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958B1 -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958B1
KR102591958B1 KR1020230038221A KR20230038221A KR102591958B1 KR 102591958 B1 KR102591958 B1 KR 102591958B1 KR 1020230038221 A KR1020230038221 A KR 1020230038221A KR 20230038221 A KR20230038221 A KR 20230038221A KR 102591958 B1 KR102591958 B1 KR 10259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elt
closing
door open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3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6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건물의 창호에 배치된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장착된 라이트(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Attachment type automatic door system}
본 발명은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창호 등에 설치가 용이하고, 자동문의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개폐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성의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자동문 시스템은 출입부와 도어수용부를 형성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도어 수용부에 수용되었다가 출입부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도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을 구동하는 슬라이딩액츄에이터, 도어프레임의 출입부 중앙에 구비되는 출입감지부 및 상기 출입 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슬라이딩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제어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자동문 시스템은 출입감지부를 통하여 이용자가 감지되면 도어 제어부가 슬라이딩액츄에이터의 제어를 통하여 슬라이딩도어를 동작시켜 개방시키고 이용자의 출입이 완료되면 도어 제어부가 슬라이딩 액츄에이터를 닫힘제어하여 슬라이딩도어가 닫히게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특수한 장착 구조가 있지 않으면 일반 창호 등에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자동문의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개폐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47808호(2022년11월04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47808호(2022년11월04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43796호(2022년04월05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074312호(2020년01월31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창호 등에 설치가 용이하고, 자동문의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개폐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성의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창호에 배치된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장착된 라이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상기 라이트(15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 개페수단은, 상기 도어 개페 지지 프레임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레일(161) 및 제2레일(162);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제1벨트롤(1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벨트롤(163)의 회전시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벨트(164); 상기 제1벨트(164)에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1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130)를 상기 제1벨트롤(163)에 결합시키는 제1행거(165);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제2벨트롤(166)에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롤(166)의 회전시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벨트(167); 상기 제2벨트(167)에 연결되고 상기 제2레일(162)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과 상기 제1도어(130) 사이에서 개폐되는 제2도어(140)를 상기 제2벨트롤(166)에 결합시키는 제2행거(168); 한 쌍의 상기 제1벨트롤(163) 중에서 한 개의 제1벨드롤에 모터축이 회전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된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된 감지센서(17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130)의 상단부와 상기 제2도어(140)의 상단부는 각각 제1행거(165)와 제2행거(168)에 의해 상기 제1벨트(164)와 상기 제2벨트(167)에 연결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에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에 도어 개폐 수단으로서 제1레일 및 제2레일과 제1벨트와 제1도어와 제2벨트와 제2도어 및 도어 개폐 구동모터가 장착됨으로써, 일반 창호 등에도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고, 엘이디 라이트와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사람이 제1도어와 제2도어 앞에 서있을 때에는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 감지하여 엘이디 라이트를 점등시키고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자동으로 개방 가능하고, 사람이 제1도어와 제2도어 앞에 서있지 않을 때에는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 감지하여 엘이디 라이트를 소등시키고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므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주요부인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의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와 제1벨트롤과 제2벨트롤과 제1벨트와 제2벨트와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상단부쪽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개방된 상태의 상부쪽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제1도어의 상부쪽 일부와 제1행거 및 제1벨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일측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엘이디 라이트와 센서가 구비된 컨트롤 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C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D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고정 지지체와 제2고정 지지체와 제1하부 고정 지지체 및 제2하부 고정 지지체를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E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F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G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H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주요부인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상부쪽 일부와 라이트 함체와 고정 작동 구동모터 및 고정 블록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주요부인 고정 작동 구동모터 및 고정 블록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고정 블록에 의해 라이트 함체와 엘이디 라이트를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의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도어와 제2도어에 제1기밀 지지 스트랩과 제1기밀 핑거편과 제2기밀 지지 스트랩 및 제2기밀 핑거편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주요부인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의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와 제1벨트롤과 제2벨트롤과 제1벨트와 제2벨트와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상단부쪽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개방된 상태의 상부쪽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제1도어의 상부쪽 일부와 제1행거 및 제1벨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일측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엘이디 라이트와 센서가 구비된 컨트롤 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은 일반 창호 등에도 설치가능한 문 자동 개폐 시스템이며, 엘이디 라이트(150), 감지센서(172) 등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은 건물의 창호에 배치된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장착된 엘이디 라이트(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 대신에 일반적인 라이트(150)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엘이디 라이트(150)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은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와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와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좌우 양쪽의 사이드 도어 서포트 바아(126)가 결합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이 창호가 있는 벽체에 브라켓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개페수단은, 상기 도어 개페 지지 프레임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레일(161) 및 제2레일(162);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제1벨트롤(1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벨트롤(163)의 회전시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벨트(164); 상기 제1벨트(164)에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1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13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제2벨트롤(166)에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롤(166)의 회전시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벨트(167); 상기 제2벨트(167)에 연결되고 상기 제2레일(162)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과 상기 제1도어(130) 사이에서 개폐되는 제2도어(140); 한 쌍의 상기 제1벨트롤(163) 중에서 한 개의 제1벨드롤에 모터축이 회전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된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일(161)에 제1도어(130) 하단부의 제1레일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레일(162)에 제2도어(140) 하단부의 제2레일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상기 제1레일(161)과 제2레일(162)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된 감지센서(172)를 더 포함한다. 감지센서(172)는 브라켓 등의 고정수단으로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된다.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는 상부판(122A)과 하부판(122B)과 전면판(122C) 및 후면판(122D)을 구비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엘이디 라이트(150)와 마주하는 전면판(122C)에는 엘이디 라이트(150)가 발광할 때의 빛이 나오도록 하는 광투시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좌우 한 쌍의 제1벨트롤(163) 중심부의 롤축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후면판(122D) 전면에 장착되고, 후술하는 이동 가이드롤(166GR)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좌우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롤링 가이드홈(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후면판(122D)의 전면에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롤링 가이드홈)에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어(130)와 상기 제2도어(140)의 상단부는 각각 제1행거(165)와 제2행거(168)에 의해 상기 제1벨트(164)와 제2벨트(167)에 연결되어 장착된다. 좌우 한 쌍의 제2행거(168)의 후면에 상기 이동 가이드롤(166GR) 중심부의 롤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이드롤(166GR)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후면판(122D)의 전면에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롤링 가이드홈에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1도어(130)는 상단부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행거(165)가 상기 제1벨트(164)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도어(140)는 상단부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행거(168)가 상기 제2벨트(167)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 지지체에 의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모터축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모터축은 감속기어와 같은 회전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두 개의 제1벨트롤(163) 중에서 하나의 제1벨트롤(163) 중심부의 롤러축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모터축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벨트롤(163)이 상기 감속기어와 같은 회전력 전달수단으로 인하여 정역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밞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구비된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모터축이 일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제1벨트(164)가 한 쌍의 제1벨트롤(163)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여 제1하부 벨트부(164LVP)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1상부 벨트부(164UVP)는 좌측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제1벨트(164)의 제1하부 벨트부(164LVP)에는 제1도어(130)의 상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1행거(165)가 연결되어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행거(165)에 상단부가 연결된 제1도어(130)가 우측으로 열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벨트(167)의 제2하부 벨트부(167LVP)에는 한 쌍의 제1행거(165) 중에서 하나의 제1행거(165)가 연결되어 있고, 제2벨트(167)의 제2상부 벨트부(167UVP)에는 제2도어(140)의 상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2행거(168)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행거(165)와 제1도어(130)가 우측으로 열릴 때에 제2벨트(167)가 한 쌍의 제2벨트롤(166)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고 동시에 제2벨트(167)의 제2하부 벨트부(167LVP)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상부 벨트부(167UVP)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상기 제2행거(168)도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상기 제2행거(168)에 상단부가 연결된 제2도어(140)도 우측으로 열리게 된다. 제1도어(130)와 제2도어(130)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전후 개방부 영역에서 옆쪽으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30)가 벗어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개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과정을 통해서 닫히게 된다.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구비된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모터축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개방시킬 때와는 반대되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제1벨트(164)가 한 쌍의 제1벨트롤(163)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여 제1하부 벨트부(164LVP)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상부 벨트부(164UVP)는 우측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제1벨트(164)의 제1하부 벨트부(164LVP)에는 제1도어(130)의 상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1행거(165)가 연결되어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행거(165)에 상단부가 연결된 제1도어(130)가 좌측으로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벨트(167)의 제2하부 벨트부(167LVP)에는 한 쌍의 제1행거(165) 중에서 하나의 제1행거(165)가 연결되어 있고, 제2벨트(167)의 제2상부 벨트부(167UVP)에는 제2도어(140)의 상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2행거(168)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제1행거(165)와 제1도어(130)가 좌측으로 닫힐 때에 제2벨트(167)가 한 쌍의 제2벨트롤(166)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고 동시에 제2벨트(167)의 제2하부 벨트부(167LVP)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상부 벨트부(167UVP)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상기 제2행거(168)도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상기 제2행거(168)에 상단부가 연결된 제2도어(140)도 좌측으로 닫히게 된다. 제1도어(130)와 제2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전후 개방부 영역을 제1도어(130)와 제2도어(130)가 막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제2도어(140)를 제2벨트(167)의 제2상부 벨트부(167UVP)에 연결하는 제2행거(168)의 안쪽면에는 좌우 한 쌍의 이동 가이드롤(166GR)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가이드롤(166GR)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좌우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롤링 가이드홈(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후면판(122D)의 전면에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롤링 가이드홈)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1도어(130)가 슬라이되면서 열리고 닫힐 때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이동 가이드롤(166GR)과 한 쌍의 제2벨트롤(166)과 제2벨트(167) 및 제2도어(140)도 제1도어(130)와 함께 슬라이드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제1벨트롤(163) 중심부의 롤축은 상기 제2도어(140)의 상단부에 결합된 제2행거(16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감지센서(172)가 장착되고,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전면판(122C)에는 엘이디 라이트(150)의 빛이 나올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되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가 소등되어 있다가 사람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앞에 서있는 상태를 감지센서(172)가 감지하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작동시켜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개방하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가 계속 점등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열린 상태에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앞에 사람이 서있지 않은 상태를 감지센서(172)가 감지하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작동시켜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닫히도록 하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가 소등된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컨트롤 함체(CH)가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 함체(CH)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감지센서(172)와 엘이디 라이트(150) 및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172)가 사람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앞에 서있는 상태를 감지센서(172)가 감지하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작동시켜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개방하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가 계속 점등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열린 상태에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앞에 사람이 서있지 않은 상태를 감지센서(172)가 감지하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작동시켜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닫히도록 하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가 소등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람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 앞에 서있지 않은 상태를 상기 감지센서(172)가 감지할 때에는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작동을 멈추어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엘이디 라이트(150)는 계속 소등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부인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도어 개폐 수단으로서 제1레일(161) 및 제2레일(162)과 제1벨트(164)와 제1도어(130)와 제2벨트(167)와 제2도어(140) 및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가 장착됨으로써, 일반 창호 등에도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고, 엘이디 라이트(150)와 감지센서(172)가 구비되어 사람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 앞에 서있을 때에는 감지센서(172)에 의해 자동 감지하여 엘이디 라이트(150)를 점등시키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자동으로 개방 가능하고, 사람이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 앞에 서있지 않을 때에는 감지센서(172)에 의해 자동 감지하여 엘이디 라이트(150)를 소등시키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를 자동으로 닫아주므로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C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D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고정 지지체와 제2고정 지지체와 제1하부 고정 지지체 및 제2하부 고정 지지체를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가압 밀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E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F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G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H 부분의 우측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의 주요부인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상부쪽 일부와 라이트 함체와 고정 작동 구동모터 및 고정 블록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주요부인 고정 작동 구동모터 및 고정 블록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고정 블록에 의해 라이트 함체와 엘이디 라이트를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의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에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도어와 제2도어에 제1기밀 지지 스트랩과 제1기밀 핑거편과 제2기밀 지지 스트랩 및 제2기밀 핑거편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내장된 제1고정 지지 실린더(182) 및 제2고정 지지 실린더(184); 상기 제1고정 지지 실린더(182)의 실린더 로드와 제2고정 지지 실린더(184)의 실린더 로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상단부에 가압 밀착되는 제1고정 지지제(194) 및 제2고정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도어 서프트 베이스의 하부판(122B)의 일부에는 제1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13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 지지 실린더(182)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제1고정 지지제(194)는 상기 슬롯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고정 지지 실린더(182)의 실린더 로드가 아래로 전진하면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닫혀 있는 제1도어(130)의 상단부에 가압 밀착된다.
또한, 상기 어퍼 도어 서프트 베이스의 하부판(122B)의 일부에는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 제2도어(14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 지지 실린더(184)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제2고정 지지체는 상기 슬롯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2고정 지지 실린더(184)의 실린더 로드가 아래로 전진하면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닫혀 있는 제2도어(140)의 상단부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고정 지지제(194)와 제2고정 지지체가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상단부를 잡고 있게 되므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유동됨이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상단부와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 에 내장된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2) 및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4); 상기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2)의 실린더 로드와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4)의 실린더 로드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하단부에 가압 밀착되는 제1하부 고정 지지체(212) 및 제2하부 고정 지지체(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 의 하부측 상면판의 일부에는 제1레일(161)과 제2레일(162)이 구비되는데, 상기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의 하부측 상면판의 일부에는 제1레일(161)을 벗어난 위치에 제1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제1도어(130)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2)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제1하부 고정 지지체(212)는 상기 슬롯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2)의 실린더 로드가 위로 전진하면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닫혀 있는 제1도어(130)의 하단부에 가압 밀착된다.
또한, 상기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의 하부측 상면판의 일부에는 제2레을 벗어난 위치에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 제2도어(140)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4)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제2하부 고정 지지체(214)는 상기 슬롯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4)의 실린더 로드가 위로 전진하면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닫혀 있는 제2도어(140)의 하단부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하부 고정 지지체(212)와 제2하부 고정 지지체(214)가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하단부를 잡고 있게 되므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유동됨이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하단부와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라이트(150)는 고정 지지장치에 의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지지장치는, 상기 엘이디 라이트(150)가 내장된 라이트 함체(223); 상기 라인트 함체를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되며 모터축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 작동 구동모터(232); 복수개의 상기 고정 작동 구동모터(232)의 모터축에 결합된 복수개의 볼스크류(234); 상기 볼스크류(234)의 외주면에 결합된 복수개의 볼스크류 너트(236); 복수개의 상기 볼스크류 너트(236)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작동 구동도어 개폐 구동모터(169)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 너트(236)가 상기 볼스크류(234)에서 하강할 때에 상기 라이트 함체(223)의 바닥판을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하부판(122B)에 가압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 블록(2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트 함체(223)는 전후면에 개방부가 구비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라이트 함체(223)의 바닥부를 이루는 함체측 바닥판(223BP)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상기 라이트 함체(223)의 전단부와 후단부보다 각각 앞뒤로 더 돌출되어 전후 한 쌍의 고정 블록(238)이 상기 라이트 함체(223)의 바닥부를 이루는 함체측 바닥판(223BP)을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상부판에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고정 작동 구동모터(232)는 라이트 함체(223)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되어,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고정 작동 구동모터(232)가 라이트 함체(223)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고정 블록(238)도 라이트 함체(223)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되어 네 개의 고정 블록(238)이 라이드 함체의 전후 좌우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함체측 바닥판(223BP)의 위쪽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고정 블록(238)이 라이드 함체의 바닥부를 이루는 함체측 바닥판(223BP) 위에서 위로 떠있는 상태에서 고정 작동 구동모터(232)의 모터축을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볼스크류(234)를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스크류 너트(236)가 볼스크류(234)에서 하강하여 고정 블록(238)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238)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하부판(122B)에 라이트 함체(223)의 함체측 바닥판(223BP)을 가압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라이트 함체(223)에 내장되어 지지된 상기 엘리이 라이트(150)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고정 블록(238)이 라이드 함체의 바닥부를 이루는 함체측 바닥판(223BP)을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하부판(122B)에 가압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 작동 구동모터(232)의 모터축을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볼스크류(234)를 다른 쪽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스크류 너트(236)가 볼스크류(234)에서 상승하여 고정 블록(238)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238)이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의 하부판(122B)에 라이트 함체(223)의 함체측 바닥판(223BP)을 가압 고정시키는 상태를 해제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라이트 함체(223)와 엘이디 라이트(150)를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서 들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함체측 바닥판(223BP)의 면적은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더 크고 동시에 전후 한 쌍의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절첩판이 구비되어, 상기 라이트 함체(223)와 엘이디 라이트(150)를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서 위로 들어낼 때에 상기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전후 절첩판이 접혀질 수 있으므로, 상기 라이트 함체(223)와 엘이디 라이트(150)를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서 위로 쉽게 들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엘이디 라이트(150)를 쉽고 빠르게 도어 이동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고정하거나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서 분리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기밀 지지 스트랩(242)과 제2기밀 지지 스트랩(252); 상기 제1기밀 지지 스트랩(24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기밀 핑거편(244); 상기 제2기밀 지지 스트랩(252)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 복수개의 상기 제1기밀 핑거편(244)에 맞물려서 상기 제1도어(130)와 상기 제2도어(140) 사이의 간격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개의 제2기밀 핑거편(2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1기밀 지지 스트랩(242)의 제1기밀 핑거편(244)과 제2기밀 지지 스트랩(252)의 제2기밀 핑거편(254)이 서로 벌어져 있는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1기밀 지지 스트랩(242)의 제1기밀 핑거편(244)과 제2기밀 지지 스트랩(252)의 제2기밀 핑거편(254)이 서로 기밀되게 맞물려 있게 되므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1도어(130)의 후면과 제2도어(14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상기 제1기밀 핑거편(244)과 제2기밀 핑거편(254)이 막아준 상태로 유지되면서 제1도어(130)의 후면과 제2도어(140)의 전면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소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가 더욱 견고하게 유동없이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전후 개방부를 막고 있는 상태로 유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0.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 122.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
122A. 상부판 122B. 하부판
122C. 전면판 122D. 후면판
124.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 126. 사이드 도어 서포트 바아
130. 제1도어 140. 제2도어
150. 라이트 161. 제1레일
162. 제2레일 163. 제1벨트롤
164. 제1벨트 164UVP. 제1상부 벨트부
164LVP. 제1하부 벨트부 165. 제1행거
166. 제2벨트롤 167. 제2벨트
167UVP. 제2상부 벨트부 167LVP. 제2하부 벨트부
168. 제2행거 169. 도어 개폐 구동모터
172. 감지센서 182. 제1고정 지지 실린더
184. 제2고정 지지 실린더 192. 제1고정 지지체
194. 제2고정 지지체 202.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
204.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 212. 제1하부 고정 지지체
214. 제2하부 고정 지지체 223. 라이트 함체
223BP. 함체측 바닥판 232. 고정 작동 구동모터
234. 볼스크류 236. 볼스크류 너트
238. 고정 블록

Claims (3)

  1. 건물의 창호에 배치된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장착된 라이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은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상기 라이트(15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 개폐수단은,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레일(161) 및 제2레일(162);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제1벨트롤(1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벨트롤(163)의 회전시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벨트(164);
    상기 제1벨트(164)에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1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으로 개폐되는 제1도어(130)를 상기 제1벨트롤(163)에 결합시키는 제1행거(165);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제2벨트롤(166)에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롤(166)의 회전시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벨트(167);
    상기 제2벨트(167)에 연결되고 상기 제2레일(162)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일측과 상기 제1도어(130) 사이에서 개폐되는 제2도어(140)를 상기 제2벨트롤(166)에 결합시키는 제2행거(168);
    한 쌍의 상기 제1벨트롤(163) 중에서 한 개의 제1벨드롤에 모터축이 회전력 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적으로 연결된 도어 개폐 구동모터(169);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지지 프레임(120)의 로워 도어 서포트 바아(124) 에 내장된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2) 및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4); 상기 제1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2)의 실린더 로드와 제2하부 고정 지지 실린더(204)의 실린더 로드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하단부에 가압 밀착되는 제1하부 고정 지지체(212) 및 제2하부 고정 지지체(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도어 서포트 베이스(122)에 장착된 감지센서(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도어(130)의 상단부와 상기 제2도어(140)의 상단부는 각각 제1행거(165)와 제2행거(168)에 의해 상기 제1벨트(164)와 상기 제2벨트(167)에 연결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KR1020230038221A 2023-03-23 2023-03-23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KR10259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221A KR102591958B1 (ko) 2023-03-23 2023-03-23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221A KR102591958B1 (ko) 2023-03-23 2023-03-23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958B1 true KR102591958B1 (ko) 2023-10-23

Family

ID=885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221A KR102591958B1 (ko) 2023-03-23 2023-03-23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9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135A (ja) * 2004-11-12 2006-06-01 Fuso Denki Kogyo Kk スライドドア装置
KR20110040052A (ko) * 2009-10-13 2011-04-20 박금석 드레스 룸의 도어 시스템
KR102074312B1 (ko) 2018-03-13 2020-02-06 (주)비에스케이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KR20220043796A (ko) 2020-09-29 2022-04-05 김희일 자동문 프레임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20220147808A (ko)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지앤아이바이오 자기 구동식 미닫이 자동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8135A (ja) * 2004-11-12 2006-06-01 Fuso Denki Kogyo Kk スライドドア装置
KR20110040052A (ko) * 2009-10-13 2011-04-20 박금석 드레스 룸의 도어 시스템
KR102074312B1 (ko) 2018-03-13 2020-02-06 (주)비에스케이 카메라를 이용한 중앙통제방식의 출입자 인식 자동문 시스템
KR20220043796A (ko) 2020-09-29 2022-04-05 김희일 자동문 프레임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20220147808A (ko)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지앤아이바이오 자기 구동식 미닫이 자동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205B2 (en) Running gear arrangement having a guide rail for a sliding door
JP5116489B2 (ja) 滑動式ドア構造
US4541202A (en) Sliding door operator and lock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0641268B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US7322395B2 (en) Tambour door comprising a door leaf that can be rolled up and uses thereof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KR102591958B1 (ko) 부착형 자동문 시스템
JP201012070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55435B2 (ja) 自動引き戸
WO2015150991A1 (en) Sliding door assembly of a modular partition wall
KR100960948B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CA2144554A1 (en) Vertical travel door
JP3941038B2 (ja) 家庭用エレベータ
KR100815616B1 (ko) 회전도어의 개폐장치
KR101728297B1 (ko) 자동 도어 개폐장치
KR102531273B1 (ko) 연동형 다중 미닫이문
KR014682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JP4176415B2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KR100328395B1 (ko) 자동도어 장치
KR100554280B1 (ko) 공기조화기
KR200173252Y1 (ko) 건물용 환기장치
KR20060044589A (ko) 양 여닫이식 롤링도어
KR200231006Y1 (ko) 창문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