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46B1 -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46B1
KR102507546B1 KR1020220067994A KR20220067994A KR102507546B1 KR 102507546 B1 KR102507546 B1 KR 102507546B1 KR 1020220067994 A KR1020220067994 A KR 1020220067994A KR 20220067994 A KR20220067994 A KR 20220067994A KR 102507546 B1 KR102507546 B1 KR 10250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unit
machine
security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환의
Original Assignee
송환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환의 filed Critical 송환의
Priority to KR102022006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of the biometric kind, e.g. fingerprint sens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12Classification; Ma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은 경비를 위한 출입문의 잠금과 해제 가능한 잠금장치, 외부에서 출입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감지하는 출입인증센서부, 출입문 주변의 실내에 설치되며,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하는 경비수행작동부 및 잠금장치를 잠금과 해제 가능한 출입인증정보를 저장하며, 출입인증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잠금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경비수행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경비세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Electronic Security Remote Automatic Set System}
본 발명은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경비 시스템 작동 방법 중 특정 권한이 없어도 ‘경비세트’를 가능하게 하는 기계경비 작동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은 종래의 기계경비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의 종래의 기계경비 시스템 구성에 있어 자세하게 설명하면, 기계경비 출입문 외부에 기계경비 보안카드(지문) 리더기(이하, "리더기"라 함)(E10)를 설치하고, 출입문에는 전기정(EM락)을 설치한다. 그리고, 기계경비구역 실내에는 각종 보안장치(감지 센서)와 주장치(방범 콘트롤러)(이하, '주장치(E20)' 또는 제어부(60)라 함)를 설치한다. 이러한 각종 기계경비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기계경비업체 관제센터(이하, '관제센터(E30, 2)'라 함)에 시스템 신호 상태 및 이벤트를 송신될 수 있도록 구축하여 운용되고 있다.
상기 도 2에 대한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 작동 방법의 흐름도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작동에 있어서 사전에 리더기(E10)를 이용하여 주장치(E20)에 기계경비 보안카드 또는 지문(이하, ‘카드/지문’이라 함)을 등록(E-ⓐ)한다.
이때, 등록 시에는 ‘특정 카드 또는 특정인의 지문’을 각각 구분하여 ‘경비세트/해제’(E-①), 경비 해제 상태 시 ‘출입문 출입’(E-②)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기계경비 시스템 작동은 등록된 카드/지문을, 설치된 리더기(E10)를 조작하여 주장치(E20)를 작동시켜 운용되고 있다.
위 상기한 도 1과 도 2의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 구성과 작동 방법에 있어서 기계경비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에서, 영업을 위한 ‘경비 해제(Open)’와 영업 마감 후 ‘경비세트(Close)’를 위한 당번제 운영 또는 시설 보안상 출입자에 따라 권한을 구분하여 운영되는 경우 ‘경비세트’를 위해서는 사전 주장치에 권한이 등록된 ‘카드 소지자 또는 지문 등록자’가 꼭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 작동방식에 있어서 ‘경비해제’ 상태에서, ‘출입문 출입’만 승인된 출입 사용자들이 업무상 야간근무를 하는 경우 최종 ‘경비세트’ 작동에 있어서 해당 권한을 가진 ‘보안카드 소지자 또는 지문 등록자’가 업무가 종료 시까지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비효율적인 업무수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비세트’ 작동(인증) 수단인 카드/지문 인증 시 카드 파손 또는 지문 훼손으로 인한 작동 불가로 기계경비업체 출동 조치 시까지 기다려야 하는 사용자의 애로사항과 기계경비업체의 출동률 상승 등의 문제점 있다.
또한, 야간시간 단독 ‘경비세트’를 위한 리더기(E10) 조작에 있어서 출입문을 바라보고 뒤돌아(등 보임) 작동함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범죄사고 위험성 노출로 인한 사고 위험성의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시스템상 ‘경비세트’를 위한 당번자(카드 소지자 또는 지문 등록자)가 최종적으로 기다리고 있는 비효율적인 작동방식을 보안기준을 충족하며, 별도 특정 작동(인증) 수단이 없이도 ‘출입 사용자’ 누구나 주장치(E20)를 작동시켜 ‘경비세트’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는 기계경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현시대에 있어 중요시되는 일과 삶의 균형이 잡힌 ‘저녁있는 삶’ ‘워라벨’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계경비 ‘경비세트’ 인증 시 카드 파손 또는 지문 훼손에 의한 시스템 인식 불가로 인한 사용자의 애로사항과 기계경비업체의 출동률 증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스템 및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시스템 운용 시 위험성 노출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야간시간 리더기(E10) 조작에 있어서 출입문을 바라보고 뒤돌아(등 보임) 수행함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범죄사고 위험성 노출과 이에 따른 불안감을 해결하는 시스템 및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은, 경비를 위한 출입문의 잠금과 해제 가능한 잠금장치; 외부에서 출입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감지하는 출입인증센서부; 상기 출입문 주변의 실내에 설치되며,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하는 경비수행작동부; 및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과 해제 가능한 출입인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출입인증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경비수행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경비세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누구나 경비수행작동부를 이용하여‘경비세트’를 작동할 수 있어서, 특정한 당번이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불필요한 업무수행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 및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와 ‘경비해제’를 포함하는 기계경비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면 경비수행작동부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계경비 작동상태를 확인하며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는, 작동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를 상기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상기 ‘경비세트’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작동시간 및 작동음향을 포함하는 작동내용을 설정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비수행작동부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를 상기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상기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면 사용자가 근무하고 있는 실내 영역에서 실외로 벗어난 후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므로 ‘경비세트’가 이루어진 후 실외로 나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의 관제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면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경비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관제서버에 원격자동세트로 표시되도록 하며 작동시간을 기록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경비세트’를 수행한 시간과 해제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누구나 경비수행작동부를 이용하여 ‘경비세트’를 작동할 수 있어서, 특정한 당번이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불필요한 업무수행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 및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인 인증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경비수행작동부를 단순 조작하여 ‘경비세트’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경비세트’ 조작 시 인증으로 인한 미작동 현상의 불편함이 감소하며, 기계경비업체의 출동률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비세트’를 작동하는 경우에도 등돌린 상태에서 수행하지 않으므로 주변 환경에 대한 범죄사고 위험성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5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한다.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1)은 잠금장치(10), 출입인증센서부(20), 경비수행작동부(30), 개폐센서(40), 카메라(42), 통신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잠금장치(10)는 경비를 위한 출입문의 잠금과 해제 가능한 구성이다. 잠금장치(10)는 후술할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전동으로 출입문을 잠글 수 있고,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장치(10)는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잠금장치(10)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실내영역과 실외영역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출입인증센서부(20)는 외부에서 출입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카드를 접근시켜 카드를 감지한 후 인증을 할 수도 있고, 지문을 인식하고 인증을 할 수도 있으며, 얼굴을 촬영하여 인식한 후 인증을 할 수도 있다. 이외의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도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인증을 하는 경우 제어부(60)는 ‘경비세트’를 ‘경비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잠금장치(10)를 잠금해제시킬 수도 있다. 출입인증센서부(20)는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만 사용자가 카드, 지문, 얼굴, 비밀번호 등으로 인증을 할 수 있다.
경비수행작동부(30)는 출입문 주변의 실내에 설치되며,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여 잠금장치(10)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경비수행작동부(30)는 실내영역에 배치되어 실내의 사용자만이 작동시킬 수 있으며, 경비수행작동부(30)를 작동시켜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면 이후 강제로 출입문을 열려고 하는 경우 기계경비업체의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관제서버(2)로 침입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경비수행작동부(30)는 터치 입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31)와 작동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와 ‘경비해제’를 포함하는 기계경비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는 ‘경비세트’와 ‘경비해제’의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경비세트’가 실행된다거나 실행되고 있다거나 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1)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센서부(20) 에서의 인증에 따라 ‘경비해제’가 되는 경우 ‘경비해제’가 되었다는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1)는 표시할 수도 있다.
스피커(32)는 침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알람을 울리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경비세트’가 실행된다거나 실행되고 있다거나 하는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센서부(20) 에서의 인증에 따라 ‘경비해제’가 되는 경우 ‘경비해제’가 되었다는 내용을 스피커(32)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개폐센서(40)는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한다. 개폐센서(40)는 잠금장치(10)를 감지하여 출입문이 잠금상태인지 잠금해제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개폐센서(40)는 레이저센서, RF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42)는 실내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실내영역의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42)는 실내영역에 사용자가 있는 지 없는 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열화상카메라일 수도 있다.
통신부(50)는 외부의 관제서버(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잠금장치(10)를 잠금과 해제 가능한 출입인증정보를 저장하며, 출입인증센서(20)부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잠금장치(10)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경비수행작동부(30)의 작동에 따라 ‘경비세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와 ‘경비해제’를 포함하는 기계경비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가 경비수행작동부(30)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경비세트’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작동시간 및 작동음향을 포함하는 작동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가 경비수행작동부(30)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면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면 관제서버(2)로 ‘경비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0)를 제어하며, 관제서버(2)에 원격자동세트로 표시되도록 하며 작동시간을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1)의 구성 예시도이다.
여기서, 기계경비 보안카드(지문)리더기(E10, R100)는 상기의 출입인증센서부(20)에 대응하는 구성이며, 주장치(방범 콘트롤러, E20, R200)는 상기의 제어부(60)에 대응하는 구성이고, 기계경비업체 관제센터(E30, R300)는 관제서버(2)에 대응하는 구성이며,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는 경비수행작동부(30)에 대응한 구성이다.
도 1과 도 4에 사용되는 기계경비 보안카드(지문) 리더기(E10=R100), 주장치(방범 콘트롤러, E20=R200), 기계경비업체 관제센터(E30=R300)는 종래의 동일한 일반적인 시스템이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 관련 시스템 구현 장비로서 주장치(R200)에 연결되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를 설치하고 종래 기계경비 시스템에 연동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경비 ‘리더기(R100)’는 사용자에 의해 제시된 카드/지문을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을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며, 해당 카드/지문 데이터를 처리하는 주장치(R200)에 전송하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리더기(R100)는 사용자 카드/지문 조작에 따라 기계경비 보안 시스템의 상태를 ‘경비세트’, ‘경비 해제’, 경비 해제 상태에서 ‘출입문 출입’으로 조작하는 장치이며, 출입 사용자 기준에 맞게 카드/지문을 등록하는 장치이다.
상기 ‘주장치(R200)’는 출입 사용자 등록대상에 대한 카드/지문 및 등록기준을 저장하며, 리더기(R100)로부터 카드/지문 데이터를 사전에 등록된 카드/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정당한 사용자 한하여 ‘경비세트/해제’ 및 경비 해제 시 ‘출입문 출입’을 허용할 수 있으며, 전달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이상 신호 감지에 대한 기계경비업체 관제센터 신호 발송 등의 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관제센터(R300)’는 기계경비 경비구역에서 주장치(R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신호 상태 및 이벤트를 모니터 할 수 있는 기계경비업체 측에 마련된 장소이며, 주장치(R200)로부터 ‘경비세트’ 조작 이벤트 발생 시 수신/관리 확인 가능한 장소이다.
상기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장비로서 기계경비 경비구역 외부 출입문이 아닌 실내의 출입문 주변에 장치를 설치하고 주장치(R200)와 단독(Zone)으로 선로를 연결하고, 리더기(R400)와 주장치(R200) 작동은 기계경비를 위하여 설치한 각종 감지센서 연결 방식과 동일한 전기적(전압) 신호방식으로 구성되고, 리더기(R400) 작동방식은 ‘기계경비 보안카드 또는 사용자 지문’ 기반이 아닌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등으로 조작 가능한 방식으로 사용하며, 기존 사용되는 리더기(R100) 방식과도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리더기(R400) 작동 시 주장치(R200)에서는 해당 신호를 ‘경비세트’로 인지하여 ‘경비세트’로 작동하며 신호 내역은 관제센터(R300)에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로 기록 관리가 되도록 하는 획기적인 방식이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상기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의 세부 기능은 화면(액정화면) 표출 시 기계경비 작동상태(경비 해제, 경비세트)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더기(R400)는 조작 후 ‘경비세트’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경비시설 내에서 퇴실이 가능할 수 있도록 작동시간 조작제어가 가능하며, 주장치(R200)에서도 작동시간 제어 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더기(R400)는 조작 후 ‘경비세트’가 진행되고 있다는 음향(멘트) 작동 및 제어 가능하며, 주장치(R200)에서도 음향 제어 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더기(R400)는 조작 후 관리 주장치(R200)를 통한 관제(R300)에서 원격자동세트라고 표시 및 작동시간 기록 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 작동 조작에 있어 최종 ‘경비세트’ 대상자를 확인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 가능하며,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장비가 아닌, 종래 사용되는 상기 ‘기계경비 보안카드(지문) 리더기(R100)’ 형식의 장비를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 운용장비로 적용 설치하며, 리더기(R100)로 기존에 주장치(R200)에 등록된 데이터를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에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을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기존 방식의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단이 아닌, 작동 조작자의 데이터와 리더기(R400) 관련 ‘경비세트’ 신호에 대한 내용으로 함께 주장치(R200)에 전송, 작동,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는 기계경비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에서 출입 사용자를 사전에 조건과 등록기준에 의하여 리더기(R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입력(R-ⓐ)하고, 주장치(R20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
이때, 등록된 사용자는 ‘경비세트 또는 경비 해제’(R-①), 경비 해제 시 ‘출입문 출입’(R-②) 조작 시 등록된 카드/지문을 리더기(R100)에 접촉(비접촉) 방법으로 신호를 주장치(R200)에 전송한다.
전송된 신호는 주장치(R200)에 사전 등록된 카드/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 조건 시 ‘경비세트, 경비 해제, 경비 해제 시 출입문 출입’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정상 작동된 ‘경비세트, 경비 해제’ 신호 사항은 통신망을 사용하여 관제센터(R300)에서 수신· 관리 확인이 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 카드/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불일치 시 ‘경비세트 불가, ‘경비 해제 불가, ‘출입문 락(Lock) Open 불가’로 기계경비 시스템이 작동된다.
상기 기술된 작동 및 운용 방식은 종래 방식과 동일한 기준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계경비 출입문 외부(실외) 리더기(R100) 외에 별도 기계경비구역 출입문 실내 별도의‘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를 설치하고 주장치(R200)와 단독 연결하여 해당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 작동 시 ‘경비세트’ 신호로 인식 ‘경비세트’ 정상 작동 후 신호 사항은 통신망을 사용하여 관제센터(R300)에 수신/관리가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어부(60)는 실내에 아무도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경비수행작동부(30)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하지 않고 외부로 나가려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하도록 하는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가 경비수행작동부(30)를 작동하여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실외로 나간 것으로 판단되면 관제서버(2)로 ‘경비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경비세트’가 이루어졌다는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잠금장치(10)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전자석 전동식이 기본이나 정전이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전자석을 이용하지 않고 걸림부가 걸리도록 하는 잠금방식도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장치(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60)는 정전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부의 전원이 잠금장치(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걸림부가 이동되어 잠금 걸림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가 경비수행작동부(30)를 작동한 후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면 디스플레이부(31)와 스피커(32)를 이용하여 실내의 사용자에게 지금 ‘경비세트’를 실행할 지를 묻는 안내메세지 및 안내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1)으로 인하여, 사용자 누구나 경비수행작동부(30)를 이용하여 ‘경비세트’를 작동할 수 있어서, 특정한 당번이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불필요한 업무수행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 및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인증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경비수행작동부(30)를 단순 조작하여 ‘경비세트’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경비세트’ 조작 시 인증으로 인한 미작동 현상의 불편함이 감소하며, 기계경비업체의 출동률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경비세트’를 작동하는 경우에도 등돌린 상태에서 수행하지 않으므로 주변 환경에 대한 범죄사고 위험성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경비 업종을 영위하고 있는 기계경비업체에서 기술적 적용이 포괄적으로 가능하다.
기술적 적용은 기계경비를 운용하는 시설에서 ‘경비세트’ 당번제로 인한 불필요한 대기 업무를 하지 않게 하고자 하는 금융시설, 프랜차이즈 업종시설물에서 아르바이트생들의 카드/지문 관리가 어려운 상황, 영업 마감 후 ‘경비세트’ 권한이 필요한 경우, 야간시간 ‘경비세트’를 하기 위한 환경 위험성이 있는 장소, 경비세트’ 조작 시 카드 또는 지문 훼손에 의한 시스템 작동 불가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 해소와 이로 인한 기계경비업체의 출동률 감소가 가능하다.
1: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2: 관제서버
10: 잠금장치 20: 출입인증센서부
30: 경비수행작동부 31: 디스플레이부
32: 스피커
40: 개폐센서 42: 카메라
50: 통신부 60: 제어부
E10, R100: 기계경비 보안카드(지문)리더기
E20, R200: 주장치(방범 콘트롤러)
E30, R300: 기계경비업체 관제센터
R400: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
E-ⓐ, R-ⓐ: 출입자 사용자 등록
E-①, R-①: 사용자 기계경비카드(지문) 리더기 ‘경비세트’, ‘경비 해제’ 조작
E-②, R-②: 사용자 기계경비카드(지문) 리더기 경비 해제 후 ‘출입문 출입’조작
R-⒜: 출입자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 ‘경비세트’ 조작

Claims (6)

  1.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에 있어서,
    경비를 위한 출입문의 잠금과 해제 가능한 잠금장치;
    외부에서 출입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감지하는 출입인증센서부;
    상기 출입문 주변의 실내에 설치되며,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하는 경비수행작동부; 및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과 해제 가능한 출입인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출입인증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경비수행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경비세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를 상기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상기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경비수행작동부의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는 단순 터치식, 조그셔틀식, 버튼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경비세트' 가 가능할 때, 작동 조작자에 대하여 확인할 수 없는 반면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고자 할 때는‘기계경비 보안카드(지문, 얼굴) 리더기(R100)' 장비를 활용하여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운용장비 신호방식을 적용 설치하며, 리더기(R100)로 기존에 주장치(R200)에 등록된 데이터를 ‘원격자동세트 리더기(R400)’에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법을 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기존 방식의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판단이 아닌, 작동 조작자의 데이터와 리더기(R400) 관련 ‘경비세트’ 신호에 대한 내용으로 함께 주장치(R200)에 전송, 작동,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와 ‘경비해제’를 포함하는 기계경비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는, 작동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경비수행작동부를 상기 방범을 위한 ‘경비세트’가 되도록 조작한 후 상기 ‘경비세트’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작동시간 및 작동음향을 포함하는 작동내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외부의 관제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비세트’가 이루어지면 상기 관제서버로 상기 ‘경비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관제서버에 원격자동세트로 표시되도록 하며 작동시간을 기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6. 삭제
KR1020220067994A 2022-06-03 2022-06-03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KR102507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94A KR102507546B1 (ko) 2022-06-03 2022-06-03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94A KR102507546B1 (ko) 2022-06-03 2022-06-03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546B1 true KR102507546B1 (ko) 2023-03-08

Family

ID=8550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94A KR102507546B1 (ko) 2022-06-03 2022-06-03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5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349B1 (ko) * 2005-04-01 2005-10-18 주식회사 에스원 경비 시스템 및 이와 연계된 도어락 시스템
KR20110009506A (ko) * 2009-07-22 2011-01-28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기계 경비용 무선 경비지원 시스템
KR20140148020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네오디시젼스 휴대기기를 이용한 무인 기계경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80200B1 (ko) * 2015-05-22 2015-12-24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자동 경비 복구가 가능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349B1 (ko) * 2005-04-01 2005-10-18 주식회사 에스원 경비 시스템 및 이와 연계된 도어락 시스템
KR20110009506A (ko) * 2009-07-22 2011-01-28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기계 경비용 무선 경비지원 시스템
KR20140148020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네오디시젼스 휴대기기를 이용한 무인 기계경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80200B1 (ko) * 2015-05-22 2015-12-24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자동 경비 복구가 가능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638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201900351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WO2018167904A1 (ja) 監視システム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CN113453091A (zh) 集合住宅的对讲机系统
KR102507546B1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JP2014015774A (ja) 鍵管理装置及び鍵管理システム
JP2008027140A (ja) 入退管理システム
JP2004265007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230145265A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Electronic Security Remote Automatic Set System
KR20230001969U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Electronic Security Remote Automatic Set System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KR2003003470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17151730A (ja) 警備システム
JP6618827B2 (ja) 警備システム
KR200418791Y1 (ko) 전자키를 이용한 티씨피 아이피 기반의 지능형 출입 관리시스템
JP2003184371A (ja) 金庫施解錠システム
JP3742424B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544586B1 (ko)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JP200614687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7255076A (ja) 個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個人認証方法
JP6618832B2 (ja) 警備システム
CN110599629A (zh) 一种带开关监测的电话加密防盗门系统
JP4257302B2 (ja) 入退室管理方法
JP4829944B2 (ja) 入退室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