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126A -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126A
KR20160006126A KR1020150122811A KR20150122811A KR20160006126A KR 20160006126 A KR20160006126 A KR 20160006126A KR 1020150122811 A KR1020150122811 A KR 1020150122811A KR 20150122811 A KR20150122811 A KR 20150122811A KR 20160006126 A KR20160006126 A KR 2016000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authentication
portable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석
박병태
Original Assignee
최연석
박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석, 박병태 filed Critical 최연석
Priority to KR102015012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126A/ko
Publication of KR2016000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06F21/8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in storage media based on magnetic or optical technology, e.g. disks with sectors
    • G06F21/805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in storage media based on magnetic or optical technology, e.g. disks with sectors using a security table for the storage sub-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 인증이 요구되는 동작대상물; 상기 동작대상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동작부;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동작제어부; 상기 동작제어부에 근접시켜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인증장치; 및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되며 동작부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인인증수단을 상기 동작제어부가 아닌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Security device using portable cer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밀번호,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및 음성 인식 개인인증수단을 시건장치제어부가 아닌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켜 시건장치의 개폐 동작기능을 제어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 제어 장치(ACU, Access Control Unit) 또는 디지털 도어락에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RFID 카드리더기, 지문 리더기, 홍채 인식기, 얼굴 인식기 등의 생체인식 시스템은 매우 고가이며, 예를 들면, RFID 카드리더기를 통해 인증하는 경우 사용자가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할 때 매번 RFID 카드를 항상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출입문 제어 장치(ACU) 또는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 유출시 잠금 장치의 개인 인증 강화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사용자에게 편리한 잠금 장치이지만 만약 디지털 도어락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유출될 시에는 출입통제가 불가능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장기간 부재 시 타인의 침입 또는 도난과 같은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공개특허번호 10-2012-0128465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의 Wi-Fi MAC Address를 등록 후 스마트폰의 Wi-Fi MAC Address를 고유번호로 사용한 잠금 장치를 제어하고, 폰 분실 시 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이중(Dual) 인증 필요시 지문인식기 등의 별도의 인증 수단이 필요하며, 개인 통신을 위해 늘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경비주장치와 Wi-Fi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 시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출입문의 접근상태를 판단하여 출입문 개폐를 자동 제어하며, 경비주장치의 각 구성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허등록번호 10-0532614에서는 '스마트카드가 내장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을 태그(Tag)로 사용하며 이중(Dual) 인증 필요시 지문인식기 등의 별도의 인증 수단이 필요하다.
특허공개번호 10-2012-0082568에서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분실 방지 및 이중 보안을 위해 별도의 생체정보 저장 및 입력 수단이 구비된 카드를 리더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생체정보가 저장된 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2-0082568에서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분실 방지 및 이중 보안을 위해 별도의 생체정보 저장 및 입력 수단이 구비된 카드를 리더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생체정보가 저장된 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를 인증데이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존에 디지털 도어락 장치 내부에서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인증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였으나, 내부 구성이 정밀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설치하는데 고가의 비용이 들었다.
이에 따라, 주택 출입문, 사무실 출입문, 금융 자동화기기(ATM), 개인형 금고 등의 전자식 잠금장치(Electronic Lock Device)에 개인 인증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더 저렴한 비용으로 보안 장치를 설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사진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개인 인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허공개번호 10-2012-0128465 특허등록번호 10-0532614 특허공개번호 10-2012-0082568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개인인증 데이터를 입력하는 휴대용 인증장치로 사용하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되며 시건장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수단을 포함하며, 개인인증수단을 시건장치제어부가 아닌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키고, 휴대용 인증장치의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휴대용 인증장치 ID와 인식 정보를 휴대용 인증장치 자체 DB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시건장치로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시건장치의 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시켜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는 개인 인증이 요구되는 동작대상물; 상기 동작대상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동작부;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동작제어부; 상기 동작제어부에 근접시켜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인증장치; 및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되며 동작부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인인증수단을 상기 동작제어부가 아닌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대상물은 도어 개폐장치, 출입문 제어 장치(ACU, Access Control Unit), 금고 개폐장치, 금융 자동화기기(ATM) 잠금 개폐 장치이며, 상기 동작부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작동되는 시건장치이고, 상기 동작제어부는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시건장치 제어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인증수단은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 단말기를 개인인증 데이터 입력하는 휴대용 인증장치로 사용하며, 휴대용 인증장치의 키입력부의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식, 카메라와 마이크를 사용한 얼굴 인식 또는 홍채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휴대용 인증장치 ID와 인식 정보를 휴대용 인증장치 자체 DB와 비교하거나 또는 서버에 기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되면,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시건장치로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시건장치의 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시켜 도어 개폐를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는 생체 인증을 위한 정보가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어 시건장치의 개인정보 보호 기능이 강화되며,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에 있는 인증 수단(생체인증 센서)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생체인증 수단 구비가 필요 없으며, 기존 출입문 시스템에 휴대 단말기와 통신 수단만 구비하면 이중 보안 기능이 구현이 가능하여 시스템 업그레이드 비용이 보다 저렴하게 잠금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에서 생체인식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잠금 제어 장치의 구현이 간단해지고 고가의 처리 회로가 필요 없다.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장치는 주택 출입문의 도어락, 사무실 출입문의 도어락, 금융 자동화기기(ATM), 개인형 금고, 보안 차량 잠금장치, 컨테이너 전자 Seal 등의 전자식 잠금장치(Electronic Lock Device)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잠금 장치에서 개인 인증을 하는 휴대단말기를 인증데이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장치의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카메라, 마이크와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서버에 휴대용 인증장치의 최초 등록 시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는 개인 인증이 요구되는 동작대상물; 상기 동작대상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동작부(예: 시건장치);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동작제어부; 상기 동작제어부에 근접시켜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인증장치; 및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되며 동작부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인인증수단을 상기 동작제어부가 아닌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작대상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은 동작부(예: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하거나, 또는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 인식 후 동작부(예: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동작대상물은 도어 개폐장치, 출입문 제어장치(ACU, Access Control Unit), 금고 개폐장치, 금융 자동화기기(ATM) 잠금 개폐 장치이고, 상기 동작부는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작동되는 시건장치이고, 동작제어부는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시건장치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다.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는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시건장치;와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시건장치제어부;와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에 근접시켜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인증장치;와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되며 시건장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인인증수단을 시건장치제어부가 아닌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인증수단은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인 인증 방식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건장치제어부는 휴대용 인증장치ID가 저장된 DB가 탑재되며,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가 상기 시건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신호는 휴대용인증장치의 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휴대용인증장치의 ID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잠금장치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시건장치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신호에서 휴대용 인증장치의 ID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ID와 동일한 ID가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의 DB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상기 개인인증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후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인인증수단 인증이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게 상기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접근권한을 부여하는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은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게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서버,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신청자 정보 및 신청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로 등록 및 저장하여 해당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해당 시건장치의 접근 권한을 가진 신청자인지 확인되면, 신청자의 휴대용 인증장치로 해당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은 초기 설정 비밀번호 입력 후에 휴대용 인증장치ID, 신청자 정보 및 신청자의 지문, 얼굴, 홍채, 음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인 인증용 신청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자신의 휴대용 인증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휴대용 인증장치ID, 신청자 정보 및 신청자의 개인 인증용 생체정보를 서버로 등록 및 저장하여 해당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에 대한 인증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가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을 가진 신청자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신청자의 휴대용 인증장치로 해당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시건장치 ID를 전송한다.
이후, 해당 시건장치의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휴대용 인증장치는 시건장치와 일정거리 내에서 근접하여 신청자의 지문, 얼굴, 홍채, 또는 음성 데이터와 휴대용 인증 장치의 미리 저장된 생체인식 정보가 매칭되면, 휴대용 인증 장치의 개인 인증이 확인되고, 휴대용 인증 장치의 개인 인증에 의해 해당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통신부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NFC,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신호(lock/unlock)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시건장치제어부; 및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 장치의 락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출입문의 도어락, 금융 자동화기기(ATM), 개인형 금고, 잠금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사용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비밀번호 데이터 또는 패턴 비밀번호 데이터,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식 데이터, 카메라를 사용한 얼굴 인식 데이터 또는 홍채 인식 데이터,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인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사용하여 개인 인증을 하며, 휴대용 인증장치 ID와 인식 정보를 단말기 자체 DB와 비교하거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 의해 기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되면,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시건장치로 상기 제어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의 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서버는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하는 개인 인증 권한을 부여하도록 휴대용 인증장치ID와 신청자 정보 및 생체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ID를 발급하여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제어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의 개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검출된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비밀번호 데이터, 지문 데이터, 얼굴 데이터, 홍채 데이터,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서버DB에 기 저장된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출입자 정보와 출입 시각을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상기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카메라와 마이크, 키패드 방식의 비밀번호 또는 패턴 터치에 의한 패턴 인식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센서, 지문인식 센서, 제어부와 메모리, 서버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부(LTE/CDMA/GSM) 또는 상기 시건장치와 Wi-Fi, Bluetooth, ZigBee, NFC,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근거리통신부를 구비한다.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도어 보안 장치는 잠금장치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제어부에 의해 락 컨트롤러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시건장치(20); 및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시건장치(20)와 일정거리 내에서 휴대용 인증장치(10)를 사용하여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하며,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시건장치(20)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는 휴대용 인증장치(20)를 포함한다.
휴대용 인증장치는 서버에 최초 등록 시에 복수개의 시건장치에 접근 권한이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건장치는 출입문 제어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휴대용 인증장치로써 스마트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 카메라와 마이크, 키입력부 및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키패드 방식의 비밀번호 입력부 또는 패턴 터치에 의한 패턴 인식 방식의 비밀번호 입력을 받는 패턴 비밀번호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센서, 지문인식 센서, 제어부와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를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장치는 개인 인증 후에, 잠금장치 제어 신호를 수신 받아 제어부에 의해 락 컨트롤러의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시건장치(20); 및 상기 시건장치(20)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갖다 대면 상기 시건장치(20)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ID를 전송하고, 키입력부의 비밀번호 데이터 또는 패턴 비밀번호 입력 데이터,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식 데이터, 카메라를 사용한 얼굴 인식 데이터 또는 홍채 인식 데이터,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인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사용하여 개인 인증을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ID와 인식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 DB의 기 저장된 해당 인식 정보와 비교하거나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 DB에 기 저장된 해당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시건장치로 제어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의 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포함한다.
휴대용 인증 장치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최초 해당 시건장치(20)의 잠금 제어 권한을 부여 받기 위해 시건장치ID와 인증 신청자의 정보와 생체정보를 서버로 등록하고, 제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지문인식 센서로 인식된 권한이 부여된 자신의 지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자신의 얼굴 데이터, 또는 홍채 데이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M)로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허가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서버의 DB에 미리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키입력부의 비밀번호 데이터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의해 터치 패턴 비밀번호를 개인 인증을 위해 사용한다.
시건장치(20)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개인 인증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시건장치(20)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할 수 있지만, 개인 인증이 되지 않으면 시건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없으며, 다시 개인 인증을 시도한다.
시건장치(20)와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잠금장치를 개폐하도록 개인 인증을 받기 위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검출된 인식 정보(입력된 비밀번호 데이터 또는 터치 비밀번호 데이터, 인식된 지문 데이터, 인식된 얼굴 데이터, 인식된 홍채 데이터, 인식된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기 저장된 DB의 해당 인식 정보와 비교하거나 또는 서버로 인식된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의 DB에 기 저장된 해당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하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 받아 개인 인증을 확인한다.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시건장치(20)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한다.
상기 시건장치(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된 통신부에 탑재된 블루투스, 지그비, NFC,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수신하는 통신부(21);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시건장치제어부(22); 및 상기 시건장치제어부(22)에 의해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에 따라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 장치의 락 컨트롤러(23);를 포함한다. 상기 시건장치(20)는 출입문 제어 장치, 도어락, 금융 자동화기기(ATM) 잠금장치, 개인형 금고 잠금 장치에 사용된다.
락 컨트롤러(23)는 출입문의 도어락, 금융 자동화기기(ATM), 개인형 금고, 잠금장치 등을 제어하는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휴대용 인증장치ID와 신청자의 정보와 생체정보를 등록받고, 서버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상기 시건장치의 개인 인증 수단으로 허용되도록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ID를 발급하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의 개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를 포함하며, 허가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시건장치(20)와 관련된 회원 정보 및 생체정보를 등록받고 시건장치(20)의 잠금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 상기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검출된 비밀번호, 패턴 비밀번호, 지문, 얼굴, 홍채,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서버의 DB에 기 저장된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 여부가 확인되면, 출입자 정보와 출입 시각을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상기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 받은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시건장치(20)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서는 시건장치(20)는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개인 인증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휴대용 인증장치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개인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지문 인식(Finger Scan)은 생체인식의 하나로써 사용되며, 각 개인마다 다른 엄지의 지문을 검출하여 손가락 끝에 땀샘이 융기되어 형성된 손가락무늬가 포함된 지문(약 1010가지의 고유 패턴)의 디지털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또는 서버에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과 비교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장치 개폐 권한을 위한 사용자의 개인 인증을 한다.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은 휴대용 인증장치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얼굴 영상을 촬영하여, 얼굴의 특징을 나타내는 얼굴의 대칭적인 구도, 얼굴의 생김새, 얼굴의 구성요소인 눈, 코, 입, 귀를 추출하며, 얼굴 구성요소의 특징 점을 추출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얼굴의 디지털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의 특징 점들 또는 서버에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의 특징 점들을 비교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장치 개폐를 위해 사용자의 개인 인증을 한다.
홍채 인식(iris scan)은 휴대용 인증장치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10~20cm 거리 이내에서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눈동자의 동공 주위의 홍채를 인식한다. 홍채인식은 망막과 달리 눈의 동공 주변에 위치한 홍채의 무늬패턴(1078가지 이상의 고유패턴)을 인식하기 위해 얼굴 영상 촬영 → 눈 영역 검출 → 동공 및 홍채 경계 추출 → 홍채 특징 코드를 생성하여 인식한다. 홍채 인식은 홍채 이미지 검출부분과 검출된 홍채 이미지를 사용자의 홍채인지를 검증하는 인증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홍채 영상 검출부분에서는 눈동자에서 가장 진한 색상을 가진 동공을 중심으로 색, 명암 등의 변화가 심한 동공과 홍채의 경계를 찾아 홍채를 검출한다. 홍채 인식은 눈동자의 동공의 경계부터 공막과의 경계까지를 좌표화 한 후 홍채무늬를 0과 1로 표현되는 숫자로 이진화하고, 이진화된 코드열을 가지고 기존에 입력된 사용자 홍채 코드열과 비교하여 카메라(C)로 촬영된 홍채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홍채 이미지 또는 서버에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홍채 이미지와 비교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장치 개폐 권한을 위한 사용자의 개인 인증을 한다.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은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을 많이 사용하며, 동적 정합법(dynamic matching), 벡터 양자화(Vector Quantization), MSVQ(Multi Swction Vector Quantization), DTW(Dynamic Time Warping), 퍼지 추론 시스템(Fuzzy Inference System), 패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인증장치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 휴대 단말기)의 음성 인식은 마이크(M)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4kHz 이하의 저역 필터링과 A/D변환, 8kHz 표본화, 12bit 비트율로 양자화된 후 N개의 표본으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검출하여 단어(어휘, Words), 음소(Phoneme), 음절(syllable)의 인식 단위를 구분하여 음성을 인식한다. 휴대용 인증 장치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이크(M)로 녹음된 음성 데이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서버에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장치 개폐 권한을 위한 사용자의 개인 인증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장치의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 휴대 단말기)(10)는 단말기 소형 카메라(11)와 마이크(12), 키패드 방식의 비밀번호 입력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의한 패턴 인식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센서, 및 지문인식 센서(13), 제어부와 메모리를 구비하며, 서버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부(LTE/CDMA/GSM), 시건장치(20)와 Wi-Fi, Bluetooth, ZigBee, NFC,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 휴대 단말기)(10)는 무선 통신 기능과 시건장치(20)의 잠금 개폐를 위한 개인 인증 기능을 구비한다.
개인 인증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사용한 영상 인식에 의한 개인 인증(얼굴인식, 홍채 인식),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인식에 의한 개인 인증(음성 인식, 음색 인식),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인식에 의한 개인 인증, 단말기 키입력부의 비밀번호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센서의 패턴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개인 인증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인증 방식을 사용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를 개인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하며, 시건장치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C)를 사용한 영상 인식과, 이동통신 단말기(20)의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인식,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식, 키입력부의 비밀번호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사용한 패턴 비밀번호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출입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 ID와 인식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 DB와 비교하거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 기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시건장치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시건장치의 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시켜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되도록 한다.
도 4는 카메라, 마이크와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스마트폰)의 내부 구성도이다.
예를 들면, 휴대용 인증 장치로 사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스마트폰, 휴대 단말기)(10)는 비밀번호, 패턴 비밀번호, 지문인식 데이터, 영상인식 데이터(얼굴 인식 데이터, 홍채 인식 데이터), 음성인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증 요청 데이터를 수신 받아 기 등록된 인식데이터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시건장치(20)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는 제어부(14); 최초 서버 등록 시 시건장치와 관련된 잠금 제어를 위한 개인 인증에 필요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를 저장하는 메모리(18); 시건장치 잠금 제어시마다 지문을 인식 받는 지문 인식부(13);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C)로부터 촬영된 얼굴 영상로부터 얼굴 이미지를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미도시);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C)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홍채를 추출하여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부(미도시);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M)로부터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미도시); 키패드의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15); 터치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6); 영상 인식을 위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 카메라(C)로부터 촬영된 영상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ADC;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위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 상기 마이크(M)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압축 복원하는 A/V 코덱;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C; 설정된 볼륨 레벨에 따라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서버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부(LTE/CDMA/GSM)(19), 상기 시건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Wi-Fi, Bluetooth, ZigBee, NFC, 적외선 통신 등)을 제공하여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송신하는 근거리통신부(17)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폰을 개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보안 서비스 방법은 (a) 도어 잠금 개폐를 위해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를 상기 시건장치 근처의 RFID/NFC Tag에 접촉하거나 Wi-Fi 및 Bluetooth와 같은 무선 식별신호를 감지할 때, 사용자가 직접 잠금장치 제어 발생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잠금장치의 제어 필요 Event가 발생되어지는 단계; (b) Event발생에 따라 개인인증에 필요한 장치들이 구동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가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휴대용 인증장치의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식, 카메라를 사용한 얼굴 인식 또는 홍채 인식,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의 자체 DB의 기 저장된 개인인증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의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휴대용 인증 장치에 출입자 정보와 출입 시각을 기록하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시건장치로 제어신호(개폐 제어명령 및 휴대용인증장치의 고유ID)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개폐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휴대용인증장치의 ID의 제어권한여부를 기 저장된 제어권한 DB와 비교 판단하여 락 콘트롤러의 제어 수행여부 판단을 결정짓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식 정보는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비밀번호 데이터, 지문 데이터, 얼굴 데이터, 홍채 데이터,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서버에 휴대용 인증장치의 최초 등록 시,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휴대용 인증장치는 복수개의 시건장치에 접근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은 초기 설정 비밀번호 입력 후에 휴대용 인증장치ID, 신청자 정보 및 신청자의 지문, 얼굴, 홍채, 음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인 인증용 생체인식 정보를 자신의 휴대용 인증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a2)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휴대용 인증장치ID, 신청자 정보 및 신청자의 개인 인증용 생체정보를 서버로 등록 및 저장하여 해당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에 대한 인증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서버가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을 가진 신청자가 확인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신청자의 휴대용 인증장치로 해당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시건장치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a4) 해당 시건장치의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휴대용 인증장치는 시건장치와 일정거리 내에서 근접하여 신청자의 지문, 얼굴, 홍채, 또는 음성 데이터와 휴대용 인증 장치의 미리 저장된 생체인식 정보가 매칭되면, 휴대용 인증 장치의 개인 인증이 확인되고, 휴대용 인증 장치의 개인 인증에 의해 해당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서비스 방법은 (d1)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가 서버와 연동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휴대용 인증장치ID와 실시간 인식정보를 서버로 수신 받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정보와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 중 어느 하나의 해당 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2) 상기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가 상기 시건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의 얼굴 인식은 카메라로 촬영된 얼굴 이미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얼굴의 구성요소인 눈, 코, 입, 귀를 추출하며, 얼굴 구성요소의 특징 점을 추출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휴대용 인증장치에 기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의 특징 점들 또는 서버에 저장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의 특징 점들을 비교하여 시건장치의 잠금장치 개폐를 위해 사용자의 개인 인증을 하며, 얼굴 인식의 인식 정보가 휴대용 인증장치 자체에 기 저장된 얼굴 데이터와 상기 서버에 기 저장된 얼굴DB의 얼굴 데이터를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하며,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예,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시건장치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20)를 작동하여 잠금 장치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의 홍채 인식은 카메라로 촬영된 홍채 인식의 인식 정보가 휴대용 인증장치 자체에 기 저장된 홍채 데이터와 상기 서버에 기 저장된 홍채DB의 홍채 데이터를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한다.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예,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로부터 상기 시건장치(20)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 제어부가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잠금 장치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의 음성 인식은 마이크(M)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4kHz 이하의 저역 필터링과 A/D변환, 8kHz 표본화, 12bit 비트율로 양자화된 후 N개의 표본으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에 의해 단어(어휘, Words), 음소(Phoneme), 음절(syllable)의 인식 단위를 구분하여 음성 신호를 인식한다. 휴대용 인증 장치는 휴대용 인증장치 ID와 마이크로 녹음된 음성 데이터의 인식 정보가 휴대용 인증장치 자체에 기 등록되어 저장된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서버에 기 저장된 음성DB와 사용자 음성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한다.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예,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시건장치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고, 상기 시건장치 제어부가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한다.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를 사용할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가 휴대용 인증장치의 자체DB에 저장되도록 하여, 타인의 부정적인 휴대용 인증장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은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게 상기 동작대상물의 개폐를 제어하는 권한을 가지도록 하는 서버,
상기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부여하도록 휴대용 인증장치ID와 신청자 정보 및 개인 인증용 생체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접근 권한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ID를 발급하여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의 개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를 구비하는 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검출된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비밀번호 데이터, 지문 데이터, 얼굴 데이터, 홍채 데이터,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서버DB에 기 저장된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한다.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인증 장치의 출입자 정보와 출입 시각을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상기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가 서버와 연동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시건장치ID와 검출된 인식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인식정보가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 중 어느 하나의 해당 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을 확인한다.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동시에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인증장치는 시건장치로 제어신호(휴대용 인증장치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를 전송하여 시건장치 제어부가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시건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안 장치는, 단순 키입력부의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비밀번호 노출 시 더 높은 보안 레벨을 설정하여 이중 보안 기능(듀얼 인증)으로 비밀번호 개인 인증 방식과 함께, 시건장치의 잠금장치 접근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인증 방식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휴대용 인증장치 11: 카메라
12: 마이크 13: 지문인식 센서
20: 시건장치 21: 근거리통신부
22: 제어부 23: 시건장치의 락 컨트롤러

Claims (14)

  1. 개인 인증이 요구되는 동작대상물;
    상기 동작대상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동작부;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동작제어부;
    상기 동작제어부에 근접시켜 상기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휴대용 인증장치; 및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되며 동작부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인인증수단을 상기 동작제어부가 아닌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대상물은 도어 개폐장치, 출입문 제어장치(ACU, Access Control Unit), 금고 개폐장치, 금융 자동화기기(ATM) 잠금 개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동작부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작동되는 시건장치이고,
    상기 동작제어부는 외부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시건장치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인증수단은 비밀번호 또는 패턴 비밀번호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음성 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제어부는 휴대용 인증장치ID가 저장된 DB가 탑재되며,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가 상기 시건장치 제어부로 전송하는 상기 제어신호는 휴대용 인증장치 ID와 잠금장치 제어 신호(lock/unlock)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신호에서 휴대용 인증장치의 ID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ID와 동일한 ID가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의 DB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상기 개인인증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후에만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인증수단 인증이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게 상기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접근권한을 부여하는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은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게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를 제어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서버,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신청자 정보 및 신청자의 생체인식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로 등록 및 저장하여 해당 시건장치의 개폐 제어 권한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해당 시건장치의 접근 권한을 가진 신청자인지 확인되면, 신청자의 휴대용 인증장치로 해당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 탑재된 근거리통신부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NFC,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잠금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시건장치제어부; 및
    상기 시건장치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 장치의 락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출입문의 도어락, 금융 자동화기기(ATM), 개인형 금고, 잠금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사용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와 마이크, 키패드 방식의 비밀번호 또는 패턴 터치에 의한 패턴 인식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센서, 지문인식 센서, 제어부와 메모리, 서버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부(LTE/CDMA/GSM) 또는 상기 시건장치와 Wi-Fi, Bluetooth, ZigBee, NFC,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는
    비밀번호 데이터 또는 패턴 비밀번호 데이터, 지문인식 센서를 사용한 지문 인식 데이터, 카메라를 사용한 얼굴 인식 데이터 또는 홍채 인식 데이터, 마이크를 사용한 음성 인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사용하여 개인 인증을 하며, 휴대용 인증장치 ID와 인식 정보를 단말기 자체 DB와 비교하거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 의해 기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되면,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시건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시건장치의 제어부의 락 콘트롤러를 작동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되도록 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를 사용할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가 휴대용 인증장치의 자체DB에 저장되어지도록 하여, 타인의 부정적인 휴대용 인증장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 설정수단은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에게 상기 동작대상물의 개폐를 제어하는 권한을 가지도록 하는 서버,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부여하도록 휴대용 인증장치ID와 신청자 정보 및 개인 인증용 생체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접근 권한이 허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ID를 발급하여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 제어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시건장치의 잠금 개폐의 개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DB, 패턴 비밀번호DB, 지문DB, 얼굴DB, 홍채DB, 음성DB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부터 검출된 비밀번호 데이터, 패턴 비밀번호 데이터, 지문 데이터, 얼굴 데이터, 홍채 데이터,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식 정보를 서버DB에 기 저장된 인식정보와 비교하여 개인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인증 장치의 출입자 정보와 출입 시각을 기록하고 동시에 상기 휴대용 인증장치로 상기 개인 인증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1020150122811A 2015-08-31 2015-08-31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160006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11A KR20160006126A (ko) 2015-08-31 2015-08-31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11A KR20160006126A (ko) 2015-08-31 2015-08-31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79 Division 2014-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26A true KR20160006126A (ko) 2016-01-18

Family

ID=5530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811A KR20160006126A (ko) 2015-08-31 2015-08-31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1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61A (ko) * 2016-10-25 2018-05-04 유호철 옥상문 개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90075658A (ko) * 2017-12-21 2019-07-01 박행운 단말 장치를 이용한 금고 관리 시스템
KR102017337B1 (ko) * 2018-06-22 2019-09-02 김기용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블루투스 기반 스마트 금고 및 이를 이용한 금고 계폐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203378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37314B1 (ko) 2019-01-08 2019-11-26 주식회사 베텍스 Ai 음성인식을 이용한 iot 잠금장치
KR20220155757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이에스텍 캐비닛 안전점검 시스템
CN117971003A (zh) * 2024-04-01 2024-05-03 四川国消云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密改集成信息安全防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14B1 (ko) 2001-04-02 2005-12-02 주식회사 에스원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및 장치
KR20120082568A (ko) 2011-01-14 2012-07-24 주식회사 케이엘넷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
KR20120128465A (ko) 2011-05-17 2012-11-27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614B1 (ko) 2001-04-02 2005-12-02 주식회사 에스원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및 장치
KR20120082568A (ko) 2011-01-14 2012-07-24 주식회사 케이엘넷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
KR20120128465A (ko) 2011-05-17 2012-11-27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비주장치 연동 감시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61A (ko) * 2016-10-25 2018-05-04 유호철 옥상문 개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90075658A (ko) * 2017-12-21 2019-07-01 박행운 단말 장치를 이용한 금고 관리 시스템
WO2019203378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90122460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17337B1 (ko) * 2018-06-22 2019-09-02 김기용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블루투스 기반 스마트 금고 및 이를 이용한 금고 계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7314B1 (ko) 2019-01-08 2019-11-26 주식회사 베텍스 Ai 음성인식을 이용한 iot 잠금장치
KR20220155757A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이에스텍 캐비닛 안전점검 시스템
CN117971003A (zh) * 2024-04-01 2024-05-03 四川国消云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密改集成信息安全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154B1 (ko)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160006126A (ko)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US7110580B2 (en) Distributed biometric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70264608A1 (en) Visual biometric authentication supplemented with a time-based secondary authentication factor
US20050273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authentication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6960491A (zh) 手机指纹门禁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6097495A (zh) 一种智能声控声纹人脸认证门禁控制系统及方法
CA3124635C (en) Audio-based access control
CN104778390A (zh) 身份认证系统及其方法
KR101916250B1 (ko)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37216B2 (en) Garage entry system and method
EP3792885A1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KR20170111804A (ko) 출입보안 시스템
KR20150056711A (ko) 출입자 생체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출입카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7037762U (zh) 手机指纹门禁控制系统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20180009278A (ko) 디지털 도어락의 개방 인증 방법
KR100787005B1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KR102060563B1 (ko) 음성 및 안면 데이터를 이용한 인증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26645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
KR101512498B1 (ko) Nfc를 이용하는 도어 오픈 시스템 및 방법
JP2002147080A (ja) 生体情報認証装置および生体情報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