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984B1 -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984B1
KR102155984B1 KR1020200005298A KR20200005298A KR102155984B1 KR 102155984 B1 KR102155984 B1 KR 102155984B1 KR 1020200005298 A KR1020200005298 A KR 1020200005298A KR 20200005298 A KR20200005298 A KR 20200005298A KR 102155984 B1 KR102155984 B1 KR 10215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user
control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권
Original Assignee
김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권 filed Critical 김정권
Priority to KR102020000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86Locks with panic function, e.g. allowing opening from the inside without a ley even when locked from the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 따른 도어 장치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를 록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체결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 및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장치 {A DOOR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룸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이 설치되는데, 레버타입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록킹 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룸도어의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현관도어용 도어락에 비하여, 현관도어에 의해 1차적으로 보호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특성상, 강력한 보안이나 견고한 록킹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룸도어의 외측면에 외부고정부재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레버와, 룸도어의 내측면에 상기 외측레버에 대향되도록 내부고정부재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레버와, 룸도어의 측부에 돌출 및 삽입됨으로써 도어프레임의 걸림부재에 걸리게 되는 래치를 가지는 래치어셈블리와, 외측레버 또는 내측레버의 회전에 의해 래치가 룸도어의 측부에 돌출 및 삽입되도록 래치를 내측레버와 외측레버 각각에 연결되시키는 래치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은 번호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 때, 별도의 번호키 형태의 도어락 장치가 도어의 일 측에 배치되어야 함에 따라 미관을 해치고 별도로 탈부착 시켜야하는 제조 및 공정 상의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0-0097995호에서는 도어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 따른 목적은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 자체에 록킹 기능 및 상기 록킹 키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 따른 도어 장치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를 록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체결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 및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문 정보가 기 설정된 지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손의 일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의 일 부분과 일치된다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장치는,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안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일치된다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불일치 한다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경보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 장치는,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도어부 및 상기 체결부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 주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3 센서요소, 및 상기 도어부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센서요소 내지 상기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전부는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시에 상기 전력을 상기 전원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는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는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는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는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 자체에 록킹 기능 및 상기 록킹 키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패널부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제1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를 나타내며,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패널부를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제1 제어부를 나타내며,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 따른 도어 장치는,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100),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200), 도어부와 프레임부 사이를 록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체결부(미도시),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300) 및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패널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제1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문 정보가 기 설정된 지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장치는, 도어부(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하고 안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500)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일치된다면, 제2 제어부는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제어부(500)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불일치 한다면, 제2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경보를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널부(3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불일치하는 경우 제2 제어부는 도어부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매커니즘을 통하여 제1 제어부(4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문 정보가 기 설정된 지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제2 제어부는 도어부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제어부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미리 허용된 사용자 이외에 제3자가 출입문을 통해 출입을 시도할 경우 즉각적으로 관리자에게 이와 같은 정보를 알림으로써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 장치는, 도어부(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도어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600) 및 도어부와 체결부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600)는, 도어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 도어부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요소, 도어부 주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3 센서요소 및 도어부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도어부 주변의 환경에 대한 기타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센서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제어부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3을 참조하여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제1 제어부(400)는 손잡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부(1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를 손을 쥐는 경우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지문은 상기 제1 제어부(400)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입문을 통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도어부 일면 또는 도어부 주위에 별도의 제어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도어부 일면 또는 도어부 주위에 별도로 배치된 제어부를 통하여 선행적으로 지문을 인식 시키고 추가적으로 손잡이를 쥐어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행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본원발명과 같이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제어부의 구성을 통하여, 별도의 지문 인식을 위한 제어부를 도어부 일면 또는 도어부 주위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장치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행적으로 지문을 인식 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별도의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손의 일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의 일 부분과 일치된다면, 제1 제어부는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손잡이의 특정 부위를 쥐어야 할 필요성이 없으며, 사용자가 제1 제어부의 일 부분만 파지하여 대응되는 위치의 사용자 손의 지문이 인식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체결부의 록킹 유지 또는 록킹 해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구동부는 제1 센서요소 내지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도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어 장치는,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 및 도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도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자가 발전하는 발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는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 시에 전력을 전원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경우 이외에, 화재 발생 등과 같이 유사시에 도어부를 구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평소에 발전부를 통하여 생성된 전력을 전원부에 저장한 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도어부 및 체결부의 구동을 위한 상시 전원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도4와 같이 별도의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어 장치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의해 제공되는 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도5와 같이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센서부가 이와 같은 온도 상승을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구동부는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가 먼지 농도를 실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도어 장치 외부의 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유지되어 대기 공기 질이 깨끗한 것으로 확인될 경우, 구동부는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출입구를 개방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실내의 환기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원발명은 도어 장치 주변의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실내의 쾌적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장치는 설치가 편리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보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장치는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장치는 기존의 도어에 별도의 도어락을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어 자체에 록킹 기능 및 상기 록킹 키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도어부
200 : 프레임부
300 : 패널부
400 : 제1 제어부
500 : 제2 제어부
600 : 센서부

Claims (5)

  1.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를 록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체결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형성된 손잡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제어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도어부 및 상기 체결부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도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지문 정보가 기 설정된 지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에는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전체 부분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제어부의 일 부분만을 파지함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손의 일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손의 전체 부분에 대한 지문 정보의 일 부분과 일치된다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전부는 자가 발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저장한 뒤 필요시에 상기 전력을 상기 전원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상기 도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도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안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미리 전달 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 및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일치된다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정보와 불일치 한다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경보를 전달할 수 있는,
    도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요소;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3 센서요소; 및
    상기 도어부의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제4 센서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1 센서요소 내지 제4 센서요소 중 어느 하나의 센서요소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체결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구동시켜 상기 출입구를 개방시키는,
    도어 장치.
  5. 삭제
KR1020200005298A 2020-01-15 2020-01-15 도어 장치 KR10215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98A KR102155984B1 (ko) 2020-01-15 2020-01-15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98A KR102155984B1 (ko) 2020-01-15 2020-01-15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984B1 true KR102155984B1 (ko) 2020-09-14

Family

ID=7247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98A KR102155984B1 (ko) 2020-01-15 2020-01-15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9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974A (ko) * 2013-11-07 2015-05-15 조봉미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8542A (ko) * 2017-01-26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KR101899864B1 (ko) * 2016-08-08 2018-09-19 주식회사 엔텍스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KR20180113310A (ko) * 2017-04-06 2018-10-16 왕남철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974A (ko) * 2013-11-07 2015-05-15 조봉미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864B1 (ko) * 2016-08-08 2018-09-19 주식회사 엔텍스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KR20180088542A (ko) * 2017-01-26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KR20180113310A (ko) * 2017-04-06 2018-10-16 왕남철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1693A (ko) 생물학적 사람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가정용 장치
KR100707747B1 (ko) 개인 인증 장치
KR102155984B1 (ko) 도어 장치
KR20070029533A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55597B1 (ko) 도어 작동 제어 방법
KR100706174B1 (ko)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1064970B1 (ko) 얼굴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KR100365487B1 (ko) 화상검색기능을 갖는 출입문 잠금장치
JP2007046290A (ja) 開閉装置
JP2005256367A (ja) 指紋認証装置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EP3428373B1 (en) Electric lock device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101899455B1 (ko)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KR100920501B1 (ko) 지문인식부의 덮개 자동 차폐장치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시스템
KR20080098833A (ko) 도어록 시스템
CN219431577U (zh) 一种智能锁
KR200378836Y1 (ko) 불법 해정을 센싱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
KR102299998B1 (ko)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KR100564308B1 (ko) 지문인식을 통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0706B1 (ko)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0132722A (ja) 入退出管理装置
KR200189342Y1 (ko) 지문인식 도어락
KR100649268B1 (ko) 비밀번호 방식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JP2010013869A (ja) 照合システム
CN104567382B (zh) 一种具有报警和人脸识别功能的万用电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