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868Y1 -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868Y1
KR200378868Y1 KR20-2004-0035526U KR20040035526U KR200378868Y1 KR 200378868 Y1 KR200378868 Y1 KR 200378868Y1 KR 20040035526 U KR20040035526 U KR 20040035526U KR 200378868 Y1 KR200378868 Y1 KR 200378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door
authent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자영
Original Assignee
윤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자영 filed Critical 윤자영
Priority to KR20-2004-0035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손잡이 접촉을 검출하여 특정 ID 정보를 인증정보가 저장된 전송 단말기로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인증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가 제공된다. 도어 개폐부는 사용자의 도어 손잡이 접촉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어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ID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를 인증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는 상기 도어 개폐부에서 전송되는 ID 신호를 분석하여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 개폐부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잠금 동작 또는 해제 동작과 연동하여 지정된 하나의 사용자 인증수단 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ID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증수단과,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인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Apparatus for authenticat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손잡이의 접촉을 검출하여 암호화된 특정 ID 신호를 인증정보가 저장된 전송 단말기로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인증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도어의 잠금 장치는 도어 외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수단이 제공되는 외측 몸체부와 데드볼트 등의 도어 해정수단이 제공되는 내측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자식 도어의 잠금 장치는 특정 사용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키 입력수단 대신 지문 인식수단이나, 홍체 인식수단 등을 도어의 외측 몸체부에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의 잠금 장치는 외부에서 들어오고자 하는 사용자가 출입을 허가받은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 수단에서 정당성 여부를 인식하면 그 신호를 내측 몸체부로 전송하여 도어를 개방 가능 상태로 하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최근에는 RF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RF 카드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특히 RF 카드 단말기와 RF 카드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RF 신호의 인식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RF 카드로부터 인증정보를 검출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자가 인식 범위를 벗어나면 도어를 잠그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RF 카드를 이용하는 도어의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주택이나 사무실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도어 잠금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 카드를 이용하는 도어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RF 카드 단말기에서 RF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777호, 발명의 명칭 : 도어 잠금 장치"에서는 개시버튼을 눌렀을 경우에만 RF 통신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지된 종래의 기술은 RF 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도어 잠금 장치의 인식 거리 내에 다수의 RF 카드가 있는 경우 상기 RF 카드 단말기는 모든 RF 카드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전원이 인가된 모든 RF 카드는 각각의 RF 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상기 RF 카드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 카드 단말기는 각각의 RF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인증정보를 먼저 입력되는 인증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인증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인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 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도어 잠금 장치는 다수의 RF 카드에서 전송된 불필요한 인증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처리과정에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비되어 도어 잠금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잠금 동작 또는 해제 동작과 연동하여 지정된 하나의 사용자 인증수단을 활성화시켜 도어 개폐에 필요한 정보를 인증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도어 손잡이 접촉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어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ID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를 인증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개폐부; 및 상기 도어 개폐부에서 전송되는 ID 정보를 분석하여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 개폐부로 전송하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부는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도어 접촉 여부를 검출하는 터치 스위치;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도어 개폐 요청 신호를 검출하는 RF 검출기; 상기 터치 스위치 및 RF 검출기로부터 검출신호가 전송되면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ID 정보를 전송하는 인증 정보 요청부; 상기 ID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확인용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제 1 메모리;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를 상기 확인용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정보 비교부; 및 상기 인증 정보 비교부의 결과 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요청부는 상기 ID 정보를 소정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송신부는 상기 ID 정보를 AM 통신 신호 및 FM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비교부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비교부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다수 검출되면 상기 인증 정보 요청부로 상기 통신 주파수의 변경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는 상기 도어 개폐부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검출하는 RF 검출기; 상기 도어 개폐부로부터 ID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ID 제 2 수신부에서 전송되는 ID 정보를 확인용 ID 정보와 비교하여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ID 정보 비교부; 상기 RF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ID 정보 비교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기 제어부; 상기 제 2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ID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확인용 ID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제 2 메모리; 및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서 검출된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신부는 AM 통신 신호 및 FM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송신부는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부의 통신 주파수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송신부의 통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는 도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부(100)와 도어 개폐부(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부(100)에 제공하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도어 개폐부(100)에서 출력되는 ID 정보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10)를 열기 위하여 도어 손잡이(20)를 잡으면 도어 개폐부(100)는 소정의 RF 신호에 ID 정보를 결합하여 제 1 송신부(140)를 통해 도어의 전방에 위치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RF 신호와 ID 정보는 도어 개폐부(100)와 연동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활성화 시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과정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판단한다.
또한, 도어(1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 제 2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300) 및 제 3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400)가 위치한 경우 상기 ID 정보는 도어 개폐부(100)와 연동된 하나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활성화 시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도어(10)의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도어 개폐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원격 인증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개폐부(100)는 사용자의 도어 개폐 요청 여부에 따라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ID 정보를 출력하고,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분석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어 개폐부(100)는 터치 스위치(110), RF 검출기(112), 인증 정보 요청부(120), 제 1 메모리(130), 제 1 RF 송신부(140), 제 1 RF 수신부(150), 인증정보 비교부(160) 및 개폐 인증부(170)를 포함한다.
터치 스위치(110)는 도어 손잡이(2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도어 접촉 여부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도어 손잡이(20)와 접촉 감응회로(미도시)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촉 감응회로는 이미 공지된 구성을 사용한다.
RF 검출기(112)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출력된 도어 개폐 요청 신호를 검출 또는 상기 도어 개폐 요청 신호에 반응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폐 요청 여부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인증정보 요청부(120)는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20)를 잡거나, RF 검출기(112)로부터 도어 개폐 요청 신호를 검출한 경우 도어(10)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242)의 검출을 위해 제 1 메모리(130)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의 ID 정보(131)를 검출하고, 검출한 ID 정보(131)를 제 1 RF 송신부(140)로 제공한다.
제 1 메모리(130)는 도어 개폐부(100)와 연동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의 ID 정보(131)와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확인용 인증 정보(132)를 저장한다. ID 정보(131)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와 미리 설정된 특정 데이터를 포함한 주파수 신호로써, 도어(10)의 잠금/해제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242)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리 설정된 주파수 정보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 통신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 1 RF 송신부(140)는 인증 정보 요청부(120)에서 제공하는 ID 정보(131)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한다. 제 1 RF 송신부(140)의 무선 통신 방법은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방법을 이용하고 바람직하게 FM 통신을 사용한다.
제 1 RF 수신부(150)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242)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통신하며, 바람직하게 FM 통신을 사용한다.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242)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 1 메모리(130)에 저장된 확인용 인증정보(132)를 검출하여 인증 정보(242)와 비교한다.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인증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인증 정보(242)가 유효한 경우 개폐 인증부(170)로 도어 잠금 상태의 해제 신호를 출력하고, 인증 정보(242)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개폐 인증부(170)로 도어 잠금 상태의 유지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도어 개폐부(100) 전방에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 이외에 다른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일한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동일한 주파수의 영향에 따른 상기 인증 정보의 통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증 정보 요청부(120)로 상기 통신 주파수의 변경을 요청한다.
개폐 인증부(170)는 인증 정보 비교부(160)에서 출력되는 도어의 잠금 신호 또는 해제 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인증결과에 따라 데드 볼트(미도시)를 구동한다.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는 도어 개폐부(100)에서 전송되는 ID 정보(131)를 검출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에 저장된 인증 정보(242)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는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으로써, 제 2 RF 수신부(210), RF 검출부(212), ID 정보 비교부(220), 제 2 RF 송신부(230), 제 2 메모리(240) 및 단말기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 2 RF 수신부(210)는 도어 개폐부(100)로부터 전송되는 ID 정보(131)를 검출하여 ID 신호 비교부(220)로 제공한다.
RF 검출부(212)는 도어 개폐부(10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반응하여 검출 여부를 하이(High)/로우(Low)신호로 출력하며 활성화 신호의 검출 여부를 출력한다.
ID 정보 비교부(220)는 도어 개폐부(100)에서 전송한 ID 정보(131)와 제 2 메모리(240)에 저장된 확인용 ID 정보(241)를 비교 및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인증 정보의 송신 유무를 결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RF 송신부(230)는 인증 정보(242)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무선 통신은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하며, 바람직하게 FM 통신이다.
제 2 메모리(240)는 제 2 RF 수신부(210)에서 검출한 ID 정보(131)와 비교하기 위한 확인용 ID 정보(241) 즉 특정 주파수 신호 및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도어 개폐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242)를 저장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리 설정된 통신 주파수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주파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제어부(250)는 ID 신호 비교부(220)의 출력에 따라 제 2 메모리(240)에 저장된 인증 정보(242)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며 검출한 인증 정보를 전송할 경우 제 2 RF 송신부(230)를 온(ON) 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즉 ID 정보 비교부(220)에서 ID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250)는 제 2 메모리(240)로부터 인증 정보(242)를 검출하고, 인증 정보 송신부(230)에 전원을 인가한 다음 상기 인증 정보(242)를 송신하며 송신이 종료되면 제 2 RF 송신부(230)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50)는 도어 개폐부(100)의 통신 주파수 변경 요청에 대하여 변경 가능한 통신 주파수 따라 상기 제 2 송신부의 통신 주파수를 변경
다음은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써,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 개폐부(100)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어 손잡이(20)와 연동된 터치 스위치(110)는 도어(1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거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도어 개폐 요청신호를 RF 검출기(112)를 통해 검출(S100)한다.
상기 S100단계에서 도어 손잡이(20)로 사용자가 접촉하면 터치 스위치(110)는 검출 결과를 인증 정보 요청부(120)로 전송하고,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부터 RF 신호가 검출되면 RF 검출기(112)는 검출 결과를 인증 정보 요청부(120)로 전송한다. 인증 정보 요청부(120)는 제 1 RF 송신부(140)와 제 1 RF 수신부(150)에 전원을 인가하여 도어 개폐부(100)를 대기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시키고(S110),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ID 정보(131)를 제 1 메모리(130)로부터 검출하여 제 1 RF 송신부(140)를 통해 송신한다(S120).
상기 S120단계를 수행한 다음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제 1 RF 수신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242)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30).
상기 S130단계에서 인증정보(242)가 수신되면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수신된 인증 정보(242)를 제 1 메모리(130)에 저장된 확인용 인증 정보(132)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S140)하고, 제 1 RF 수신부(150)로 인증 정보(242)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폐 인증부(170)로 도어 잠금 유지 신호를 출력한다(S131).
또한, 상기 S140단계에서 제 1 RF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인증 정보(242)가 확인용 인증 정보(132)와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 정보 비교부(110)는 개폐 인증부(170)로 도어 잠금 유지 신호를 출력(S131)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242)가 확인용 인증 정보(132)와 일치하면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개폐 인증부(170)에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한다(S150).
상기 S150단계를 수행한 다음 인증 정보 비교부(160)는 제 1 RF 수신부(150)를 통해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와 사용중인 주파수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단(S160)하여 동일한 주파수 신호가 검출되면 제 1 메모리(130)에 저장된 대체 주파수(미도시) 정보를 제 1 RF 송신부(140)를 통해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현재 사용중인 주파수를 변경(S170)하고, 도어 개폐부(100)를 정상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S180)시킨다.
한편,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는 RF 검출기(212)를 통해 RF 신호를 검출하여 제 2 RF 수신부(210)를 온시킨 후 제 2 RF 수신부를 통해 ID 정보(131)가 수신되는지 검출하고(S200), ID 정보(131)가 검출되면 ID 정보 비교부(220)는 제 2 메모리(240)로부터 확인용 ID 정보(241)를 검출하여 상기 S200단계에서 검출된 ID 정보(131)와 비교한다(S210).
상기 S210단계에서, ID 신호 비교부(220)는 검출된 ID 정보(131)가 확인용 ID 신호(242)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 2 RF 수신부(210)를 종료하고, 검출된 ID 정보(131)와 확인용 ID 정보(242)가 일치하면 단말기 제어부(250)로 일치 신호를 출력하며, 단말기 제어부(250)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대기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시킨다(S220).
상기 S220단계를 수행한 다음 단말기 제어부(250)는 제 2 메모리(240)로부터 인증 정보(242)를 검출하여 제 2 RF 송신부(230)를 통해 전송한다(S230).
상기 S230단계를 수행한 다음 단말기 제어부(250)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200)를 정상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S240).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를 잡거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의 특정 스위치를 누르면 도어의 개폐를 위한 인증 정보가 저장된 특정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가 활성화되어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의 전방에 다수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가 위치하여도 도어 개폐부와 연동하는 특정 단말기만 활성화되어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잠금 동작 또는 해제 동작과 연동하여 지정된 하나의 사용자 인증수단 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는 특정 ID 정보에 따라 활성화되는 사용자 인증수단과, 상기 활성화된 사용자 인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는 도어의 주변에 위치한 허용된 사용자 인증수단 외에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인증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사용자 인증수단에서 제공한 인증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차단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장치가 검출되면 대체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함으로써 주파수 충돌에 따른 데이터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개폐 인증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2의 개폐 인증부가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 는 도 3의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가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도어 20 : 도어 손잡이
100 : 도어 개폐부 110: 터치 스위치
112 : RF 검출기 120 : 인증 정보 요청부
130 : 제 1 메모리 131 : ID 정보
132 : 확인용 인증 정보 140 : 제 1 RF 송신부
150 : 제 1 RF 수신부 160 : 인증 정보 비교부
170 : 개폐 인증부 200 :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
210 : 제 2 수신부 220 : ID 신호 비교부
230 : 제 2 송신부 240 : 제 2 메모리
241 : 확인용 ID 정보 242 : 인증 정보
250 : 단말기 제어부 300 : 제2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
400 : 제3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

Claims (10)

  1. 사용자의 도어 손잡이 접촉 여부에 따라 활성화되어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 및 ID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를 인증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개폐부; 및
    상기 도어 개폐부에서 전송되는 ID 정보를 분석하여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 개폐부로 전송하는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포함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부는 도어의 손잡이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도어 접촉 여부를 검출하는 터치 스위치;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도어 개폐 요청 신호를 검출하는 RF 검출기;
    상기 터치 스위치 및 RF 검출기로부터 검출신호가 전송되면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ID 정보를 전송하는 인증 정보 요청부;
    상기 ID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확인용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제 1 메모리;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를 상기 확인용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정보 비교부; 및
    상기 인증 정보 비교부의 결과 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요청부는 상기 ID 정보를 무선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는 상기 ID 정보를 AM 통신 신호 및 FM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비교부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비교부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다수 검출되면 상기 인증 정보 요청부로 상기 통신 주파수의 변경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는 상기 도어 개폐부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검출하는 RF 검출기;
    상기 도어 개폐부로부터 ID 정보를 검출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ID 제 2 수신부에서 전송되는 ID 정보를 확인용 ID 정보와 비교하여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ID 정보 비교부;
    상기 RF 검출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 전송 단말기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ID 정보 비교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기 제어부;
    상기 제 2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ID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확인용 ID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가 저장된 제 2 메모리; 및
    상기 단말기 제어부에서 검출된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제 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부는 AM 통신 신호 및 FM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부는 AM 통신 및 FM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부의 통신 주파수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송신부의 통신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KR20-2004-0035526U 2004-12-14 2004-12-14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KR200378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26U KR200378868Y1 (ko) 2004-12-14 2004-12-14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26U KR200378868Y1 (ko) 2004-12-14 2004-12-14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868Y1 true KR200378868Y1 (ko) 2005-03-16

Family

ID=4368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26U KR200378868Y1 (ko) 2004-12-14 2004-12-14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223B1 (ko) 2022-11-11 2024-03-12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해제 승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223B1 (ko) 2022-11-11 2024-03-12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해제 승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4617A (en) Operator intent based passive keyless vehicle control system
US10235820B2 (en) Method for safely unlocking and/or locking a vehicle
US6617961B1 (en)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6609557B2 (ja) リレーアタックを防ぐための車両制御システム
EP1367200B1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US10957133B2 (en) NFC activation of vehicle entry privacy mode
KR100576247B1 (ko) 도어 개폐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80117690A (ko) 공격 방지 바이오메트릭 인증 장치
JP2016035133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90210562A1 (en) Access and driving authorization system with increased security against relay attacks on the transponding interface
KR20010085510A (ko) 인증개폐기능을 보유한 자물쇠 및 이를 위한 아이씨카드
US20020163419A1 (en) Ident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authorization to access an object or to use an object such as a motor vehicle
EP3640880B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US20190381972A1 (en) Portable device, on-board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s
KR200378868Y1 (ko) 도어의 개폐 인증 장치
US20210370870A1 (en) On-vehicle control device, on-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20134607A (ko)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CN110497881A (zh) 通信装置和通信方法
KR20040097829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시스템과 출입 제어방법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190000536U (ko) 초음파와 무선신호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1595849B1 (ko) 무선 인증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및 도어록의 무선 인증 방법
KR20180136784A (ko) 초음파와 무선신호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2040560B1 (ko) 전계 통신과 lf 통신을 융합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시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시동 방법
KR20120102414A (ko) 차량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