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597B1 - 도어 작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작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597B1
KR102155597B1 KR1020200005306A KR20200005306A KR102155597B1 KR 102155597 B1 KR102155597 B1 KR 102155597B1 KR 1020200005306 A KR1020200005306 A KR 1020200005306A KR 20200005306 A KR20200005306 A KR 20200005306A KR 102155597 B1 KR102155597 B1 KR 10215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user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안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안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안몰
Priority to KR102020000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작동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ING A OPERATION FOR A DOOR}
아래의 실시예들은 도어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룸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이 설치되는데, 레버타입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록킹 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룸도어의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현관도어용 도어락에 비하여, 현관도어에 의해 1차적으로 보호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특성상, 강력한 보안이나 견고한 록킹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룸도어의 외측면에 외부고정부재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레버와, 룸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외측레버에 대향되도록 내부고정부재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레버와, 룸도어의 측부에 돌출 및 삽입됨으로써 도어프레임의 걸림부재에 걸리게 되는 래치를 가지는 래치어셈블리와, 외측레버 또는 내측레버의 회전에 의해 래치가 룸도어의 측부에 돌출 및 삽입되도록 래치를 내측레버와 외측레버 각각에 연결되시키는 래치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은 번호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 때, 별도의 번호키 형태의 도어락 장치가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되어야 함에 따라 미관을 해치고 별도로 탈부착 시켜야하는 제조 및 공정 상의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0-0097995호에서는 도어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 따른 목적은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 자체에 록킹 기능 및 상기 록킹 키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도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 및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는, 상기 패널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손의 일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의 일 부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안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부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 주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3 센서요소 및 상기 도어부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제1 센서요소 내지 상기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는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상기 도어부가 구동되는 경우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상기 발전부에 저장한 뒤 필요시에 상기 전력을 상기 전원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대에는 상기 도어를 지속적으로 개방시켜두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가 여성, 노약자 또는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도어부를 개방시키거나 기 설정된 힘만 제공된 경우 상기 도어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 자체에 록킹 기능 및 상기 록킹 키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도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2 및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의 하위 단계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의 관계도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에 의하여 작동되는 도어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며, 도2 및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의 하위 단계를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구성의 관계도를 나타내며,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에 의하여 작동되는 도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100),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S300), 도어부가 구동되는 경우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발전부에 저장한 뒤 필요시에 전력을 전원부에 전달하는 단계(S400) 및 후술할 제1 센서요소 내지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2를 참조하면,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S300)는, 패널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S310), 제1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손의 일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의 일 부분과 일치하는 경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S320) 또는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어 장치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자의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3을 참조하면,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S300)는, 기 설정된 시간 대에는 도어를 지속적으로 개방시켜두는 단계(S340) 또는, 제1 제어부 또는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가 여성, 노약자 또는 어린이인 경우 구동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도어부를 개방시키거나 기 설정된 힘만 제공된 경우 도어부를 구동시키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출퇴근 시간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대에는 항시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힘이 부족한 사용자들의 편의를 배려하여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거나 작은 힘만 가한 경우에도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구현하기 위하여 도어부, 패널부, 제1 제어부, 제2 제어부, 센서부, 구동부 및 저장부는 서로 네트워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정보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으며, 특정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도어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어 장치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100),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200), 도어부와 프레임부 사이를 록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체결부(미도시),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300),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400) 및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제1 제어부는 손잡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어부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3을 참조하여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제1 제어부(400)는 손잡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부(1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를 손을 쥐는 경우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지문은 상기 제1 제어부(400)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도어부 일면 또는 도어부 주위에 별도의 제어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도어부 일면 또는 도어부 주위에 별도로 배치된 제어부를 통하여 선행적으로 지문을 인식 시키고 추가적으로 손잡이를 쥐어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행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제어부의 구성을 통하여, 별도의 지문 인식을 위한 제어부를 도어부 일면 또는 도어부 주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장치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행적으로 지문을 인식 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별도의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의 특정 부위를 쥐어야 할 필요성이 없으며, 사용자가 제1 제어부의 일 부분만 파지하여 대응되는 위치의 사용자 손의 지문이 인식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체결부의 록킹 유지 또는 록킹 해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장치는, 도어부(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하고 안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제어부(500)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불일치 한다면, 제2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경보를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널부(3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불일치하는 경우 제2 제어부는 도어부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매커니즘을 통하여 제1 제어부(4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 정보가 기 설정된 지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2 제어부는 도어부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제어부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미리 허용된 사용자 이외에 제3자가 출입문을 통해 출입을 시도할 경우 즉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이와 같은 정보를 알림으로써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장치는, 도어부(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도어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600) 및 도어부와 체결부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600)는, 도어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 도어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요소, 도어부 주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3 센서요소 및 도어부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도어부 주변의 환경에 대한 기타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센서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어 장치는,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 및 도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자가 발전하는 발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는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 시에 전력을 전원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구동부는 제1 센서요소 내지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도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경우 이외에, 화재 발생 등과 같이 유사시에 도어부를 구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평소에 발전부를 통하여 생성된 전력을 전원부에 저장한 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도어부 및 체결부의 구동을 위한 상시 전원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도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 자체에 록킹 기능 및 상기 록킹 키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도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도어부
200 : 프레임부
300 : 패널부
400 : 제1 제어부
500 : 제2 제어부
600 : 센서부

Claims (5)

  1. 도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도어부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자가 발전하고,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시에 전력을 상기 전원부에 전달할 수 있는 발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는,
    상기 패널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제어부의 일 부분만을 파지함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손의 일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의 일 부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도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안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3 센서요소; 및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요소;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작동 제어 방법은,
    제1 센서요소 내지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대에는 상기 도어를 지속적으로 개방시켜두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제어부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가 여성, 노약자 또는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도어부를 개방시키거나 기 설정된 힘만 제공된 경우 상기 도어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어 작동 제어 방법.
KR1020200005306A 2020-01-15 2020-01-15 도어 작동 제어 방법 KR10215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06A KR102155597B1 (ko) 2020-01-15 2020-01-15 도어 작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06A KR102155597B1 (ko) 2020-01-15 2020-01-15 도어 작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97B1 true KR102155597B1 (ko) 2020-09-22

Family

ID=7270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306A KR102155597B1 (ko) 2020-01-15 2020-01-15 도어 작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14Y1 (ko) * 2003-09-05 2004-01-07 황재은 지문인식기능을 가지는 도어록 손잡이
KR20150052974A (ko) * 2013-11-07 2015-05-15 조봉미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8542A (ko) * 2017-01-26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KR20180113310A (ko) * 2017-04-06 2018-10-16 왕남철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614Y1 (ko) * 2003-09-05 2004-01-07 황재은 지문인식기능을 가지는 도어록 손잡이
KR20150052974A (ko) * 2013-11-07 2015-05-15 조봉미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8542A (ko) * 2017-01-26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KR20180113310A (ko) * 2017-04-06 2018-10-16 왕남철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07431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KR100707747B1 (ko) 개인 인증 장치
KR102155597B1 (ko) 도어 작동 제어 방법
KR102066185B1 (ko) 정확하고 신속한 안면인식 도어락 장치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2341883B1 (ko) 안면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0706174B1 (ko)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2155984B1 (ko) 도어 장치
KR20090041619A (ko) 출입 통제 시스템
US20070132546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ervice providing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key unit
US11708716B2 (en) Security door
KR101064970B1 (ko) 얼굴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KR100365487B1 (ko) 화상검색기능을 갖는 출입문 잠금장치
JP2008267116A (ja) 保管庫
KR100828204B1 (ko) 이중 보안 도어로크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KR200189342Y1 (ko) 지문인식 도어락
KR102237742B1 (ko)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JP2000132722A (ja) 入退出管理装置
KR200376162Y1 (ko) Ccd 카메라가 부착된 디지털 도어락
KR200304685Y1 (ko) 전자식 출입문 잠금장치
KR100564308B1 (ko)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3460A (ko) 사용자의 지문과 그립 패턴 인식을 이용한 문고리형 도어락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