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006Y1 - 창문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006Y1
KR200231006Y1 KR2019980020704U KR19980020704U KR200231006Y1 KR 200231006 Y1 KR200231006 Y1 KR 200231006Y1 KR 2019980020704 U KR2019980020704 U KR 2019980020704U KR 19980020704 U KR19980020704 U KR 19980020704U KR 200231006 Y1 KR200231006 Y1 KR 200231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crew
motor
mo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817U (ko
Inventor
김본진
Original Assignee
김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본진 filed Critical 김본진
Publication of KR19990038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00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의 하부에 리모콘 혹은 조작스위치로 작동되는 창문 개폐장치를 내부로 구성하고 이 개폐장치를 고정창과 이동창으로 구성되는 창문 중에서 이동창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기기의 조작으로 이동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볼베어링(321)이 삽입된 고정부(32)를 양측으로 설치하고, 이 고정부(32)의 일측으로는 조작부(35)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31)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31)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33)가 고정부(32)에 삽입되어 모터(31)의 모터축(311)과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33)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되며 일측으로 이동창(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이동창(20)을 지지하는 창문지지대(34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로 볼베어링(341)이 삽입된 이동부(34)로 구성되는 개폐장치(30)를 창틀(1)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되는 공간부(22)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22)에는 탈착 가능한 덮개(36) 설치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자동 개폐장치
본 고안은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창틀의 하부에 리모콘 혹은 조작스위치로 작동되는 창문 개폐장치를 내부로 구성하고 이 개폐장치를 고정창과 이동창으로 구성되는 창문 중에서 이동창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외부에 기기의 조작으로 이동창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발코니 창문은 그 크기에 비해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어 개폐시에 많은 힘이 필요하고, 철 구조물의 건축물이 늘어나는 추세에 맞추어 자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창문 자동 개폐장치로 기 제시되어진 바 있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84-4023호(84. 8. 25)에 의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문(1) 양측 상단에 스크류 축수(2)(2′)를 설치하고 이 축수(2)(2′)에는 베벨기어(4)(4′)에 연계된 스크류축(5)(5′)을 내부로 체결하고 전동기(7)에 연동된 연동축(10) 양단으로 베벨 기어(11)(11′)를 스크류축(5)(5′)에 연계된 베벨기어(4)(4′)에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전동기(7)에 연계된 조작판(6)(6′)의 작동으로 스크류(5)(5′)를 타고 승강문(1)에 설치된 축수(2)(2′)가 슬라이딩하여 창문을 상하로 개폐하도록 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스크류(5)(5′)의 작동을 위한 베벨기어(4)(4′)(11)(11′)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설치장소가 넓어지는 문제점과 2단으로 구성된 창문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기 제시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2-4570호(92. 3. 26)에 의하면, 제5(a)도,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식으로 창문(1)의 일측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나사(3)를 고정하며, 창문틀(2)의 상단의 저면 일측에 마이크로 스위치(4)를 고정설치하며, 창문틀(2)의 일측 중앙부에는 모터(5)를 고정 설치한 뒤 그 모터(5)의 회전축(6)에 와이어(7)를 권회되게 하고, 상기 와이어(7)에 고리(9)를 연결하여 나사(3)에 걸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와 모터(5)를 타이머(8)에 접속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구성상에 있어서는 간편할 수는 있으나, 미닫이 창문(1)에 설치되는 나사(3)와, 이 나사(3)와 모터(5)를 연결되는 와이어(7)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구성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과 반복적인 사용시 와이어(7)가 단락되어지는 불안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대형창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와이어(7)의 길이가 길어지며 모터(5)의 구동력을 크게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창틀 하부의 양측 고정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에는 이동창에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스크류를 따라 나선이동되는 이동부의 작동에 의해서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불량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간접 구동방식, 즉 모터의 구동력이 중간 감속장치를 통해 스크류 측으로 전달되는 간접구동방식으로 되어 있어 소음이 발생되고, 마찰마모성으로 인한 유격의 발생 및 내부부품의 이탈 및 손상으로 제어의 부정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창문의 자동 개폐를 위한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불량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터의 구동력이 직접 스크류 측으로 전달되는 직접 구동방식으로 소음제거 및 제어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 고정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스크류를 따라 나선이동되는 이동부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스크류, 이동부가 수용될 수 있게 창틀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가 모터축이 스크류에 직접 연결되게 일측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 및 이동부에는 스크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이 내장되고, 상기 공간부에 덮개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장착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제4도는 종래 창문 개폐장치의 정면도.
제5(a)도는 종래 다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b)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창 20 : 이동창
22 : 공간부 30, 30′: 개폐장치
31 : 모터 32 : 고정부
33 : 스크류 34 : 이동부
35 : 조작부 36 : 덮개
41 : 풀리 42 : 벨트
43 : 이동부 321, 341 : 볼베어링
342 : 창문지지대
이하 본 고안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장착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폐장치는 외측으로 창틀(1)이 고정되어진 고정창(10)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이동창(20)으로 구성되는 창문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으로 창틀(1)에 고정되는 고정창(10)의 전면으로 레일(21)이 설치되며, 이 레일(21)에는 이동창(20)이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개폐장치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이동창(20)의 전면으로는 공간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공간부(22)의 내측으로는 각각의 이동창(20)에 연결되는 개폐장치(30)가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개폐장치(30)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36)를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장치는 내부에 볼베어링(321)이 삽입된 고정부(32)를 양측으로 설치하고, 이의 사이에는 스크류(3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33)가 모터(31)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게 상기 고정부(32)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31)의 모터축(311)은 스크류(33)에 직접 연결되며, 조작부(35)에 의해 모터(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직접구동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33)는 고정부(32)의 내부에 장착된 볼베어링(32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스크류(33)에는 내부로 볼베어링(341)을 장착하고 외부 일측에는 이동창(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이동창(20)을 지지하는 창문지지대(342)가 돌출되어진 이동부(34)가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33)의 회전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크류(33)를 사용하는 대신 벨트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41)에 벨트(42)를 연결하고, 이 벨트(42)에 이동창의 하부에 고정되어 이동창을 지지하는 이동부(43)가 장착되어 지도록 하여 상기의 스크류(33)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원거리에서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벨트를 대신하여 체인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틀(1)의 후면에 설치되며 바깥방향으로 위치하는 고정창(10)과, 이 고정창(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레일(21)에 위치하는 이동창(20)의 하부에 개폐장치(30)의 이동부(34)에 형성된 창문지지대(342)를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동창(20)을 원거리에서 열고 닫고자 할 경우 리모컨 혹은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어진 스위치(351)를 조작하게 되면 조작부(35)의 신호에 의해 모터(31)가 구동하게 되며 모터(31)의 구동은 모터축(311)에 연결된 스크류(33)를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크류(33)에 장착되어진 이동부(34)가 좌우로 슬하이딩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이동부(34)의 창문지지대(342)에 고정되어진 이동창(20)이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편리하게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창틀에 공간부와 덮개를 형성하여 장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장치의 외부노출로 인한 미관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력이 스크류에 직접 전달되는 직접구동방식에 의해서 창문의 자동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접구동방식, 즉 모터의 구동력이 중간의 감속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기존의 창문 자동개폐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마찰마모성으로 인한 유격 및 기어 이탈 등으로 인한 제어의 부정확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 고정부(3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33)에 결합되어 모터(31)의 구동력으로 상기 스크류(33)를 따라 나선이동되는 이동부(34)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2) 및 스크류(33), 이동부(34)가 수용될 수 있게 창틀(1)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되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31)가 모터축(311)이 스크류(33)에 직접 연결되게 일측 고정부(32)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32) 및 이동부(34)에는 스크류(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321)(341)이 내장되고, 상기 공간부(22)에 덮개(36)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19980020704U 1998-03-13 1998-10-28 창문자동개폐장치 KR2002310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56 1998-03-13
KR2019980003656U KR19980059221U (ko) 1998-03-13 1998-03-13 멀티 창호
KR98-3656 1998-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17U KR19990038817U (ko) 1999-10-25
KR200231006Y1 true KR200231006Y1 (ko) 2001-10-25

Family

ID=695140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56U KR19980059221U (ko) 1998-03-13 1998-03-13 멀티 창호
KR2019980020704U KR200231006Y1 (ko) 1998-03-13 1998-10-28 창문자동개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56U KR19980059221U (ko) 1998-03-13 1998-03-13 멀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592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84A (ko) 2018-12-17 2020-06-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484B1 (ko) * 2008-11-14 2011-08-30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84A (ko) 2018-12-17 2020-06-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문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17U (ko) 1999-10-25
KR19980059221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9854B1 (en) A window with a frame of extruded profile members
CA1294295C (en) Safety mechanism for power operated door
US20110042017A1 (en) Electrical control mechanism for built-in sunshade products for hollow glass
KR200231006Y1 (ko) 창문자동개폐장치
US4336670A (en) Gate Assembly
ITVE20070039U1 (it) Struttura di cancello a battente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930002107Y1 (ko) 전동식 커튼 개폐장치
KR940005687Y1 (ko) 원통 구조물의 도어장치
CN204126524U (zh) 一种静音卷帘门
KR20110100843A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CN110485901A (zh) 一种具有底部限位功能的提升门
JPH0354547Y2 (ko)
JP3824234B2 (ja) 自動ドア装置
CN210508895U (zh) 一种可净化空气的自动化窗户
KR100613863B1 (ko) 에어컨의 셔터 구동장치
JP3016341U (ja) 換気扇の通風門自動開閉構造
KR10257018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도어장치
JP3944000B2 (ja) シャッター
CN217206069U (zh) 一种阳台用智能门体结构
KR200241856Y1 (ko) 이동식 칸막이용 미닫이문의 고정장치
JP3944001B2 (ja) シャッター
KR200176435Y1 (ko) 원격제어형 이중커텐 개폐장치
JP3263800B2 (ja) 開閉型天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