 레버(80)를 작동하여 다수의 걸림쇠(70)를 걸림쇠 삽탈부(12)로부터 분리하여 여닫이문(20)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상 레버(80)는 내부에 상하 이동축(73) 및 고정축(72) 등이 형성된 문틀(20)에 부착되며, 비상 레버(80)의 끝단은 보조 모터(55)의 회전축(56)의 캠(5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비상시, 비상 레버(80)를 앞으로 당겨서 좌로 또는 우로 돌리면, 보조 모터(55) 및 캠(57)이 작동되어 상하 이동축(73)이 아랫방향으로 작동되고, 이에 연결된 다수의 걸림쇠(70)의 머리부가 걸림쇠 삽탈부(12)로부터 분리되어 풀어지고, 사용자가 여닫이문(20)을 밀어붙여 문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외측 및 내측에 장착되는 전면 및 후면 패널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계폐 장치의 블록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 패널부(400A)(400B)는 여닫이문(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장치의 제어부(400)에 연계되어 구성되며, 그 조작에 의해 상술한 구동 장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닫이문(10)의 개폐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전면 및 후면 패널부(400A)(400B)는 통상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에 의해 작 동자의 손 접촉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패널부(400A)는 여닫이문(10)의 개폐동작을 위한 문 개폐 작동버튼(401)과, 비밀번호의 등록/변경/삭제를 위한 모드 설정 키(402a) 및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10-키(숫자 0-9),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402b)가 구비된 터치패널(402)과, 방문자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카메라(403)와, 마이크부(404)와, 스피커부(405)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패널부(400B)는 촬상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410)과, 방문자 촬상을 위한 촬상 모드와 비밀 번호 등록을 위한 비밀 번호 조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411)과, 마이크부(412)와, 스피커부(4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 패널부(400A)(400B)의마이크부(404)(412)와 스피커부(405)(413)는 방문자와 음성에 의한 확인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침입자에 의한 침입이나 화재 등의 발생시 경보음을 통지(스피커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면 및 후면 패널부(400A)(400B)의 작동 및 여닫이문(10)의 개폐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계폐 장치의 제어부(400)에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터치 패널(402) 및 터치스크린(410)은 제어부(300)의 제어동작을 받는 터치 패널 구동부(422) 및 터치스크린 구동부(424)에 의해 온/오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작용을 도 8a, 도 8b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구동 모터(51) 및 보조 모터(55)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록(dock lock)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후면 패널부(400B)의 모드 설정 버튼(411)을 설정한 후 10-키를 조작하여 데이터 메모리(423)에 비밀번호를 설정 등록한다.
이와 같이, 비밀 번호가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여닫이문(1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해 전면 패널부(400A)의 터치 패널(402)을 터치하거나 문 개폐 작동버튼(401)을 작동하면,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10-키(숫자 0-9)가 표시되고 비밀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에서는 비밀 번호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달 결과에 따라 입력한 비밀 번호가 정단한 경우에는, 제어부(400)는 보조 모터(55)를 구동시켜 걸림쇠(70)의 머리부가 걸림쇠 삽탈부(12)로부터 탈리(脫離)되어 일차적으로 문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구동 모터(51)를 구동시켜 힌지부(60)를 통해 이차적으로 완전히 여닫이문(10)이 자동으로 열려지게 된다. 여기서, 여닫이문(10)이 완전히 자동으로 개방되어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온 경우에는 제어부(400)에서 여닫이문(10)을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모드 설정 버튼(411)을 촬상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방문자에 의한 여닫이 문 개폐 작동버튼(401)의 조작 또는 터치 패널(402)의 터치시 촬상 카메라(403)에 의해 방문자 화상정보를 촬상하게 된다. 그 촬상된 화상정보는 화상 처리부(421)에 의해 소정 신호로 변환되고, 이후 화상 메모리(428)에 저장됨과 아울러 터치스크린 구동부(424)를 통해 터치스크린(410)에 이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10)을 통해 방문자를 직접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재중에 방문자가 방문했을 경우에는 문 개폐 작동버튼(401)의 조작에 따라 촬상 카메라 (403)가 구동되어 방문자에 대한 화상정보를 방문시간과 연계시켜 화상메모리(428)에 순차적으로 저장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집에 없는 경우에도 누가 자신의 집에 방문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면 패널부(400A) 또는 여닫이문(10) 외측의 소정 위치에는 지문 입력 센서나 홍체 입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데이터 메모리(423)에 등록된 지문 데이터나 홍체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문 또는 홍체를 이용한 여닫이문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지문 입력 센서나 홍체 입력 센서는 잘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센서(30)(도 2 참조)는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도 있으며, 방문자의 핸드폰 또는 리모컨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즉, 방문자가 소지하고 있는 핸드폰 또는 리모컨의 송신기로부터의 소정 신호를 센서(30)가 감지하여 이에 연결된 제어부(400)에서 여닫이문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제어부(400)에서는 홈네트워킹 방식에 의해 원격지에서도 핸드폰(예를 들면 부모 등의 방문시)을 사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에 의하면, 여닫이식문의 내외측에 노출된 도어 핸들을 요하지 않으면서 터치 스크린 방식(비밀번호, 지문 또는 홍채 등에 의한 사용자 정보 입력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 이문을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 모터와 보조 모터에 의한 이중 구동 방식에 의해 여닫이문이 이차에 걸쳐 개폐가 이루어짐으로 침입자에 의해 침입이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문틀에 힌지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여닫이식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이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며 상기 문틀의 상측의 은폐된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평 회전축과,
    베벨 기어를 개재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수평 회전 구동력을 수직 회전 구동력으로 전달하며, 상기 문틀의 일측 사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내설(內設)된 수직 회전축과,
    일단은 상기 수직 회전축에 당접되며, 타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일측 사이드의 소정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닫이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의 개폐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보조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구동 수단은, 상기 문틀의 타측 사이드에 그 머리부가 돌출 및 삽입되도록 부착된 걸림쇠와, 상기 여닫이문의 타측 사이드에 상기 걸 림쇠의 머리부가 삽탈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여닫이문의 일차 개폐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걸림쇠 삽탈부와, 상기 구동 수단의 우측에 장착되며 상기 걸림쇠의 머리부가 상기 걸림쇠 삽탈부에 삽탈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보조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걸림쇠의 몸통 부분의 중앙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 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힌지 나사의 일단은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축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홀의 아래측으로 이격하여서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하 이동축에 결합고정되는 한편, 상기 상하 이동축은 그 상단이 상기 보조 모터의 회전축의 끝단에 형성된 캠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상하 이동축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쇠의 머리부가 상기 걸림쇠 삽탈부에 삽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외측에 설치되어 키조작에 따라 문의 개폐를 위한 임의의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를 갖는 버튼식 또는 터치 스크린식의 터치 패널과, 방문자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 카메라를 구비한 전면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여닫이문의 내측에 설치되며 방문자를 확인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방문자 촬상을 위한 촬상 모드 및 비밀 번호 등록을 위한 비밀 번로 조작모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모드 설정 버튼을 구비한 후면 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부 또는 여닫이문 외측에는 지문 입력 센서나 홍체 입력 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방문자의 접근이나, 방문자의 핸드폰 또는 리모컨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 모터의 캠에 연결된 비상 레버가 부착되어 상기 비상 레버의 작동에 의해 수동으로 여닫이문이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 및 보조 구동 수단은 스텝 모터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20050067142A 2005-07-25 2005-07-25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070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142A KR100706174B1 (ko) 2005-07-25 2005-07-25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142A KR100706174B1 (ko) 2005-07-25 2005-07-25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908A true KR20070012908A (ko) 2007-01-30
KR100706174B1 KR100706174B1 (ko) 2007-04-12

Family

ID=3801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142A KR100706174B1 (ko) 2005-07-25 2005-07-25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07B1 (ko) * 2013-02-08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팝업 장치 및 방법
KR102015902B1 (ko) * 2018-11-13 2019-08-28 주식회사 세이인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12164B1 (ko) * 2019-05-03 2020-05-18 주식회사 세이인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20B1 (ko) 2010-01-28 2011-08-09 오석환 자동문을 구비한 배전반
KR102461149B1 (ko) * 2021-09-15 2022-11-01 이주성 도어 방한 방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310Y1 (ko) * 1993-12-17 1999-04-01 전성원 자동차 도어 록킹장치
KR19990009927A (ko) * 1997-07-12 1999-02-05 유기범 절첩식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20050056696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07B1 (ko) * 2013-02-08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팝업 장치 및 방법
US9476231B2 (en) 2013-02-08 2016-10-25 Hyundai Motor Company Pop up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outside door handle
KR102015902B1 (ko) * 2018-11-13 2019-08-28 주식회사 세이인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12164B1 (ko) * 2019-05-03 2020-05-18 주식회사 세이인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174B1 (ko)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174B1 (ko)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1634734B1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US20110292213A1 (en) Door mountable camera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KR100797517B1 (ko)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20120057779A (ko) 디지털 사물함을 장착한 서랍장
KR101627777B1 (ko) 무선충전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140106342A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3808796B2 (ja) 自動ドア装置
JP2021031978A (ja) 自動ドアユニット及び建具
JP3285849B2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101064970B1 (ko) 얼굴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JP3999626B2 (ja) 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制御システム
JP2005320788A (ja) ドア開閉システム
JP4182893B2 (ja) 施錠装置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JP2005320790A (ja) ドア開閉システム
KR20210133848A (ko) 도어락
CN207489130U (zh) 一种智能门禁装置
KR100996111B1 (ko)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2155597B1 (ko) 도어 작동 제어 방법
KR200219628Y1 (ko)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현관문
KR20140002117A (ko) 자동문 개폐 시스템
KR102155984B1 (ko)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