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071B1 -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071B1
KR100666071B1 KR1020050096028A KR20050096028A KR100666071B1 KR 100666071 B1 KR100666071 B1 KR 100666071B1 KR 1020050096028 A KR1020050096028 A KR 1020050096028A KR 20050096028 A KR20050096028 A KR 20050096028A KR 100666071 B1 KR100666071 B1 KR 100666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door
user
unit
transpo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택
Priority to KR102005009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071B1/ko
Priority to CNA2006101410850A priority patent/CN198263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에 접근한 사용자가 절전모드해제와 관련된 특정터치부에 접촉하면 절전모드에 있는 도어락 장치가 작동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의 트랜스폰더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출입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도어락 장치를 작동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시켜, 도어락 장치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한 절전형 출입문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전모드와 작동모드의 2가지 모드를 가지고,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절전모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 규격 및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여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락 장치와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 규격을 판단하여 대응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인증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도어락 장치에 송신하는 트랜스폰더로 구성된다.
도어락, 절전기능, 출입문, 개폐

Description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A SYSTEM FOR CONTROLING DOOR USING TOUCH PAD WITH SAVING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출입문개폐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락 장치에서의 출입문잠금해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절전형 도어락 장치의 절전모드설정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절전용 도어락 장치 110: 인터페이스부
120: 메모리부 130: 중앙처리부(MCU)
140: 출입문개폐감지부 150: 무선통신부
160: 전원공급부 200: 트랜스폰더
210: 무선통신부 220: 제어부
230: 메모리부 240: 전원공급부
250: 인터페이스부 300: 출입문잠금폐장치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입문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전모드와 작동모드를 가지는 도어락 장치에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작동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 트랜스폰더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하여 사용자를 출입시키도록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절전형 출입문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출입을 허용하는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홍채인식, 지문인식, 음성인식 등의 바이오기술 또는 무선통신과 같은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보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출입 제어 시스템이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7829호 발명의 명칭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시스템 및 출입제어방법"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출입문에 접근하면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사용자의 인증장치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출입 인증을 위한 별도의 확인동작 없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 제어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에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위한 고주파수의 활성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할 필요가 있어, 활성신호를 송출하는데 소요되는 전력량이 많다. 또한 항상 인증 시스템 전체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전원이 인증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의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668호 발명의 명칭 "절전형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는 일정시간마다 지문인식부 및 번호키 인식부를 작동모드로 전환하여 지문이나 번호키 입력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절전모드에서 작동모드로 작동시키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가 일정기간 들어오지 않으면 파워다운모드로 진입하여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절전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출입문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가 출입문을 열고자 하는 의사가 없더라도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하여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작동모드로 전환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감지를 위해 지문인식부 및 번호키 인식부를 일정시간마다 작동모드로 전환시켜야 하므로, 도어락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더욱 크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락 장치에서 소모되는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트랜스폰더를 충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트랜스폰더(리모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출입문의 개폐 및 잠금설정을 제어하는 출입문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절전모드와 작동모드를 가지고, 절전모드에서 작동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작동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트랜스폰더와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하여 인증결과에 따라 도어잠금장치를 제어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락 장치와, 인증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도어락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가 통신에 사용될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기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트랜스폰더를 포함하는, 절전형 출입문 개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터치패드방식으로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폰더는 상기 도어락 장치와의 접촉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어락 장치는 인증정보 및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정의 주파수와 코드를 가지는 RF신호를 사용자의 트랜스폰더에 전송하고, 사용자의 트랜스 폰더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절전모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인증결과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및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절전기능해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외부입력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입력수신부는 사용자가 출입문의 손잡이를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손잡이 감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락 장치는 출입문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개폐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소정의 시간동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트랜스폰더 ID 또는 외부키 ID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 트랜스폰더(200) 및 출입문개폐장치(300)로 구성된 절전용 출입문개폐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문개폐장치(300)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잠금설정상태를 제어하는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메모리부(120), 중앙처리부(MCU)(130), 출입문개폐감지부(140), 무선통신부(150), 전원공급부(160),중앙처리부(MCU)(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작동모드는 전원공급부(160)로부터 각 절전용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이 공급되어 소비전력이 최대가 되는 상태이고, 절전모드는 중앙처리부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만을 흘려 소비전력이 최소가 되는 상태이다.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10)는 출입문 외부의 사람과 출입문 내외부의 사람 간에 음성 또는 영상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버튼 등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에 의해 트랜스폰더 ID, 외부 키 ID, 비밀번호 등의 인증정보가 입력된다.
외부 입력 수신부(미도시)는 도어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작동모드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도어 외부에 제공되는 터치패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터치하면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에 전달된다. 터치패드에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항상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고, 사용자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면 미세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미세전류의 차단은 절전모드해제신호로 작용한다. 또한, 외부입력수신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출입문의 손잡이부분을 잡았는지 유무를 감지하도록 출입문의 손잡이 부분에 부착된 손잡이 감지 센서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출입문의 손잡이를 잡는 것만으로도 절전해제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 절전모드해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의 메모리부(120)는 주로 반도체 메모리로서, 인증정보들을 저장한다. 인증정보는 외부 키 ID, 트랜스폰더 ID, 비밀번호 등으로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중앙처리부(13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한다.
중앙처리부(130)는 전원공급부(160)와 연계하여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 의 절전모드와 작동모드의 전환을 제어한다. 중앙처리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있으면,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를 작동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중앙처리부(130)는 무선통신부(1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트랜스폰더(200)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트랜스폰더(20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문개폐장치(300)에 출입문개방신호를 전송하여 출입문를 개방한다.
또한, 중앙처리부(130)는 출입문개폐감지부(140)가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작동모드에서 출입문이 열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시간 이내에 출입문이 열려있으면 작동모드를 절전모드로 변경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절전 용 도어락 장치(1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된 후에도 중앙처리부(130)는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출입문이 닫히면 절전모드를 작동 모드로 전환하여 출입문를 잠금상태로 하도록 도어잠금장치(300)를 제어하고, 작동모드를 절전모드로 변경하도록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 만약, 작동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내 에 출입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는 출입문을 잠금상태가 되도록 도어잠금장치(300)를 제어한 후, 절전모드로 전환시킨다.
출입문개폐감지부(140)는 출입문의 개폐유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중앙처리부(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각종 센서들을 통해 용이하게 구현가능하다.
무선통신부(150)는 작동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트랜스폰더(200)에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고, 트랜스폰더(200)로부터 인증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부(130)에서 처리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부(130)에 전송한다. 이 때 작동모드에서 무선통신부(150)가 트랜스폰더(200)에 송신하는 신호는 RF신호,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등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작동모드에서 무선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최초로 송신하는 신호와 인증정보 송수신에 사용되는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달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최초로 송신하는 신호의 경우 125KHz를 사용하고, 인증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는 UHF를 사용한다. 여기서, 최초로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도어락 장치(100)와 트랜스폰더(200)사이의 통신개시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전원공급부(160)는 중앙처리부(130)에 연결되어 중앙처리부(13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구성요소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한편, 트랜스폰더(200)는 사용자가 문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의 일종으로, 리모콘과 같은 단말기 타입, 스마트 카드 타입 등 다양한 형태가 이용가능하다. 트랜스폰더(200)에는 무선통신부(210), 제어부(220), 메모리부(230), 전원공급부(240) 및 인터페이스부(250)가 포함되고, 트랜스폰더(200)의 무선통신부(210)는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의 무선통신부(150)와 무선통신을 통해 중요정보를 교환한다.
트랜스폰더(200)의 무선통신부(210)는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의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22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각각 RF신호송수신부(미도시)와 UHF 송신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RF신호송수신부는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의 무선통신부(150)로부터 최초로 수신한 195KHz의 신호를 수신한다. UHF 송신 장치부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23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특수한 코드를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도어락 장치(100)에 송신한다.
트랜스폰더(200)의 제어부(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최초로 수신한 신호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소정 주파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양자가 일치할 경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트랜스폰더 ID, 외부 키ID 를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에 전송시킨다.
트랜스폰더(200)의 메모리부(230)에는 인증정보, 즉 트랜스폰더 ID와 외부 키ID가 저장된다. 트랜스폰더 ID와 외부키ID는 트랜스폰더 제조과정에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트랜스폰더(200)의 전원공급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부(210), 메모리부(230), 제어부(220) 및 인터페이스부(2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용 배터리가 있다. 트랜스폰더(200)는 상기 절전용 도어락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절전모드와 작동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트랜스폰더(250)에 트랜스폰더 ID와 외부키ID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등으로 구성된다.
출입문개폐장치(300)는 출입문를 열거나 닫는 장치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출입문 개폐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문개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출입문잠금해제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개폐방법을 설명한다.
도어락 장치와 트랜스폰더사이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미리 소정의 주파수 규격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입출입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로서 외 부 키ID, 트랜스폰더 ID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도어락 장치는 기본적으로 절전모드상태에서 동작한다(S100). 절전모드에서 대기중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외부입력수신부의 터치패드에 접촉하면(S110),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절전모드가 해제된다(S120). 절전모드가 해제되어 작동모드로 전환된 도어락 장치의 무선통신부는 125KHz의 신호를 트랜스폰더에 전송한다(S130).
트랜스폰더는 도어락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S140), 트랜스폰더의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가 트랜스폰더의 설정주파수와 동일한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의 설정주파수가 125KHz인 경우, 트랜스폰더의 제어부는 트랜스폰더의 설정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동일한 규격으로 판단하여 트랜스폰더의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트랜스폰더 ID 및 외부 키 ID를 추출하고, 변환하여 UHF신호 형태로 도어락 장치에 전송한다(S160). 그러나, 트랜스폰더의 설정주파수가 125KHz가 아닌 경우, 트랜스폰더는 아무런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70), 수신된 신호가 없으면 동작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시킨다(S190). 중앙처리부에 트랜스폰더로부터 신호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을 프로그래밍하여, 대기시간 이내에 신호가 없으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소비전력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도어락 장치에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장치의 중앙처리부는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한 트랜스폰더 ID와 도어락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스폰더ID의 일치유무를 판단한다(S180). 판단결과, 도어락 장치에 기설정된 트랜스폰더 ID와 동일하 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처리부는 도어락 장치를 절전모드로 전환시킨다(S190). 그러나, 수신한 트랜스폰더 ID와 도어락 장치에 기설정된 트랜스폰더 ID와 동일하면 도어잠금해제명령을 출입문잠금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S200).
도 3은 출입문이 개방된 후 절전형 도어락 장치의 절전모드설정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A)에서 도어락 장치는 작동모드에 있다. 도어락 장치는 출입문개폐감지부를 통해 출입문이 개방된 후 10초 동안 출입문이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도어락 장치의 모드전환시간을 10초로 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모드전환을 위한 대기시간은 도어락 장치의 중앙처리부에 프로그래밍을 통해 적절한 값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10초 이내에 출입문이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처리부는 도어락 장치를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310). 절전모드상태에서 출입문이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모드를 해제하여(S330), 작동모드로 전환한다. 중앙처리부는 출입문잠금장치를 제어하여 출입문를 잠금상태로 만들고(S340),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350). 그러나, 절전모드 상태에서 출입문이 닫히지 않은 경우 도어락 장치의 출입문개폐감지부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출입문이 닫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개폐정보를 중앙처리부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전형 도어락 시스템은 트랜스폰더를 절전용 도어락 장치에 접촉시킴으로써, 접촉을 통해 순간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트랜스폰더의 전원부와 절전용 도어락 장치의 충전부를 접촉시키면, 트 랜스폰더의 전원부에는 절전용 도어락 장치와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트랜스폰더의 전원이 전부 소모된 경우라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문에 도달한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출입문이 개폐되지 않는 동안에는 터치패드부에 아주 미세한 전류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현저히 감소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적어지게 되어 배터리 교체주기가 기존의 방법에 비해 훨씬 길다.
또한, 출입문의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락 장치를 신속히 절전모드와 작동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절전모드를 최대화시켜 소비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절전모드를 가지고, 절전모드에서 작동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작동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인증결과에 따라 도어잠금장치를 제어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인증정보 및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정의 주파수와 코드를 가지는 RF신호를 사용자의 트랜스폰더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는 외부입력수신부;
    상기 외부입력수신부로부터 절전모드해제명령이 입력되면 절전모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트랜스폰더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인증결과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도어락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전류가 차단되는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도어락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출입문의 손잡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도어락 장치.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출입문의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출입문의 개폐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소정의 시간동안 닫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모드를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도어락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트랜스폰더 ID 또는 외부키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도어락 장치.
  10. 삭제
KR1020050096028A 2005-10-12 2005-10-12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KR10066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028A KR100666071B1 (ko) 2005-10-12 2005-10-12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CNA2006101410850A CN1982639A (zh) 2005-10-12 2006-09-29 节电型门禁系统以及由门禁装置构成的数码门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028A KR100666071B1 (ko) 2005-10-12 2005-10-12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071B1 true KR100666071B1 (ko) 2007-01-09

Family

ID=3786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028A KR100666071B1 (ko) 2005-10-12 2005-10-12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6071B1 (ko)
CN (1) CN19826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66B1 (ko) * 2007-01-17 2008-06-09 안광민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WO2017126723A1 (ko) * 2016-01-21 2017-07-27 주식회사 아마다스 도어락의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4057B (zh) * 2010-05-11 2013-07-10 严志宏 机房监控系统门禁权限的设置方法及其监控系统
JP2016532795A (ja) * 2013-07-11 2016-10-20 マル−ティー−ロック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ロック装置の低電力無効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11A (ko) * 2002-08-10 2004-02-18 (주)케이티에스티 초절전형 도어 락
KR20040106668A (ko) * 2003-06-11 2004-12-18 정홍채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711A (ko) * 2002-08-10 2004-02-18 (주)케이티에스티 초절전형 도어 락
KR20040106668A (ko) * 2003-06-11 2004-12-18 정홍채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1471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66B1 (ko) * 2007-01-17 2008-06-09 안광민 비접촉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WO2017126723A1 (ko) * 2016-01-21 2017-07-27 주식회사 아마다스 도어락의 입력 장치
US10794090B2 (en) 2016-01-21 2020-10-06 Amadas Co., Ltd. Input device for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2639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1090B2 (ja) 車両用遠隔施錠解錠制御装置
US10319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KR100666071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절전형 출입문 개폐시스템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100576247B1 (ko) 도어 개폐 인증 장치 및 방법
JP5365845B2 (ja) 車両用ドア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用ドア制御方法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KR101786578B1 (ko) 도어락 해제 시스템
JP4601042B2 (ja) 携帯端末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05146708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3067074A (ja) コンピュータ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40097829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시스템과 출입 제어방법
KR101595849B1 (ko) 무선 인증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및 도어록의 무선 인증 방법
KR20190000536U (ko) 초음파와 무선신호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JP2004019380A (ja)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70002808A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KR100669288B1 (ko) 배터리를 장기간 사용하는 락커 통제 시스템
JP2019143406A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KR200378868Y1 (ko)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KR101043067B1 (ko) 복합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82048A1 (en) Access card with built-in user input device
KR100385288B1 (ko) 충전전원과 공급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지문인식 키,그리고 그를 이용한 잠금 및 잠금해제 장치와 그 방법
JP2006097257A (ja) 施錠装置
KR20100049991A (ko) 스마트 키의 저전압 통지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00032238A (ko) 자동 및 수동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