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893A - 스마트 도어락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893A
KR20200080893A KR1020180170848A KR20180170848A KR20200080893A KR 20200080893 A KR20200080893 A KR 20200080893A KR 1020180170848 A KR1020180170848 A KR 1020180170848A KR 20180170848 A KR20180170848 A KR 20180170848A KR 20200080893 A KR20200080893 A KR 20200080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member
door 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smart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이지현
박현진
김채원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현진
김채원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현진, 김채원, 이지현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893A/ko
Publication of KR2020008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원을 자동 인식하여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세대원의 휴대 단말로부터 비밀번호 혹은 세대원의 생체정보가 포함된 세대원 식별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혹은 스마트 홈 제어기를 통해 전송받은 세대원 식별정보를 저장부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 저장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방문자의 휴대 단말로 세대원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세대원 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세대원 인증부와; 세대원 인증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 구동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SMART DOORLOCK}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대원을 자동 인식하여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락은 레버 등의 회전수단을 작동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 볼트를 포함한다. 래치 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잠금 및 해제하는 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 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볼트를 설치하여 래치 볼트 및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 락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예시한 그리고 일반적인 도어락들은 세대원 등이 도어락 본체를 조작하여 사전에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를 등록해야 하며, 사전에 등록한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를 세대원이 도어락에 입력해야만 도어가 오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세대원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사전 등록, 그리고 등록된 인증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도어 내부로 진입시마다 인증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은 도어락 제조사마다 조작상의 차이를 가지지만 반드시 거쳐야 하는 행위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94726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세대원 인증을 위한 정보를 휴대 단말을 이용해 등록하고 휴대 단말 소지만으로 세대원을 인증받아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홈 제어기는 물론 세대원의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이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세대원이 휴대 단말을 분실했을 경우 분실된 휴대 단말의 접근을 불허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은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를 인증하여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으로서,
세대원의 휴대 단말로부터 비밀번호 혹은 세대원의 생체정보가 포함된 세대원 식별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혹은 스마트 홈 제어기를 통해 전송받은 세대원 식별정보를 저장부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 저장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방문자의 휴대 단말로 세대원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세대원 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세대원 인증부와;
세대원 인증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 구동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세대원 인증부는 상기 세대원 식별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와 휴대 단말의 식별정보를 순차 인증하여 도어락을 잠금 해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상기 세대원 인증부는 분실 휴대 단말로 등록된 휴대 단말로부터 세대원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보안 카메라를 작동시켜 획득한 영상을 경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외부기기로 전파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락은 세대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자신의 휴대 단말을 이용해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으며, 단순히 도어락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자신을 인증받을 수 있기 때문에 도어락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원이 휴대 단말을 분실하더라도 그 사실을 신속하게 등록해 놓음으로서 제3자가 분실된 휴대 단말을 취득하여 접근하더라도 이를 불법 침입으로 간주하여 격퇴할 수 있으며,
댁내에서도 휴대 단말 등을 이용해 스마트 도어락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과 연동하는 세대원 휴대 단말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과 연동하는 주변 기기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 흐름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과 연동하는 세대원 휴대 단말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100)을 도시하였으나, 별 다른 변형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100)은 상가, 오피스 등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100)은 세대원이 소지한 휴대 단말(200)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접근할 경우 세대원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정보(이를 하기에서는 세대원 식별정보라 정의함)의 진위 여부를 체크하여 잠금 해제하거나 보안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기 위한 스마트 도어락(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과 연동하는 주변 기기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200)은 댁내 거주하는 세대원의 휴대 단말을 가정한 것으로, 세대원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스마트 도어락(2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도어락 제어앱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락 제어앱을 통해 휴대 단말(200)은 스마트 홈 제어기(300)는 물론 스마트 도어락(100)과 연동 가능하다.
스마트 홈 제어기(300)는 댁내의 기기를 제어함은 물론 방문객을 확인할 수 있는 월패드로서,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도어락 제어앱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명령에 따라 댁내의 기기를 제어하고, 댁내 여러 센서들에서 감지된 정보를 도어락 제어앱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스마트 홈 제어기(300)는 도어락 제어앱을 통해 전달되는 세대원 식별정보를 스마트 도어락(100)에 전달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어락 제어앱의 설계방식에 따라 세대원 식별정보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직접 스마트 도어락(100)으로 전달하여 등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스마트 도어락(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은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를 인증하여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이다. 비밀번호는 후술하겠지만 세대원 식별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를 인증하기 위해 사전 등록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대원의 휴대 단말(200) 혹은 스마트 홈 제어기(300)로부터 세대원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등록하는 절차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도어락(100) 자체에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 혹은 생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지문 입력부 등이 불필요하다 할 것이다. 비상상황을 고려해 키패드 혹은 지문 입력부를 포함하도록 도어락(100)을 설계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은,
세대원의 휴대 단말(200, 엄밀히 말하면 도어락 제어앱에 해당함)로부터 비밀번호 혹은 세대원의 생체정보가 포함된 세대원 식별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 혹은 스마트 홈 제어기(200)를 통해 전송받은 세대원 식별정보를 저장부(130)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 저장 제어부(126)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방문자의 휴대 단말로 세대원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세대원 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세대원 인증부(122)와;
세대원 인증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 구동 제어부(12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세대원 인증부(122)는 세대원 식별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와 휴대 단말(200)의 식별정보를 순차 인증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세대원 인증부(122)는 분실 휴대 단말로 등록된 이후 분실 해제되지 않은 휴대 단말로부터 세대원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보안 카메라를 작동시켜 획득한 영상을 경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외부기기인 스마트 홈 제어기(300) 혹은 관리실 서버로 전파할 수도 있다. 이는 세대원, 특히 자녀 등이 휴대 단말(200)을 분실하였거나 강탈당한 경우 제3자의 댁내 침입을 불허하기 위함이다.
참고적으로 도어락(100)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이용되는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는 세대원 휴대 단말(200)에 설치된 도어락 제어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는 휴대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세대원 식별정보를 구성하며, 세대원 식별정보는 휴대 단말(200) 사용자인 세대원의 명령에 따라 스마트 홈 제어기(300)를 통해 혹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스마트 도어락(100)에 전달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한편 도 3에서 미설명된 잠금장치(140)는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에서와 같이 데드볼트(및 래치볼트)와 데드볼트를 전, 후진시키기 위한 일련의 기계적 구성 및 모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장치(140)는 도어락 구동 제어부(124)에 의해 동작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는 조작부와 표시부를 포함하며 스마트 도어락(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해 준다. 키패드를 포함하는 도어락이라면 키패드 역시 조작부에 포함되는 구성이다.
통신부(160)는 스마트 홈 제어기(300)와 연결되어 정보, 예를 들면 세대원 식별정보를 송수신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카메라(400)가 스마트 도어락(100)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이라면 보안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안 카메라(400) 측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적으로 상술한 세대원 인증부(122), 도어락 구동 제어부(124), 정보저장 제어부(126)는 도어락(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의 동작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을 이용하고자 하는 세대원은 자신의 휴대 단말(200)에 도어락 제어 앱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도어락 제어 앱은 관리 사무소 운영서버 혹은 건설사 혹은 도어락 제조사의 운영서버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세대원 각각은 자신의 휴대 단말(200)에 도어락 제어 앱을 설치한 이후 앱을 실행시켜 자신의 세대원 식별정보를 스마트 도어락(100)으로 전송(S10단계)한다. 상기 세대원 식별정보에는 세대원 각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생체정보) 혹은 세대원이 합의한 하나의 비밀번호와 각자의 휴대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세대원 식별정보는 도어락 제어 앱을 통해 연결 가능한 스마트 홈 제어기(300)를 통해 스마트 도어락(100)으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블루투스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도어락(100)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세대원 식별정보의 전송경로는 세대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세대원 식별정보의 등록과정에서는 세대원 식별정보에 저장(혹은 등록)태그가 포함되어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저장 태그가 포함된 세대원 식별정보를 전송받은 스마트 도어락(100)의 정보저장 제어부(126)는 전송받은 세대원 식별정보를 저장부(130)에 등록(S20단계)한다. 이와 같은 등록절차를 통해 세대원 각각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스마트 도어락(1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세대원 식별정보가 스마트 도어락(1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세대원 인증부(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200)과 통신 수행하여 세대원을 인증(S30단계)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도어락 구동 제어부(124)는 등록된 휴대 단말(200)을 소지한 자에게만 도어를 개방(S40단계)해 준다.
예를 들어 세대원이 도어락 제어 앱이 설치된 자신의 휴대 단말(200)을 소지하고 스마트 도어락(100)에 접근하여 블루투스 통신 반경 내에 들어오면, 세대원 인증부(122)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획득된 방문자의 휴대 단말(200) 식별정보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조회하여 등록 세대원인지 판단(S30단계)한다.
구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세대원 인증부(122)는 방문자의 휴대 단말(200)로 세대원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세대원 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할수도 있다.
S30단계의 판단결과 등록 세대원이면 도어락 구동 제어부(124)는 도어락을 잠금 해제(S40단계)하고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락은 세대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자신의 휴대 단말(200)을 이용해 편리하게 등록할 수 있으며, 단순히 도어락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자신을 인증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도어락 조작에 따른 불편함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세대원이 휴대 단말(200)을 분실할 경우 제3자에 의한 불법 침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격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세대원이 휴대 단말(200)을 분실하는 경우 또 다른 세대원에게 연락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 분실을 스마트 도어락(100)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또 다른 세대원은 도어락 제어 앱을 통해 휴대 단말 분실한 세대원에 대해 분실 등록을 한다. 각 세대원의 식별정보 등록시 세대원의 닉네임을 정하는 방식으로 하면, 닉네임에 대해 휴대 단말 분실 등록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대원에 대해 휴대 단말 분실 등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분실된 휴대 단말을 소지한 제3자가 도어락(100)에 접근하면, 분실 해제되지 않은 휴대 단말이므로 세대원 인증부(122)는 인증 실패로 판단함으로써, 도어락은 잠금 해제되지 않아 제3자의 불법 침입을 사전에 격퇴할 수 있다.
또한 분실 휴대 단말을 가지고 도어락(100)에 접근했다는 것은 불법 의지가 있는 것이므로, 세대원 인증부(1220)는 보안 카메라(400)를 작동시키거나, 도어락(100)에 구비될 수 있는 보안 카메라를 작동시켜 획득한 영상을 경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스마트 홈 제어기(300) 혹은 관리 사무소측으로 전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100)은 휴대 단말(200)의 분실 여부에 상관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훌륭한 보안장비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미설명된 S50단계는 방문자에 의해 도어락(100)에 구비된 호출버튼 조작이 있는 경우 그 사실을 댁내 혹은 외부에 위치한 세대원의 휴대 단말(200)로 호출정보를 전송(S60단계)해 주고, 세대원의 허락에 따라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S70단계, S80단계)한 것이다.
이러한 추가 구성에 따라 세대원은 스마트 홈 제어기(300)를 통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휴대 단말(200)을 통해 편리하게 스마트 도어락(100)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를 인증하여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락에 있어서,
    세대원의 휴대 단말로부터 비밀번호 혹은 세대원의 생체정보가 포함된 세대원 식별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혹은 스마트 홈 제어기를 통해 전송받은 세대원 식별정보를 저장부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 저장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방문자의 휴대 단말로 세대원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세대원 식별정보의 인증을 수행하는 세대원 인증부와;
    세대원 인증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 구동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대원 인증부는 상기 세대원 식별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 혹은 생체정보와 휴대 단말의 식별정보를 순차 인증하여 도어락을 잠금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대원 인증부는,
    분실 휴대 단말로 등록된 이후 분실 해제되지 않은 휴대 단말로부터 세대원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보안 카메라를 작동시켜 획득한 영상을 경보 메시지에 포함시켜 외부기기로 전파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KR1020180170848A 2018-12-27 2018-12-27 스마트 도어락 KR20200080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48A KR20200080893A (ko) 2018-12-27 2018-12-27 스마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48A KR20200080893A (ko) 2018-12-27 2018-12-27 스마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93A true KR20200080893A (ko) 2020-07-07

Family

ID=7160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848A KR20200080893A (ko) 2018-12-27 2018-12-27 스마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08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09A1 (ko) * 2020-12-08 2022-06-16 주식회사 플랫폼베이스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전자 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726A (ko) 2016-02-11 2017-08-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및 이의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726A (ko) 2016-02-11 2017-08-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및 이의 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09A1 (ko) * 2020-12-08 2022-06-16 주식회사 플랫폼베이스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전자 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CN107889536B (zh) 用于冗余接入控制的锁和方法
US104826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ndant access control systems based on mobile devices
US9672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KR101296863B1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TW202138664A (zh) 透過密碼之電子鎖配對
KR101995663B1 (ko)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61462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CN113924569A (zh) 认证输入设备
KR102108347B1 (ko)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60006559A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
CN118119986A (zh) 在电子锁处的安全访客注册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JP2004120257A (ja) 錠管理システム及び錠管理方法
JP2017214702A5 (ko)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JP7385903B2 (ja) 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制御システム
JP2008280716A (ja) 建物の扉体制御システム
KR102182152B1 (ko) 스마트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251387B1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102190753B1 (ko) 출입에 대한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JP2023004409A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26496A (ja) 錠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