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091B1 -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091B1
KR101508091B1 KR20140015931A KR20140015931A KR101508091B1 KR 101508091 B1 KR101508091 B1 KR 101508091B1 KR 20140015931 A KR20140015931 A KR 20140015931A KR 20140015931 A KR20140015931 A KR 20140015931A KR 101508091 B1 KR101508091 B1 KR 10150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terminal
switch
recognition sign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신
Original Assignee
이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신 filed Critical 이용신
Priority to KR2014001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도어 지지대에 형성된 제1 홀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침입을 인식하여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침입 인식부; 및 상기 침입 인식부에서 생성한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주기 위한 침입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Understand Invasion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에 출입의 편의와 보안을 위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도어의 잠금 기능을 해제시켜 열리도록 하며, 도어를 닫은 후 버튼을 누르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잠금 기능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쇠를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도어의 잠금과 해제가 가능해 사용이 편리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1922호(2011.07.20 등록)는 도어 또는 주변부에 별도의 천공구멍이나 체결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기존의 잠금장치 설치부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지털 도어락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어의 잠금 작용이 발생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회동체와 회동체의 상하측에 형성된 상하측 안착 홈이 포함된 도어의 잠금장치설치부에 장착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고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을 공급받아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동기를 구비하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를 포함하되, 잠금장치설치부의 상하측 안착 홈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블록이 도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외측조작부 및 내측조작부에 각각 상하 2개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블록에는 도어의 측면을 향하는 핀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측 조작부의 상하 2개의 결합블록의 사이에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2414호(2003.07.28 등록)는 내부 몸체에 신속하게 도어락을 시정 및 해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 버튼이 구비되며, 배터리 감지상태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비밀번호 입력 및 도어락의 시정 및 해정의 시작과 종료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전압 감지부;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도어락을 시정 및 해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DC모터; DC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 도어락의 시정 및 해정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 스피커와 연계되어 스피커에 일정 파형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 칩; 비밀번호의 정오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도어락의 시정 및 해정 조작을 실행하고, 그 도어락 시정 및 해정 정보를 지시하는 음성신호를 음성 칩으로부터 독취하여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음성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외부인이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를 도어 지지대와 도어 틈 사이에 삽입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락을 떼어내어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인의 침입을 인식할 수 없으며, 이에 외부인의 침입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침입을 방지하거나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자동적으로 잠금 기능을 하는 등과 같은 편의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인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대한 방범의 효과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192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241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어려운 점이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어의 일 측에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도어 지지대에 형성된 제1 홀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침입을 인식하여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침입 인식부; 및 상기 침입 인식부에서 생성한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주기 위한 침입 알림부를 포함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침입 인식부는, 상기 잠금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침입 시에 스위치 온 시키기 위한 스위치 부재; 상기 잠금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에 의해 통전되어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2개의 단자 부재; 및 상기 단자 부재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단자 부재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상기 침입 알림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양 측면과 정면에 상기 스위치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ㄷ'자 형태의 스위치 부재 장착 홈; 및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의 정면에 상기 스위치 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 힌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제1 힌지 부재와 연결되어 회동하기 위한 제2 힌지 부재; 및 상기 제2 힌지 부재의 양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에 장착되는 2개의 스위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은, 양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2개의 탄성 부재 장착 홈; 및 상기 탄성 부재 장착 홈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은, 상기 스위치 부재의 일 말단에 대항하는 위치에 형성된 부싱 홀; 및 상기 부싱 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 바의 형태가 변형되어 유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양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단자 부재 장착 홈; 및 상기 단자 부재 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 부재를 상기 단자 부재 장착 홈에 고정시키기 위한 단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선 부재는, 일 말단부에 전선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 홀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단자 부재와 통전되어 상기 단자 부재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상기 침입 알림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 상기 전선 접점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 접점과 통전되는 제1 단자 접점; 상기 단자 부재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 홀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 단자 접점과 접하는 제2 단자 접점; 및 상기 전선 접점과 상기 제1 단자 접점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제2 단자 접점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선 부재는, 상기 단자 부재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전달하기 위한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전달 받아 침입 알림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침입 인식부는, 상기 잠금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보다 일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지지대에 형성된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보조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잠금부는, 상기 도어의 설치 구조에 따라 방향을 바꾸기 위한 회전 수단; 및 상기 회전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침입 알림부는,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부재; 상기 단자 부재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 부재로부터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경고음으로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 부재; 및 상기 경고음 출력 부재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주는 스피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침입 알림부는,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부재; 및 상기 단자 부재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 부재로부터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전화번호로 판독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 전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으로써, 침입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락을 떼어내어 침입하는 경우에도 외부인의 침입을 즉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외부인의 침입을 사용자에게 바로 알려 줄 수 있어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외부인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대한 방범의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잠금부 및 침입 인식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스위치 부재가 온 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전선 부재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전선 부재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침입 인식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침입 알림부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침입 알림부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본체부(50), 잠금부(100), 침입 인식부(200), 침입 알림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50)는, 도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내부에 잠금부(100), 침입 인식부(200), 침입 알림부(300)를 장착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잠금부(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어 지지대(10)에 형성된 제1 홀(20)에 삽입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거나, 도어 지지대(10)에 형성된 제1 홀(20)로부터 이탈되어 잠금 기능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 설정은, 도어락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어를 닫았을 때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을 의미한다.
침입 인식부(200)는,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외부인이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를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의 틈에 삽입하여 강제로 도어락을 떼어서 침입하려고 할 때에 이를 인식하고,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켜 침입 알림부(300)에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침입 인식부(200)는,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로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에 해당 침입 도구의 삽입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침입 인식부(200)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경우에 잠금부(100)와 함께 도어 지지대(10)에 형성된 제1 홀(20)에 삽입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침입 알림부(300)는, 침입 인식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을 경보하거나 지정된 회선으로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침입 알림부(300)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침입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침입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시켜 경찰서, 경비실, 사용자의 휴대전화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보조 잠금부(40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잠금부(400)는, 잠금부(100)와 높이가 동일하거나 일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어 도어 지지대(10)에 형성된 제2 홀(30)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근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잠금부(400)는, 잠금부(100)와 높이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문이 닫혀 제2 홀(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람 등의 움직임에 의해 문이 밀리더라도 도어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침입 인식부(200)가 스위치 온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잠금부(400)는, 회전 수단(410), 회전 고정 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수단(410)은, 보조 잠금부(400)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설치 구조에 따라 방향을 돌려 설치가 가능하다.
회전 고정 수단(420)은, 회전 수단(410)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보조 잠금부(400)를 회전시킨 후에 회전 수단(410)을 끼워 보조 잠금부(400)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침입 인식부(300)가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 상태를 인식하여 침입 알림부(300)를 통해 외부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방범의 효과를 가지며,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잠금부 및 침입 인식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잠금부(100)는,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 제1 힌지 부재(250)를 포함하며, 침입 인식부(200)는, 스위치 부재(210), 단자 부재(220), 전선 부재(230)를 포함한다.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은, 잠금부(100)의 양 측면과 정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스위치 부재(210)가 빠지지 않도록 장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진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은, 탄성 부재 장착 홈(254), 탄성 부재(256), 부싱 홀(258), 부싱(259)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 장착 홈(254)은,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의 양 측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2개의 홈으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256)는, 탄성 부재 장착 홈(254)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 부재(210)의 스위치 바(252, 253)를 밀어 스위치 바(252, 253)와 단자 부재(220)가 떨어져 있도록 해주며,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가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압축된다. 이 때, 탄성부재(256)는, 침입 도구에 의해 큰 힘을 받았을 때에만 압축되기 위해 높은 강도를 가진 것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56)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스프링,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실리콘으로 형성 시에는 사용함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부싱 홀(258)은, 스위치 부재(210)의 일 말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에 형성된다.
부싱(259)은, 스위치 부재(210)의 스위치 바(252, 253) 중 하나 이상이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면 단자 부재(2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온 되므로, 스위치 부재(210)의 스위치 바(252, 253)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부싱(259)은, 스위치 부재(210)의 하나의 스위치 바(252)를 관통하여 반대쪽에 형성된 스위치 부재(210)의 다른 하나의 스위치 바(253)로 체결시킬 수 있다.
제1 힌지 부재(250)는,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의 정면에 형성되어 스위치 부재(210)를 회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힌지 부재(250)는, 핀으로 형성되어 스위치 부재(210)의 제2 힌지 부재(251)와 연결되어 스위치 부재(2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진 잠금부(100)는, 단자 부재 장착 홈(260), 단자 고정 부재(262)를 더 포함한다.
단자 부재 장착 홈(260)은,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단자 부재(220)를 장착한다.
단자 고정 부재(262)는, 단자 부재(220) 위에 설치되어 단자 부재(220)를 눌러 단자 부재 장착 홈(260)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 고정 부재(262)는, 볼트를 관통시켜 단자 부재(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위치 부재(210)는,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잠금부(100)의 측면보다 일정 높이만큼 높게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되어, 침입 도구에 의해 눌러지면서 2개의 단자 부재(220) 중 하나와 접촉하여 스위치 온 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 부재(210)는,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가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에 삽입되어 압력을 받더라도 잘 부러지지 않으며, 단자 부재(220)와의 접촉을 통하여 스위치 온 시키기 위해서, 전기가 잘 흐르는 재질(예를 들어, 황동, 철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 부재(210)는, 제1 힌지 부재(250), 제2 힌지 부재(251)의 형성을 생략하고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가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에 삽입되어 눌리게 되면 탄성 부재(256)에 의해 움직이면서 스위치 온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지닌 스위치 부재(210)는, 제2 힌지 부재(251), 스위치 바(252, 253)를 포함한다.
제2 힌지 부재(251)는, 잠금부(100)의 제1 힌지 부재(250)와 연결되어 회동한다.
스위치 바(252, 253)는, 제2 힌지 부재(251)의 양 측으로 2개의 바 형태로 형성되어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에 장착되어 좌우로 움직이면서 단자 부재(2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온 시킨다.
단자 부재(220)는,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스위치 부재(210)의 스위치 온에 의해 통전되어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켜 전선 부재(23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 부재(220)는, 전기를 통하기 위해서 (+)극 단자와 (-)극의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 부재(220)는,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해 전기가 잘 흐르는 재질(예를 들어, 황동, 철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 부재(230)는, 단자 부재(220)와 연결 형성되어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침입 알림부(30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선 부재(230)는, (+)극과 (-)극을 가지는 두 개의 전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지닌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잠금부 홀(50a), 보조 잠금부 홀(50b)을 포함한다.
잠금부 홀(50a)은, 본체부(100)의 일 측에 십자모양의 형태로 형성되어 잠금부(100)가 관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잠금부 홀(50a)은, 평상시에는 잠금부(100)가 가로 방향의 홈에 삽입되어 잠금 기능을 하며, 잠금 된 상태에서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로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에 스위치 부재(210)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통해 회동하여 스위치 온 시킬 수 있다.
보조 잠금부 홀(50b)은, 본체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보조 잠금부(400)가 관통한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스위치 부재가 온 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 바(252, 253)는, 탄성 부재(256)의 탄성력보다 더 큰 압력을 가했을 때에 탄성 부재(256)의 탄성력을 이기고 눌러져, 2개중 하나가 단자 부재(2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온 시킨다. 따라서 스위치 바(252, 253)의 일 단부가 단자 부재(220)와 접촉하여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이 발생한 상태를 침입 인식 신호로 침입 알림부(300)에게 제공한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전선 부재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선 부재(230)는, 전선 접점(231), 전선(232), 제1 단자 접점(233), 제2 단자 접점(234), 스프링(235)을 포함한다.
전선 접점(231)은, 전선(232)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외부인이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를 도어 지지대(10)와 도어 사이의 틈에 삽입하여 강제로 도어락을 떼어서 침입하려고 할 때에 스프링(235)을 통해 제1 단자 접점(233)과 통전된다.
전선(232)은, 일 말단부에 전선 접점(231)을 구비하며,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 삽입된 경우에 제1 단자 접점(233)과 제2 단자 접점(234)이 접하면서 제1 단자 접점(233)과 전선 접점(231)이 통전되어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침입 알림부(300)로 전달한다.
제1 단자 접점(233)은, 전선 접점(231)과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스프링(235)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 삽입된 경우에 제2 단자 접점(234)과 접하여 스프링(235)을 통해 전선 접점(231)과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자 접점(233)은,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 삽입되었을 시에 제2 단자 접점(234)과 접하며,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서 이탈될 시에는 제2 단자 접점(234)과 분리될 수 있다.
제2 단자 접점(234)은, 단자 부재(200)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 삽입된 경우에 제1 단자 접점(233)과 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단자 접점(234)은,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 삽입된 경우에 제1 단자 부재(233)와 접하면서 스프링(235)의 탄성력을 이기고 제1 단자 접점(233)을 밀어준다. 따라서 제1 단자 접점(233)과 전선 접점(231)을 완벽하게 통전시킬 수 있다.
스프링(235)은, 전선 접점(231)과 제1 단자 접점(233)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제1 단자 접점(2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235)은, 평상시에는 전선 접점(231)과 제1 단자 접점(233) 사이를 밀어주어 일반적인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1 단자 접점(2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235)은, 전기가 잘 흐르는 재질(예를 들어, 황동, 철 등)로 형성되며, 전선 접점(231)과 제1 단자 접점(233)을 통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전선 부재(230)는, 제1 단자 접점(233)과 제2 단자 접점(234) 사이가 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잠금부(100)가 제1 홀(20)에 삽입되었을 때에만 제1 단자 접점(233)과 제2 단자 접점(234)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단선이 될 우려가 없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전선 부재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선 부재(230)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0),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1), 전선(282)을 포함한다.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0)은, 단자 부재(22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으로 송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0)은, RF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1)은, 단자 부재(220)와 가까운 거리에 전선(282)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80)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전달한다.
전선(282)은, 다른 일 말단이 침입 알림부(300)와 연결되어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1)로부터 전달되는 침입 인식 신호를 침입 알림부(30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전선 부재(230)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단자 부재(220)와 전선(282) 사이가 분리되어 잠금부(100)의 움직임에 의해 단선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침입 인식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침입 인식부(200)는, 케이스 부재(290)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 부재(290)는, 잠금부(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전선 부재(230)를 보호하여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합선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침입 알림부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침입 알림부(300)는, 메모리 부재(310), 경고음 출력 부재(320), 스피커 부재(330)를 포함한다.
메모리 부재(310)는, 스피커 부재(330)에서 출력할 경고음(예를 들어, 경보음, 음성메시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경고음 출력 부재(320)는, 침입 인식부(200)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메모리 부재(310)로부터 경보음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경보음 정보를 스피커 부재(330)로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경고음 출력 부재(320)는, 침입 인식 신호가 침입 인식부(200)에서 생성되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침입 인식 신호가 발생하면 경보음 정보를 메모리 부재(310)로부터 판독하여 스피커 부재(330)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 부재(330)는, 경고음 출력 부재(32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 정보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 부재(330)는, 경고음을 더 크게 울리기 위해 엠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침입 알림부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침입 알림부(300)는, 메모리 부재(340), 문자 전송 부재(350)를 포함한다.
메모리 부재(340)는,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해당 침입을 알릴 수 있는 긴급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전화번호와 긴급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문자 전송 부재(350)는, 침입 인식부(200)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메모리 부재(310)로부터 전화번호와 긴급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된 긴급 문자메시지를 해당 판독한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문자 전송 부재(350)는, 침입 인식 신호가 침입 인식부(200)에서 생성되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침입 인식 신호가 발생하면 전화번호와 긴급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부재(310)로부터 판독하여 침입이 발생한 것을 긴급 문자메시지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도어 지지대
20 : 제1 홀
30 : 제2 홀
50 : 본체부
50a : 잠금부 홀
50b : 보조 잠금부 홀
100 : 잠금부
200 : 침입 인식부
210 : 스위치 부재
220 : 단자 부재
230 : 전선 부재
231 : 전선 접점
232, 282 : 전선
233 : 제1 단자 접점
234 : 제2 단자 접점
235 : 스프링
240 : 스위치 부재 장착 홈
250 : 제1 힌지 부재
251 : 제2 힌지 부재
252, 253 : 스위치 바
254 : 탄성 부재 장착 홈
256 : 탄성 부재
258 : 부싱 홀
259 : 부싱
260 : 단자 부재 장착 홈
262 : 단자 고정 부재
280 :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281 :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290 : 케이스 부재
300 : 침입 알림부
310, 340 : 메모리 부재
320 : 경고음 출력 부재
330 : 스피커 부재
350 : 문자 전송 부재
400 : 보조 잠금부
410 : 회전 수단
420 : 회전 고정 수단

Claims (10)

  1. 도어의 일 측에 형성된 본체부(50);
    상기 본체부(50)의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50)의 내측에 설치되며, 도어 지지대(10)에 형성된 제1 홀(20)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100);
    상기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침입을 인식하여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침입 인식부(200);
    상기 침입 인식부(200)에서 생성한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주기 위한 침입 알림부(300); 및
    상기 잠금부(100)와 높이가 동일하거나 일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며, 도어 지지대(10)에 형성된 제2 홀(30)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보조잠금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침입 인식부(200)는,
    상기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침입 시에 스위치 온 시키기 위한 스위치 부재(210);
    상기 잠금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210)에 의해 통전되어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2개의 단자 부재(220); 및
    상기 단자 부재(220)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상기 침입 알림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 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100)는,
    양 측면과 정면에 상기 스위치 부재(210)를 장착하기 위한 'ㄷ'자 형태의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 및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의 정면에 상기 스위치 부재(210)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1 힌지 부재(25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부재(210)는,
    상기 제1 힌지 부재와 연결되어 회동하기 위한 제2 힌지 부재(251); 및
    상기 제2 힌지 부재의 양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에 장착되는 2개의 스위치 바(252, 253)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부재 장착 홈(240)은,
    양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2개의 탄성 부재 장착 홈(254); 및
    상기 탄성 부재 장착 홈(254)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210)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탄성 부재(2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00)는,
    양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 부재(220)를 장착하기 위한 2개의 단자 부재 장착 홈(260); 및
    상기 단자 부재(220) 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 부재(220)를 상기 단자 부재 장착 홈(26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단자 고정 부재(2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부재(230)는,
    일 말단부에 전선 접점(231)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100)가 상기 제1 홀(20)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단자 부재(220)와 통전되어 상기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상기 침입 알림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232);
    상기 전선 접점(23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 접점(231)과 통전되는 제1 단자 접점(233);
    상기 단자 부재(200)의 일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100)가 상기 제1 홀(20)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 단자 접점(233)과 접하는 제2 단자 접점(234); 및
    상기 전선 접점(231)과 상기 제1 단자 접점(233)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제1 단자 접점(233)에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2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부재(230)는,
    상기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0);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80)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전달하기 위한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1); 및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81)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전달 받아 침입 알림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전선(2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알림부(300)는,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부재(310);
    상기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 부재(310)로부터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경고음으로 출력하는 경고음 출력 부재(320); 및
    상기 경고음 출력 부재(320)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주는 스피커 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알림부(300)는,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부재(340); 및
    상기 단자 부재(220)에서 생성된 침입 인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 부재(340)로부터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전화번호로 판독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 전송 부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20140015931A 2014-02-12 2014-02-12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150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5931A KR101508091B1 (ko) 2014-02-12 2014-02-12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5931A KR101508091B1 (ko) 2014-02-12 2014-02-12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091B1 true KR101508091B1 (ko) 2015-04-07

Family

ID=5303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5931A KR101508091B1 (ko) 2014-02-12 2014-02-12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48U (ko) * 2016-06-15 2017-12-26 차헌승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09A (ko) * 2008-09-18 2010-03-26 이병문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00075151A (ko) * 2008-12-24 2010-07-02 김재형 도어록 장치
KR20120106141A (ko) * 2011-03-17 2012-09-26 정용덕 보안기능이 내장된 무선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09A (ko) * 2008-09-18 2010-03-26 이병문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00075151A (ko) * 2008-12-24 2010-07-02 김재형 도어록 장치
KR20120106141A (ko) * 2011-03-17 2012-09-26 정용덕 보안기능이 내장된 무선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48U (ko) * 2016-06-15 2017-12-26 차헌승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KR200485613Y1 (ko) * 2016-06-15 2018-01-31 차헌승 외부요인에 의한 잠금 해제가 방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2921B1 (en) Doorbell antenna
US10062251B2 (en) Doorbell battery systems
US20150070495A1 (en) Doorbell security and safety
CN107575094B (zh) 一种蓝牙智能锁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967825A (zh) 一种看门电子狗系统
US10169981B2 (en) Portable alarm system
KR20120048932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CN104836987A (zh) 一种智能监控设备及终端
KR101508091B1 (ko)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0742263B1 (ko) 무선 id를 갖는 열쇠를 이용한 전자 시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82405B1 (ko)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1508087B1 (ko) 안전 디지털 도어락
KR100766827B1 (ko) 도어록을 통한 보안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092909U (zh) 一种防破坏的电声警报装置
KR20170018635A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10116540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N100397429C (zh) 异常检测装置和使用该异常检测装置的信息装置
CN209947044U (zh) 一种置于电缆分接箱柜门内可远程拍照的防盗报警器
KR2000005917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장치
CN111577013A (zh) 一种钥匙忘拔及门未关提醒装置
CN101820165A (zh) 报警系统用的电源装置
CN102915579A (zh) 远程控制门锁
TW201641797A (zh) 鎖具
US11837036B2 (en) 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
JP2007126950A (ja) 生体認証を用いた無線電子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