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998B1 -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998B1
KR102299998B1 KR1020190162970A KR20190162970A KR102299998B1 KR 102299998 B1 KR102299998 B1 KR 102299998B1 KR 1020190162970 A KR1020190162970 A KR 1020190162970A KR 20190162970 A KR20190162970 A KR 20190162970A KR 102299998 B1 KR102299998 B1 KR 10229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handle
gea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553A (ko
Inventor
이동길
Original Assignee
이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길 filed Critical 이동길
Priority to KR102019016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9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카드 인식 및 지문 입력을 위한 입력부(110), 도어락에 접근하는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120), 상기 센서부(120)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30),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정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정보 및 얼굴인식부(140)로터 전송받은 얼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 상기 저장부(15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도어의 개폐, 이미지의 촬영 및 경보음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설정하는 도어개폐부(170),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면 도어의 실내측에 숨겨져 있고, 도어가 잠금 해제되면 도어의 실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손잡이(190), 상기 도어개폐부(170)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190)를 작동시키는 기어부(180) 및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Safety door lock where the handle is automatically hidden}
본 발명은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어락에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가 도어의 실내측에 숨겨져 있어 외부에서 손잡이를 당길 수 없도록 하는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및 주택에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비밀번호 입력, 지문 및 카드 인식을 통해 손쉽고, 편리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도어락에서는 외부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거쳐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한 후 손잡이를 잡아 당겨 도어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출입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33094호 명세서(출입문 손잡이와 연동하는 도어락 시스템)에는 출입문 손잡이의 움직임 발생시 사용자가 휴대한 RF카드의 데이터가 수신 판독되도록 하여 출입문이 개방되게 하는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54502호 명세서(도어락용 안전손잡이)에는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치매환자나 어린아이가 보호자의 동행 없이 임의로 도어를 열고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락용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락에서는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실외측에 노출되어 있어, 집의 내부로 침입하려는 의도를 갖는 외부인은 먼저 손잡이를 당겨 보고, 집의 내부에서 인기척이 들리지 않으면, 도어의 잠금 장치를 고의로 파손시켜 집안 내부로 침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손잡이가 부분적으로 손상 및 파괴되거나, 이물질에 오염되어 손잡이의 사용연수가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보안에 문제가 있어 거주자가 외출해 있는 경우 침입자의 신원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33904 Y1 KR 101354052 B1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면 손잡이가 도어의 실외측으로 노출되고,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면, 손잡이가 도어의 실내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숨겨짐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된 안전 도어락을 제공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 카드 인식 및 지문 입력을 위한 입력부(110), 도어락에 접근하는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120), 상기 센서부(120)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30),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정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정보 및 얼굴인식부(140)로터 전송받은 얼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 상기 저장부(15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도어의 개폐, 이미지의 촬영 및 경보음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설정하는 도어개폐부(170),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면 도어의 실내측에 숨겨져 있고, 도어가 잠금 해제되면 도어의 실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손잡이(190), 상기 도어개폐부(170)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190)를 작동시키는 기어부(180) 및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 도어락은 사용자 인증 오류 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 도어락은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전송된 이미지정보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정보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얼굴인식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굴인식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41) 및 검출된 얼굴정보에서 얼굴의 색상, 주위의 조명 및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부(170)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어락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어의 잠금이 설정되면 도어락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문틀의 홀 내부로 들어가는 걸쇠(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는 하부기어(181) 및 상기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손잡이(190)를 작동시키는 상부기어(182)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이단기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90)는 도어 개폐 시 실외에서 잡을 수 있는 외측손잡이(191), 도어락 및 도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19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192) 및 도어 개폐 시 실내에서 잡을 수 있는 내측손잡이(1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어락은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손잡이가 도어의 실내측에 숨겨져 있어, 침입자가 도어의 실외측에서 손잡이를 잡아 당길 수 없어 2중 보안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락은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실내측에 숨겨져 있어, 도어의 손잡이를 고의적으로 파괴하거나, 오염시키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에 비해 손잡이의 사용연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락은 도어의 실외측으로 접근하는 방문자가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도어 실외측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정면도
도 2: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구성도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작동 흐름도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얼굴 인식 작동 흐름도
도 5: 도어 잠금 해제 시 손잡이의 작동 메커니즘 구성도
도 6: 도어 잠금 시 손잡이의 작동 메커니즘 구성도
도 7: 도어 잠금 해제 시 안전 도어락의 단면도
도 8: 도어 잠금 시 안전 도어락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정면은 최상부에 카메라부(130)가 구비되고, 카메라부(130)의 바로 아래에 센서부(120)가 구비되고, 정면의 중앙부에 손잡이(190)가 구비되고, 최하부에 입력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먼저, 입력부(110)는 키패드(111), 카드인식기(112) 및 지문인식기(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패드(111)와 카드인식기(112)는 도어락의 전방 하부에 동일하게 위치하고 있다.
키패드(111)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되어 있어, 방문자가 터치를 통해 비밀번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111)의 터치스크린은 평소에는 숫자키가 보이지 않다가, 방문자가 손으로 터치를 하면 숫자키가 자동으로 보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키패드(111)의 숫자는 랜덤으로 배열되어 있어, 방문자가 키패드(111)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혹시 지나가는 외부인이 이를 우연히 보게 되더라도 숫자가 입력되는 패턴을 알아볼 수 없어 입력되는 비밀번호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카드인식기(112)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카드를 접촉하여 손쉽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문인식기(113)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하여 손쉽게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부(120)는 도어락에 접근하는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신호는 카메라부(130)로 전송되어 카메라부(130)가 도어락에 접근하는 방문자를 촬영하도록 한다.
카메라부(130)는 센서부(120)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부(130)는 상시 촬영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120)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만, 도어의 실외측을 촬영하게 된다.
손잡이(190)는 외측손잡이(191), 연결부(192) 및 내측손잡이(1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손잡이(191)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으로 잡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192)는 도어락 및 도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19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측손잡이(193)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손으로 잡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은 입력부(110), 센서부(120), 카메라부(130), 얼굴인식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도어개폐부(170), 기어부(180), 손잡이(190), 경보기(200),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얼굴인식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전송된 이미지정보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정보를 검출하여 보정한다. 얼굴인식부(140)는 검출부(141) 및 보정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출부(141)는 상기 카메라(130)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정부(142)는 검출된 얼굴정보에서 얼굴의 색상, 주위의 조명 및 눈, 코, 입 등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저장부(150)은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정보 및 얼굴인식부(140)로터 전송받은 얼굴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미리 등록된 거주자의 비밀번호, 카드정보, 지문정보 및 얼굴정보 등의 기준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60)은 저장부(15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도어의 개폐, 이미지의 촬영 및 경보음 발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서 전송받은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가 정확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서 전송받은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경보기(20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센서부(120)에 이상 신호를 전송하여 카메라부(130)가 침입자의 이미지정보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도어의 개폐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개폐부(170)는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도어개폐부(170)에서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입실 후 도어를 닫으면 잠금 상태로 설정된다.
기어부(180)는 도어개폐부(170)와 기어맞물림되면서 도어개폐부(170)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손잡이(190)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기어부(180)는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는 하부기어 및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기어맞물림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여 손잡이(190)를 작동시키는 상부기어(182)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이단기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보기(200)는 사용자 인증 오류 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경보기(200)는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가 각각 3회 이상 잘못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통신부(210)는 무선통신으로 도어의 개폐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애플리케션(200)으로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300)은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받은 도어의 개폐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시스템의 작동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방문자가 도어락으로 접근하면, 센서부(120)가 도어의 실외측을 감지하고, 방문자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정보를 인식시키거나, 지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1, S12)
입력부(110)는 키패드(111), 카드인식기(112), 지문인식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방문자는 키패드(111)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인식기(112)에 카드를 접촉함으로써 카드를 인식시키거나, 지문인식기(113)에 지문을 입력함으로써 지문을 인식시킬 수 있다.(S12)
그리고, 입력된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는 저장부(15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제어부(160)에서는 저장부(150)에서 전송받은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를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정확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3)
전송받은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가 정확한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여 도어의 잠금 장치가 해제될 수 있도록 도어개폐부(170)를 제어한다.(S14)
그리고, 기어부(180)는 도어개폐부(170)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도어개폐부(170)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손잡이(190)를 작동시킨다.(S15, S16)
그리고, 제어부(160)는 도어의 개폐 시, 통신부(210)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300)으로 전송한다.(S17)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에서 손잡이(190)의 작동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어 잠금 해제 시 손잡이의 작동 메커니즘 구성도이고, 도 6는 도어 잠금 시 손잡이의 작동 메커니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는 문틀에서 도어락의 측면 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그리고, 기어부(180)의 하부기어(181)는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에 기어맞물림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 이후, 하부기어(181)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부기어(182)는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기어맞물림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부기어(182)는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손잡이(190)가 도어의 실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의 잠금이 설정되면,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는 도어락의 측면에서 문틀 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그리고, 기어부(180)의 하부기어(181)는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에 기어맞물림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 이후, 하부기어(181)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부기어(182)는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기어맞물림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부기어(182)는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손잡이(190)가 도어의 실내측으로 들어가서 숨겨지도록 한다.
도 7은 도어 잠금 해제 시 안전 도어락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어 잠금 시 안전 도어락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손잡이(190)가 도어의 실외측으로 튀어나오고, 사용자가 손잡이(190)를 잡아 당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집의 내부로 들어온 이후에 도어를 닫으면 도어는 잠금 상태로 설정되고, 손잡이(190)는 도어의 실내측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숨겨져서 손잡이(19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침입자가 도어의 실외측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손잡이를 당기려고 해도, 손잡이가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아, 손잡이를 잡아 당길 수 없으며,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이 되어 있으므로, 손잡이가 보이지 않는 도어락은 2중 잠금 기능을 갖추게 되어, 보안성이 한층 강화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지문정보가 각각 3회 이상 잘못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증을 취소하고, 경보기(200)를 제어하여 도어의 실외측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13, S18)
그 이후, 제어부(160)는 센서부(120)에 이상 신호를 전송한다.(S19)
이상 신호를 전송받은 센서부(120)는 도어의 실외측 실외측에 있는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카메라부(130)로 송신한다.(S20)
카메라부(130)는 도어의 실외측 실외측에 있는 침입자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정보는 저장부(150)로 전송된 후 저장된다.(S21)
제어부(160)는 저장부(150)로부터 전송받은 침입자의 이미지정보를 통신부(210)을 통해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300)으로 전송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S22)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은 방문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의 얼굴 인식 작동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전방으로 방문자가 접근하는 경우, 센서부(120)는 전방을 감지하고, 카메라부(13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S31, S32)
전송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130)는 도어 전방으로 접근하는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한다.(S33)
얼굴인식부(140)의 검출부(141)는 상기 카메라(130)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보정부(142)는 검출된 얼굴정보에서 얼굴의 색상, 주위의 조명 및 눈, 코, 입 등의 위치를 보정한다. 보정된 얼굴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S34)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서 전송받은 얼굴정보와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거주자의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얼굴정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S35)
전송받은 얼굴정보와 기준 얼굴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여 도어의 잠금 장치가 해제될 수 있도록 도어개폐부(170)를 제어한다.(S36)
전송받은 얼굴정보와 기준 얼굴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식별된 이상 얼굴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300)으로 전송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S37)
100: 도어락 110: 입력부
111: 키패드 112: 카드인식기
113: 지문인식기 120: 센서부
130: 카메라부 140: 얼굴인식부
141: 검출부 142: 보정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170: 도어개폐부 171: 걸쇠
180: 기어부 181: 하부기어
182: 상부기어 190: 손잡이
191: 외측손잡이 192: 연결부
193: 내측손잡이 200: 경보기
210: 통신부 300: 애플리케이션

Claims (7)

  1. 비밀번호 입력, 카드 및 지문 인식을 위한 입력부(110);
    도어락에 접근하는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120);
    상기 센서부(120)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를 전송받아 방문자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30);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정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정보 및 얼굴인식부(140)로터 전송받은 얼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
    상기 저장부(150)에서 수신받은 정보로 도어의 개폐, 이미지의 촬영 및 경보음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설정하는 도어개폐부(170);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면 도어의 실내측에 숨겨져 있고, 도어가 잠금 해제되면 도어의 실외측으로 튀어나오는 손잡이(190);
    상기 도어개폐부(170)와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190)를 작동시키는 기어부(180); 및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부(170)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어락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어의 잠금이 설정되면 도어락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문틀의 홀 내부로 들어가는 걸쇠(171)를 포함하고,
    상기 얼굴인식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41); 및 검출된 얼굴정보에서 얼굴의 색상, 주위의 조명 및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180)는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걸쇠(171)의 작동으로부터 회전하는 하부기어(181) 및 상기 손잡이(190)의 연결부(192)에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손잡이(190)를 작동시키는 상부기어(182)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이단기어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190)는 도어 개폐 시 실외에서 잡을 수 있는 외측손잡이(191); 상기 도어락 및 도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19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192); 및 도어 개폐 시 실내에서 잡을 수 있는 내측손잡이(193)를 포함하며,
    도어의 잠금이 설정되는 과정은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상기 걸쇠(171)는 도어락의 측면에서 문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고, 상기 기어부(180)의 상기 하부기어(181)는 상기 도어개폐부(170)의 상기 걸쇠(171)에 기어맞물림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하부기어(181)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상부기어(182)는 상기 손잡이(190)의 상기 연결부(192)에 기어 맞물림되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상부기어(182)는 상기 손잡이(190)의 상기 연결부(19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손잡이(190)가 도어의 실내측으로 들어가서 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도어락은
    사용자 인증 오류 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도어락은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전송된 이미지정보로부터 방문자의 얼굴정보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얼굴인식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62970A 2019-12-09 2019-12-09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KR10229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70A KR102299998B1 (ko) 2019-12-09 2019-12-09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70A KR102299998B1 (ko) 2019-12-09 2019-12-09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53A KR20210072553A (ko) 2021-06-17
KR102299998B1 true KR102299998B1 (ko) 2021-09-07

Family

ID=7660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70A KR102299998B1 (ko) 2019-12-09 2019-12-09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9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42B1 (ko) * 2013-04-24 2014-09-11 (주)영광씨엠씨 잠금표시장치를 구비한 문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503Y1 (ko) * 1998-10-20 2002-06-26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도어록장치용액츄에이터
KR200433904Y1 (ko) 2006-09-29 2006-12-13 (주)맥스텍 출입문 손잡이와 연동하는 도어락 시스템
KR101354052B1 (ko) 2012-05-14 2014-02-04 서화성 전방 집초기능을 갖는 자주식 집초장치
KR101374882B1 (ko) * 2012-08-03 2014-03-1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손잡이
KR20150112635A (ko) * 2014-03-28 2015-10-07 (주)청우티에스 사람의 얼굴 정보를 이용한 얼굴인식 도어락 시스템
KR101730255B1 (ko) * 2015-09-17 2017-04-26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42B1 (ko) * 2013-04-24 2014-09-11 (주)영광씨엠씨 잠금표시장치를 구비한 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53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255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101682311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US20080238669A1 (en) Door entry security device with electronic lock
CN107093243A (zh) 一种门锁验证报警方法及系统、终端
KR20090034765A (ko) 얼굴 인증 장치, 얼굴 인증 방법 및 얼굴 인증 시스템
CN109147136A (zh) 一种智能开门管理系统
TWI723858B (zh) 電子鎖具的解鎖方法
CN207867580U (zh) 具有人脸识别功能的智能门
JP2019219721A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KR20160006126A (ko)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2299998B1 (ko) 손잡이가 자동으로 숨겨지는 안전 도어락
KR102341883B1 (ko) 안면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도어 시스템
US20220319261A1 (en) Automatic Door Opening Systems and Methodolgies
US20220383680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JP638725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RU2321068C1 (ru) Способ видео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CN108062813B (zh) 一种基于云锁的远程控制防猫眼按键方法以及系统
KR100564996B1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CN107829659A (zh) 具有指纹识别和体重对比的需要手机软件验证的智能防盗门
JP2007113192A (ja) 錠前装置
CN207673226U (zh) 基于人脸识别的防尾随机械互锁联动门
KR20210017737A (ko) 낯선사람을 감지해 녹화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CN110853192A (zh) 一种安全智能锁的开锁、关锁控制方法
KR101991872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도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