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080B1 -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080B1
KR101765080B1 KR1020160056379A KR20160056379A KR101765080B1 KR 101765080 B1 KR101765080 B1 KR 101765080B1 KR 1020160056379 A KR1020160056379 A KR 1020160056379A KR 20160056379 A KR20160056379 A KR 20160056379A KR 101765080 B1 KR101765080 B1 KR 10176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terminal
smart door
electronic key
pi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홍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6005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3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anti-the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키를 이용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하는 전자 키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전자 키의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door lock system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를 이용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에 연결된 다양한 사물들이 사람의 개입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이 실생활에 접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 역시 사물인터넷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기존 디지털 도어락은 편리함에 보안성이 갖춰져 있다는 인식하에 사용자들에 의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지만, 실 사용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문을 열 수 있어 보안에 많은 허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디지털 도어락에서 제공되는 보안 기능은 실 사용성에 있어서 유용성이 매우 떨어지며, 스마트폰과 연동함에 있어서도 보안 관점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편리성 관점에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 디지털 도어락은 실 사용자가 아닌 방문자가 사용에 대한 등록 및 인증을 실시하여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락을 해제시키거나, 설정된 비밀 번호에 관련된 공격을 받기 쉽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6846호(2015.09.23), "지능형 도어락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266937호(2013.05.16),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4776호(2014.02.06),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도어락과 연동되는 단말기 및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연동하여 입체적인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사용 권한을 게스트 단말기를 소유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키를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터 단말기에 저장된 스마트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를 생성하여 게스트 단말기를 소유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보안성이 강화된 스마트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수신된 침입 여부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스마트 도어락, 단말기 및 외부 기관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하는 전자 키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전자 키의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 키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제어 커맨드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보안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따른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입 판단 결과 및 상기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에 대한 인증 확인을 위한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가 부적합한 방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 및 경고음 발생의 상기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마스터(Master)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상기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하는 핀 코드 생성부,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핀 코드 인증 판단부,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보안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핀 코드의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제공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핀 코드를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별하는 침입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스트 단말기는 상기 핀 코드를 이용하여 판단된 핀 코드 보안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 상기 핀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따른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침입 판단 결과 및 상기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에 대한 인증 확인을 위한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문자가 부적합한 방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 및 경고음 발생의 상기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전자 키에 대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의 이상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감지 판단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키,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키에 대한 인증 여부 및 침입 여부의 판단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전자 키의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마스터(Master)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상기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하는 단계,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핀 코드의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도어락과 연동되는 단말기 및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연동하여 입체적인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사용 권한을 게스트 단말기를 소유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키를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단말기에 저장된 스마트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를 생성하여 게스트 단말기를 소유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보안성이 강화된 스마트 도어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수신된 침입 여부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스마트 도어락, 단말기 및 외부 기관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이용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이용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단말기 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마스터 단말기, 게스트 단말기 및 스마트 도어락 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보안 서비스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이용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도어락(120) 및 단말기(1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 도어락(120)으로 제어 커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은 스마트 도어락(120), 게이트웨이(121) 및 단말기(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은 스마트 도어락(120) 또는 게이트웨이(121), 및 단말기(1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130)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전자 키 생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여 유지하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120)은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으로부터 자동 및 수동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120)은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으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안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120)은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따른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도어락(120)은 단말기(130)와 통신하는 모든 정보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은 단말기(130)를 소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기설정된 반복 시간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도어락(120)은 게이트웨이(121)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121)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도어락(120)에 게이트웨이(121)가 포함된 일체형인 경우, 스마트 도어락(120)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 및 단말기(130)와 통신할 수 있다.
반면, 스마트 도어락(120)과 게이트웨이(121)가 분리된 경우, 게이트웨이(121)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 및 단말기(130)와 통신할 수 있고, 스마트 도어락(120)은 게이트웨이(121)를 통해 제어 커맨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웨이(121)는 스마트 도어락(120)과 통신 모듈의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 무선통신하도록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으로 구축된 통신 모듈과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망) 대역인 노변 기지국 사이에서 상호간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웨이(121)는 월패드(wall-pad)일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도어락(120)은 홈(10)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기반하여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 및 단말기(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12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오류 및 반복과, 도어락의 강제 오픈, 및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기설정된 홈(10)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른 감지 정보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 및 단말기(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홈(10)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방문자의 움직임, 얼굴, 표정 및 머무는 시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부적합한 방문자를 인식하여 생성되는 감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마트 도어락(120) 및 게이트웨이(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단말기(130)에는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단말기(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 스마트 도어락(120) 및 게이트웨이(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13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일컫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3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데스크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으로부터 스마트 도어락(120)의 해제 및 잠금의 상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 도어락(120)의 해제 및 잠금, 비밀번호 설정, 및 경고음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1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도어락(120) 사용에 대한 사용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은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120)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를 생성하고,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120)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며,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스마트 도어락(120) 및 단말기(130)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은 전자 키 생성부(111),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 및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전자 키 생성부(111)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120)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전자 키 생성부(111)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및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120)의 고유 번호를 1대1 매칭하여 전자 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키는 하나만 생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키 생성부(110)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요청에 기반하여 사용자 명의로 생성된 전자 키에 대한 복제 키를 더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복제 키는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 개의 단말기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키 생성부(110)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복수 개의 스마트 도어락의 고유 번호에 대한 복수 개의 전자 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120)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는 스마트 도어락(120) 또는 게이트웨이(121) 및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는 스마트 도어락(120) 또는 게이트웨이(121)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 정보, 지문 정보, 홍체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락 설정 정보,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전자 키 생성 요청, 도어락 원격 제어 정보 및 보안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원격 제어 정보는 사용자(관리자)가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스마트 도어락(120)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 스마트 도어락(120)의 해제 및 잠금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120)에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설정 정보는 사용자(관리자)가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120)의 경고음 발생 및 경찰서 또는 외부 보안 기관으로의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는 스마트 도어락(120) 또는 게이트웨이(12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스마트 도어락(120) 또는 게이트웨이(121)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는 초기 스마트 도어락(120)의 비밀번호 설정, 임시 비밀번호 설정, 스마트 도어락(120)과 연결된 홈(10)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스마트 도어락(120)의 해제 및 잠금 설정, 및 경고음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홈(10)의 보안을 위한 보안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는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는 전자 키 생성에 기반한 스마트 도어락(120)의 사용 권한 정보, 스마트 도어락(120)의 침입 감지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120)의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120)과 단말기(130) 간의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13)는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스마트 도어락(120)으로의 전송, 생성된 전자 키의 단말기(130)로의 전송, 및 보안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130)로의 제공을 제어한다.
제어부(113)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112)로부터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 또는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하고, 생성된 제어 커맨드를 스마트 도어락(120) 및 단말기(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3)는 침입 판단 결과 및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 및 단말기(130)로 방문자에 대한 인증 확인을 위한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3)는 침입 판단부(115)에 의해 판단된 판단 결과 및 스마트 도어락(120)으로부터 수신된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120)과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에 대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은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3)는 방문자가 부적합한 방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스마트 도어락(120)의 잠금 및 경고음 발생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긴급 보안 서비스에 대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기설정된 메뉴얼에 기반하여 긴급 보안 서비스에 대한 제어 커맨드를 단말기(130), 경찰서, 외부 보안 기관 및 관리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3)는 스마트 도어락(120) 또는 게이트웨이(121) 및 단말기(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10)은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저장하고, 생성된 전자 키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14) 및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14)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스마트 도어락(120)으로부터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전자 키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14)는 저장된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포함된 단말기를 소유하는 사용자(관리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입 판단부(115)는 수신된 감지 정보와,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입 판단부(115)는 스마트 도어락(120)으로부터 수신된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단말기(13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감지 정보는 스마트 도어락(120)에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오류 및 반복, 스마트 도어락(120)의 강제 오픈, 및 스마트 도어락(120)과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기설정된 홈(10)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침입 판단부(115)는 스마트 도어락(12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와, 단말기(130)를 소유하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및 방문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이용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도어락(220),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스마트 도어락(220)으로 제어 커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은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은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마스터 단말기(230)를 소유한 관리자의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전자 키 생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유지하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220)은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으로부터 자동 및 수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220)은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으로부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안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220)은 마스터 단말기(230) 및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따른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된 전자 키와,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비교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220)은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와 통신하는 모든 정보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은 마스터 단말기(230)를 소유한 관리자 또는 게스트 단말기(240)를 소유한 게스트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기설정된 반복 시간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도어락(220)은 게이트웨이(221)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221)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220)에 게이트웨이(221)가 포함된 일체형인 경우, 스마트 도어락(220)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와 통신할 수 있다.
반면, 스마트 도어락(220)과 게이트웨이(221)가 분리된 경우, 게이트웨이(221)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와 통신할 수 있고, 스마트 도어락(220)은 게이트웨이(221)를 통해 제어 커맨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웨이(221)는 스마트 도어락(220)과 통신 모듈의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 무선통신하도록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으로 구축된 통신 모듈과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망) 대역인 노변 기지국 사이에서 상호간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웨이(221)는 월패드(wall-pad)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도어락(220)은 홈(20)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 커맨드에 기반하여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 및 마스터 단말기(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22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오류 및 반복과, 도어락의 강제 오픈, 및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기설정된 홈(20)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른 감지 정보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 및 마스터 단말기(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홈(20)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방문자의 움직임, 얼굴, 표정 및 머무는 시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부적합한 방문자를 인식하여 생성되는 감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마트 도어락(220) 및 게이트웨이(2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는 관리자가 변경될 경우,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으로부터 업데이트되는 관리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전자 키, 핀 코드 및 도어락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는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는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일컫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데스크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관리자는 마스터 단말기(2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으로부터 스마트 도어락(220)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관리자의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220)에 대한 사용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마스터 단말기(230)는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통신 연결 유무와 관련 없이 무선 통신(Bluetooth 통신 등)을 통해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스트는 게스트 단말기(2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에 의해 승인된 핀 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220)으로부터 전자 키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220)에 대한 사용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게스트 단말기(240)에 부여된 사용 권한은 관리자의 승인 하에 수행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게스트 단말기(240)는 전자 키에 대응되는 핀 코드를 저장하고,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으로부터 저장된 핀 코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게스트 단말기(240)에는 핀 코드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허가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단말기(240)는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 도어락(220)을 통한 출입 권한이 소멸하거나 변경되면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단말기(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게스트 단말기(2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은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를 생성하고,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핀 코드의 보안 인증을 판단하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고,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스마트 도어락(220),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은 핀 코드 생성부(211),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 및 처리부(214)를 포함한다.
핀 코드 생성부(211)는 마스터 단말기(Master)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220)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핀 코드 생성부(211)는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관리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및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220)의 고유 번호를 1대1 매칭하여 전자 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핀 코드는 전자 키와 대응한 정보 또는 스마트 도어락(220)의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자 키를 수신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핀 코드 생성부(211)는 전자 키가 이미 저장된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전자 키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핀 코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저장되어 유지되는 스마트 도어락(220)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핀 코드의 개수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핀 코드 생성부(211)는 복수 개의 전자 키를 소유한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전자 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핀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는 게스트(Guest)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는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 및 핀 코드에 대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수신된 핀 코드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핀 코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220)의 고유 번호를 1대1 매칭하여 생성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핀 코드와,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를 비교하며, 수신된 핀 코드와 일치하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핀 코드로부터 스마트 도어락(220)에 대한 고유 번호 및 마스터 단말기(23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결과로부터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스마트 도어락(220)의 고유 번호, 전자 키 정보 및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할 수 있다.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220)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 정보, 지문 정보, 홍체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락 설정 정보,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전자 키 생성 요청, 핀 코드 생성 요청, 도어락 원격 제어 정보, 보안 설정 정보 및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원격 제어 정보는 관리자가 마스터 단말기(230)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스마트 도어락(220)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정보, 스마트 도어락(220)의 해제 및 잠금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220)에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설정 정보는 관리자가 마스터 단말기(230)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220)의 경고음 발생 및 경찰서 또는 외부 보안 기관으로의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는 초기 스마트 도어락(220)의 비밀번호 설정, 임시 비밀번호 설정, 스마트 도어락(220)과 연결된 홈(20)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스마트 도어락(220)의 해제 및 잠금 설정, 및 경고음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홈(20)의 보안을 위한 보안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마스터 단말기(230)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마스터 단말기(230)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는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로부터 핀 코드 보안 인증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 스마트 도어락(220)의 침입 감지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220)의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게스트 단말기(240)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게스트 단말기(240)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는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따른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3)로부터 핀 코드 보안 인증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는 마스터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220)과 마스터 단말기(240) 간의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처리부(214)는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스마트 도어락(220)으로의 전송, 생성된 핀 코드의 마스터 단말기(230)로의 전송, 및 보안 서비스에 대한 마스터 단말기(230)로의 제공을 처리한다.
처리부(214)는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생성 요청 및 핀 코드 생성 요청에 의해 생성된 전자 키 또는 핀 코드의 전송과, 핀 코드 인증 판단부(212)로부터 판단된 핀 코드 보안 인증에 대한 판단 결과를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의 전송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214)는 보안 커맨드 생성부(213)로부터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 또는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하고, 생성된 제어 커맨드를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214)는 침입 판별 결과 및 핀 코드 보안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을 위한 수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마스터 단말기(230) 또는 게스트 단말기(240)를 통해 방문자에 대한 인증 확인을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14)는 침입 판별부(216)에 의해 판단된 판별 결과 및 스마트 도어락(220)과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에 대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은 마스터 단말기(230) 또는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관리자 또는 게스트의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14)는 방문자가 부적합한 방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스마트 도어락(220)의 잠금 및 경고음 발생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214)는 긴급 보안 서비스에 대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기설정된 매뉴얼에 기반하여 긴급 보안 서비스에 대한 제어 커맨드를 마스터 단말기(230), 게스트 단말기(240), 경찰서 및 외부 보안 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처리부(214)는 스마트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210)은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저장하고, 생성된 전자 키 및 핀 코드를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215) 및 침입 여부를 판별하는 침입 판별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215)는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220)으로의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핀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215)는 도어락(220) 또는 게이트웨이(221)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 정보, 지문 정보, 홍체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락 설정 정보, 마스터 단말기(2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전자 키 생성 요청, 핀 코드 생성 요청, 도어락 원격 제어 정보, 보안 설정 정보 및 게스트 단말기(240)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따른 결과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부(215)는 생성된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침입 판별부(216)는 수신된 감지 정보와,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입 판별부(216)는 스마트 도어락(220)으로부터 수신된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마스터 단말기(230) 및 게스트 단말기(24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감지 정보는 스마트 도어락(220)에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오류 및 반복, 스마트 도어락(220)의 강제 오픈, 및 스마트 도어락(220)과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기설정된 홈(20)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침입 판별부(216)는 스마트 도어락(22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와, 마스터 단말기(230)를 소유하는 관리자가 기설정한 식별 정보, 도어락 설정 정보 및 방문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400)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를 저장하고, 전자 키에 대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며, 스마트 도어락의 이상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400)은 저장부(410), 인증 판단부(420), 침입 감지 판단부(430) 및 통신부(440)를 포함한다.
저장부(410)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410)는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스마트 도어락(400)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인증된 관리자에 의해 수신되는 전자 키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10)는 저장된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포함된 단말기를 소유하는 사용자(관리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판단부(420)는 저장된 전자 키에 대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판단부(420)는 마스터 단말기 또는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으로부터 전자 키를 비교하여 인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판단부(420)는 마스터 단말기 또는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전자 키를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판단부(420)는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키 요청에 기반하여 핀 코드와 전자 키를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침입 감지 판단부(430)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의 이상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
침입 감지 판단부(430)는 비밀번호의 오류 및 반복, 도어 강제 오픈, 및 스마트 도어락(400)과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기설정된 홈 근방에서 서성이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침입 감지 판단부(430)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전자 키와, 마스터 단말기 또는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의 불일치에 따른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침입 감지 판단부(430)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전자 키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의 불일치에 따른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통신부(440)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전자 키에 대한 인증 여부 및 침입 여부의 판단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400)은 게이트웨이(500)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500) 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락(400)에 게이트웨이(500)가 포함된 일체형인 경우, 스마트 도어락(400)은 게이트웨이(500) 없이,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단말기(마스터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반면, 스마트 도어락(400)과 게이트웨이(500)가 분리된 경우, 게이트웨이(500)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500)로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스마트 도어락(500)으로 전송하며, 스마트 도어락(400)은 게이트웨이(500)를 통해 제어 커맨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게이트웨이(500)는 스마트 도어락(400)과 통신 모듈의 주파수 대역 사이에서 무선통신하도록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으로 구축된 통신 모듈과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망) 대역인 노변 기지국 사이에서 상호간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단말기 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전자 키 생성을 위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610). 이에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키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고(단계 611), 생성된 전자 키를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612).
또한, 단말기는 수신된 전자 키를 저장하고, 전자 키를 스마트 도어락에 전달할 수 있으며(단계 613), 스마트 도어락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614).
전술한 단계에 의해, 스마트 도어락은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전자 키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자 키를 이용하여 도어락 해제 및 잠금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단말기는 스마트 도어락으로 도어락 해제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마트 도어락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전자 키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단계 616), 스마트 도어락은 인증 결과를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617).
또한, 단말기는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결과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단계 618),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를 저장하고(단계 619), 저장되어 유지되는 인증 결과에 대한 요청 시, 단말기 또는 스마트 도어락으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62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마스터 단말기, 게스트 단말기 및 스마트 도어락 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기는 관리자의 입력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IoT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 핀 코드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710). 또한, IoT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핀 코드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핀 코드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고(단계 711), 생성된 핀 코드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712).
또한, 마스터 단말기는 수신된 핀 코드를 저장하고, 핀 코드를 게스트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으며(단계 713), 게스트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714).
전술한 단계에 의해, 게스트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를 소유한 관리자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를 저장하고, 저장된 핀 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사용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IoT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전자 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전자 키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도어락은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전자 키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마트 도어락은 마스터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전자 키를 저장하고 있으며,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요청으로부터 저장되어 유지되는 전자 키와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15에서, 게스트 단말기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핀 코드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단계 716), 그에 따른 인증 결과를 게스트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717).
또한, 게스트 단말기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으로 핀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키를 요청할 수 있고(단계 718), 스마트 도어락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를 기반으로, 저장되어 유지되는 핀 코드와 대응하는 전자 키를 전달할 수 있다(단계 719).
또한, 게스트 단말기는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으로, 도어락 해제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단계 720), 스마트 도어락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전자 키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인증 결과를 게스트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721).
게스트 단말기는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결과를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단계 722),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를 저장하고(단계 723), 저장되어 유지되는 인증 결과에 대한 요청 시, 마스터 단말기, 게스트 단말기 및 스마트 도어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72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보안 서비스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홈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방문자의 움직임, 얼굴, 표정 및 머무는 시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부적합한 방문자를 인식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거나, 스마트 도어락(820)에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오류 또는 반복, 및 강제 오픈에 기반하여 침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부적합한 방문자(810)에 의해 도어락 비정상 조작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단계 (a)에서, 스마트 도어락으로 부적합한 방문자(810)에 대한 침입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단계 (b)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또는 관리자, 831)에게 침입 경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마스터 단말기 또는 게스트 단말기, 830)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910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한다.
단계 910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및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의 고유 번호를 1대1 매칭하여 전자 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920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단계 920은 스마트 도어락 또는 게이트웨이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계 920은 스마트 도어락 또는 게이트웨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스마트 도어락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제어 커맨드는 초기 스마트 도어락의 비밀번호 설정, 임시 비밀번호 설정, 스마트 도어락과 연결된 홈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제어, 스마트 도어락의 해제 및 잠금 설정, 및 경고음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홈의 보안을 위한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930에서,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생성된 전자 키의 단말기로의 전송, 및 보안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한다.
단계 930은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 또는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의 생성을 제어하고, 생성된 제어 커맨드를 스마트 도어락 및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단계 930은 침입 판단 결과 및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 및 단말기로 방문자에 대한 인증 확인을 위한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1010에서, 마스터(Master)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한다.
단계 1010은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관리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이메일 및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의 고유 번호를 1대1 매칭하여 전자 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핀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한다.
단계 1020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 및 핀 코드에 대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수신된 핀 코드와 저장되어 유지되는 핀 코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한다.
단계 1030은 스마트 도어락 또는 게이트웨이, 마스터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030은 스마트 도어락 또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 정보, 지문 정보, 홍체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락 설정 정보,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전자 키 생성 요청, 핀 코드 생성 요청, 도어락 원격 제어 정보, 보안 설정 정보 및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생성된 핀 코드의 마스터 단말기로의 전송, 및 보안 서비스에 대한 마스터 단말기로의 제공을 처리한다.
단계 1040은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 생성 요청 및 핀 코드 생성 요청에 의해 생성된 전자 키 또는 핀 코드의 전송과, 판단된 핀 코드 보안 인증에 대한 판단 결과를 마스터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의 전송을 처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210: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20, 220: 스마트 도어락
121, 221: 게이트웨이
130: 단말기
230: 마스터 단말기
240: 게스트 단말기

Claims (15)

  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하는 전자 키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하는 핀 코드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전자 키의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서비스는,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핀 코드를 게스트(Guest)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핀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키를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 키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제어 커맨드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커맨드를 기반으로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보안 서비스를 수행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따른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입 판단 결과 및 상기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에 대한 인증을 확인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가 부적합한 방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 및 경고음 발생의 상기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7. 마스터(Master)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마스터(Master)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상기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하는 핀 코드 생성부;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생성된 핀 코드와 상기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핀 코드 인증 판단부;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보안 커맨드 생성부;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기반의 제어 커맨드 생성과,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핀 코드의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제공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서비스는,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게스트(Guest) 단말기는, 상기 핀 코드를 이용하여 판단된 핀 코드 보안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 상기 핀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키를 요청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침입 감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핀 코드를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별하는 침입 판별부
    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키를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따른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침입 판단 결과 및 상기 보안 인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방문자에 대한 신원 확인,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 상기 방문자에 대한 인증을 확인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방문자가 부적합한 방문자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 및 경고음 발생의 상기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처리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3.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및 상기 전자 키에 대응하여 생성된 핀 코드(Pincode)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전자 키에 대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판단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도어락 설정 정보와, 스마트 도어락의 이상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감지 판단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자 키,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 키에 대한 인증 여부 및 침입 여부의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핀 코드를 게스트(Guest)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핀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키를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는
    스마트 도어락.
  14.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전자 키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전자 키의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서비스는,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핀 코드를 게스트(Guest)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핀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키를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마스터(Master)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마스터(Master)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전자 키(Electronic Key, eKey) 생성 요청에 기반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전자 키 및 상기 전자 키에 대응하는 핀 코드(Pincode)를 생성하는 단계;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인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생성된 핀 코드 와 상기 게스트(Guest)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핀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 보안 인증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보안 서비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커맨드의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의 전송, 상기 생성된 핀 코드의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전송, 및 상기 보안 서비스에 대한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의 제공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서비스는, 도어락 해제 및 잠금의 설정, 비밀번호 설정, 경고음 발생 및 경보 신호 전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게스트(Guest) 단말기는, 상기 핀 코드를 이용하여 판단된 핀 코드 보안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 상기 핀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키를 요청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056379A 2016-05-09 2016-05-09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379A KR101765080B1 (ko) 2016-05-09 2016-05-09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379A KR101765080B1 (ko) 2016-05-09 2016-05-09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080B1 true KR101765080B1 (ko) 2017-08-23

Family

ID=5975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379A KR101765080B1 (ko) 2016-05-09 2016-05-09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0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48B1 (ko) * 2020-02-17 2020-08-12 이춘식 일괄 개폐 가능한 스마트 창호
CN112652096A (zh) * 2020-12-14 2021-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nb门锁信息同步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10057581A (ko) 2019-11-12 2021-05-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안중심형 도어락 장치
CN113972996A (zh) * 2020-07-24 2022-01-25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门锁接入网关的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20096637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코맥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단말과 서버 그리고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1566A (ja) * 2007-05-25 2008-12-04 Ntt Docomo Inc 合鍵管理システム、合鍵管理サーバ、携帯電話機および合鍵管理方法
JP2009215797A (ja) * 2008-03-11 2009-09-24 Oki Electric Ind Co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サーバ装置、セキュリティ方法、電子鍵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69594B1 (ko) * 2009-10-29 2010-07-14 (주)라우즈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8197B1 (ko) * 2015-04-28 2016-02-12 (주)가드텍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1566A (ja) * 2007-05-25 2008-12-04 Ntt Docomo Inc 合鍵管理システム、合鍵管理サーバ、携帯電話機および合鍵管理方法
JP2009215797A (ja) * 2008-03-11 2009-09-24 Oki Electric Ind Co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サーバ装置、セキュリティ方法、電子鍵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69594B1 (ko) * 2009-10-29 2010-07-14 (주)라우즈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8197B1 (ko) * 2015-04-28 2016-02-12 (주)가드텍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581A (ko) 2019-11-12 2021-05-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안중심형 도어락 장치
KR102144248B1 (ko) * 2020-02-17 2020-08-12 이춘식 일괄 개폐 가능한 스마트 창호
CN113972996A (zh) * 2020-07-24 2022-01-25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门锁接入网关的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652096A (zh) * 2020-12-14 2021-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nb门锁信息同步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20096637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코맥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단말과 서버 그리고 그 방법
KR102552200B1 (ko) 2020-12-31 2023-07-06 주식회사 코맥스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단말과 서버 그리고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65908B2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6184195A1 (zh) 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9418664B2 (en) System and method of speaker recognition
US9972146B1 (en) Security system with a wireless security device
CN110211267A (zh) 室内开门控制方法、权限的配置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48932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6126A (ko)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CN115604707A (zh) 自然语言用户界面
KR101861057B1 (ko)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20170071869A (ko)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Hamzah et al. Smart Homes Automation System Using Cloud Computing Based Enhancement Security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101595897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KR102076357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18196B1 (ko)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5382A (ko) 실시간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통제 및 방문자 기록 시스템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116540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