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586B1 -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586B1
KR100544586B1 KR1020040014414A KR20040014414A KR100544586B1 KR 100544586 B1 KR100544586 B1 KR 100544586B1 KR 1020040014414 A KR1020040014414 A KR 1020040014414A KR 20040014414 A KR20040014414 A KR 20040014414A KR 100544586 B1 KR100544586 B1 KR 10054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electronic key
history information
access hist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860A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4001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5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60Cleaning or maintenance of golf clubs, putters, shoes or other golf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에 있어서, 전자 키(300)를 센싱하는 센서부(204); 도어 개폐 신호와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상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따라서 도어 락(200)의 해정 또는 괘정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락 구동부(206);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상기 전자 키(3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A(210); 상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상기 도어 락 구동부(206),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A(2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08);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A(212); 및 상기 센서부(204)의 센싱 결과를 알려주는 출력부(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키를 소지한 출입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곳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출력 장치와 연결하여 도어 락을 통해 출입한 사람들의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어 락, 출입 내역 정보, 전자 키

Description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Door Lock for Storing Access Log Data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Log Data}
도 1은 종래의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 락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를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를 출력 장치에 연결하여 전자 키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내역을 기록하는 도어 락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도어 락 102, 202 : 도어 락 콘트롤러부
104, 204 : 센서부 106, 206 : 도어 락 구동부
108, 208, 306 : 전원부 110 : 컴퓨터 장치부
210 : 데이터 송수신부A 212 : 데이터 저장부A
214 : 출력부 300 : 전자 키
302 : 전자 키 콘트롤러부 304 : 데이터 송수신부B
308 : 데이터 저장부B 310 : 도어 락 접속부
312 : 출력 장치 접속부 400 : 전자 키 정보
402 : 출입 내역 정보 404 : 도어 락 정보
406 : 출입자 정보
본 발명은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락에 도어를 개폐한 사람, 개폐 시각 등이 포함되는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 정보를 정당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호텔 객실, 아파트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 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은 도어 개폐 수단인 금속 열쇠의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한 편이었다. 요즈음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이 지닌 취약성을 고려하여 마그네트 카드 방식 또는 스마트 카드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키(Key)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락, 비밀 번호를 키 입력하여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락 등의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음성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등 인체의 특정한 부위의 고유성을 이용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도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 락이 활발히 연구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도어 락에 관한 기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서 도어 락이 지닌 도어 개폐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빌딩, 사무실, 공장 등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장소에서 무단으로 출입하는 방문자를 제한하고 사원들의 출입 및 근태 상황을 체크하기 위해서 도어 락에 CC-TV, 컴퓨터 서버를 포함하는 별도의 무인 감시 장치와 연동하여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 락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종래의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 락(100)은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 센서부(104), 도어 락 구동부(106), 전원부(108), 컴퓨터 장치부(110)를 포함한다.
전자 키(미도시)는 마그네틱 카드 방식, 스마트 카드 방식을 포함하는 소정의 도어 락 개폐 수단 중 어느 하나의 도어 락 개폐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전자 키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 락에 대한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는 직렬, 병렬 포트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도어 락을 구동하기 위한 운영 체제 프로그램 및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ROM으로 이루어지며, 센서부(104), 도어 락 구동부(106), 전원부(108), 컴퓨터 장치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는 EPROM 또는 ROM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센서부(104)에서 센싱한 전자 키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정당한지를 판단하여 센서부(104)에서 센싱한 전자 키가 정당하면 도어 개폐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구동부(106)와 컴퓨터 장치(110)로 전달한다. 반면 센서부(104)에서 센싱한 전자 키가 정당하지 않으면 오류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구동부(106)와 컴퓨터 장치(110)로 전달한다.
센서부(104)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로 구성되며 출입자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서 전자 키를 도어 락(100)의 센서부(104)에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키면 이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 락 구동부(106)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Relay) 구동 장치, 솔레노이드(Solenoid) 구동 장치, 서보 모터(Servo Motor), 모티스(Mortis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락 구동부(106)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에서 전달하는 도어 개폐 신호에 의해서 서보 모터, 모티스를 포함하는 부하(負荷)를 구동하여 도어 락의 해정 또는 괘정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08)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내부 전원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다. 전원부(108)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 센서부(104), 도어 락 구동부(106)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컴퓨터 장치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 보조 기억 장치, 주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서버,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모니터, 프린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 CCTV를 포함하는 별도의 무인 감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서버에는 출입 내역 확인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고 도어 락(100)과 연결되어 있어서,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가 전송하는 도어 개폐 신호, 오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락(100)을 개폐한 시간 정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컴퓨터 서버에 저장하고 출력 장치로 출입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컴퓨터 장치부(110)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102)가 전송하는 신호가 오류 신호이면 출입 권한이 없는 출입자에 의한 도어 개폐 시도로 간주하고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경고를 하게 된다.
종래의 도어 락(100)에 있어서,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고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컴퓨터 장치(110)를 구비해야 했다. 따라서, 출입자에 대한 확인은 필요하지만 다수의 인원이 출입하지 않는 가정, 소규모 사무실 등에서는 출입 내역 정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도어 락(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컴퓨터 장치(110)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락에 별도의 저장부를 구비하여 도어 락 개폐에 따른 사용자 확인, 개폐 시각을 포함하는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 정보에 대한 확인을 원할 때는 언제 어디서나 그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에 있어서, 전자 키(300)를 센싱하는 센서부(204); 도어 개폐 신호와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상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따라서 도어 락(200)의 해정 또는 괘정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락 구동부(206);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상기 전자 키(3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A(210); 상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상기 도어 락 구동부(206),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A(2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08);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A(212); 및 상기 센서부(204)의 센싱 결과를 알려주는 출력부(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에 있어서,
전자 키 정보(400)와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제어하는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 상기 전자 키 정보(400)와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B(304); 전자 키(300)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6); 상기 전자 키 정보(400)와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B(308); 상기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 접속하는 단자를 구비한 도어 락 접속부(310); 및 출력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 출력 장치 접속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 및 상기 도어 락(200)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마그네틱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 형태를 포함하는 전자 키(300)를 사용하되, 상기 전자 키(300)로 상기 도어 락(200)에 저장된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가 상기 도어 락(200)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가 상기 도어 락(200)에서 상기 전자 키(300)로 저장되는 단계; 및 (c)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가 저장된 상기 전자 키(300)에 출력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은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센서부(204), 도어 락 구동부(206), 전원부(208), 데이터 송수신부A(210), 데이터 저장부A(212), 출력부(2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 키는 도어 락 개폐 수단, 전자 키마다 고유한 ID가 보유되어 있는 단순한 메모리 형태의 휴대 가능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자 키는 해당 전자 키로 개폐 가능한 도어 락(200)의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클록(Clock) 회로를 포함하는 카운터, 인터럽터, 직렬 또는 병렬 포트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도어 락 구동을 위한 운영 체제 프로그램 및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EPROM 또는 RO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센서부(204)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정보와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의 EPROM 또는 ROM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센서부(204)에 접촉한 전자 키가 정당한 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도어 개폐 신호와 오류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구동부(206), 데이터 저장부A(212), 출력부(214)로 전달한다. 또한,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도어 락(20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 하는 이벤트(Event)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A(212)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204)에 접촉한 전자 키의 인증 정보와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의 EPROM, ROM에 저장된 도어 락의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도어 개폐 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류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구동부(206)와 데이터 저장부A(212)에 전송한다. 도어 개폐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 락 구동부(206)는 도어 락을 개폐하게 된다.
센서부(204)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며, 센서부(204)에 사용자가 전자 키를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키면 센서부(204)는 해당 전자 키를 센싱하여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 락 구동부(206)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Relay) 구동 장치, 솔레노이드(Solenoid) 구동 장치, 서보 모터(Servo Motor), 모티스(Mortis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락 구동부(206)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서 전달하는 도어 개폐 신호에 의해서 서보 모터, 모티스를 포함하는 부하(負荷)를 구동하여 도어 락의 해정 또는 괘정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208)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독립 전원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이루어지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도어 락 구동부(206), 데이터 송수신부A(210)에 전원을 인가한다.
데이터 송수신부A(210)는 접촉식 및/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 키 라이터(Writer)로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A(210)는 도어 락(200)의 데이 터 저장부A(212)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 도어 락 정보를 전자 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A(212)는 읽고 쓰기가 용이한 저장 장치로 구성되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가 생성한 도어 개폐 신호 또는 오류 신호를 전달받아 출입자가 도어 락(200)에 출입을 시도한 시각, 출입자에 대한 인적 사항 등을 포함하는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20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A(212)에 저장한다.
출력부(214)는 스피커,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로 구성되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로부터 오류 신호를 전달받으면 비인가자 출입을 경고하기 위한 ARS 메세지를 방송하고 그렇지않고 도어 개폐 신호를 전달받으면 도어 개폐 성공 ARS 메시지를 방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를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300)는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 데이터 송수신부B(304), 전원부(306), 데이터 저장부B(308), 도어 락 접속부(310), 출력 장치 접속부(312)를 포함한다.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는 카운터, 인터럽터, 직렬 또는 병렬 포트 등을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는 도어 락(200)을 개폐하기 위해서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 전자 키(300)를 갖다대면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읽어와서 데 이터 송수신부B(304)를 통해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로 전달하거나 도어 락(200)의 데이터 저장부A(212)로부터 전달받은 도어 락(200)의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전자 키(300)는 전술한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를 구비하지 않고도 전자 키(300)마다 고유한 ID가 부여된 단순한 메모리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과정에서 전자 키(300)는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를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데이터 송수신부B(304)는 RF 송수신 회로 또는 마그네틱 센서 회로로 구성되어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도어 락 접속부(310)에 전달하거나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 도어 락 정보를 출력 장치 접속부(312)로 전달한다.
전원부(306)는 전자 키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독립 전원 또는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 접촉했을 때 도어 락(200)의 전원부(20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전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전원부(306)는 전자 키 콘트롤러(302)와 데이터 송수신부B(304)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저장부B(308)는 일고 쓰기가 용이한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데이터 저장부B(308)에는 전자 키의 고유 번호인 키 관리 코드, 전자 키로 출입이 허용된 도어 락 코드, 전자 키의 초기화 여부를 나타내는 초기화 완료 코드, 전자 키 사용자 정보, 전자 키에 데이터를 입력한 입력 일시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B(308)는 도어 락(200)의 데이터 저장부A(212)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 도어 락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된다.
도어 락 접속부(310)는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부B(304)에서 전달하는 인증 정보를 도어 락(200)의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로 전달한다.
출력 장치 접속부(312)는 PDA,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부B(304)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 도어 락 정보를 출력 장치로 전달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에 저장되는 출입 내역 정보 및 도어 락 정보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키의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인증 정보(400),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로 구분된다.
인증 정보(400)에는 전자 키마다 고유한 전자 키 관리 코드, 전자 키 사용자, 출입 허용 도어 락 코드, 입력 일시 및 초기화 완료 코드를 포함한다. 전자 키 관리 코드는 전자 키 최초 제작 때부터 지정되어 있으며 변경이 불가능한 상태로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된다.
출입 허용 도어 락 코드는 전자 키(300)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 락(200)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해당 전자 키(300)로 개폐 가능한 도어 락(200)의 고유 번호를 추가할 수 있다.
입력 일시는 전자 키(300) 사용자와 출입 허용 도어 락 코드를 저장한 일시를 나타낸다. 초기화 완료 코드는 0 또는 1 값을 가지는 것으로 전자 키(300)의 각 종 정보를 새로 갱신할 것인지('0'에 해당) 아니면 계속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출입 내역을 누적할 것인지('1'에 해당)에 대한 판별 자료로 사용된다.
출입 내역 정보(402)는 출입자가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일시, 전자 키 관리 코드, 전자 키 사용자, 인증 수단, 처리 결과, 비고를 포함하며 전자 키(300)의 데이터 저장부B(308)에 기록된다.
도어 락 정보(404)는 도 4a에 도시된 도어 락 코드, 전자 키 관리 코드 이외에 도어 락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 예를 들어 전자 키 등록, 비밀 번호 등록, 날짜 설정, 침입 경보 발생, 화재 경보 발생, 동작 에러(Error)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전자 키(300)의 데이터 저장부B(308)에 기록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를 출력 장치에 연결하여 전자 키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키(300)를 도어 락(200)에 구비된 센서부(204)에 갖다대고 도어 락(200)의 외측 조작부(미도시)의 키 버튼을 조작하면 도어 락(200)의 데이터 저장부A(212)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를 전자 키(300)의 데이터 저장부B(308)로 전달받게 된다.
전자 키(300)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미도시)에 연결하면 출력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출력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개방 일시, 전자 키 관리 코드, 전자 키 사용자, 인증 수단, 처리 결과, 비고를 포함하는 출입자 정보(406)를 포함하는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코드, 전자 키 관리 코드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404)가 출력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어 락 정보(404)의 도어 락 코드는 도어 락의 고유 번호로 도어 락(200)을 최초 제작할 때 지정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도어 락(200)을 식별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어 락 정보(404)의 전자 키 관리 코드는 도어 락(200)을 개폐할 수 있는 전자 키(300)를 가리킨다. 전자 키 관리 코드는 도어 락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 락(200)에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도어 락 정보(404)의 전자 키 관리 코드에서 해당 도어 락(200)을 개폐 할 수 있는 정당한 전자 키(300)로 '001'이 지정되어 있다고 한다면, 이 경우에는 해당 전자 키(300)를 소지한 출입자가 도어 락(200)을 개방한 개방 일시, 전자 키 사용자, 인증 수단, 처리 결과, 비고를 포함하는 정보가 출입자 정보(406)에 기록된다. 그렇지 않고 비인가된 전자 키를 센서부(204)에 갖다대면 해당 도어 락(200)은 오류 신호를 발생하고 출입자 정보(406)의 전자 키 관리 코드에는 오류로 표시되며 비고에는 비인가된 출입자에게 행한 경고 수단이 기록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내역을 기록하는 도어 락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500에서 전자 키(300)를 소지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도어 락(200)에 구비된 센서부(204)에 전자 키(300)를 갖다댄다.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서는 전자 키(300)를 센싱하여 전자 키(30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도어 락(200)의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로 전달한다(S502).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서는 전자 키(300)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도어 락(20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가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 갖다댄 전자 키(300)가 해당 도어 락(200)에 정당한 전자 키(300)인지를 확인한다(S504).
단계 S504에서 출입자가 센서부(204)에 갖다댄 전자 키(300)가 정당하면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도어 개폐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락 구동부(206), 데이터 저장부A(212), 출력부(214)에 전송한다. 도어 개폐 신호를 전송받은 도어 락 구동부(206)는 도어 락(200)을 해정하고 출력부(214)는 도어 개폐 성공 ARS 메시지를 방송하게 된다(S506).
데이터 저장부A(212)는 인증 정보와 도어 락을 개폐한 시간 정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20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404)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508).
단계 S506에서 개방한 도어가 닫히면 도어 락 구동부(206)는 서보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 락(200)을 괘정하게 된다(S510).
단계 504에서 센서부(204)에 접촉한 전자 키(300)가 정당하지 못한 경우에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오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부(214)를 통해 비인가자 출입을 경고하는 ARS 메세지를 방송하고 데이터 저장부A(212)에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20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404)를 저장한다(S512).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600에서 출입자는 도어 락(200)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자 키(300)를 센서부(204)에 갖다대고 외측 조작부(미도시)의 번호 키 패드를 조작한다.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는 센서부(204)에 접촉한 전자 키(300)가 해당 도어 락(200)에 정당한 전자 키(300) 인지를 판단한다(S602).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 의해서 센서부(204)에 접촉한 전자 키(300)가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전자 키(300)로 도어 락(200)의 데이터 저장부A(212)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를 전달한다(S604).
전자 키(300)로 전달받은 도어 락(200)의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는 전자 키(300)의 데이터 저장부B(308)에 저장된다(S606).
전자 키 소지자는 전자 키(300)를 개인용 컴퓨터, 이동 통신 단말기, PDA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장치에 연결하여 전자 키(300)에 저장된 출입 내역 정보(402), 도어 락 정보(404)를 확인한다(S60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무인 감지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출입 내역 정보(402)를 도어 락(200)에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 키(300)를 소지한 출입자는 PDA,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곳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출력 장치와 연결하여 도어 락(200)을 통해 출입한 사람들의 출입 내역 정보(402) 및 도어 락(20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404)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에 있어서,
    전자 키(300)를 센싱하는 센서부(204);
    도어 개폐 신호와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상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따라서 도어 락(200)의 해정 또는 괘정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락 구동부(206);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상기 전자 키(3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A(210);
    상기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 상기 도어 락 구동부(206),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A(2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08);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A(212); 및
    상기 센서부(204)의 센싱 결과를 알려주는 출력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키(300)는 상기 도어 락(200)을 개폐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도어 개폐의 기능 이외에 이동성 저장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신호와 상기 오류 신호는 상기 도어 락(200)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출입자가 상기 도어 락(200)의 개폐를 시도한 시각, 출입자에 대한 인적 사항, 상기 전자 키 등록, 비밀 번호 등록, 날짜 설정, 건전지 교체 시기 알림, 침입 경보 발생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에 있어서,
    전자 키 정보(400)와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제어하는 전자 키 콘트롤러부(302);
    상기 전자 키 정보(400)와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B(304);
    전자 키(300)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6);
    상기 전자 키 정보(400)와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B(308);
    상기 도어 락(200)의 센서부(204)에 접속하는 단자를 구비한 도어 락 접속부(310); 및
    출력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 출력 장치 접속부(312)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락 접속부(31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B(304)에서 전달하는 전자 키 정보(400)를 도어 락(200)의 도어 락 콘트롤러부(202)로 전달하고 도어 락(200)으로부터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키 정보(400)는 상기 전자 키(300)마다 고유한 전자 키 관리 코드, 전자 키 사용자, 출입 허용 도어 락 코드, 입력 일시 및 초기화 완료 코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는 도어 락 코드, 전자 키 관리 코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도어 락 정보(404), 개방 일시, 키 관리 코드, 전자 키 사용자, 인증 수단, 처리 결과, 비고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자 정보(4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저장하는 도어 락(200) 및 상기 도어 락(200)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마그네틱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 형태를 포함하는 전자 키(300)를 사용하되, 상기 전자 키(300)로 상기 도어 락(200)에 저장된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전달받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가 상기 도어 락(200)에 저장되는 단계;
    (b)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가 상기 도어 락(200)에서 상기 전자 키(300)로 저장되는 단계; 및
    (c)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가 저장된 상기 전자 키(300)에 출력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출입 내역 정보(402)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내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15. 삭제
KR1020040014414A 2004-03-03 2004-03-03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KR10054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14A KR100544586B1 (ko) 2004-03-03 2004-03-03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14A KR100544586B1 (ko) 2004-03-03 2004-03-03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60A KR20050088860A (ko) 2005-09-07
KR100544586B1 true KR100544586B1 (ko) 2006-01-23

Family

ID=3727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14A KR100544586B1 (ko) 2004-03-03 2004-03-03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180B1 (ko) * 2016-12-27 2024-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잠금 장치,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 잠금 장치 해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60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81427U (zh) 一种电子信息锁
WO20010525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KR20090011134A (ko)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3389B1 (ko) 전자 사물함 시스템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13166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출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0544586B1 (ko)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KR100596690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JP4354254B2 (ja) 作業履歴データを管理する鍵管理システム
JP2005301331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JP2004265007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Gindi et al. Smart Lock System Using RFID
KR2003003470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5108A (ko) 근태관리용 출입문 통제장치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JP4488495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6917601B1 (ja) 扉開閉制御装置
KR10089028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031534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507546B1 (ko) 기계경비 원격자동세트 시스템
KR100431757B1 (ko) 블루투스를 탑재한 pda를 이용한 원격 출입관리 및 제어 방법
CN211827386U (zh) 一种指纹防盗门禁系统
KR100692390B1 (ko) 승인 코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모터 제어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