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76B1 -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76B1
KR102239276B1 KR1020200085143A KR20200085143A KR102239276B1 KR 102239276 B1 KR102239276 B1 KR 102239276B1 KR 1020200085143 A KR1020200085143 A KR 1020200085143A KR 20200085143 A KR20200085143 A KR 20200085143A KR 102239276 B1 KR102239276 B1 KR 10223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code
security
door
us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비기술
Priority to KR102020008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다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보안코드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 갱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휴대 단말에 저장되는 보안코드로 1차 인증을 받아야 하며, 1차 인증 이후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2차 인증을 받아야만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어, 보안코드가 유출되거나 사용자가 기억하는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없으므로 매우 강력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 등에 무단 침입이 발생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보안코드가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갱신되는 동시에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놉은 보안 수준으로 보안코드를 관리할 수 있고 보안코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SECURITY ENHANCED DOOR LOCK AND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보안 강화 도어락과, 사용자 휴대 단말을 통해 도어락에 접근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때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해제하는 장치이다. 통상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읽어들여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도어락은 비교적 저가이며, 다른 사람(예를 들어, 친구, 집주인, 택배 기사, 검침원 등과 같은)에게 알려주기 편리하지만, 다양한 경로로 유출되기 쉽다.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읽는 방식은 고가이며, 등록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이 불가능하여 세대원이 인증한 다른 사람의 출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자키나 전자태그에 의해 도어락을 개폐하는 방식이 있지만, 전자키나 전자태그의 도난이나 무단 복제 등에 의해 무력화되기 쉽다.
한편, 2017년 기준으로 1인 여성 가구는 280만 가구를 넘어섰으며, 2045년에는 380만 가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2016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1인 여성 가구의 여성 46%가 사회 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37%가 불안 요인으로 범죄 발생을 꼽았다. 형사정책 연구원에 따르면, 1인 여성 가구는 동일한 남성 가구에 비해 주거 침입 피해를 볼 가능성이 1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청에 따르면 2014년에서 2017년까지 주거 침입 관련 범죄가 총 7만 1868건에 다다랐으며, 주거침입에 이은 성범죄는 최근 4년간 총 1,310건으로 99.8%는 남성이 가해자였다. 1인 여성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원을 위해 보안성을 강화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도어락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8744호는 지능형 보안 도어락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은 인증된 ID를 송출하는 전자키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도어락에 장치된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도어락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키는 분실되기 쉽고 전자키에 포함되는 ID는 무단으로 복제될 위험성이 높다. 또한, 위 선행문헌의 도어락이 보급된 이후에는 전자키 인식 이후 확인 버튼을 입력하는 방식이 알려지게 되어, 전자키를 무단 복제한 사람이 확인 버튼을 누르는 쉬운 후속 동작으로 무단 침입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8744호
본 발명은 도어락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여 특히 여성 1인 가구에 대한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락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휴대 단말에 저장되는 보안코드로 1차 인증을 받고, 1차 인증 이후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2차 인증을 받아야만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는 이중 보안 체계를 가지며, 보안코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락에서 직접 보안코드를 갱신하되 웹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보안코드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 갱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서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암호화 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상기 보안코드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원격의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 중계한 후 삭제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보안 강화 도어락;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과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및 보안이력을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 중계하며, 중계 이후에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삭제하며,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발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도어락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휴대 단말에 저장되는 보안코드로 1차 인증을 받아야 하며, 1차 인증 이후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2차 인증을 받아야만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어, 보안코드가 유출되거나 사용자가 기억하는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없으므로 매우 강력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여성 1인 가구 등에 무단 침입이 발생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보안코드가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갱신되는 동시에 사용자 휴대 단말의 중계를 통해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놉은 보안 수준으로 보안코드를 관리할 수 있고 보안코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의 동작 흐름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은 도어락 장치(100) 외부에 노출되는 키패드(110) 및 레버(120)와, 도어락 장치(100)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 해정 수단(130), 경고부(140), 메모리 수단(15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 보안코드 리더부(170), 보안코드 갱신부(180), 및 잠금 해정 제어부(190)로 구성된다.
도어락 장치(100)의 전면에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110)와, 출입문의 개폐 조작을 위한 레버(120)가 설치된다. 키패드(110)는 물리적인 숫자 키패드, 터치키, TUI(Touch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숫자 키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 의해 도어락이 해정되는 순간 해정 상태를 알리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이때 레버(120)의 동작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레베(120)를 조작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잠금 해정 수단(130)은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나 전동 모터가 구비되며, 출입문에 설치된 걸쇠를 전후진 시켜 문틀에 형성된 걸쇠 홈에 삽입시키거나 후퇴시키는 것으로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시킨다.
경고부(14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또는 스피커이거나,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광등,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고부(140)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서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시킨다.
메모리 수단(15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152)와, 후술하는 보안코드 갱신부(180)에 의해 갱신된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154)를 포함한다. 메모리 수단(150)은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60)은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은 예컨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보안코드 리더부(17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모듈(160)의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수단이다.
보안코드 갱신부(180)는 잠금 해정 제어부(190)에 의해 출입문이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된 이후 보안코드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보안코드는 암호화 된 키 정보일 수 있다. 보안코드 갱신부(18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갱신된 보안코드를 전송할 때 암호화 된 키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코드 갱신부(180)는 갱신된 보안코드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할 때, 갱신된 보안코드를 원격의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 후 삭제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잠금 해정 수단(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이중 보안의 잠금 및 해정을 제어한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보안코드 리더부(170)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경고부(140)를 동작시키며,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 입력 안내 신호는 음성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키 후면의 백라이트를 점등시키거나 터치스크린을 온 하여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소정 시간 내에 키패드(11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220)으로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경고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잠금 해정 수단(130)을 동작시켜 출입문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도어락의 동작 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보안 강화 도어락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통신 모듈(160)의 무선 통신 반경 내로 진입했는지를 판단한다(ST110). 예를 들어, 사용자 휴대 단말(200)이 감지될 때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조작하여 전용의 앱(App)을 실행시킬 때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이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이후, 보안코드 리더부(17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인다(ST120). 그리고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기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130).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ST140).
만약 단계 ST130에서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키패드(110)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한다(ST150).
잠금 해정 제어부(190)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비밀번호 저장부(152)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160).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단계 ST140으로 진행하여 경고부(140)를 동작시킨다.
만약 단계 ST160에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을 해정한다(ST170). 이때 도어락의 해정 상태를 비프음이나 다른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보안코드 갱신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코드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보안코드 저장부(154)에 저장한다(ST180). 그리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암호화 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ST190).
즉,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은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암호화 된 보안코드를 인증하는 1차 인증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2차 인증을 거쳐 도어락을 해정함으로써, 보안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보안코드가 사용된 이후 자체적으로 보안코드를 갱신하여 갱신된 보안코드(해당 도어락에 대한 다음 번의 보안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보안 강화 도어락이 웹을 통해 직접 원격의 관리 서버로 보안코드를 전송할 경우, 공용망을 통해 보안코드가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보안 강화 도어락은 도어락 장치(100)에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즉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갱신된 보안코드를 전송함으로써 보안코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갱신된 보안코드를 원격의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 후 삭제함으로써, 보안코드가 사용자 휴대 단말에 잔존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과,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구성된다.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전용의 단말기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는 보안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전용의 앱(App)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갱신된 보안코드를 원격의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보안 관리 앱은 도 2의 단계 ST190에 의해 수신된 갱신된 보안코드를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 후에 자체적으로 보안코드를 삭제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광대역 이동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통신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DB(510)와, 보안 강화 도어락(100)별로 보안코드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5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보안코드를 직접 생성하지 않는다. 단지 사용자 휴대 단말(200)을 통해 중계 받은 보안코드(보안 강화 도어락에서 자체적으로 갱신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할 뿐이다.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보안코드 관리 DB(510)에 저장된 최신의 보안코드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인증 요청이 전송된다.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의 전화번호 또는 Mac address를 인식하여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세대원이 다른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보안코드를 발급하고자 하는 경우,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에 보안코드 발급 대상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별도의 인증 서버에서 생성된 인증 번호를 제공받은 후, 앱 실행화면 상에서 소정 시간 내에 인증 번호를 입력하면, 비로소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가 미등록 휴대 단말에 대해서도 보안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증에 의해 미등록 휴대 단말에 대하여 발급된 보안코드를 도어락에서 확인하는 1차 인증 절차와, 사용자가 전화나 문자 메시지 등으로 알려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2차 인증 절차를 거치는 것으로, 사용자가 타인에 대하여 도어락을 해정하게 할 수 있다. 즉, 등록된 전자키를 소유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서도 2중의 보안 절차를 거쳐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은 광대역 이동 통신망(600)을 통해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과 연결되는 경찰청 서버(700), 보호자 휴대 단말(800), 또는 기타 다른 서버나 단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보안 관리 앱은 사용자가 특정 키, 키 조합, 앱 실행화면 상에 배치되는 비상상황 알림 아이콘 등을 입력할 경우,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 경찰청 서버(700), 또는 보호자 휴대 단말(800)로 비상상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1인 가구의 세대원이 출입문을 열기 위해 대기 중이거나 출입문 앞에서 치한이 접근한 경우 비상상황 메시지가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 또는 미리 지정된 서버나 단말로 전송된다.
또한,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비상상황 메시지를 무선 근거리 통신망(300)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보안코드 및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락 해정 기능을 정지시키고 사용자의 신체 정보 입력을 통해 도어락을 해정하도록 하거나 기타 다른 해정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보안 관리 방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고자 사용자 휴대 단말(200) 상에서 보안 관리 앱을 실행시키면,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서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보안코드 발급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단계 ①).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쳐 보안코드를 발급한다(단계 ②).
사용자가 앱 화면 상에서 도어 열기 아이콘을 입력하거나,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잠금 해정 제어부(19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보안 강화 도어락(100)에서 사용자 휴대 단말(200)에 저장된 보안코드를 읽어 들인다(단계 ③).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기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④).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고 소정 시간 내에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⑤).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정하고 보안코드를 갱신하고 저장한다(단계 ⑥).
보안 강화 도어락(100)은 갱신된 보안코드를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단계 ⑦). 이때 보안코드를 암호화 하여 전송하며, 보안코드를 서버 측으로 중계한 이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갱신된 보안코드를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로 중계한다(단계 ⑧. 사용자 휴대 단말(200)은 보안 강화 도어락(100)의 명령에 의해, 또는, 보안 관리 앱의 프로그램에 의해 보안코드를 중계한 후 삭제한다(단계 ⑨).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휴대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보안코드 및 보안코드 사용 이력 등의 보안이력을 업데이트 한다(단계 ⑩). 보안코드 관리 서버(500)는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보안코드 관리 DB(510)에 저장된 최신의 보안코드를 발급하는 것으로 단계 ① 및 ②의 과정이 반복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도어락 장치(보안 강화 도어락)
110 : 키패드 120 : 레버
130 : 잠금 해정 수단 140 : 경고부
150 : 메모리 수단 152 : 비밀번호 저장부
154 : 보안코드 저장부 160 : 근거리 통신 모듈
170 : 보안코드 리더부 180 : 보안코드 갱신부
190 : 잠금 해정 제어부 200 : 사용자 휴대 단말
220 : 손가락 300 : 무선 근거리 통신망
400 : 광역 이동 통신망 500 : 보안코드 관리 서버
510 : 보안코드 관리 DB 520 : 보안이력 관리 DB
600 : 광역 이동 통신망 700 : 경찰청 서버
800 : 보호자 휴대 단말

Claims (6)

  1.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잠금 및 해정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잠금 해정 수단;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배치되는 키패드;
    원격의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부터 발급받은 보안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휴대 단말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통신 반경 내로 진입할 때 상기 보안코드를 읽어 들이는 보안코드 리더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상기 도어락 개폐를 위해 설정된 상기 보안코드를 저장하는 보안코드 저장부;
    상기 보안코드 리더부에서 읽어 들인 보안코드가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보안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정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문을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 해정 제어부; 및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잠금 상태에서 해정 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보안코드를 갱신하고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보안코드 저장부에 저장하는 보안코드 갱신부
    를 포함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정 제어부에서 상기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점등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암호화 하여 전송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 갱신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전송할 때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 중계한 후 삭제하는 명령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안 강화 도어락;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과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과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및 보안이력을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로 중계하며, 중계 이후에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삭제하며,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다음번의 보안코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보안코드를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발급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코드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코드 관리 DB와, 상기 보안 강화 도어락별로 보안코드 발급 이력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보안이력 관리 DB를 구비하는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0200085143A 2020-07-10 2020-07-10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23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43A KR102239276B1 (ko) 2020-07-10 2020-07-10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43A KR102239276B1 (ko) 2020-07-10 2020-07-10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276B1 true KR102239276B1 (ko) 2021-04-12

Family

ID=7543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43A KR102239276B1 (ko) 2020-07-10 2020-07-10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2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44B1 (ko) 2010-10-25 2012-12-05 김일붕 지능형 보안 도어락 및 그를 이용한 운용 방법
KR101376279B1 (ko) *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KR20190038769A (ko) * 2019-03-25 2019-04-09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44B1 (ko) 2010-10-25 2012-12-05 김일붕 지능형 보안 도어락 및 그를 이용한 운용 방법
KR101376279B1 (ko) *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KR20190038769A (ko) * 2019-03-25 2019-04-09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89536B (zh) 用于冗余接入控制的锁和方法
KR101296863B1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US8797138B2 (en) One-time access for electronic locking devices
US20040036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CN113678177B (zh) 安全性增强门锁及利用该门锁的进出门安全管理系统
KR101995663B1 (ko)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16230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キーシステム
TW201546763A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KR102239274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US10438463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84738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보관함 관리방법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20210094291A (ko) Iot 스마트 도어락의 컨트롤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iot 스마트도어락 제어 시스템
US11430280B2 (en) Security-reinforced door lock, and gat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door lock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232814B1 (ko)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KR102239273B1 (ko) 위치 기반 잠금장치 해정 시스템
KR10256314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9028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US11842587B1 (en) System, comprising a lock unit for a cabinet and at least one portable user terminal
TWM491703U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KR20100032609A (ko)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