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12B1 -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12B1
KR102074312B1 KR1020180029151A KR20180029151A KR102074312B1 KR 102074312 B1 KR102074312 B1 KR 102074312B1 KR 1020180029151 A KR1020180029151 A KR 1020180029151A KR 20180029151 A KR20180029151 A KR 20180029151A KR 102074312 B1 KR102074312 B1 KR 10207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door
person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867A (ko
Inventor
박동규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비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18002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1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출입자의 영상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이미지를 인증된 출입자의 얼굴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상기 출입자의 출입자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복수의 자동문을 통합관리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문시스템은 출입자 관리가 불가능하였고, 최근 소개된 지문방식 또는 홍채방식, 카메라 방식 등은 동작 에러가 빈번하고, 설치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프로세서를 거쳐 메인 콘트롤러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전달된 얼굴이미지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한 후, 인증된 출입자인 경우 콘트롤부에 의해 출입문을 개방하고, 미인증된 출입자인 경우 경보장치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며, 통신모듈을 통해 출입자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문 개폐장치로 이루어지는 출입 인식 자동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는 주변감시효과를 위해 출입문 주위를 지나가는 사람들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와이드(Wide) 기능의 광각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1과, 인증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출입문에 근접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집중하여 촬영하는 텔레(tele) 기능의 망원렌즈로 구성된 카메라2로 구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카메라에서 전달된 이미지파일에서 얼굴만을 추출하고, 노이지를 제거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작업을 수행한 후, 출입자가 근접할 때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두 눈이 정방향을 이미지를 추정하여 획득하는 방식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3D작업을 통해 정방향을 향하는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중 어느 하나에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콘트롤러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문을 동작시키는 콘트롤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이므로, 인증 얼굴이미지와 표준화된 얼굴이미지의 매칭작업이 용이하여 인증에 의한 에러 발생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을 통해 출입자 이름과 이용게이트번호 및 출입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자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원격지에서 복수의 출입문을 통합관리하게 되므로, 다수의 출입문이 있는 경우에도 근태관리가 용이하고, 관리자가 추후 저장된 기록에 의해 출입자의 동선 및 행동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Automatic recognition system for centralized control system using camera}
본 발명은 자동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출입자의 영상에서 얼굴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이미지를 인증된 출입자의 얼굴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상기 출입자의 출입자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복수의 자동문을 통합관리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은행, 아파트 및 병원 등의 각종 건물에는 비용 절감 측면을 고려하여 무인 경비시스템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공동현관 출입구에 자동문을 설치하여 경비원 채용으로 인한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자동문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 형태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자동문에 근접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자동문을 개방시키거나 별도의 버튼을 눌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자동문 가운데 미닫이 방식의 자동문을 개폐하는 종래의 자동문 개폐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 내에 설치되는 설치패널(1)과, 설치패널(1)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구동풀리(2)가 형성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가 구비된 엔진부(4)와, 상기 엔진부(4)에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트랜스(5)와, 이 전압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6)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1)의 타측에는 구동풀리(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벨트(7)에 연결되는 종동풀리(8)와, 상기 구동벨트(7)의 회전에 의해 설치패널(1)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9)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행거(10)와, 설치패널(1) 외부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의 감지신호를 체크하는 터미널(11)과 이 감지신호를 통해 도어(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문(15)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자동문을 통해 실내,외로 출입하기 위해서는, 문틀의 외측에 설치된 센서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터미널(11)로 보내고 터미널(11)의 신호는 컨트롤부(13)에 보내게 된다. 신호를 받은 컨트롤부(13)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구동풀리(2)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벨트(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어(12)가 체결되어 있는 도어행거(10)가 가이드레일(9)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방된다.
상기 자동문(15)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실내,외로 나가고 센서에 더 이상 감지되는 물체가 없게되면 자동문의 컨트롤부(13)는 설정된 대기시간을 경과한 후 자동문(15)의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모터(3)를 구동시키고 그에 따라 구동벨트(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동문이 닫히게 된다.
상기 자동문(15)이 완전히 닫히게 되면 컨트롤부(13)의 제어에 의해 도어행거(10)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14)에 의해 로킹된다. 이와 같이 자동문은 로킹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문 개폐시스템은, 센서에 의해 문을 개폐하는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므로, 통행시간 동안 누구나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한 방식으로만 운영되므로 보안성이 전혀 없으며, 출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출입자의 근태 관리 등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지문방식 또는 홍채방식 등에 의해 보안성을 강화한 출입문 통제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동작 에러가 빈번하고, 설치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허 등록 제1596343호(얼굴인식에 의한 출입관리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으나, 위 선행기술에서는 내장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출입자의 얼굴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실제 구현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자를 촬영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의해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개폐장치로 이루어지는 출입 인식 자동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의 메인 콘트롤러에서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파일을 전송받아 이미지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문을 동작시키는 콘트롤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되, 통신모듈을 통해 출입자 이름과 이용게이트번호 및 출입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자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원격지에서 복수의 출입문을 통합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프로세서를 거쳐 메인 콘트롤러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전달된 얼굴이미지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한 후, 인증된 출입자인 경우 콘트롤부에 의해 출입문을 개방하고, 미인증된 출입자인 경우 경보장치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며, 통신모듈을 통해 출입자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문 개폐장치로 이루어지는 출입 인식 자동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는 주변감시효과를 위해 출입문 주위를 지나가는 사람들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와이드(Wide) 기능의 광각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1과, 인증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출입문에 근접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집중하여 촬영하는 텔레(tele) 기능의 망원렌즈로 구성된 카메라2로 구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는 카메라에서 전달된 이미지파일에서 얼굴만을 추출하고, 노이지를 제거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작업을 수행한 후, 출입자가 근접할 때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두 눈이 정방향을 이미지를 추정하여 획득하는 방식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3D작업을 통해 정방향을 향하는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중 어느 하나에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은 출입문 개폐장치의 메인 콘트롤러에서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파일을 전송받아 이미지 프로세서에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하여 출입문을 동작시키는 콘트롤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이므로, 인증 얼굴이미지와 표준화된 얼굴이미지의 매칭작업이 용이하여 인증에 의한 에러 발생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을 통해 출입자 이름과 이용게이트번호 및 출입시간을 포함하는 출입자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원격지에서 복수의 출입문을 통합관리하게 되므로, 다수의 출입문이 있는 경우에도 근태관리가 용이하고, 관리자가 추후 저장된 기록에 의해 출입자의 동선 및 행동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 출입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의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자를 인식하고, 이를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의 서버에서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현된 유리문 도어의 기구적 동작방식은 전문업체로부터 특정부분의 모듈을 구입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종래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은 본 외관상 일측에 1개의 카메라(100) 또는 양측에 2개의 카메라(100)(110)가 설치되어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용하게 되는데, 필요시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보다 많은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장치에 설치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도 3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출입문 개폐장치(200)에는 상기 카메라(100)(110)에서 촬영된 이미지파일을 전송받아 이미지 프로세서(220)에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0)에서 재전송된 얼굴이미지를 메모리(230)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콘트롤러(21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로, 상기 카메라(100)(110)는 상기 카메라(100)(110)는 출입문 주위를 지나가는 사람들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와이드(Wide) 기능의 광각 렌즈로 구성되어 주변 감시효과가 있는 카메라1(110)과, 출입문에 근접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집중하여 촬영하는 텔레(tele) 기능이 망원렌즈로 구성되어 인증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2(100)로 구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드, 텔레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감시카메라의 기능과 출입통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됨에 그 기술적 특이성이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상기 카메라(100)(110)에서 생성된 이미지파일에서 얼굴만을 추출하고, 노이지를 제거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작업을 수행하여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는 출입자가 일정거리에 근접시, 두눈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작업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이에 대한 것은 종래 영상편집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기술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하 간략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출입자가 근접할 때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두 눈이 정방향을 이미지를 추정하여 획득하는 방식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3D작업을 통해 정방향을 향하는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인증된 출입자의 얼굴이미지와 비교하게 되며, 미인증된 출입자가 근접한 경우 경보장치(240)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메인 콘트롤러(210)에서 획득한 출입자 정보는 통신모듈(250)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서버(30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출입자 정보는 출입자 이름과 이용게이트 번호 및 출입시간, 일자별 출입횟수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200)는 입구 및 출구의 갯수에 따라 별도의 출입문 개폐장치(200a)가 추가로 구성되고, 출입문 개폐장치(200)(200a)의 각 메인 콘트롤러(210)(210a)에 획득한 출입자 관련정보는 각 통신모듈(250)(250a)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어 통합관리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흐름도에 의해 동작한다.
먼저, 출입문 근처를 지나가는 사람이 있으면 출입자 접근(S10)으로 판단하여 와이드 기능의 광각렌즈가 구비된 카메라2(110)(110a)가 주변인물을 촬영(S20)한다. 이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으로 활용이 가능한다.
출입문으로 일정거리 근접하는 사람이 있으면 출입자로 판단하고, 출입자의 얼굴을 집중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망원 렌즈로 구성되어 텔레(tele)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2(100)(100a)가 출입자의 얼굴을 집중적으로 촬영(S30)한다.
상기 카메라2(100)(100a)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이미지 프로세서(220)(220a)를 통해 이미지 처리작업(S40)이 진행되어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획득하고, 메인 콘트롤러(210)(210a)에서는 메모리(230)(230a)에 저장된 인증된 출입자의 얼굴이미지와 이미지 프로세서를 통해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비교(S50)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통신모듈(250)(250a)을 통해 안내데스크에 통보(S51)하여 출입을 차단한다.
또한, 출입자의 얼굴이미지와 표준화된 얼굴이미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도어를 오픈(S70)하고, 출입자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S61)한다
한편, 상기 서버(300)에서는 다수의 출입문 개폐장치(200)(200a)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타를 전송받게 되므로, 출입문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체적인 직원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서버(300)에 저장된 출입자 정보를 통해 출입자 이름과 이용게이트 번호 및 출입시간, 일자별 출입횟수 등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직원들의 근태관리 및 업무시간중 직원의 행동 궤적 등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00, 100a, 110, 110a : 카메라
200, 200a : 출입문 개폐장치
210, 210a : 메인 콘트롤러 220, 220a : 이미지 프로세서
230, 230a : 메모리 240, 240a : 경보장치
250, 250a : 통신모듈
300 : 서버

Claims (3)

  1.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프로세서를 거쳐 메인 콘트롤러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서에서 전달된 얼굴이미지와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얼굴이미지와 비교한 후, 인증된 출입자인 경우 콘트롤부에 의해 출입문을 개방하고, 미인증된 출입자인 경우 경보장치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며, 통신모듈을 통해 출입자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문 개폐장치로 이루어지는 출입 인식 자동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100)(110)는 주변감시효과를 위해 출입문 주위를 지나가는 사람들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와이드(Wide) 기능의 광각 렌즈로 구성된 카메라1(110)과, 인증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출입문에 근접하는 사람들의 얼굴을 집중하여 촬영하는 텔레(tele) 기능의 망원렌즈로 구성된 카메라2(100)로 구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프로세서(220)는 카메라(100)(110)에서 전달된 이미지파일에서 얼굴만을 추출하고, 노이지를 제거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작업을 수행한 후, 출입자가 근접할 때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하여 두 눈이 정방향을 이미지를 추정하여 획득하는 방식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파일을 3D작업을 통해 정방향을 향하는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방식중 어느 하나에 표준화된 얼굴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200)는 입구 및 출구의 갯수에 따라 별도의 출입문 개폐장치(200a)가 추가로 구성되고,
    출입문 개폐장치(200)(200a)의 각 메인 콘트롤러(210)(210a)에 획득한 출입자 관련정보는 각 통신모듈(250)(250a)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되어 통합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인식 자동문 시스템.
  3. 삭제
KR1020180029151A 2018-03-13 2018-03-13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KR10207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51A KR102074312B1 (ko) 2018-03-13 2018-03-13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51A KR102074312B1 (ko) 2018-03-13 2018-03-13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67A KR20190107867A (ko) 2019-09-23
KR102074312B1 true KR102074312B1 (ko) 2020-02-06

Family

ID=6806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51A KR102074312B1 (ko) 2018-03-13 2018-03-13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72A (ko) 2020-12-09 2022-06-16 임현근 딥러닝 기반의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한 열화상 출입제어 시스템
KR20220135869A (ko) 2021-03-31 2022-10-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대면 출입 통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542654B1 (ko) 2022-09-02 2023-06-14 주식회사 클레빌 인터페이스 모듈과 배송 로봇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배송 경로 상의 출입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91958B1 (ko) 2023-03-23 2023-10-23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6391A (zh) * 2019-09-27 2020-01-17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人脸识别验证通行方法、身份验证装置及存储介质
KR102357380B1 (ko) 2020-01-20 2022-02-03 최용환 안면 인식을 이용한 출입문의 자동개폐시스템
CN111951455A (zh) * 2020-08-24 2020-11-17 上海茂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授权访客通行的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KR102544284B1 (ko) 2021-02-17 2023-06-16 최용환 출입자 감지용 센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자동개폐시스템
KR102521661B1 (ko) 2021-02-18 2023-04-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대면 출입 통제를 위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493322B1 (ko) 2021-03-16 2023-01-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용자의 얼굴 속성 및 마스크 속성 기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329792B1 (ko) 2021-04-07 2021-12-06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방범 기능이 탑재된 비디오 초인종 및 도어락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2598434B1 (ko) 2021-04-09 2023-11-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스크 착용에 강건한 신원 확인 모델 학습 방법 및 상기 신원 확인 모델을 사용한 신원 확인 시스템
CN113345138A (zh) * 2021-05-20 2021-09-03 浙江科技学院 一种电子信息控制安全防盗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44Y1 (ko) * 2003-04-28 2003-07-31 이상호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478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재실관리장치
KR101730255B1 (ko) * 2015-09-17 2017-04-26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44Y1 (ko) * 2003-04-28 2003-07-31 이상호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72A (ko) 2020-12-09 2022-06-16 임현근 딥러닝 기반의 영상이미지 합성을 통한 열화상 출입제어 시스템
KR20220135869A (ko) 2021-03-31 2022-10-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대면 출입 통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542654B1 (ko) 2022-09-02 2023-06-14 주식회사 클레빌 인터페이스 모듈과 배송 로봇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배송 경로 상의 출입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91958B1 (ko) 2023-03-23 2023-10-23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67A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31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KR101968101B1 (ko) 딥러닝을 이용한 객체 인식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객체 인식 시스템
US763984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program
WO2015136938A1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GB2559735B (en) Door Locking Device
EP2636823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046655B1 (ko) 범죄 예방을 위한 출입 통제 장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
KR100965428B1 (ko) 2개의 지능카메라를 이용한 인증자입장 자동검증시스템 및 운영방법
JP7075702B2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KR100728657B1 (ko)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US20190271186A1 (en) Automatic door system having intelligent automatic identification
CN106296902A (zh) 一种门禁系统
KR20070094428A (ko) 단지 내 통합 카드 시스템
JP202402842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H11185087A (ja) 入退場者管理システム
JP5375335B2 (ja) 入退場管理装置、入退場管理方法および入退場管理プログラム
KR101381524B1 (ko) 영상을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KR20050059359A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KR20160105595A (ko) 카메라를 장착한 도어락
KR20200023944A (ko)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KR101276936B1 (ko) 추적 대상 통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능형 로봇 감시서비스 시스템
US20220028197A1 (en) Access control solution for a passage device
WO2023033057A1 (ja) ゲート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ンサ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