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305A - 스마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305A
KR20210099305A KR1020200012989A KR20200012989A KR20210099305A KR 20210099305 A KR20210099305 A KR 20210099305A KR 1020200012989 A KR1020200012989 A KR 1020200012989A KR 20200012989 A KR20200012989 A KR 20200012989A KR 20210099305 A KR20210099305 A KR 2021009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oor lock
camera
lock device
sma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지영
Original Assignee
곽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지영 filed Critical 곽지영
Priority to KR102020001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305A/ko
Publication of KR2021009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14With a sequence of inputs of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보안 장치를 적용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에 형성되고 도어 외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숫자판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어 눌러지는 숫자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보안부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작동로드를 동작시키며,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작동부와 상기 보안부와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한 후, 터치 패널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동작시켜 도어 잠금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장치{Smart door-lock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성이 우수한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 장치 또는 도어락은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 장치의 일종으로 일반부택, 아파트, 연구소, 빌딩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일반적인 출입을 제안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통상 키를 이용하여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기계식과 내부에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모터 등을 구비하는 전자적(디지털) 방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디지털 방식은 전자카드, 지문인식, 비밀번호 입력 등을 통해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기계적 방식의 도어락에서 발생되는 만능키나 복제열쇠에 의한 도어 개방과 그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계적 방식의 도어락에 비해 사용상의 편리성이 높아 대부분의 중요 출입문에는 디지털 방식의 도어락 장치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15-0142092호에는 방문알림 버튼 및 도어를 개폐하는 잠금부가 구비된 도어락 하우징과, 도어락 하우징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도어락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출력부와, 도어락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도어락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통신기기와 영상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도어락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 입출력부에 의해 외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방문알림 버튼이 입력되면 영상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 통신기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8-0078780호에는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인적정보, 사용일자 및 사용시간을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도어락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인적정보, 사용일자 및 사용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인증여부를 확인한 후 도어 구동펄스신호를 송신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도어 구동펄스신호의 제어에 따라 잠금 동작 및 잠금해제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가정용에 사용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경우에는 대부분 효대용 카드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비밀번호방식은 외부인들이 의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 보안 장치를 적용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에 형성되고 도어 외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숫자판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어 눌러지는 숫자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보안부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작동로드를 동작시키며,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작동부와 상기 보안부와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한 후, 터치 패널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동작시켜 도어 잠금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부는 케이스 외면에 장착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숫자 배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출력되는 숫자를 사전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대비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도어 잠금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몸체 외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상시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몸체 외면에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는 획득된 얼굴사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패널은 거울형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비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사전에 등록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일회용 비밀번호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입력에 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와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은 인식하여 적절한 사용자인 경우, 터치패널에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화면을 출력한 후 입력된 번호가 사전에 등록된 번호와 동일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높은 보안성을 갖는 효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안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작동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외면에 설치되는 보안부(10)와 상기 보안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어(1) 내면(실내측)에 설치되는 작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바같쪽에 설치되고, 전체 구성을 지지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전면 상단에 설치되는 카메라(20), 카메라(20) 측면에 설치되는 근접센서(12) 그리고 케이스(11)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적절한 강도를 가지고,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케이스(11)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제 동작은 상기 커버를 이송한 후 수행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메라(20)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동되며, 통상 스마트폰 등에 적용되는 소형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 사진을 디지털로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근접센서(12)는 상기 케이스(11)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근접 유무를 감지하는 구성이며, 근접된 경우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의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동작하는 접촉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30)은 특정한 정보를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특정한 위치가 접촉되는 경우, 해당 위치를 인식하는 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별히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통상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일반 LCD 또는 OLED 상단에 50%정도의 반사율을 갖는 반사판을 장착한 구조로 거울면 특성과 디스플레이 특성이 공존하는 장점이 있으며, 출력되는 모양들은 거울면에 표출되 형태이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거울형 디스플레이로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비춰지므로, 사용자가 얼굴 인식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누를 경우, 해당 위치의 신호가 다른 장치로 출력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패널(30)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에 각각 다른 숫자(0 내지 9)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출력된 숫자 부분을 순차적으로 누르는 경우, 해당 숫자들이 다른 장치로 출력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30)에 출력되는 숫자의 위치는 램덤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숫자가 1회때는 1, 2, 3이 출력되나, 다음 회에서는 7, 1, 4와 같이 순자의 연관성이 없도록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숫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동일 비밀번호 입력으로 해당 비밀번호 위치가 주변과 구별되는 고정 숫자 위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거울형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거울 상에 번호가 발현되므로, 독특한 미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작동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며, 역시 몸체(51)와 상기 몸체(51)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60), 작동로드(71)를 포함하는 구동장치(70),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5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51) 역시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단하게 배터리를 교환하기 위한 분리형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0)은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며, 특히 상기 카메라(20)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들의 얼굴과 비밀번호를 등록할 때 안내 메시지 출력 등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70)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로드(71)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작동로드(71)는 도어(1)를 수용하는 벽면에 장착된 걸림부(2)와 결합하여 도어(1)를 잠금한다.
상기 스위치(52)들은 사용자 등록 및 비밀번호 등록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70)의 직접적인 동작 등을 위한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는 전체 장치의 제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90)는 별도의 CPU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로, 상기 보안부(10) 또는 작동부(50) 내부에 배치되고,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며, 내부에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근접센서(1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접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카메라(20)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20)에서 획득되는 사용자 사진을 처리하고, 사전에 등록된 등록 사용자의 사진과 대비하여 현재의 사용자가 등록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터치 패널(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패널(3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0)을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구동장치(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스위치(52)의 정보를 입력받아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등록과 비밀번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필요한 경우 통신모듈(91)과 연결되어 무선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91)은 블루투스, Wi-FI 또는 와이브로를 지원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작동부(50)에 장착되어 실내측으로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장치(9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알람장치(92)는 엘이디, 스피커 또는 2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락 장치(100)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근접센서(12)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90)로 출력된다.
상기 근접센서(12)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90)는 상기 카메라(20)를 구동하여 사용자 얼굴 사진을 획득한 후, 사전에 등록된 등록 사용자의 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터치 패널(30)에 0 내지 9을 숫자와 기능형 문자(예를 들면, 다시 입력, 이전 문자 삭제 등)를 램덤하게 출력한 후, 입력되는 숫자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근접센서(12)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카메라(20)를 통하여 획득되는 연속적인 사진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60)로 출력하고, 필요한 경우, 별도의 알람장치(92)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일정 시간 내에 사전에 설정된 수만큼 연속하여 카메라(20)를 통한 얼굴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 외부인의 침입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모듈(91)을 위험 상황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얼굴사진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센서에서 감지되는 충격량이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모듈(91)을 통하여 인근 경찰서 등으로 연락이 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특정 스위치(52) 조작시 카메라(20)를 통하여 사전에 사용자의 얼굴사진을 등록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다른 특정 스위치(52) 조작시터치 패널(30)을 통하여 비밀번호 역시 등록 및 갱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통신모듈(91)을 통하여 사전에 등록된 스마트폰에 의하여 일회용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일회용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어(1)가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는 일정한 시간에서만 동작하고, 일정한 시간 동작 이후에는 소멸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이는 주인인 없는 경우 외부 방문자 방문 시 주인이 방문자에게 문자로 비밀번호를 안내하여 도어(1)를 개방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하여 상기 제어부(90)는 방문자의 얼굴 사진을 사전에 등록된 스마트폰에 의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20)를 통하여 획득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진과 대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된 후 소멸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2: 걸림부
10: 보안부 11: 케이스
12: 근접센서 20: 카메라
30: 터치 패널 50: 작동부
51: 몸체 52: 스위치
60: 디스플레이 패널 70: 구동장치
71: 작동로드 90: 제어부
91: 통신모듈 92: 알람장치
100: 스마트 도어락 장치

Claims (10)

  1.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에 형성되고 도어 외면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숫자판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어 눌러지는 숫자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보안부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 외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작동로드를 동작시키며,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작동부와
    상기 보안부와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한 후, 터치 패널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동작시켜 도어 잠금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케이스 외면에 장착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한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숫자 배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서 출력되는 숫자를 사전에 등록된 비밀번호와 대비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도어 잠금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몸체 외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상시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몸체 외면에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로 경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얼굴사전을 사전에 등록된 얼굴사진과 대비하여, 등록된 얼굴사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일정회수 이상 발생하는 획득된 얼굴사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거울형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비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사전에 등록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일회용 비밀번호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입력에 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20200012989A 2020-02-04 2020-02-04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20210099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89A KR20210099305A (ko) 2020-02-04 2020-02-04 스마트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89A KR20210099305A (ko) 2020-02-04 2020-02-04 스마트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05A true KR20210099305A (ko) 2021-08-12

Family

ID=7731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989A KR20210099305A (ko) 2020-02-04 2020-02-04 스마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93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56B1 (ko) 2022-05-21 2023-08-30 주식회사 투윈스컴 Ai를 적용한 비접촉 생체인식 방식의 스마트 도어
KR102650238B1 (ko) * 2023-10-06 2024-03-25 대한민국 암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암호 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56B1 (ko) 2022-05-21 2023-08-30 주식회사 투윈스컴 Ai를 적용한 비접촉 생체인식 방식의 스마트 도어
KR102650238B1 (ko) * 2023-10-06 2024-03-25 대한민국 암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암호 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8819T3 (es) Sistema de control de seguridad para transportar personas con un ascensor y procedimiento para el uso de dicho sistema
KR100751922B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WO20010525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KR20180070047A (ko)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11214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20180124318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US20220383680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020081168A (ko) 전자식 도어록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KR100718196B1 (ko)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980861B1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02269A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KR200189358Y1 (ko) 지문인식기가 장착된 도어 손잡이
JP6917601B1 (ja) 扉開閉制御装置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