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657B1 -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657B1
KR100728657B1 KR1020060038220A KR20060038220A KR100728657B1 KR 100728657 B1 KR100728657 B1 KR 100728657B1 KR 1020060038220 A KR1020060038220 A KR 1020060038220A KR 20060038220 A KR20060038220 A KR 20060038220A KR 100728657 B1 KR100728657 B1 KR 10072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access control
camera
image
fa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하
주재훈
안동수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출입통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션 감지기와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하여 출입자의 체형에 맞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나아가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실내뿐 아니라 실외에서도 얼굴 인식이 가능하게 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가진 얼굴인식기에 모션 감지기를 부착하여 출입자가 카메라에 다가가면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에 전원이 공급되고, 적외선 카메라에 내장된 적외선 감지기가 감지를 하여 출입자의 체형에 맞는 카메라만 선택하여 얼굴 인식을 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을 가진 출입자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적외선 카메라에 자외선 필터를 부착하여 실내뿐 아니라 실외에서도 얼굴인식이 가능하게 한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Unmann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using of Face Recognition with Multiple Infrared Camera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얼굴인식기를 구성하는 적외선 카메라의 투시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의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얼굴인식기의 내부 구조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등록 카메라 200: 얼굴 인식기
201: 적외선 카메라 1 202: 적외선 카메라 2
203: 자외선 필터 205: 모션 감지기
209: 이더넷 제어부 217: 중앙 처리 장치
218: 적외선 감지기 300: 얼굴 인식 서버
400: 출입문
본 발명은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얼굴인식기에 출입자 접근시 모션감지기를 이용하여 이를 인식하고, 카메라 제어부를 통하여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한 후,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다양한 키에 따른 정확한 얼굴 인식이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카메라에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실내(10Lux~500Lux)뿐만 아니라 실외 환경인 0.1Lux~ 24000Lux에서도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신분 확인 기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람을 대신해 사람의 얼굴을 구별하는 얼굴 인식을 통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 면에서 신분 확인 기술 중 가장 탁월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패스워드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절차가 필요 없이 사용자는 단지 카메라를 바라보기만 하면 되고, 특히 지문이나 홍채 인식 등과는 달리 신체적 접촉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없더라도 무인으로 작동이 가능하므로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얼굴인식을 통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이 현재 많이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등록 카메라(100), 얼굴 인식기(200), 얼굴 인식 서버(300), 출입문(400)으로 구성된다.
출입자 등록 방법은 출입자를 사전에 등록 카메라(100)를 통하여 촬영한 후 그 이미지를 얼굴 인식 서버(300)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쳐야 한다. 출입을 원하는 자가 얼굴 인식기(200)에 다가와 인증 버튼을 눌러 현재 얼굴을 촬영하게 되면 얼굴 인식기(200)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얼굴인식 서버(300)에 전달한다. 얼굴인식 서버(300)에서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사전 등록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일치하면 인증을 허용하는 음성을 내보내고 이와 동시에 출입문(400)으로 open신호를 주어 문을 열어 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얼굴인식을 통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1개의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키를 가진 출입자들에 대한 출입통제가 힘들다. 즉 카메라의 시야에 들어오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일정한 범위내의 키를 가진 출입자만이 인증을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1m 이내의 어린아이는 감지를 할 수 없다.
또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의 경우 카메라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출입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얼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의 초점과 동일한 눈높이의 키를 가진 출입자를 인증하는 경우에만 인증이 정확하고 용이하다. 즉, 사람이 아닌 컴퓨터에 의하여 사전 등록된 제한된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무인시스템의 특성상 오류를 감소시켜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의 관건이 된다.
다양한 키를 가진 출입자를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카메라가 좀 더 넓은 시야를 커버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위쪽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출입자가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올려다봐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대개의 경우 사전에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이미지는 정면사진일 것이므로 출입자가 인증을 받기 위하여 올려다보고 찍은 사진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인증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임의의 포즈를 갖는 이미지를 벡터와 행렬을 이용하여 정면포즈로 변환하여 인식하는 영상인식 방법도 최근 공개된 바 있다(출원번호 10-2004-0058072 참조). 그러나 변환과정에서 어려운 수학식이 많이 쓰여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좀더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필요하다.
나아가 대개 출입통제 시스템은 연구소나 관공서등에서 산업비밀 유지를 위한 출입자 통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종래의 출입통제 시스템은 실내조명 밝기가 제한된 장소에서만 동작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밝기 450Lux~500Lux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외 1000Lux 이상에서는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키를 가진 출입자에 대한 출입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켜 좀더 정확한 인증이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적외선 카메라에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실외 환경에서도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카메라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적외선 감지기에서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 의 카메라중 임의의 일 카메라를 구동 제어하고, 구동되는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출입자 영상 촬영시 조명도가 설정된 기준 조명도 범위 이상인 경우, 촬영 조명도가 상기 기준 조명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입사되는 자외선을 필터링하는 자외선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입자 다수의 체형 조건에 따라 출입자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적외선 감지기에서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따라 해당 카메라를 구동하고,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출입 통제 인증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의 인증 결과 정보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 통제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중 임의의 일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되는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 영상 촬영시 조명도가 설정된 기준 조명도 범위 이상인 경우, 촬영 조명도가 상기 기준 조명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입사되는 자외선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구동상태를 출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출입 통제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중 임의의 일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출입 통제 인증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의 인증 결과 정보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은 등록 카메라(100)와 적외선 카메라 1(201), 적외선 카메라 2(202), 자외선 필터(203)로 이루어진 얼굴 인식기(200), 얼굴 인식 서버(300), 출입문(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입을 원하는 자는 사전등록 절차를 거쳐야 한다. 출입자는 먼저 등록 카메라(100)를 통하여 자신의 얼굴 영상을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얼굴인식 서버(300)에 등록된다.
출입을 원하는 자는 출입을 위하여 얼굴 인식기(200)에 다가간다. 이때 모션 감지기(205)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 처리 장치(217)에 전달한다.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는 카메라 제어부(204)를 통하여 적외선 카메라 1(201), 적외선 카메라 2(20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적외선 카메라 1(201), 적외선 카메라 2(202)에 있는 적외선 감지기(218)가 각각 적외선에 의한 감지를 하여 출입자의 키가 카메라의 투시 각도에 알맞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카메라 제어부(204)는 해당하는 카메라만 작동하게 하고 해당하는 적외선 카메라는 방문자 사진을 촬영한다. 선택된 카메라는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중앙 처리 장치(217)를 통하여 얼굴인식 서버(300)에 전달하고, 얼굴인식 서버(300)에서는 상기 이미지를 사전 등록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중앙 처리 장치(217)로 이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는 출입문 제어부(215)를 통하여 출입문(400)으로 신호를 주어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에서 얼굴 인식기(200)를 구성하 는 적외선 카메라의 투시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적외선 카메라가 2개로 구성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이다. 적외선 카메라의 렌즈에 상이 포착되는 범위가 최대 92도라고 할때 적외선 카메라 1(201)은 1260mm의 높이에 위치하고 적외선 카메라 2(202)는 1540mm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도면에 나타나 있듯 800mm부터 2000mm까지의 범위가 두 카메라 렌즈의 시야에 포착된다. 따라서 다양한 키를 가진 출입자의 대부분의 얼굴 인식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의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얼굴 인식기(200)의 내부 구조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얼굴 인식기(200)는 적외선 카메라 1(201), 적외선 카메라 2(202), 적외선 카메라에 위치한 자외선 필터(203), 카메라 제어부(204), 모션 감지기(205), 영상신호 출력부(207), 이더넷 제어부(209), 음성 및 LED 제어부(210), 카메라 1 LED(211), 카메라 2 LED(212), 출입문 제어부(215), 중앙 처리 장치(217), 적외선 감지기(218)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 등록은 사전에 출입을 원하는 출입자가 등록카메라(100)를 통하여 자신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출입자의 영상이미지를 얼굴인식 서버(300)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출입자를 인증하는 출입자 인증절차는 얼굴 인식기(200)와 얼굴인식 서버(300)가 수행한다. 얼굴 인식기(200)에 있는 모션 감지기(205)에서는 출입자가 접근시 이를 감지하며 이를 중앙 처리 장치(21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출입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201, 202)로서 1260mm의 높이에 적외선 카메라 1(201)이 위치하고 1540mm의 높이에 적외선 카메라 2(202)가 위치한다. 카메라 제어부(204)에서는 적외선 카메라(201, 202)에 포함된 적외선 감지기(218)에 의하여 출입자의 대략의 키를 감지하는 경우 출입자의 키에 적합한 카메라만 선택하여 작동하게 한다. 이 경우 음성 및 LED제어부(210)에서 작동되는 카메라의 LED를 깜박거리게 한다.
적외선 카메라 1(201), 적외선 카메라 2(202)는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조명도가 사전에 정한 일정 범위의 조명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자외선 필터(203)를 사용하여 입사되는 자외선을 필터링한다.
중앙 처리 장치(217)는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이미지를 전달받아 디지털화하며, 영상신호 출력부(207)는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이더넷 제어부(209)로 보낸다. 이더넷 제어부(209)에서는 상기 디지털화된 이미지를 얼굴 인식 서버(300)로 보내게 된다.
얼굴 인식 서버(300)에서는 이더넷 제어부로부터 받은 디지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다시 영상화하고, 이를 종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최종 인증을 받기에 적합한지 판단하게 된다.
또한 얼굴 인식 서버(300)에서는 해당 촬영 이미지를 얼굴인식 서버(300)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만일 촬영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데이터가 일치하면 이를 중앙 처리 장치(217)에 알린다.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 는음성출력부(214)에서 인증을 허락하는 음성을 내보내도록 한다. 해당음성의 제어는 음성 및 LED제어부(210)에서 맡는다.
출입문 감지기(216)에서는 현재의 출입문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출입문 제어부(215)에서는 인증 후 문을 열어주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실외용 무인 출입통제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인 출입통제 방법에서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인증 절차에 앞서 사전등록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등록을 원하는 자는 사전에 등록카메라(100)에 자신의 얼굴영상을 등록한다. 등록이 시작되면 등록 카메라(100)는 우선 등록을 원하는 자의 신원 확인을 하게 되고, 신원이 확인된 경우 얼굴 방향에 따라 3장의 사진을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얼굴 인식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등록시에는 성명, 생년월일, 주소, 동, 호실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얼굴을 촬영한 결과 촬영한 이미지가 얼굴 방향대로 3장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면 얼굴촬영을 하여 얼굴인식 서버(300)에 저장시키고, 만일 등록되어 있는 경우라면 얼굴인식서버(300)에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면 된다. 이로써 등록 절차는 종료하게 된다.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쳐야 한다. 출입자가 인증을 받기 위하여 얼굴 인식기(200)에 다가가게 되면, 얼굴 인식기(200)에 있는 모션 감지기(205)가 이를 감지하여 출입자의 접근을 인식한다(S501). 모션 감지기(205)가 출입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나면 얼굴 인식기(200)의 중앙 정보처리 역할을 하는 중앙 처리 장치(217)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정보를 전달받은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는 카메라 제어부(204)에 이에 대한 신호를 전달한다. 카메라 제어부(204)에서는 2대의 적외선 카메라(201, 20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적외선 카메라 1(201), 적외선 카메라 2(202)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적외선 감지기(218)가 열감지를 통하여 출입자의 대략의 키를 판별한다(S502). 카메라 제어부(204)에서는 키가 1400mm 이하인 사람인 경우에는 적외선 카메라 1(201)을 선택하고(S511), 키가 1400mm 이상인 사람인 경우에는 적외선 카메라 2(202)을 선택하여(S521) 해당 카메라를 작동하게 한다. 이때 작동하는 카메라의 LED(211, 212)가 깜박거리게 된다(S512, S522).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는 "깜박이는 불빛을 바라보세요" 라는 음성을 음성 및 LED제어부(210)로 전달하게 된다. 음성 및 LED제어부(210)에서는 이를 음성 출력부(214)로 보내게 되고 음성 출력부(214)에서는 "깜박이는 불빛을 바라보세요"라는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S513, S523).
출입자는 해당 카메라 LED의 깜박거림과 상기의 음성에 의하여 선택된 적외선 카메라를 응시하게 되고, 해당되는 카메라에서는 방문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게 된다(S503).
적외선 카메라(201, 202)에서는 촬영시의 조명도가 설정된 기준 조명도 범위 이상인 경우, 촬영 조명도가 상기 기준 조명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자외선 필터(203)를 사용하여 입사되는 자외선을 필터링한다.
해당 적외선 카메라는 촬영된 이미지를 중앙 처리 장치(217)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영상신호 출력부(207)에 전달한다. 영상신호 출력부(207)에서는 이를 이더넷 제어부(209)로 전달하며, 이더넷 제어부(209)에 전달된 디지털화된 이미지 데이터는 이더넷을 통해 얼굴인식 서버(300)에 전달된다. 얼굴인식 서버(300)에서는 상기 디지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고 나면 이를 다시 영상화한다(S504). 얼굴인식 서버(300)에서는 상기 영상화한 이미지를 얼굴인식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05).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는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감사합니다"라는 등의 인증을 허락하는 음성신호를 음성 및 LED제어부(210)로 보내게 되고, 음성 및 LED제어부에서는 음성출력부(214)를 통하여 "감사합니다" 라는 음성을 출력하게 한다(S506).
이와 동시에 중앙 처리 장치(217)에서는 현재 출입문의 개폐 여부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출입문 제어부(215)에 전달한다. 출입문 제어부(215)는 중앙 처리 장치(217)로부터 정보를 받은 경우 출입문을 열어주게 된다(S507). 이로써 인증절차가 종료하게 된다(S508).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모션감지기를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1차적으로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고, 2차적으로 적외선 감지기가 열감지를 통하여 출입자의 대략의 체형을 감지한 후 카메라 제어부가 체형에 맞는 해당 카메라만 동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키를 가진 출입자를 통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정확한 인증이 가능하며, 나아가 상기의 적외선 카메라에 빛을 차단하는 자외선 필터를 추가하여 실외 환경에서도 인증 및 등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들의 체형에 따라 출입자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카메라;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적외선 감지기에서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중 임의의 일 카메라를 구동하여 출입자의 영상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출입자 영상 촬영시 조명도가 설정된 기준 조명도 범위 이상인 경우, 촬영 조명도가 상기 기준 조명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입사되는 자외선을 필터링하는 자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를 더 포함하는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4. 얼굴 인식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 다수의 체형 조건에 따라 출입자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 및
    상기 적외선 감지기에서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따라 해당 카메라를 구동하고,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출입 통제 인증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의 인증 결과 정보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5.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 통제 방법에 있어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중 임의의 일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되는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출입자 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통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 영상 촬영시 조명도가 설정된 기준 조명도 범위 이상인 경우, 촬영 조명도가 상기 기준 도명도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입사되는 자외선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구동을 출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방법.
  8. 얼굴 인식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출입 통제 방법에 있어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체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출입자의 체형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중 임의의 일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출입자의 영상을 출입 통제 인증을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인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의 인증 결과 정보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통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방법.
KR1020060038220A 2006-04-27 2006-04-27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2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20A KR100728657B1 (ko) 2006-04-27 2006-04-27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20A KR100728657B1 (ko) 2006-04-27 2006-04-27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657B1 true KR100728657B1 (ko) 2007-06-14

Family

ID=3835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220A KR100728657B1 (ko) 2006-04-27 2006-04-27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5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23B1 (ko) 2013-01-16 2013-12-24 김학철 약용식물 도난 방지시스템
CN105336076A (zh) * 2015-11-02 2016-02-17 苏州美达瑞电子有限公司 基于门磁感应和图像分析的智能监控系统
CN107358774A (zh) * 2017-05-31 2017-11-17 国家电网公司 基于移动互联网的智能安全生产防护系统
CN108877121A (zh) * 2018-09-07 2018-11-23 马鞍山问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人工智能预警系统
CN109377714A (zh) * 2018-09-27 2019-02-22 四川南亚丝路科技有限公司 一种eFace社区安全管家平板识别机
KR102253076B1 (ko) 2020-07-10 2021-05-18 주식회사 진앤현시큐리티 비대면 출입통제 및 동선관리 시스템
KR102564494B1 (ko) 2022-12-15 2023-08-08 주식회사 케이쓰리아이 전파 세기 표현을 위한 3차원 지형의 색상 지정 장치
KR20240056303A (ko) 2022-10-21 2024-04-30 인공지능과학기술인협동조합 비대면 이중보안 출입 통제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8439A1 (en) 1996-08-25 1998-03-05 Sensar, Inc. Apparatus for the iris acquiring images
KR20010007874A (ko) * 2000-10-13 2001-02-05 최형선 지문인식 및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4916A (ko) * 2000-05-16 2001-11-28 함영국 지문인식과 얼굴추출에 의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JP2001338296A (ja) 2000-03-22 2001-12-07 Toshiba Corp 顔画像認識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KR20020028406A (ko) * 2000-10-09 2002-04-17 정인수 홍채 영상 포착 장치 및 고인식률의 홍채 인식 방법
KR20020042560A (ko) * 2002-04-19 2002-06-05 김상훈 얼굴인식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8439A1 (en) 1996-08-25 1998-03-05 Sensar, Inc. Apparatus for the iris acquiring images
JP2001338296A (ja) 2000-03-22 2001-12-07 Toshiba Corp 顔画像認識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KR20010104916A (ko) * 2000-05-16 2001-11-28 함영국 지문인식과 얼굴추출에 의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KR20020028406A (ko) * 2000-10-09 2002-04-17 정인수 홍채 영상 포착 장치 및 고인식률의 홍채 인식 방법
KR20010007874A (ko) * 2000-10-13 2001-02-05 최형선 지문인식 및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2560A (ko) * 2002-04-19 2002-06-05 김상훈 얼굴인식 출입 통제 시스템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23B1 (ko) 2013-01-16 2013-12-24 김학철 약용식물 도난 방지시스템
CN105336076A (zh) * 2015-11-02 2016-02-17 苏州美达瑞电子有限公司 基于门磁感应和图像分析的智能监控系统
CN107358774A (zh) * 2017-05-31 2017-11-17 国家电网公司 基于移动互联网的智能安全生产防护系统
CN108877121A (zh) * 2018-09-07 2018-11-23 马鞍山问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人工智能预警系统
CN109377714A (zh) * 2018-09-27 2019-02-22 四川南亚丝路科技有限公司 一种eFace社区安全管家平板识别机
KR102253076B1 (ko) 2020-07-10 2021-05-18 주식회사 진앤현시큐리티 비대면 출입통제 및 동선관리 시스템
KR20240056303A (ko) 2022-10-21 2024-04-30 인공지능과학기술인협동조합 비대면 이중보안 출입 통제시스템
KR102564494B1 (ko) 2022-12-15 2023-08-08 주식회사 케이쓰리아이 전파 세기 표현을 위한 3차원 지형의 색상 지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657B1 (ko) 다수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출입통제 시스템 및그 방법
CN109377616B (zh) 一种基于二维人脸识别的门禁控制系统
KR101968101B1 (ko) 딥러닝을 이용한 객체 인식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객체 인식 시스템
KR10207431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JP5261009B2 (ja) 顔画像登録装置
US20030194112A1 (en) Iris-recognizable mouse device,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computing device
KR101730255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101682311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US11064167B2 (en) Input functionality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s
KR101014325B1 (ko) 적외선을 이용한 얼굴인식 시스템 및 방법
JP2004164483A (ja) 目画像認証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入退出管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160137B1 (ko) 특징점 변동을 이용한 위조 얼굴 판별장치 및 그 방법
CN109754504A (zh) 一种智能门禁系统
JP2006163456A (ja) 入退室管理装置
JP2019219721A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KR101596363B1 (ko) 얼굴 인식에 의한 출입관리장치 및 방법
JP2005084824A (ja) 顔画像照合装置、顔画像照合方法及び通行制御装置
CN109785481A (zh) 一种新型门禁管理系统及管理方法
WO2021066252A1 (ko) 바이오메트릭스 기반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Venugopalan et al. Unconstrained iris acquisition and recognition using cots ptz camera
JP2007213369A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Bulusu et al. Smart and secure home automation using internet of things enabling technologies
KR100361141B1 (ko) 홍채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및 장치
KR100653416B1 (ko) 독립형 얼굴인식 시스템
KR102518332B1 (ko) 자동 출입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