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609A -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609A
KR20100032609A KR1020080091570A KR20080091570A KR20100032609A KR 20100032609 A KR20100032609 A KR 20100032609A KR 1020080091570 A KR1020080091570 A KR 1020080091570A KR 20080091570 A KR20080091570 A KR 20080091570A KR 20100032609 A KR20100032609 A KR 2010003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trusion
door lock
digital door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문
Original Assignee
이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문 filed Critical 이병문
Priority to KR102008009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609A/ko
Publication of KR2010003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출입문의 일 면에 설치되며, 비정상적 방법으로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파손 감지부를 갖는 실외측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의 반대면에 설치되며,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로부터 센싱된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받는 침입 센싱부, 상기 침입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침입/파손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락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언락킹(unlocking) 방법을 변환시키는 수동 전환부를 갖는 실내측 조작부가 제공된다.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디지털 도어락

Description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Digital door lock having self-security function and digital door lock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가족 및 다수의 사람들이 주거하는 곳(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빌딩 등)에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출입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출입문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열쇠에 의한 개폐방식, 다이얼에 의한 개폐 방식 등 뿐만 아니라, 기계와 전자 분야 기술이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의 방식의 도어락도 존재한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은 기존의 기계식 도어락을 이용시 발생하는 열쇠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 및 제3자에 의한 열쇠 도난 및 복제에 따른 범죄 등의 단점을 극복하였는바 점점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키 입력부를 통한 비밀 번호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를 입힌 마크네틱 카드 방식, 지문 인식과 같은 바이오 정보 입력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한편, 주택 등에 대한 외부인의 침입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외부인의 침입 예방 및 침입자의 신속한 검거를 위해 주거인은 사설경비업체를 통해 주택의 경비를 위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택 경비는 사설경비업체가 제작한 센서들 및 이들과 데이터 통신하며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을 주택 내의 여러 곳에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외부인의 무단 침입 여부는 출입문 또는 도어락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더러, 심지어, 사설경비업체의 직원이 경비시스템을 악용하여 범죄사고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외부인의 침입으로 인한 위험성은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체 경비가 가능함과 아울러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지연시키는데 기여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가 경비가 가능함과 아울러서 외부로부터의 침입 저지를 지연시키는데 기여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출입문의 일 면에 설치되며, 비정상적 방법으로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파손 감지부를 갖는 실외측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의 반대면에 설치되며,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로부터 센싱된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받는 침입 센싱부, 상기 침입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침입/파손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락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언락킹(unlocking) 방법을 변환시키는 수동 전환부를 갖는 실내측 조작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비정상적인 방법은 소정 횟수 이상 기설정되어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다른 입력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법, 전자화된 만능키를 사용하는 방법 및 물리적으로 상기 실외측 조작부에 손상을 가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침입/파손 신호에서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실내에 위치된 경비제어모듈에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경비제어모듈 사이의 상기 신호의 전송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되며, 상기 경비제어모듈은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로 변환시켜 지정된 유/ 무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실외측 및 실내측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해당키를 직접 입력받거나, 외부의 유/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경비개시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 상기 침입 센싱부 및 상기 수동 전환부를 활성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출입문의 일 면 및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는 실외측 조작부 및 실내측 조작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한다. 실내 경비 구역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제공된다. 실내에 배치되어 디지털 도어락 및 센서와 신호를 상호 전송하는 경비제어모듈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실외측 조작부는 비정상적 방법으로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파손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조작부는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로부터 센싱된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받는 침입 센싱부, 상기 침입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침입/파손 신호를 상기 경비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락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언락킹(unlocking) 방법을 변환시키는 수동 전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들은 출입문 개방 감지 센서 및 실내 침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은 내부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진행되는 언락킹을 감지하여 통지하는 부재와 아울러서 실내에서 자동 락킹 해제를 저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은 자체 경비 기능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된 시스템으로 인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언락킹 과정에서부터 침입 당시 까지의 상황이 주거인, 경비관리인 및 방범관계인의 유/무선 단말기들로 실시간으로 통지된다. 따라서, 주거 및 사무소 침입에 대한 대처가 즉각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사설경비업체에 경비 위탁으로 인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실외측 조작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실내측 조작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0)은 일반적으로 출입문(10)의 일 면에 배치되는 실외측 조작부(110), 출입문(10)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실내측 조작부(130),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등과 같은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으로서 출입문(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 또는 명령은 케이블(150)을 통하여 실내측 조작부(130)로 전송된다. 실내측 조작부(130)는 기설정되어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의 일치 여부를 체크한 후 실내측 조작부(130)의 락킹부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측 조작부(11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실내측 조작부(130)로 전송함과 아울러서 경비 모드로 작동시 외부의 침입 시도 및 침입시 발생되는 파손을 감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외측 조작부(110)는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인증부(112), 제어부(114), 인증 정보를 실내측 조작부(130)에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116), 출력부(118) 및 외부 침입과 아울러서 강제 파손을 감지하는 침입/파손 감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12)는 소정 형태를 갖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부분이며,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IC 칩을 내장하는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 인증된 비밀 번호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인증부(112)는 스마트 카드가 삽입되는 슬롯 형태, 키패드 또는 적외선 감지기 등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입증 정보는 제어부(114)에서 암호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실내측 조작부(130)에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인증부(112)에서의 입력으로 디지털 도어락(100)을 경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부(112)가 키패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경비 모드와 관련된 해당키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도어락(100)은 경비 모드로 설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출력부(118)는 실내측 조작부(130)에 수행되는 입력된 인증 정보의 정당성 여부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100)의 작동 상황을 음향의 재생 또는 빛의 점멸로 출입자에게 알려준다. 출력부(118)는 예를 들어, 스피커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침입/파손 감지부(120)는 경비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 및 그 시도를 감지한다. 상기 비정상적인 경우로는 소정 횟수 이상 기설정되어 있는 인증 정보와 다른 입력 정보를 입력시키는 경우, 전자화된 만능키를 사용하는 경우 및 물리적으로 상기 실외측 조작부(110)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 등이 존재한다.
예컨대, 인증부(112)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구성된 경우에 침입/파손 감지부(120)는 소정 횟수 이상, 예를 들어 3회 이상 기설정된 인증 비밀 번호와 다른 입력 정보를 입력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침입/파손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실내측 조작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로, 인증부(112)가 IC 칩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하는 경우에 침입/파손 감지부(120)는 전자화된 만능키가 삽입될 시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고, 침입/파손 신호로 생성하여 이를 실내측 조작부(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실외측 조작부(110)에 물리적 손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침입/파손 감지부(120)는 침입/파손 신호를 발생시켜 실내측 조작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측 조작부(110)의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작동은 제어부(114)에 의해 전반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인증부(112)를 통해 입력된 인증 정보가 실내측 조작부(130)에서 기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체크한 후 일치 여부에 따라 출력부(118)로 하여금 다양한 음향 및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도어락(100)이 경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어부(114)는 침입/파손 감지부(120)가 작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측 조작부(130)는 출입문(10)의 반대면에 설치되며, 인증부(112)로부터 전송된 입력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설정된 인증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함과 아울러서 경비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침입/파손 감지부(120)로부터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되는 락킹 해제 여부를 전송받아 이에 대한 상황을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들로 통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기 능을 실현하기 위해, 실내측 조작부(130)는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2), 사용자 인증부(134), 메모리부(136), 제어부(138), 구동부(140), 락킹부(142), 침입 센싱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34)는 인증부(112)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메모리부(136)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인증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하여 제어부(138)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8)에 전송된 신호들에 따라 구동부(14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되며, 입력된 인증 번호가 상기 저장된 인증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부(140)는 락킹부(142)의 락킹 상태를 해제 즉, 언락킹(unlocking)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락킹부(142)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기계적, 물리적 구성들을 조합하여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인증부(112)를 통한 경비 모드 개시와 더불어 경비 모드 개시 및 해제는 인터페이스부(132)에 의해 전송되는 외부 신호를 통해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2)는 외부의 유/무선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경비개시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8)에 전송시킬 수 있다. 제어부(138)에 전송된 경비개시신호는 침입/파손 감지부(120) 및 침입 센싱부(146)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이 경비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침입 센싱부(146)는 침입/파손 감지부(120)로부터 센싱된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받아 제어부(138)로 전송한다. 제어부(138)로 전송된 침입/파손 신호는 제어부(138)에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로 변환되고, 이러한 메시지는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메모리부(136) 에 저장된 유/무선 단말기들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무선 단말기들은 주거인의 휴대용 통신기기, 경비 관리인의 휴대용 통신기기 및 경비 관리소의 유선 전화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측 조작부(130)의 인터페이스부(132)가 매개 모듈없이 유/무선 단말기들과 직접 통신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내에 설치된 경비제어모듈과 같은 매개 모듈이 유/무선 단말기들과 실내측 조작부(130)의 인터페이스부(132) 사이의 통신에 기여할 수 있다. 경비제어모듈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실내측 조작부(130)는 상술한 기능들에 더하여 경비 모드에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락킹 해제를 시도하는 경우에 락킹부(142)가 외부에서 자동으로 언락킹되지 않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실내측 조작부(130)는 상술한 역할을 담당하는 수동 전환부(148)를 더 포함한다. 수동 전환부(148)는 제어부(138)로 입력되는 경비 모드 해당키 또는 경비개시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침입/파손 신호에 의해 락킹부(142)의 해제를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수동 전환부(148)는 구동부(140)와 연결되어 침입/파손 신호에 의해 구동부(140)의 회로를 단선시키는 회로 구조 또는 락킹부(142)의 기계적 동작을 직접 제어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측 조작부(130)에는 내부 거주자가 도어락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 스위치가 존재한다. 내부 거주자가 개방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바로 구동부(140)의 제어에 따라 락킹부(142)가 해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내측 조작부(130)에 위치하는 개방 스위치의 구조를 이용하여, 침입자가 출입문에 조그만 구멍 또는 홀을 생성하고, 쇠고리 등을 이용하여 실내측 조작부(130)에 위치하는 개방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도어락을 개방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측 조작부(130)에 포함된 제어부(138)는 개방 스위치의 누름을 감지하더라도 구동부(140)로 하여금 락킹부(142)를 해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8)는 사용자가 개방 스위치의 누름과 함께 실내측 조작부(130)에 위치하는 개방 핸들(미도시)을 잡아당기는 조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만 락킹부(142)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침입자가 출입문에 조그만 구멍 또는 홀을 생성하고, 쇠고리 또는 철사 등을 이용하여 개방 스위치를 누른다고 하더라도, 실내측 조작부(130)에 위치하는 개방 핸들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출입문의 구멍 또는 홀을 이용한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디지털 도어락를 포함하여 연동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술한 자체 경비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되어 운영되는 시스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200)은 경비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100) 및 실내에서 발생되는 상황을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들(20, 22)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200)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술한 디지털 도어락(100), 실내 경비 구역 내에 설치되는 센서들(210), 디지털 도어락(100)과 센서와 상호 데이터 통신하는 경비제어모듈(220) 및 홈네트워크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경비제어모듈(220)로부터 경비개시신호를 전송받아 경비 모드로 작동되며, 경비 모드로 작동시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락킹 상태를 해제하려고 시도하는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경비제어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0)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들(210)은 실내 경비 구역 내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 횟수 이하에서 락킹이 해제되거나 락킹부(142)의 걸림부마저 파손됨으로써 출입문이 개방된 것을 감지하거나 침입자가 실내로 진입한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감지하는 센서는 각각 출입문 개방 감지 센서(1) 및 실내 침입 감지 센서(2)일 수 있다. 이외에도, 가스 누출 및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경비제어모듈(220)은 디지털 도어락(100) 및 센서들과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여 디지털 도어락(100) 및 센서들(210)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받거나 이들을 제어한다. 아울러, 경비제어모듈(220)은 홈네트워크장치(230)을 통해 외부의 유 /무선 단말기들로부터 명령을 받거나 주거인 및 아파트경비관리인의 휴대용 통신기(20) 및 아파트 경비관리소(22)와 같은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들을 저장하여 이들에게 침입 상황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경비제어모듈(220) 및 홈네트워크장치(23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실외측 조작부(110)의 인증부(112)를 통해 해당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 및 실내측 조작부(130)의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경비개시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경비 모드 개시 여부를 확인한다(S502). 경비개시신호의 송신은 외부의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홈네트워크장치(230) 및 경비제어모듈(220)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100)은 일반적 개폐 기능으로 동작하여 침입/파손 감지부(120), 침입 센싱부(146) 및 수동 전환부(148)는 활성화되지 않는다(S504). 이에 더하여, 경비 모드 해제는 개시와 다른 해당키 및 경비해제신호를 통해 이루질 수 있어, 이 경우에도 상술한 부재들은 비활성화된다. 이와는 달리, 경비개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100) 및 센서들(210)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200)은 경비 모드로 전환된다. 이 경우에, 실내측 조작부(130)의 제어부(138)에 의해 침입/파손 감지부(120), 침입 센싱부(146) 및 수동 전환부(148)는 활성화된다.
경비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침입/파손 감지부(120)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디지털 도어락(100)의 락킹을 해제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S506). 사용자 인증부(134)는 인가받은 자가 소정횟수 이하로 인증부(112)를 통해 입력한 인증 정보와 기설정되어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경비 모드를 해제함과 아울러서 자동으로 디지털 도어락(100)을 언락킹한다(S508). 이와는 달리,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락킹을 해제하는 경우에, 침입/파손 감지부(120)는 소정 횟수 이상으로 도어락의 개방 시도, 도어락의 물리적 개방 시도 및 전자화된 만능키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침입/파손 신호를 생성하여 실내측 조작부(130)의 침입 센싱부(146)를 통해 전송한다(S510).
침입 센싱부(146)에 의해 전송된 침입/파손 신호는 디지털 도어락의 언락킹이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수행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S512).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 전환부(148)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침입자가 기설정된 인증 정보와 일치된 인증 정보를 입력하더라도 언락킹을 수행할 수 없어, 침입자의 침입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침입/파손 신호는 제어부(138)에서 메모리부(136) 또는 경비제어모듈(220)에 저장된 휴대폰 통신기(20) 및 관리 사무소(22)로 적어도 1회 이상 침입 시도 상황에 관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514). 메시지의 전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32), 경비제어모듈(220) 및 홈네트워크장치(230)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주거인은 즉각적으로 상황에 부합되는 대처를 할 수 있을뿐더러, 침입자가 물리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분해하려고 하는 동안에 경비관리인 및 방범관계인 등이 출동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침입자가 물리적으로 도어락을 파손시키고 침입하거나 소정 횟수 이하로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한 경우를 대비하여 실내 경비 구역 내의 센서들(210)를 통해 출입문(10) 개방 여부를 감지한다(S516). 출입문(10)이 개방되는 경우에, 센서들(210)은 이를 감지하여 경비제어모듈(220)에 전달하고, 경비제어모듈(220)은 이에 저장하여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들(20, 22)로 적어도 1회 이상 출입문 개방 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S518).
계속해서, 침입자가 실내 경비 구역 내의 침입 여부를 다수의 센서들(210)을 이용하여 감지한다(S520). 만약 침입한 경우에, 센서들(210)은 침입자의 진입 정도에 관한 상황을 감지하여, 경비제어모듈(220)은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들(20, 22)로 적어도 1회 이상 진입 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S522).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이 자체 경비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서 이와 연계된 시스템으로 인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언락킹 과정에서부터 침입 당시 까지의 상황이 주거인, 경비관리인 및 방범관계인의 유/무선 단말기들로 실시간으로 통지된다. 따라서, 주거 및 사무소 침입에 대한 대처가 즉각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사설경비업체에 경비 위탁으로 인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외측 조작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내측 조작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디지털 도어락를 포함하여 연동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출입문의 일 면에 설치되며, 비정상적 방법으로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파손 감지부를 갖는 실외측 조작부; 및
    상기 출입문의 반대면에 설치되며,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로부터 센싱된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받는 침입 센싱부, 상기 침입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침입/파손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락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언락킹(unlocking) 방법을 변환시키는 수동 전환부를 갖는 실내측 조작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인 방법은 소정 횟수 이상 기설정되어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다른 입력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법, 전자화된 만능키를 사용하는 방법 및 물리적으로 상기 실외측 조작부에 손상을 가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침입/파손 신호에서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실내에 위치된 경비제어모듈에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경비제어모듈 사이의 상기 신호의 전송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되며, 상기 경비제어모듈은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로 변환시켜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5.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및 실내측 조작부들 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해당키를 직접 입력받거나, 외부의 유/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경비개시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 상기 침입 센싱부 및 상기 수동 전환부를 활성시키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조작부는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개방 스위치; 와
    상기 개방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실내측 조작부에 배치되는 개방 핸들이 조작되는 경우 락킹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7. 출입문의 일 면 및 반대면에 각각 설치되는 실외측 조작부 및 실내측 조작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락;
    실내 경비 구역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실내에 배치되어 디지털 도어락 및 센서와 신호를 상호 전송하는 경비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실외측 조작부는 비정상적 방법으로 락킹(locking)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감지하는 침입/파손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측 조작부는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로부터 센싱된 침입/파손 신호를 전송받는 침입 센싱부, 상기 침입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침입/파손 신호를 상기 경비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침입/파손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실내에서만 수동으로 락킹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언락킹(unlocking) 방법을 변환시키는 수동 전환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인 방법은 소정 횟수 이상 기설정되어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다른 입력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법, 전자화된 만능키를 사용하는 방법 및 물리적으로 상기 실외측 조작부에 손상을 가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경비제어모듈 사이의 상기 신호의 전송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되며, 상기 경비제어모듈은 상기 침입/파손 신호에서 변환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지정된 유/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내부에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해당키를 직접 입력받거나, 외부의 유/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경비개시신호를 상기 경비제어모듈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침입/파손 감지부, 상기 침입 센싱부 및 상기 수동 전환부를 활성하시키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20080091570A 2008-09-18 2008-09-18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00032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70A KR20100032609A (ko) 2008-09-18 2008-09-18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70A KR20100032609A (ko) 2008-09-18 2008-09-18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09A true KR20100032609A (ko) 2010-03-26

Family

ID=4218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70A KR20100032609A (ko) 2008-09-18 2008-09-18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6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91B1 (ko) * 2014-02-12 2015-04-07 이용신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2647297B1 (ko) * 2023-02-10 2024-03-13 에스케이쉴더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 부재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도어 잠금 부재 인식 장치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91B1 (ko) * 2014-02-12 2015-04-07 이용신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2647297B1 (ko) * 2023-02-10 2024-03-13 에스케이쉴더스 주식회사 도어 잠금 부재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도어 잠금 부재 인식 장치를 이용한 경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922B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KR20080002100A (ko)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96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JP2016004570A (ja) 暗証番号ロックを備える警備システム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01090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0711214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8932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1198512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0426825Y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KR100718196B1 (ko)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596690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20100032609A (ko)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20200044223A (ko) Iot기반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안심 서비스시스템
KR10116540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2052734B1 (ko) 스마트 방범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KR20180022340A (ko) 도어락 네트워킹 인증 장치 및 관제시스템
TWI807238B (zh) 門禁系統
JP2007164714A (ja) 入室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