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151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151A
KR20100075151A KR1020080133775A KR20080133775A KR20100075151A KR 20100075151 A KR20100075151 A KR 20100075151A KR 1020080133775 A KR1020080133775 A KR 1020080133775A KR 20080133775 A KR20080133775 A KR 20080133775A KR 20100075151 A KR20100075151 A KR 2010007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door
locking element
lock devic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김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08013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5151A/ko
Publication of KR2010007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리적 해킹시에 그 물리적 해킹시도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의 변형을 차단함으로써 도어록 장치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며,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쇠; 및 케이스에 결합되며, 잠금쇠의 외력에 의한 가압시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도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며 탄성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상의 평면 및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노출된 탄성부재의 측면 사이의 임의의 거리는, 가상의 평면 및 잠금쇠의 측면 중 탄성부재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사이의 임의의 거리와 같거나 더 작도록 구성된다.
도어(door), 잠금쇠, 래치볼트(latchbolt), 록킹(locking), 록킹해제(unlocking),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에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잠금쇠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1)에 결합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진 잠금쇠(20') 및 래치볼트(40)를 구비한다. 잠금쇠(20')는 문설주(2)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3)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1)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잠금쇠(20')는 수동으로 또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도어(1) 및 문설주(2) 사이에 형성된 틈(4)을 통해서 물리적 해킹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즉, 틈(4)에 소위 빠루라 불리우는 해킹도구(미도시)를 삽입한 후에 잠금쇠(20')를 젖히게 되면, 잠금쇠가 변형됨과 동시에 문설주가 부서지거나 도어록 장치의 케이스가 파손되면서 도어(1)가 강제적으로 록킹해제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해킹도구의 삽입에 의한 물리적 시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해킹도구에 의한 물리적 해킹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리적 해킹시에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진 잠금쇠가 소성변형하게 되므로,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를 분리하거나 이미 설치된 도어록 장치를 도어를 분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잠금쇠가 변형됨으로 말미암아, 도어록 장치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한계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리적 해킹시에 그 물리적 해킹시도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의 변형을 차단함으로써 도어록 장치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며,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쇠;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쇠의 외력에 의한 가압시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상의 평면 및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 사이의 임의의 거리는, 상기 가상의 평면 및 상기 잠금쇠의 측면 중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사이의 임의의 거리와 같거나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리적 해킹시에 그 물리적 해킹시도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도어록 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탄성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기계식 도어록 장치나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구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어록 장치(100)는 케이스(10)와, 잠금쇠(20)와, 센서(3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도어(1)에 삽입되며,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지 않게 배치된다. 케이스(10)에는 도어록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 예를 들어 잠금쇠(20)나 래치볼트(40) 등이 설치된다.
잠금쇠(20)는 케이스(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즉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잠금쇠(20)는 문설주(2)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3)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1)를 록킹 및 록킹해제한다. 도 2에는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에 삽입되어 도어가 록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쇠(20)는 탄성부재(21), 제1잠금요 소(22) 및 제2잠금요소(2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1)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21)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는 탄성부재(21)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잠금요소(22), 탄성부재(21) 및 제2잠금요소(23)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는 각각 금속성 소재나 강도가 우수한 복합소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는 각각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 및 면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탄성부재(21)의 외측면은 도어(1)의 두께방향(t)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잠금쇠(20)가 잠금쇠 삽입공(3)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부재(21)는 도어(1) 및 문설주(2) 사이의 틈(4)을 통해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부재(21)의 외측면은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된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21)의 일측 외측면 및 제1평면(P1) 사이의 임의의 거리는 제1잠금요소(22)의 외측면 및 제1평면(P1) 사이의 임의의 거리 보다 작으며, 탄성부재(21)의 타측 외측면 및 제2평면(P2) 사이의 임의의 거리는 제2잠금요소(23)의 외측면 및 제2평면(P2) 사이의 임의의 거리 보다 작다. 여기서, 제1평면(P1) 및 제2평면(P2)은 각각 도어(1)의 두께방향(t)과 직교하며 탄성부재(21)의 일측 외측면 및 타측 외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을 말한다.
탄성부재(21) 중 도어(1)의 록킹시에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4)을 통해 접근 가능한 부분부터 탄성부재(21)의 각 단부까지의 부분은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4)을 통한 외력 인가시에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이동부(211)로 구성된다. 한 쌍의 이동부(211)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이동부(211)가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21) 중 이동부(2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한 쌍의 이동부(211) 사이의 부분은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고정되는 고정부(212)로 구성된다.
센서(30)는 케이스(10)에 내장된다. 센서(30)는 탄성부재(21)의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스위치나 누름스위치나 변형감지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30)는 탄성부재(21)의 이동부의 이동시에 눌려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름스위치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어(1)가 록킹된 상태에서 도어(1) 및 문설주(3) 사이의 틈(4)을 통해 빠루 등과 같은 해킹도구를 삽입한 후에 잠금쇠(20)를 젖히게 되면, 잠금쇠(20)가 문설주(3)의 모서리에 접촉하면서 외력을 인가받게 된다. 이 때, 잠금쇠(20) 중 탄성부재(21)가 우선적으로 문설주(3)의 모서리에 접촉하게 되므로, 탄성부재(21)가 우선적으로 외력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1)가 가압되면, 탄성부재의 이동부(211)가 이동하게 되어 누름스위치(30)가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누름스위치(3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도어록 장치(100)에 구비된 알람장치(미도시)로 입력되어 경고음이 출력되거나 또는 외부에 운영되는 방법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어 방범대원 또는 경찰관이 출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21)가 먼저 변형되게 되며, 탄성부재(21)만이 변형된 상태에서 물리적 해킹 시도가 중지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1)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므로, 도어록 장치(100)를 다시 사용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장점은 탄성부재(21)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특정 범위에 있는 외력의 작용시 탄성부재(21)가 과도하게 변형되어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가 문설주(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만 하면 달성될 수 있다. 즉, 외력의 작용시에 탄성부재(21)의 외측면이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된 상태만 유지하도록 탄성부재(21)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쇠의 이동부의 움직임이 감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구조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100a)에 있어서, 잠금쇠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 사이에 배치되는 제1회전부재(24), 제2회전부재(25), 제3회전부재(26) 및 스프링부재(27)를 더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24)는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제1회전핀(2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21)의 이동부(211)가 외력에 의해 눌 려져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이동부(211)가 제1회전부재(24)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회전부재(25)는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제2회전핀(2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의 이동부(211)가 외력에 의해 눌려져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의 이동부(211)가 제2회전부재(25)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3회전부재(26)는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에 제3회전핀(26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회전부재(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과정에서 제1회전부재(24)가 제3회전부재(26)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2회전부재(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과정에서 제2회전부재(25)가 제3회전부재(26)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프링부재(27)는 제1회전부재(24) 및 제3회전부재(26)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부재(27)는 제1회전부재(24) 및 제3회전부재(26)가 탄성부재(21)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기 전 위치, 즉 원위치로 각각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부재(27)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서(30)는 제3회전부재(26)의 회전을 감지한다. 센서(30)는 접점스위치나 누름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을 통해서 해킹도구를 삽입한 후에 잠금쇠를 젖히는 경우에, 잠금쇠에 해킹자가 인가하는 외력보다 더 작은 외력이 전달되어 잠금쇠가 잘 젖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잠금쇠(20a)를 구성하는 제1잠금요소(22a) 및 제2잠금요소(23a) 각각의 양쪽 외측면에는 복수의 홈부(221;231)가 도어(1)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잠금요소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221) 및 제2잠금요소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231)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잠금요소의 홈부(221) 및 제2잠금요소의 홈부(231)는 각각 서로 쌍을 이루며, 쌍을 이루는 한 쌍의 홈부(221,231)는 상하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홈부(221,231)는 톱니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부재(21)의 외측면은 제1잠금요소(22) 및 제2잠금요소(23)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지도 몰입되지 않게 형성된다. 다만, 제1잠금요소 및 제2잠금요소의 홈부(221,231)를 기준으로 하여 관찰하게 되면, 탄성부재(21)의 외측면은 그 홈부(221,231)에 대해 돌출되게 보이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잠금쇠(20a)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에 수직인 평면상으로 잠금쇠(20a)를 투영하면, 그 수직 평면상에 투영된 홈부(221,231)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1)의 일부분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수직 평면상에 투영된 모습은 도 6에 도시된 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수직 평면의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제1잠금요소(22a) 및 제2잠금요소(23a)에 복수의 홈부(221;231)가 서로 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어서, 물리적 해킹에 의해 잠금쇠(20a)가 젖혀지게 되면, 1차적으로 탄성부재(21)가 변형되면 서 물리적 해킹시도가 감지되게 되며, 탄성부재(210가 변형됨에 따라 잠금쇠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홈부(221,231)가 문설주(2)의 모서리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해킹자에 의해 잠금쇠(20a)에 인가하는 외력보다 더 작은 외력이 전달되어 잠금쇠(20a)가 잘 젖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물리적 해킹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록 장치(100)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잠금쇠와 달리, 잠금쇠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잠금쇠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잠금쇠의 외측면에 홈부가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복수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잠금쇠의 외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잠금쇠의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잠금쇠(20b)의 양 측면, 즉 도어(1)의 두께방향을 향하는 측면에는 도어(1)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01,202)이 마련된다. 여기서, 경사면(201,202)은 잠금쇠(20b)의 측면 전체에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경사면(201,202) 사이의 거리는 잠금쇠(20b)가 도어(1)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도, 물리적 해킹 시도시에 잠금쇠의 경사면(201,202)이 문설주(2)의 모서리에 접촉하게 되고 특히 경사면에 의해 해킹자의 해킹 외력이 줄어들게 되어 잠금쇠(20b)가 잘 젖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잠금쇠가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쇠가 수평방향으로의 직선이동 및 수직방향으로의 직선이동을 순차적으로 함에 따라 도어가 록킹되며 반대로 수직방향으로의 직선이동 및 수평방향으로의 직선이동 함에 따라 도어가 록킹해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쇠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잠금쇠가 수평방향으로 직선이동 및 회전을 모두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잠금쇠는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의 록킹시에 도어 및 문설주 사이의 틈을 통해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기만 하면 어떠한 동작 특성을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록 장치에 잠금쇠 및 래치볼트가 모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쇠만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록 장치가 도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어록 장치가 도어의 실내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탄성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잠금쇠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서 바라본 잠금쇠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Ⅵ-Ⅵ선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잠금쇠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20,20a,20b...잠금쇠
21...탄성부재 22...제1잠금요소
23...제2잠금요소 24...제1회전부재
25...제2회전부재 26...제3회전부재
27...스프링부재 30...센서
40...래치볼트 211...이동부
212...고정부 221,231...홈부

Claims (6)

  1.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며,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쇠;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쇠의 외력에 의한 가압시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상의 평면 및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 사이의 임의의 거리는, 상기 가상의 평면 및 상기 잠금쇠의 측면 중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사이의 임의의 거리와 같거나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제1잠금요소 및 제2잠금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제1잠금요소 및 제2잠금요소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잠금요소 및 제2잠금요소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잠금쇠에 외력의 인가시에 움직이는 상기 탄성부재의 이동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상기 탄성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 일측의 가압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 타측의 가압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제3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3회전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3회전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가 상기 외력에 의한 가압 이전의 원위치로 각각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작 용시키는 스프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가 복수 마련되며,
    상하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으로의 상기 잠금쇠 투영시, 상기 투영된 홈부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도어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80133775A 2008-12-24 2008-12-24 도어록 장치 KR20100075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75A KR20100075151A (ko) 2008-12-24 2008-12-24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75A KR20100075151A (ko) 2008-12-24 2008-12-24 도어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349A Division KR20100075421A (ko) 2010-05-10 2010-05-10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51A true KR20100075151A (ko) 2010-07-02

Family

ID=4263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75A KR20100075151A (ko) 2008-12-24 2008-12-24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51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91B1 (ko) * 2014-02-12 2015-04-07 이용신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1508087B1 (ko) * 2014-01-03 2015-04-07 이용신 안전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87B1 (ko) * 2014-01-03 2015-04-07 이용신 안전 디지털 도어락
KR101508091B1 (ko) * 2014-02-12 2015-04-07 이용신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608B1 (en) Method for identifying keys for controlling locks
KR102500617B1 (ko) 안전 시스템을 갖춘 도어 잠금 장치
US20130298808A1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101196135B1 (ko) 도어록 장치
KR20100075151A (ko) 도어록 장치
KR10198661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도어락장치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CN108222670A (zh) 具有滑动结构的电子防盗门锁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JP2008255650A (ja) クレセントセンサーユニット
KR101013651B1 (ko) 금고
JPH0650036A (ja) 電気錠
KR20110027170A (ko) 도어록 장치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EA012235B1 (ru) Врезной замок и ст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сцепления
KR10162918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89398B1 (ko)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KR10092250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2456722B1 (ko)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CN114704162B (zh) 无源锁芯与智能锁
KR20080065512A (ko) 도어록 장치
WO2008117975A1 (en) A door lock device
JP2588952B2 (ja) キ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