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66B1 -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366B1
KR100836366B1 KR1020070005070A KR20070005070A KR100836366B1 KR 100836366 B1 KR100836366 B1 KR 100836366B1 KR 1020070005070 A KR1020070005070 A KR 1020070005070A KR 20070005070 A KR20070005070 A KR 20070005070A KR 100836366 B1 KR100836366 B1 KR 10083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nit
control unit
do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민
Original Assignee
안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민 filed Critical 안광민
Priority to KR102007000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본체에 내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락본체의 프론트바디에 설치되는 비밀번호 입력용 키패드와; 상기 도어락본체에 설치되고 손잡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함은 물론 외부 신호도 수신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락 개방에 필요한 설정ID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확인ID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ID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결과값에 따라 도어락본체에 설치된 데드볼트를 개방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된 출입문개폐부와; 상기 도어락본체에 설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내 초인종 혹은 비디오폰 구동용 전원으로부터 분기된 전원공급부와; 출입문 개방에 대응되는 확인ID가 기록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의 무선송수신부와 교신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접촉식으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어 휴대의 편의상, 사용상 용이성, 보안유지성 등이 현격히 향상되고, 또한 불법침입이 우려되는 경우에 대하여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비접촉식, 도어락, 스마트카드, 불법침입, 디지털

Description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NON TOCUCH TYPE SMART DIGITAL DOOR R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도어락본체 110....손잡이
120....제어부 130....무선송수신부
140....메모리부 150....신호처리부
160....출입문개폐부 170....센서부
180....전원공급부 190....RF발진부
200....스마트카드
본 발명은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상가 혹은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접촉없이 휴대하는 것만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를 출입하도록 안내하는 출입문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락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락에는 불특정인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실린더가 설치되고, 특정 키에 의해서만 회전자재되도록 구성된 기계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키와 키실린더로 이루어진 고전적인 기계식 도어락은 키 휴대의 불편성, 분실의 위험성, 조작상의 번거로움 등의 문제로 인하여 근자에는 전자식 도어락 혹은 디지털 도어락이 개시된 바 있다.
예컨대, 전자식 도어락 혹은 디지털 도어락은 키실린더와 맞물리는 키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 칩, 스마트카드,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말한다.
이들은 입력된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나 전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데드볼트가 전후진되면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개시된 대부분의 전자식(디지털) 도어락은 카드 형태의 키를 비롯한 각종 락킹해제 수단을 도어락 본체에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예컨대, 락킹해제 수단을 호주머니나 가방 등에 수납하고 다닐 경우에는 이들로부터 꺼내야 하고, 그것이 불편할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눌러야 하며, 손님을 대동하고 들어갈 경우 비밀번호를 누를 때 비밀번호 누출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형태의 도어락의 경우에도 이들을 인식시키기 위한 일련의 불편한 행동을 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구소나 사내를 출입할 때에는 불특정 다수인이 많기 때문에 부득불 보안상 문제가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발급하고 있는 각종 카드 형태의 키는 반드시 접촉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단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전자식 도어락 형태를 취하되 출입문 개방을 위해 스마트카드 형태를 갖는 카드키를 도어락 본체에 접촉하지 않고 단지 휴대하는 것만으로도 출입문을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법침입자에 의한 도어락 강제 개방 시도가 발생되면 이를 즉시에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보안이 유지되는 출입문 사용환경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락본체에 내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락본체의 프론트바디에 설치되는 비밀번호 입력용 키패드와; 상기 도어락본체에 설치되고 손잡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함은 물론 외부 신호도 수신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락 개방에 필요한 설정ID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확인ID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ID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결과값에 따라 도어락본체에 설치된 데드볼트를 개방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된 출입문개폐부와; 상기 도어락본체에 설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내 초인종 혹은 비디오폰 구동용 전원으로부터 분기된 전원공급부와; 출입문 개방에 대응되는 확인ID가 기록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의 무선송수신부와 교신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도어락본체의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카드 상호간에 교신되는 무선신호는 RF, 블루투스, IrDA 신호중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손잡이의 내면, 외면 혹은 측면에 설치된 접촉센서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락본체에는 이의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카드의 교신 에러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경고방송을 행하는 스피커가 부설되거나 혹은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로 불법침입상태를 알리도록 가정식 전화기의 AP와 교신하는 RF발진부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출입문의 상단에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의 제어부에는 이의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카드의 교신 에러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출입문 주변을 촬영한 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촬상 구동부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카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락본체의 프론트바디에는 실외에서 즉시에 데드볼트를 잠글 수 있는 즉시잠금버튼이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데드볼트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개폐확인부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확인부에는 음성멘트 등록기능이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도어락본체(100)와, 스마트카드(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락본체(100)는 출입문(G)의 안쪽에 설치되고, 주요 구성들이 내장된 메인바디(102)와, 상기 출입문(G)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바디(1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프론트바디(104) 및 상기 메인바디(102)와 프론트바 디(104) 사이의 공간이 출입문(G)상에 내장되는 출입문개폐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바디(102)에는 통상적인 전자식 도어락이 갖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들이 그대로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이 핵심적인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그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바디(104)에도 손잡이(110)를 비롯한 부가기능들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주된 구성이고, 비접촉식으로 사용되는 카드키의 미소지시 출입문(G)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K)가 프론트바디(104)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키패드(K)는 키패드커버(C)에 의해 보호되며, 조작을 위해서는 상기 키패드커버(C)를 밀어올려 사용하면 되는 바, 이에 관한 구성은 기존과 같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개폐부(160)도 기존과 같이 잠금과 해제를 위한 데드볼트(106)와, 이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검출센서(108)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이들의 동작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하등의 차이가 없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락본체(100)에는 제어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20)에는 무선송수신부(130), 메모리부(140), 신호처리부(150), 출입문개폐부(160), 센서부(170), 전원공급부(180) 및 RF발진부(190)가 신호처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어부(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일종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되는 MSM과 같은 제어용 칩으로 구성되고, 무선송수신부(130)는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할 수 있는 일종의 안테나부이며, 메모리부(140)는 ID를 등록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이고, 신호처리부(150)는 수신된 특정의 확인 ID신호와 등록된 설정 ID를 비교연산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공지된 연산수단의 일종이며, 출입부개폐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센서부(170)는 사용자의 출입문(G)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이며, 전원공급부(180)는 상기 제어부(120)를 비롯한 회로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는 수단이고, RF발진부(190)는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선송수신부(130)에서 사용되는 무선신호로는 RF,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RF신호는 대부분의 무선통신기기에서 채용되고 있는 범용적인 무선처리신호이고, 블루투스는 전송거리 10m내에서 1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갖는 매우 유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이며, IrDA는 1m 이내에서 무선통신할 때 유용한 적외선 통신방식이지만 적외선이 통과하지 못하는 차폐물이 가로막을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70)를 구성하는 센서로는 접촉센서(Tourch Sensor)가 바람직한 바, 이를테면 상기 손잡이(110)의 내면 혹은 외면, 또는 측면중 어느 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잡거나 떼었을 때 그 눌림이나 복원에 의해 동작되어 사용자의 출입문(G) 개방여부를 검출하도록 하는 방식될 수 있다.
물론, 근접센서나 포토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G)에 접근할 경우 이를 즉시 검출하도록 변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80)는 도어락본체(100)에 필요한 구동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건전지 교체의 불편함, 전압이 부족하여 발생되는 출입문개폐부(160)의 동작불량 등의 문제를 일소하기 위해 실내(가정, 사무실, 연구실 등)에 설치된 초인종 혹은 비디오폰 등의 전원(a)을 인출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무선송수신부(130)는 프론트바디(104)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도록 하여 무선송출 및 수신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마트카드(200)는 신용카드나 명함 크기를 갖는 카드키의 일종으로 내부에는 무선송수신부(230) 및 기전력발생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마트카드(200)는 지갑이나 수첩, 핸드백 등에 소지하기 용이한 크기가 바람직하고,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악세사리 형태로 매달 수 있는 크기도 가능하며, 또한 목걸이 형태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카드(200)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계, 보안모듈, 메모리 등을 구비한 IC칩으로, 데이터가 읽히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마트카드(200)에는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VCC, RST, CLK, I/O, GND, C6 와 같은 6개의 단자가 마련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접촉식의 경우에는 LA, LB 단자가 더 추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선송수신부(230) 및 기전력발생부(240)는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단자중 일부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무선신호가 무선송수신부(230)로 수신되면 이 신호에 의해 기전력발생부(240)에서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에 의해 회로가 구동되면서 상기 스마트카드(200)는 상기 무선송수신부(230)를 통해 다시 ID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형태로 구동되게 되는 바, 예컨대 교통카드를 연상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손잡이(110) 주변의 프론트커버(104)상에는 즉시잠금버튼(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즉시잠금버튼(B)은 실외에서 데드볼트(106)를 즉시 구동시켜 잠금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테면, 개시된 대부분의 전자식 도어락은 출입문(G)이 닫힌 후 대략 0.5초 후 자동으로 잠기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필요한 경우 혹은 출입문(G) 개폐후 그 잠김상태를 즉시 확인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출입문(G)이 완전히 닫혀 잠금된 상태인지를 즉시 확인하기 곤란하여 불안감을 조성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문을 닫음과 동시에 즉시잠금버튼(B)을 눌러 강제 잠금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문이 완벽하게 잠겨졌음을 즉시로 인식시켜 불안을 해소하고, 안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도어락본체(100)의 출입문개폐부(160)에 구비되는 데드볼트(106)의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센서(108)와 연계된 개폐확인부(미도시)를 제어부(120)와 연결설치하고,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해진 멘트, 이를테면 "문이 잠겼습니다" 혹은 "잠김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등의 음성을 스피커(S)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확인부에는 음성등록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자신이 직접 원하는 음성멘트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등록될 음성멘트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입출력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음성멘트를 등록하는 과정은 키패드(K)상의 특정키에 설정기능을 할당함으로써 간단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키패드(K)상의 '5'번 키를 10초 이상 누르게 되면 음성멘트 등록모드로 전환된다든지 하는 형태가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카드(200)의 기능을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함으로써 굳이 스마트카드(200)를 항상 휴대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만 소지하여도 쉽게 출입문(G)의 잠금과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락본체(100)의 프론트바디(104)에는 제어부(120)와 연결된 스피커(S)를 더 설치하여, 불법침입 우려가 있을 때 상기 스피커(S)를 통해 높은 dB, 적어도 60dB 이상의 경고음이나 경고성 음성멘트를 송출한다던지 혹은 불법침 입 방지시스템의 일환으로 상기와 같은 불법침입의 우려가 있을 때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정해진 문자신호나 음성신호를 송출하여 소유자가 즉시에 이를 감지하고 대처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을 구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이를테면, 스마트카드(200)를 이용한 비접촉식 도어락 개방조작시 ID 확인이 3회 이상 틀렸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손잡이(110)를 회전시키려는 시도가 있다던지 혹은 비밀번호 입력시에는 3회이상 비밀번호 입력오류가 발생되면 이를 불법침입 시도로 간주하고 스피커(S)를 통해 정해진 멘트를 송출하거나 혹은 이와 함께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 번호로 설정된 문구를 송출하도록 가정식 전화기와 연계시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정식 전화기는 적어도 AP(Access Point)를 갖는 전화기여야 하고, 문자나 음성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구현 방식은, 불법침입이 감지되면 제어부(120)가 RF발진부(190)를 통해 특정신호, 이를테면 무선송수신부(130)와 충돌 혹은 간섭되지 않는 주파수영역대의 고주파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가정식 전화기에 구비된 AP에서는 이를 수신하게 되며, 이 특정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가정식 전화기의 제어부는 샌딩키(Sending Key)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호(CaLL)를 송출하고, 호는 PSTN망을 거쳐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지국으로 연결되며, 기지국에서는 호에 대응되는 가입자(Subscriber)를 찾아 호 발신에 따른 착신과 통화연결을 확인하게 된다.
확인후 호가 연결되면, 가정식 전화기상의 제어부는 특정신호시 동작되도록 저장된 메모리상의 문구나 음성을 아날로그신호로 송신하고, 이 아날로그신호는 A/D컨버터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앞서 설명한 망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나 음성을 송출하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불법침입의 근거자료를 남기기 위해 상기 출입문(G)의 상단에는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촬상구동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바, 상기 촬상구동부는 도 2의 제어부(120)와 연결된다.
즉, 상기 도어락본체(100)에 구비된 무선송수신부(130)와 상기 스마트카드(200)의 교신 에러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게 되었을 때 상술한 방법기능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예시처럼 사진 촬영만 할 수도 있으며, 이 두가지를 병행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이는 제어부(120)에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처리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출입문 주변 상황은 메모리부(140)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200) 소유자가 출입문(G)을 개방하기 위해 프론트바디(104)에 설치된 손잡이(110)를 파지하게 되면(S100), 손잡이(110)에 구비된 센서부(170)는 이를 즉시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여 구동전류를 얻게 되고, 이어 무선송수신부(130)를 통해 무선신호, 즉 정당한 개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ID 확인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110).
도어락본체(100)로부터 무선신호가 송출되면 이 무선신호는 소유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카드(200)의 무선송수신부(230)로 수신되게 되고, 동시에 이와 교신되는 기전력발생부(240)에 의해 유도기전력이 생겨 스마트카드(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생성되게 된다(S120).
이와 동시에, 기전력발생부(240)에서 생성된 전류는 무선송수신부(230)를 통해 스마트카드(200)에 할당된 ID신호를 송출하는 전원으로 활용되게 된다(S120).
이렇게 하여, 스마트카드(200)로부터 카드키의 ID신호가 송출되면, 이 ID신호는 다시 도어락본체(100)의 무선송수신부(130)로 수신되고, 제어부(120)를 메모리부(140)와 신호처리부(150)를 제어하여 수신된 ID신호와 도어락본체(100)가 가지고 있는 ID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13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신된 ID신호와 저장된 ID신호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략 0.5초 내에 출입문개폐부(160)가 데드볼트(106)를 개방하게 된다(S140,S150).
그러나, 확인 결과 수신된 ID신호와 저장된 ID신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센서부(170)를 통해 손잡이(110)의 파지여부를 다시한번 확인하게 되고, 확인 결과 손잡이(110)가 파지된 상태라면 상기 S110 단계로 회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수행토록 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라면 해당 과정을 종료시켜 출입문 개폐작업을 완전히 종료토록 하게 된다(S160).
여기에서, ID 불일치 과정이 3회 이상 반복되면 불법침입자로 간주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앞서 예시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스마트카드(200)를 사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보다 편리하게 출입문(G)을 잠그고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접촉식으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어 휴대의 편의상, 사용상 용이성, 보안유지성 등이 현격히 향상되고, 또한 불법침입이 우려되는 경우에 대하여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9)

  1. 도어락본체에 내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락본체의 프론트바디에 설치되는 비밀번호 입력용 키패드와;
    상기 도어락본체에 설치되고 손잡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함은 물론 외부 신호도 수신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락 개방에 필요한 설정ID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무선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확인ID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ID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의 결과값에 따라 도어락본체에 설치된 데드볼트를 개방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된 출입문개폐부와;
    상기 도어락본체에 설치되고 제어부와 연결되며 실내 초인종 혹은 비디오폰 구동용 전원으로부터 분기된 전원공급부와;
    출입문 개방에 대응되는 확인ID가 기록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의 무선송수신부와 교신하는 스마트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의 프론트바디에는 실외에서 즉시에 데드볼트를 잠글 수 있는 즉시잠금버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본체의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카드 상호간에 교신되는 무선신호는 RF, 블루투스, IrDA 신호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사용되는 센서는 손잡이의 내면, 외면 혹은 측면에 설치된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본체에는 이의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카드의 교신 에러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경고방송을 행하는 스피커가 부설되거나 혹은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로 불법침입상태를 알리도록 가정식 전화기의 AP와 교신하는 RF발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상단에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락본체의 제어부에는 이의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스마트카드의 교신 에러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출입문 주변을 촬영한 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촬상구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데드볼트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개폐확인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확인부에는 음성멘트 등록기능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KR1020070005070A 2007-01-17 2007-01-17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KR10083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070A KR100836366B1 (ko) 2007-01-17 2007-01-17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070A KR100836366B1 (ko) 2007-01-17 2007-01-17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366B1 true KR100836366B1 (ko) 2008-06-09

Family

ID=3977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070A KR100836366B1 (ko) 2007-01-17 2007-01-17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59B1 (ko) 2011-07-26 2013-05-22 창신정보통신(주)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KR20180065057A (ko) * 2016-12-06 2018-06-18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블루투스용 출입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614568A (zh) * 2019-02-25 2020-09-01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路由器及无线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47B1 (ko) 2005-07-11 2006-05-03 주식회사 동은전자 도어 개폐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433904Y1 (ko) * 2006-09-29 2006-12-13 (주)맥스텍 출입문 손잡이와 연동하는 도어락 시스템
KR100666071B1 (ko) * 2005-10-12 2007-01-09 주식회사 원택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47B1 (ko) 2005-07-11 2006-05-03 주식회사 동은전자 도어 개폐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666071B1 (ko) * 2005-10-12 2007-01-09 주식회사 원택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KR200433904Y1 (ko) * 2006-09-29 2006-12-13 (주)맥스텍 출입문 손잡이와 연동하는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659B1 (ko) 2011-07-26 2013-05-22 창신정보통신(주)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KR20180065057A (ko) * 2016-12-06 2018-06-18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블루투스용 출입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42500B1 (ko) * 2016-12-06 2019-01-28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블루투스용 출입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614568A (zh) * 2019-02-25 2020-09-01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路由器及无线设备
CN111614568B (zh) * 2019-02-25 2022-08-05 南宁富联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路由器及无线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0009B (zh) 一种多功能门禁装置
KR100900027B1 (ko)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비상호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에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 방법
KR20180107822A (ko) 스마트폰 연계형 디지털 도어록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70047A (ko)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0836366B1 (ko)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81168A (ko) 전자식 도어록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JP2011094292A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1975257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KR100648047B1 (ko) 휴대폰을 키패드로 사용하는 전자식 도어록 및 그 방법
KR20060121439A (ko) 휴대폰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KR100265416B1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RU184516U1 (ru) Домофон
KR101744571B1 (ko) 스마트 도어록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101265659B1 (ko)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20100070191A (ko) 디지털 도어락
KR20190000536U (ko) 초음파와 무선신호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