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357B1 -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357B1
KR102076357B1 KR1020180055636A KR20180055636A KR102076357B1 KR 102076357 B1 KR102076357 B1 KR 102076357B1 KR 1020180055636 A KR1020180055636 A KR 1020180055636A KR 20180055636 A KR20180055636 A KR 20180055636A KR 102076357 B1 KR102076357 B1 KR 10207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location
protected area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915A (ko
Inventor
김경수
하윤호
김학진
이주헌
김한수
신강수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riority to KR102018005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3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며,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는 사용자 태그부,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및 사용자 태그부에 설정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함께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가자 또는 비인가자의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입 보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 기업체, 관공서 및 연구소 등에서 출입 관리 시스템은 필수적인 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출입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보호구역의 불필요한 출입을 제한하여 인명, 재산 및 정보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은, 보호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 통제 단말, 및 출입 통제 단말들을 제어하는 출입 통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출입 통제 단말로는 통상적으로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정맥인식 기반의 바이오 인식 단말기, 또는 RF 단말기 등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출입 관리 시스템은 출입 통제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을 인식한 후 출입문에 대한 개방 제어만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출입 인가자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비 인가자가 보호구역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부재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출입 인가자의 경우라도 출입 통제 단말을 통해 보호구역으로부터의 퇴실 인증을 한 후, 실제로 퇴실하지 않고 보호구역에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출입 통제 단말 기반의 종래의 출입 관리 시스템으로는 보호구역에 남아있는 출입 인가자를 인지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여 보안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종래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기록의 작성은 작업자의 수기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보호구역에 대한 상시 출입 또는 일시 출입을 위해서 출입시마다 출입기록을 수기로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으며, 작업자의 수기에 의한 출입기록 작성 과정에서 오기 등 휴먼 에러(Human Error)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1645호(2001.07.3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보호구역 내에 비 인가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퇴실 처리가 이루어진 인가자가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효과적으로 판단하여 보호구역 내의 출입 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함으로써 보안 위험성을 제거하는 동시에,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였던 출입기록 작성 시 수반되는 불편의성을 제거하기 위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은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며,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는 사용자 태그부,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태그부에 설정된 상기 출입 권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각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측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위부는, 상기 보호구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태그부를 소지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위부는,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고정 시설물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트랙킹(Tracking)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용자인 비 인가자가 상기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사용자 태그부는, 비상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비상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비상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보호구역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신청 정보,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된 리더부에 상기 사용자 태그부가 태깅되어 생성되는 태깅 정보, 및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은 위치 인식부가,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 태그부는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며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식부가, 상기 수신된 각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출입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태그부에 설정된 상기 출입 권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함으로써 보호구역 내의 출입 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기록을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종래 수작업에 의한 출입기록 작성 시 수반되는 불편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안테나부 및 리더부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태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측위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측위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동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출입 관리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안테나부 및 리더부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태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측위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측위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동선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출입 관리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출입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태그부(100), 위치 인식부(200) 및 출입 관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태그부(100)에는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구역은 일반 기업체, 관공서 및 연구소 등에서 비밀 또는 재산의 보호를 위하여 그 출입에 대한 감시가 필요한 모든 구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업체 등의 보안 업무 규정 상의 제한지역, 제한구역 및 통제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예: 전기실, 기계실, 금고실, 문서고 또는 보안 장비실 등).
사용자 태그부(100)에는, 사용자 태그부(100)를 소지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 이름, 사번 등)인 사용자 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예: 보호구역의 출입에 대한 인가 정보 또는 비인가 정보, 상시 출입 또는 일시 출입에 따른 출입 유형 정보 등)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보호구역에 설치된 소정의 리더부(예: RF 리더기, 지문 리더기, 정맥 리더기)에 사용자 태그부(100)가 태깅되어 사용자의 출입 권한이 인식됨으로써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이 인증될 수 있다. 도 2는 후술할 안테나부(210) 및 리더부가 설치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 태그부(100)에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태그부(1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입 카드부(110, 예: RF 카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된 출입 카드부(110)가 전술한 리더부에 태깅됨으로써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이 인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태그부(100)는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전술한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사용자 태그부(100) 및 리더부만을 통해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경우, 출입 인가자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보호구역 내부로 진입한 비 인가자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또한 퇴실 처리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보호구역 내에 남아있는 인가자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태그부(100)가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보호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즉, 사용자 태그부(100)는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여, 후술할 위치 인식부(200) 및 출입 관리부(300)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보호구역 내에서 존재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관리하고 그 보안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 태그부(1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 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무신 통신 모듈이 장착된 구조를 갖는 무선 태그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태그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무선 신호가 송신되는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한편, 출입 카드부(110) 및 무선 태그부(130)는 소정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소지하게 될 수 있다.
위치 인식부(200)는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 태그부(10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인식부(200)는 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사용자 태그부(10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및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측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식부(200)는 안테나부 및 측위부(250)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AP(Access Point) 단말(2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는 보호구역 내에서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할 것과 같이 측위부(250)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의 적용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되는 복수의 설치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AP 단말(230)을 통해 측위부(250)로 전송될 수 있다.
측위부(250)는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안테나부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가 도 4에 도시된 예시에 따라 설치되어 있을 경우, 측위부(250)는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측위부(250)는 무선 신호의 세기 간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측위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위부(250)는 보호구역 내에서 사용자 태그부(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로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호구역 내에서 도 5(a)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세 개의 안테나(211, 212, 213)는 일정 세기 이상의 세기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측위부(250)는 삼각 측량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세 개의 안테나(211, 212, 213)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보호구역 내에서 도 5(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 경우, 다섯 개의 안테나(211, 212, 213, 214, 215)는 일정 세기 이상의 세기로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측위부(250)는 오각 측량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다섯 개의 안테나(211, 212, 213, 214, 215)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 간 차이에 근거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측위부(250)는 보호구역 내에서 사용자 태그부(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위치 인식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측위부(250)는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고정 시설물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식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부에 포함된 안테나의 수 또는 무선 신호의 감쇠 등에 따라 측위부(250)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위치에는 소정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에 따라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고정 시설물(벽, 문, 설비장비 등)에 해당하는 위치(고정 시설물에 해당하는 위치는 좌표의 형태로 측위부(2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로 인식된 경우, 측위부(25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 공간(즉, 빈 공간)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출입 관리부(300)는 사용자 태그부(100)에 설정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함께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출입 관리부(300)는 소정의 출입 관리 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 태그부(100)가 전술한 리더부에 태깅됨으로써 획득되는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함으로써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관리자가 출입 관리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출입 관리 인터페이스부(400, 예: 모니터 및 키보드와 같은 입출력장치가 구비된 PC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입 관리부(300)는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트랙킹(Tracking)하여 보호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보호구역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보호구역 내에서의 작업 내용이 반영된 소정의 작업 계획서를 통해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신청을 사전에 수행해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구역 내에서 작업 계획서에 반영된 작업 내용만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관리부(30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트랙킹하여 보호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작업 계획서에 반영된 작업 내용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선이 작업 계획서에 반영된 작업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예: 사용자가 일정 시간 머무르면서 작업을 수행한 작업 위치와, 작업 계획서에 반영된 작업 내용에 해당하는 설비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입 관리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상 알람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부(300)는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용자인 비 인가자가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 태그부(100)는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 관리부(3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해당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특정할 수 있다. 만약, 보호구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비 인가자가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예: 인가자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비 인가자가 보호구역 내부로 진입한 경우), 출입 관리부(30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입 관리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용자 태그부(100)는 비상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비상 조작부(15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 관리부(300)는 사용자의 비상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보호구역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태그부(100)는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와 함께, 보호구역 내에 발생한 비상 상황(예: 사용자의 신체 이상, 보호구역 내부의 외부인 존재, 또는 보호구역 내부의 화재 등)을 통지하기 위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의 비상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송신할 수도 있다. 비상 조작부(150)는 무선 태그부(130)의 하우징에 형성된 버튼 타입의 스위치, 및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 관리부(300)는 사용자의 비상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보호구역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입 관리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출입 관리부(30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태그부(100)에 장착되어 무선 태그부(13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사용자 태그부(100)로부터 전송받아 배터리 잔량에 대한 알람을 출입 관리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발생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출입 관리부(300)는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사용자의 신청 정보,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보호구역에 설치된 리더부에 사용자 태그부(100)가 태깅되어 생성되는 태깅 정보, 및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것과 같이 보호구역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보호구역 내에서의 작업 내용이 반영된 소정의 작업 계획서를 통해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신청을 사전에 수행해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 관리부(300)는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사용자의 신청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입 관리부(300)는 리더부에 사용자 태그부(100)가 태깅되어 생성되는 태깅 정보(즉, 출입 권한 정보, 사용자 정보, 보호구역, 입퇴실 일시, 기타 정보 등)를 이용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출입 관리부(300)는 전술한 신청 정보, 태깅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도 있고, 신청 정보, 태깅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각각을 기반으로 출입기록을 각각 생성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신청 정보, 태깅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각각을 기반으로 출입기록을 각각 생성할 때, 그 출입기록의 생성 순서는 특정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입 관리부(300)를 통해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함에 따라,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였던 출입기록 작성 시 수반되는 불편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위치 인식부(200)는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 태그부(10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S100). 여기서, 사용자 태그부(100)는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며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이어서, 위치 인식부(200)는 S100 단계에서 수신된 각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S200).
S200 단계에서, 위치 인식부(200)는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보호구역 내에서 사용자 태그부(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S200 단계에서, 위치 인식부(200)는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고정 시설물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식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출입 관리부(300)는 사용자 태그부(100)에 설정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함께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한다(S300).
S300 단계에서, 출입 관리부(300)는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트랙킹(Tracking)하여 보호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S300 단계에서, 출입 관리부(300)는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용자인 비 인가자가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용자 태그부(100)는 비상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비상 조작부(15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S300 단계에서 출입 관리부(300)는 사용자의 비상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보호구역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S300 단계에서, 출입 관리부(300)는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사용자의 신청 정보,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보호구역에 설치된 리더부에 사용자 태그부(100)가 태깅되어 생성되는 태깅 정보, 및 위치 인식부(200)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보호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함으로써 보호구역 내의 출입 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기록을 자동으로 작성함으로써 종래 수작업에 의한 출입기록 작성 시 수반되는 불편의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태그부
110: 출입 카드부
130: 무선 태그부
150: 비상 조작부
200: 위치 인식부
210: 안테나부
230: 무선 AP 단말
250: 측위부
300: 출입 관리부
400: 출입 관리 인터페이스부

Claims (16)

  1.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고,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신호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는 사용자 태그부;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태그부에 설정된 상기 출입 권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용자인 비 인가자가 상기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사용자 태그부는, 비상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비상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비상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보호구역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각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측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부는, 상기 보호구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태그부를 소지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부는,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고정 시설물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트랙킹(Tracking)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신청 정보,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된 리더부에 상기 사용자 태그부가 태깅되어 생성되는 태깅 정보, 및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9. 위치 인식부가, 보호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 태그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 태그부는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며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계시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식부가, 상기 수신된 각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출입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태그부에 설정된 상기 출입 권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조합 인증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이 없는 사용자인 비 인가자가 상기 보호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고,
    상기 사용자 태그부는, 비상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비상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비상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보호구역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각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보호구역 내에서 상기 사용자 태그부를 소지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각 측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인식부는,
    상기 보호구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고정 시설물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트랙킹(Tracking)하여 상기 보호구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동선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 관리부는,
    상기 보호구역의 출입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신청 정보,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보호구역에 설치된 리더부에 상기 사용자 태그부가 태깅되어 생성되는 태깅 정보, 및 상기 위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출입기록을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방법.
KR1020180055636A 2018-05-15 2018-05-15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7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36A KR102076357B1 (ko) 2018-05-15 2018-05-15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636A KR102076357B1 (ko) 2018-05-15 2018-05-15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15A KR20190130915A (ko) 2019-11-25
KR102076357B1 true KR102076357B1 (ko) 2020-02-11

Family

ID=6873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636A KR102076357B1 (ko) 2018-05-15 2018-05-15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980A (ko) 2021-05-28 2022-12-06 한국전력공사 출입보안 자동화 무인변전소 시스템, 무인변전소 출입보안 자동화 장치 및 무인변전소 자동화 출입 보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353B1 (ko) * 2021-05-21 2022-02-08 주식회사 한국씨씨앤 수신신호강도 및 근접센서를 이용한 이엠락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45B1 (ko) * 2007-01-25 2007-06-28 (주) 이니투스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디스플레이 가능한 전자방문증 및이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161B1 (ko) * 2007-10-09 2009-08-28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Rfid 태그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085368B1 (ko) * 2016-09-09 2020-05-27 주식회사 하벤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45B1 (ko) * 2007-01-25 2007-06-28 (주) 이니투스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디스플레이 가능한 전자방문증 및이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980A (ko) 2021-05-28 2022-12-06 한국전력공사 출입보안 자동화 무인변전소 시스템, 무인변전소 출입보안 자동화 장치 및 무인변전소 자동화 출입 보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15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113734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202400625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9875592B1 (en) Drone used fo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or restricted access via an electronic lock
EP2175426B1 (en) Security system, securit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security program
US20190066415A1 (en) Mobile-based access control system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6978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hensive security-lockdown
KR102076357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748366B2 (en) Mobile-bas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access controller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002530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 of unauthorized persons
CN111754663A (zh) 用于提供安全进入的系统和方法
KR102052178B1 (ko) 원격 IoT 시건 장치
US1184258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enclosure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JP2023004657A (ja) 追跡管理システム、トラッキ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7546B1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US11877096B2 (en) Integrate body cameras with hotel key box
US202300166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hensive Security-Lockdown
JP2023004658A (ja) 追跡管理システム、トラッキ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05880B1 (ko)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JP2009275449A (ja) 携帯通信端末を非接触鍵として利用する電子錠システム
WO20210765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hensive security-lockd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